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주 용산사(龍山寺)와 의림사(義林寺), 그리고 충주철불

        김희찬 ( Kim Hee-chan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21 東硏(동연) Vol.10 No.-

        충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였다. 충주의 중심에는 읍성이 있었다. 그리고 외성이 도시의 중심을 감싸는 이중구조의 성곽도시였다. 최근에 발굴조사와 문헌, 자료 등이 보완되면서 충주에 대한 접근 방법에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조사 결과, 충주의 외성 안쪽에 최소한 두 개의 절이 있었다. 용산사(龍山寺)와 의림사(義林寺)가 그것이다. 용산사는 호암동 택지지구 정밀발굴조사 과정에서 절 이름을 새긴 기와 한 장이 출토되면서 존재 사실을 뒷받침하여 주었다. 그리고 1392년 9월에 충주에 머물던 성석린(成石璘)의 시에서 용산사가 등장한다. 근세에 와서 1927년의 용산리 사적보존지 기사와 함께 1947년에 설립이 결정된 충주사범학교 신설과 관련하여 용산사의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용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유물이 충주철불(忠州鐵佛)이다. 본래 충주군 용산리 130번지에 있었던 충주철불은 절의 존재나 존재했던 절의 이름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소속이 없이 그냥 ‘충주철불’로 불린다. 충주철불이있던 원위치가 곧 용산사가 있던 공간의 한 부분이다. 지금의 충주공업고등학교 뒤편 전체가 해당된다. 그래서 기존에 안림동의 의림사지에 충주철불이 있었다는 통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충주철불은 1915년에 청녕헌 앞뜰로 옮겼다. 이 때에 좌대가 마련되었다. 그 좌대는 1869년에 안림동 어림리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하며, ‘일영석’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다. 일종의 해시계 기능을 했었다. 그래서 안림동의 절터를 ‘일영사지’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영석은 석탑의 몸돌이다. 안림동 어림리에는 절터가 있다. 일영사지 또는 안림동사지라고 불렸었다. 1989년에 청동반자가 수습되면서 절 이름이 ‘의림사’였음이 확인되었다. 대궐터, 이궁지 등의 여러 가지 이름과 전설이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1915년에 충주철불과 일영석의 결합은 충주 도심공간에 있었던 용산사와 의림사의 첫 만남으로 볼 수 있다.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 도심 사찰 두 개의 존재는 충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충주읍성과 외성, 용산사와 의림사, 그리고 충주철불로 이어지는 관계는 충주의 역사적 중요성은 물론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각각의 대상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도 중요하고, 도시 전체를 놓고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글은 그래서 앞으로의 과제가 더 많은 시론적인 성격을 가진다. Chungju(忠州) has been a historically important city. In the center of Chungju, there was a town castle. And it was a double-structured fortress city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city. Recently, excavations, literature, and data have been supplemented, giving a new turning point to the approach to Chungju.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re were at least two temples inside Chungju's outer fortress. These are Yongsansa Temple(龍山寺) and Uirimsa Temple(義林寺). Yongsansa Temple supported the existence of a tile engraved with the name of the temple during a detailed excavation survey of Hoam-dong(虎巖洞) residential district. In September 1392, Yongsansa Temple appeared in the poem of Seong Seok-rin(成石璘), who stayed in Chungju. In modern times, along with an article on the Yongsan-ri(龍山里) Historic Preservation Site in 1927, the location of Yongsansa Temple was estimated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Chungju College of Education(忠州師範學校), which was decided in 1947. Chungju Cheolbul(忠州鐵佛) is a relic directly related to Yongsansa Temple. Chungju Cheolbul, originally located at 130 Yongsan-ri(龍山里), Chungjugun(忠州郡), is just called Chungju Cheolbul without belonging because the existence or name of the temple that existed has not been confirmed. The original location where Chungju Cheolbul was located is a part of the space where Yongsan Temple was located. This applies to the entire back of Chungju Technical High School(忠州工業高等學校). Therefore,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Chungju Cheolbul existed at Uirimsa Temple Site in Anrim-dong(安林洞). Chungju Cheolbul was moved to the front yard of Cheongnyeongheon(淸寧軒) in 1915. At this time, a seat was prepared. The pedestal is said to have been taken from Eorim-ri(御林里), Anrim-dong in 1869, and was called Ilyeongseok(日影石). It served as a kind of sundial. That's why the temple site in Anrim-dong was also called "Ilyeongsa Temple Site(日影寺址). Ilyeongseok is the body stone of the stone pagoda. There is a temple site in Eorim-ri, Anrim-dong. It was called Ilyeongsa Temple Site or Anrim-dong Temple Site(安林洞寺址). When the Bronze Banja(靑銅飯子) was recovered in 1989,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le was named Uirimsa Temple. It is also a place with various names and legends such as the site of the palace or Igungji. The combination of Chungju Iron Buddha and Ilyeongseok in 1915 can be seen as the first meeting between Yongsansa Temple and Uirimsa Temple in downtown Chungju.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n Buddhism was the state religion, the existence of two downtown temples has grea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hungju. The relationship between Chungju-eupseong Fortress(忠州邑城) and Oeseong Fortress(忠州外城), Yongsansa Temple and Uirimsa Temple, and Chungju Cheolbul is a task to be solved as well a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Chungju. Individual research on each subject is also importan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ntire city. This article is therefore of a contemporary opinion with more future tasks.

