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논의에 기초하여

        윤우석 한국치안행정학회 2016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취업스트레스 와 우울감의 자살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어려움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긴장유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Agnew의 일반긴장이론에 기초하여 취업스트레스가 부정적 감정의 한 단면인 우울감을 유발하고 다시금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시 소재 K대학 재학생 448명을 설 문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우울감을 예측하는 상당히 중요한 변인으로 파악되었으나 자살생 각에는 직접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연구의 가설대로 우울감을 통해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취업스트레스 하위변수들 중 심리취업제약인지 는 우울감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취업스트레스를 심리적 으로 많이 받고 있는 것과 동시에 우울한 경우 다른 대학생들 보다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설문응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전공)은 취업스트레, 우울감, 그 리고 자살생각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특히 여자대학생, 4학년은 우울감을 많이 느끼 며 이공계열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우울감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학년들이 심리적인 취업 제약인지를 많이 하고 있으며 자살생각 역시 상대적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볼 때,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우울감을 야기하며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청년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청년들의 정신건강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후 자살과 같은 부정적 행동 가능성도 높이는 것으로 보여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ed to bring the discussion of Angew’s general strain theory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ed the aim, the author collected survey data from 448 college students taking randomly selected classes in A college in Daegu City.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nd showed strongly supportive results. First of all, students’ job-seeking stress has a strong impact on depression. Job-seeking stress model has shown more than 50% of explanatory power with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Secondly, Job-seeking stress is somewhat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directly. However, when considered depression,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has been disappeared. In addition, when including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only psychological jog-seeking stress with depress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emale and 4th grade college students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s well.

      • KCI등재후보

        항공운항과 여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현승권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항공운항과 여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가 신체증 상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I대학에 재학 중인 항공운항과 여 학생 240명을 모집단으로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용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 차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학년의 차이는 성격스트레스와 취업불안스트레스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의 가정형편의 차이는 취업불안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의 건강인식의 차이는 성격스트레스와 취업불안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스트레스는 두통증상, 불면증, 소화불량, 심장질환 등 모든 신체증상에 차이를 보 였으며, 주관적 건강인식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스트레스와 신체증상, 건강지각과의 관련성은 건강지각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s of jobs seeking stress college female students flight operation, on flow physical symptoms and health perception. research subjects were 240 female students in ‘I’ technical college of Incheon Area.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PC+ for window (version 20.0) which is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o produce the computational results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could draw such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has found that of grades factor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female students flight operation, personality stresses ranked significantly higher among first-grade students than among second-grade students, while job seeking anxiety stresses factors ranked significantly higher among second-grade students than among first-grade students. Second, job seeking anxiety stres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ome environment. Third, Personality stresses and job seeking anxiety stres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Perception. Fourth, Jobs seek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hysical Symptoms (headache, insomnia, dyspepsia, a cardiac disorder ) and Health Perception. Fifth, In lower factors of motiva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식,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4 취업진로연구 Vol.14 No.1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간호대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 기 위한 서술적 조사·양적연구이다. 본 연구방법은 G도 J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23년 12월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진 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 효 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단순·다중 회귀분석(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가 나타나는 지를 검정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준비행동 이 높아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셋째, 간호대학 생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서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비 해서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간호대학생의 진 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문적으로 졸업반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및 선택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을 고 려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 실무적 취업을 준비하는 졸업학년을 대상으로 취업준비에 적용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함양을 위한 실천적 지원 방안 및 실제적인 스트레스 상황을 고려한 대처전략이 필요하고,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job search stres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well as to explo re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job search stress. This descriptive and quant itativ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nu 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fluence job search stres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dministered to 250 graduating nursing studen 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J province, from December 4th to 8th, 2023. Data analy 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softwar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 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job search stres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 cacy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higher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 rs among nursing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earch stress. Secondly, incre as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 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Thirdly,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 y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earch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Fourthly, in infl uencing job search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greater impact co mpar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ifthly, wh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fluenced job search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is relations hip.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 programs addressing st res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among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t suggests the need for strategic interventions targe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alleviate job search stress. Practic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t ailored to real-life stressors are essential. Additionally, the study recommends both quantitati 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소용준,박준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에서 대학생활의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상(上), 중(中), 하(下)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완전 매개하였다. 학교만족도에 따라서 분류했을 때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공만족도 상(上) 집단과 학교만족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한 학생들에게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 취업 및 진로 지도를 해야 하며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편견, 특정 전공계열로의 편중 등의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on the career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1)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2)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o attain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study variables. Total 180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95 male and 85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ver. 23.0.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insecurity in career maturity was part paramete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Fourth, in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we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school satisfaction was partial mediated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atisfaction group. Bu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iscussed important of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relations of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 가족지지 및 친구·선배지지의 조절 효과 -

        정백,안선희,오윤자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경험을 하기 어려워 자신의 흥미나 적성, 진로에 대한 탐색과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대학생 시기를 맞이한다. 더욱이 지속되는 경제적 불안과 청 년실업률이 증가하는 사회적 상황은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대학생들에게 가족과 친구·선배와 같은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지지는 진로와 전공적성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취업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을 도와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보호 역할을 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와 가족지지 및 친구·선배지지 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와 친구·선배지지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취업스트레스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교 유형, 학년, 졸업 후 희망 진로, 학교만족도, 취업준비 정도, 경 제적 생활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취업스트레스와 부적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및 친구·선배지지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가족지지는 조절 효과가 있었으나 친구· 선배지지는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함으로 써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의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또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개인 특성요인을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friends·seniors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307 university students throughout Korea.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Stress Scale’, ‘Family Support Scale’, and ‘Friends·Seniors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main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school type, grade,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school satisfaction, degree of job preparation, and economic living conditions. Second, major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stress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and friends·seniors support. Third, a moderator effect of the family suppor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but there was not a moderator effect of the friends·seniors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n major satisfaction and activation of family supports are needed to achieve a low level of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to suggest a way to alleviate them.