      • 충주 호암동의 고고학적 환경과 향후 과제 -충주 호암동 주변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이동휘 ( Lee Dong-hui ) 단국사학회 2022 史學志 Vol.62 No.-

        충주시 호암동은 현 시가지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서쪽에는 한강수계와 합류하는 달천이 북류하고 있다. 주변에 넓게 형성된 평야지역에서는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충주 호암동에는 많은 유적들이 조사되었으며, 이 유적들은 충주지역을 무대로 하는 역사적 사건들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고고학적 조망이 필요한 시점이며, 충주 호암동에서 확인된 유적들의 흐름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표적으로 호암동에서 확인된 초기철기시대 적석묘는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구로 볼 수 있다. 충주 주변지역에서 해당 분묘와 비슷한 위계의 무덤이 확인되지 않아 이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접근은 기원전 3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읍락-國의 형성과정과 그 범위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기원후 1세기~4세기까지 마한의 성장과 백제의 마한 통합 과정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충주지역에 대한 백제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충주 장미산성과 최근 발굴조사 중인 충주 탑평리 고분군(충주 황새머리 고분군)이 있다. 이어서 고구려에 의해 충주 고구려비가 세워지고 얼마 후 신라 진흥왕의 북진이 시작됨에 따라 충주지역은 삼국의 각축장이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충주지역은 신라의 차지가 되고 6~7세기에 해당하는 고분군이 충주지역에 조영된다. 이 시기에 해당하는 신라 고분군은 충주 누암리와 하구암리에 집중 분포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충주분지 내에 위치하는 고분군은 단월동 고분군·용산동 고분군 정도가 조사되었으나 최근 충주 호암동과 안림동에서 6~7세기 대 고분군이 대거 확인되었다. 따라서 충주 호암동에서 조사된 신라 고분군은 충주분지 내에 존재하였던 신라 세력의 성격을 밝힐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시점에서 국원소경이 중원경으로 개편되고 이에 따른 중원경 치소의 위치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충주 호암동에 위치하는 토성은 통일신라 말~고려시대까지 충주읍성의 외성 역할을 감당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축성법 및 범위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처럼 충주 호암동은 선사시대~중세까지 지속적으로 충주 역사흐름에 등장하였고, 최근의 다양한 발굴성과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Hoam-dong, Chung-ju-si,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current city. To the west, Dalcheon Stream, which merges with the Han River water system, flows north. Cultivation activities are still actively carried out in the surrounding plains. Against this backdrop of the natural environment, many ruins were investigated in Hoam-dong, Chung-ju, and these ruins can be evaluated as the starting point for historical events set in Chung-ju. Therefore, it is time for an archaeological view of this, and the flow of the relics identified in Hoam-dong, Chung-ju is as follows. Representatively, the red stone tomb of the early Iron Age identified in Hoam-dong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relic showing the social image of the time. Since no tombs with a hierarchy similar to that of the tomb have been identified in the area around Chung-ju, various interpretations are required.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lead to research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scope of the Euprak-guk, which began in earnest from the 3rd century BC. After that, from the 1st to 4th centuries A.D., Mahan's growth and Baekje's Mahan integration process progressed. Through this, it shows the process of increasing Baekje's influence on the Chung-ju area. Relating to this, there are Jangmisanseong Fortress in Chung-ju and the Ancient Tombs in Tappyeong-ri, Chung-ju, which are recently being excavated. Subsequently, as the Chung-ju Goguryeo Monument was erected by Goguryeo and the northward march of King Jinheung of Silla began shortly after, the Chung-ju area became a soccer field for the three kingdoms. Through this process, the Chung-ju area was occupied by Silla, and ancient tombs from the 6th to 7th centuries were constructed in the Chung-ju area. Silla tombs, which correspond to this period, have been recognized as being concentrated in Nuam-ri and Haguam-ri, Chung-ju. The extent of ancient tombs located in the Chung-ju Basin was investigated, but a large number of ancient tombs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were recently confirmed in Hoam-dong and Anrim-dong, Chung-ju.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Silla Ancient Tombs surveyed in Hoam-dong, Chung-ju, provided a clue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la forces that existed in the Chung-ju Basin. At the time of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Gukwon Small Scenic Area will be reorganized into Jungwon Scenic Area, and research on the location of the Jungwon Scenic Area should be continued. Subsequently, Saturn, located in Hoam-dong, Chung-ju, seems to have played the role of the outer castle of Chung-ju-eupseo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Goryeo Dynasty, and detailed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cope is required. As such, Hoam-dong, Chung-ju, continued to appear in the trend of Chung-ju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Middle Ages, and its importance is being highlighted due to the recent various excavation results.

      • 조선 후기 충주 사족의 서원활동 : 누암서원을 중심으로

        안다미 ( Ahn Da Mi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충주는 지리적으로 서울, 경기도와 가까운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이점 덕분에 충주에는 서울 출신의 사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낙향의 근거지로 충주를 선택하였다. 17세기 이후에 충주로 이주해 온 사족들은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서 충주와 한양, 경기도 등지를 자주 오고 갔다. 그 결과, 충주는 17세기 이후까지도 향리 세력이 강성하여, 다스리기 어려운 고을 중에 하나로 인식되었다. 숙종 20년(1694)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계기로 충청도 지역에서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서원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송시열의 문인들은 스승을 선양하는 서원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충청도 내에서 여론의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노력의 중심에는 충주 지역 출신인 권상하(權尙夏, 1641~1721)와 정호(鄭澔, 1648~1736)가 있었다. 권상하는 가장 먼저 화양서원(華陽書院)을 설치하였으며, 정호는 자신이 거주하던 충주 누암리에 누암서원(樓巖書院)을 설치하였다. 숙종 20년에 정호를 중심으로 충주 사족들은 송시열과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을 배향하는 서원을 설치하는 일을 논의하였다. 송시열은 충주 목사를 역임한 이력이 있었고, 민정중은 충주 출신 사족이었다. 두 사람은 모두 충주의 풍속 교화에 앞장섰던 이력이 있었다. 이렇게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들이 당시에 송시열 서원을 설치하려던 이유는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지만, 호서 지역 내에서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을 중심으로 한 김장생 문인들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에 대한 견제 의식이 숨어 있었다. 한편, 충주 사족의 서원 설치논의는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에도 부합하였다. 국가는 충주가 상대적으로 향리 세력이 강성한 곳이었으며, 충주 사족이 잦은 변란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새로운 공간으로 서원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처럼 숙종 21년(1695)에 완공된 누암서원은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의 이해와 국가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물이었다. 이렇게 서원을 중심으로 학문 사상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18세기 이후에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가령, 정조 19년에 민중혁이 대표로 하여 정호를 누암서원에 추가 배향하는 문제를 조정에 보고하였다. 정호의 추가 배향은 당시에 권상하문인들이 황강서원(黃江書院)과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을 중심으로 학문사상을 강화해 가는 것에 대한 충주 사족들의 일종에 경계 의식이 반영되었다. 충주 사족은 ‘주자-이이-김장생-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도학 계보 위에 ‘주자-이이-김장생-민정중-정호’를 배치하여, 충주만의 도학 계보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여기에 정조 19년에 정호의 추가 배향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사학(邪學)이 유행하던 당시에 국가의 정책 이데올로기인 주자학(朱子學)의 보급을 위해 전초기지가 필요했던 조정의 입장도 반영되었다. 즉, 정호의 추가 배향은 충주 사족과 국가 정책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였던 셈이다. 이처럼 누암서원은 지방 사족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려던 충주 사족의 이해와 한양과 밀접한 지역인 충주에 주자학적 이데올로기 보급을 통해 향촌 풍속 교화를 완성하고 충주 사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던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가 합치되어 설치되었으며, 서원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활동들 역시 국가 정책과 사족들의 이해가 합치되는 과정에서 진행되었다. Chungju city was geographically close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this geographical advantage, many Aristocratic families from Seoul lived in Chungju. In particular, they chose Chungju as their base in times of political turmoil. The Sajoks (the well-bred families), who moved to Chungju after the 17th century, frequent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Chungju, Hanyang, and Gyeonggi-do depending on political changes. As a result, Chungju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more difficult provinces to govern, with strong Hyangri forces even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advent of Gabsul Hwanguk in 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the number of Seowon of Song Si-yeol (宋時烈, 1607-1689)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disciples of Song Si-yeol set up a Seowon in honor of their master, and on this basis they sought to seize control of public opinion in Chungcheong Province. At the center of these efforts, there were Gwon Sang-ha (權尙夏, 1641-1721) and Jung Ho (鄭澔, 1648-1736), both