      • KCI등재

        비서학 전공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Kim, Jeuong-A)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 3개 대학의 비서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267부를 분석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는 목표선택이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취업준비행동 중에서 취업실전준비는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취업기초준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인턴십, 학점관리, 자기관리 등의 행동은 취업스트레스를 경감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사회지지추구 대처가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중심적 대처가 취업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인의 입장이나 생각을 가족, 선배, 친구, 스승에게 의논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사회지지추구 대처가 취업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취업스트레스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는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에서 목표선택, 취업준비행동 중에서 취업실전준비 순서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감소하기 위한 개별적 상담지도 전략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seeking stres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tress coping on that stress.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reviews were conducted and 3 hypotheses wer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267 students who majored in secretarial stud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oosing a career choice fro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negative effects on job-seeking stress. Second, preliminar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fluence negatively on job-seeking stress. Third, seek social support strategy between stress coping has negative effects on job-seeking stress, but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Fourth, the most big influence factor on job-seeking stress is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Based on research findings, variety of counsel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to deal with job-seeing stress can be helpful to successful campus lif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가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김정아(Kim, Jeong-A)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취업스트레스가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전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S여자전문대학교 사회실무계열 23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변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ron & Kenne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함을 검증하기 위해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전략과의 관계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구직계획, 능력배양, 자원활용에 부(-)의 영향을,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능력배양에 정(+)의 영향을, 성격스트레스는 자원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는 학업스트레스는 행동적 전략·인지적 전략에 부(-)의 영향을, 성격스트레스는 인지적 전략에 정(+)의 영향을, 학교환경 스트레스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전략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행동적 전략은 학업스트레스와 능력배양과 자원활용과의 관계에서 부문매개하였으며, 인지적 전략은 학업스트레스와 능력배양과 자원활용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성격스트레스와 자원활용과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employment strategy, and investigates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job-seeking stress and employment strateg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32 college students in social affairs department at S Women"s College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research mediating effect with Barron & Kenney’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employment strategy,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earch plan, ability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resource, employment anxiety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cultivation, and personality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utilization of resour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elf-leadership, academic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and cognitive strategies, personality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but school environment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strategies. Meanwhil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employment strategy, the behavioral strategy was partial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bility cultivation, utilization of resource, Cognitive strategy of was partial mediated i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bility cultivation, utilization of resource, and between personality stress and utilization of resource.

      • 전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최명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직업이란 자신에 대한 정의 및 자신의 적성 및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일로 인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따른 교육이나 미래의 직업에 대한 희망적인 생각도 하기 전에 취업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다시금 느끼는 시대이기도 하다. 사회복지는 인간과 환경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 현장의 경험과 봉사활동 및 인성 부분의 준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취업 준비는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고, 이는 곧 미래의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봉사영역과 자신의 능력향상을 위해 이에 대한 연구와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학교환경, 성격, 가족환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 환경스트레스는 고학년이 높았으며 학교지명도가 개인의지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수준이 높고 취업준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성격스트레스, 가족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에 대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인성교육관련 프로그램을 학교와 학과에서 실시하여 자존감과 취업준비 모두 높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It can be said that occup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life that represents one’s definition, aptitude, and one’s own self. The present age, however, is the one in which college students feel anxiety and stress about getting a job even before they can think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of their desirable future career. For social welfare career, it is important to have experiences of diverse welfare service field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humans and environment and to make preparations for cultivation of character, but these preparations also become stress. Nevertheless, researches and ways to prepare for future clients in diverse service areas and for the improvement of one’s own capabilities are need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students’ stress from finding a job and their self-esteem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eeking stress according to school environment, personality, and family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school environment stress was affected by school year and showed greater differences in school publicity than in personal will.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and employment preparation,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had effects on academic stress, personality stress, and family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e lower the job seeking stress become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fluencing the job seeking stress.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 which the program related to humanistic education that can enhance the self esteem of college students can be practiced in schools and departments to raise both self-esteem and employment preparations, is needed.

      •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취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양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유정,이재희,장진선,전현구,한형규 동양대학교 행정경찰학부 2010 행정경찰학부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4 No.-

        최근 적업세계의 복잡성과 전문화로 인해서 대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사회의 전문 인력을 길러내는 대학교육에서는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은 학문 추구 뿐 아니라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진로의 결정단계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취업에 대한 여러 가지 고민과 갈들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취업에 대한 고민과 갈등은 ‘취업스트레스’ 라고도 할 수 있다(황성원, 1998).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취업난으로 인해 취업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동양대학생을 그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밝혀보고 대처방식의 유형에 따라 취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먼저 인구 통계학적 요인(성별, 학년, 학과, 출신지역)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유형(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성별만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소극적 대쳐보다 적극적 대처를 선호할수록 취업효능감이 높다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후 적용한다면 취업효능감을 증진시켜, 취업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