from the Chungju region. Gwon Sang-ha established Huayang Seowon first, and Jung Ho established the Nuam Seowon in Nuamli, Chungju, where he lived. In the 20th year of the Suzong dynasty, the Sajoks in Chungju region, led by Jung Ho, discussed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 to honor Song Si-yeol and Min Jungjoong (閔鼎重, 1628-1692). Min Jungjoong, Song Si-yeol had been a pastor in Chungju, and Min Jungjoong was a member of the Sajoks from Chungju. Both had a history of leading the way in the cultural and moral development of Chungju. As such, the local aristocrats of Chungju, including Jung Ho, had various reasons for establishing the Seowon for Song Siyeol at that time. While there were political motivations, they also harbored a sense of checks and balances against the growing influence of scholars and literati centered around the Donam Seowan in Yeonsan in the Honam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establishing a Seowon by the Sajoks in Chungju also served the policy interests of the state. The state agreed that Chungju was a relatively strong region of the Hyangri forces, and the Sajoks in Chungju were involved in frequent disturbances, thus, they saw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as a more efficient means of managing them. As such, the Nuam Seowon, completed in the 21st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1695), was the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including Jung Ho, as well as the interests of the state. This attempt to reinforce academic thought around the Seowon, becomes more evident after the 18th century. For instance, in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re was a report to the court about the issue of Min Joong Hyeok, who represented the people, advocating for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Nuam Seowon.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Seowon was reflective of the Chungju Sajoks’sense of caution at the time,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ing of academic and ideological influence among scholars led by Kwon Sang-ha at the Hwanggang Seowan and Han Won-jin(韓元震, 1682~1751). Gwon Sang-ha Jung Ho Min Jungjoong Kim Jangsang Kim Jangsang. The Sajoks in Chungju aimed to establish their own scholarly lineage within the broader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that followed the lineage of ‘Zhu Xi -Yi Yi- Kim Jangsang- Min Jungjoong- Jung Ho by placing ‘Zhu Xi -Yi Yi- Kim Jangsang- Song Si-yeol- Gwon Sang-ha’. Moreover, the success of adding of Jung Ho to the Seowan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also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court, who needed outpost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state’s policy ideology, orthodox Neo- Confucianism, at a time when Confucianism was in vogue. In other words, adding Jung Ho was the result of a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the Sajoks in Chungju and state policy. As such, the Nuam Seowon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the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which sought to secure their identity as regional elites, and the state’s policy interests, which sought to complete the edification of local customs and manage the Sajoks in Chungju efficiently. This was done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ideology in Chungju, a region close to Hanyang, and a series of activities centered on the Seowon were also conducted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state policy and the interests of the Sajoks.

      • 충주시의 브라운필드 현황과 활용 방안 연구

        원동선 ( Won Dong Sun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본 연구는 광복 이전까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했다가 주변부로 밀려나면서 침체되고 지금은 다시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는 충주시에 대한 재인식을 기반으로 시작된다. 충주시는 역사적으로 볼 때 과거 한 나라의 도읍지의 위상은 아니더라도 고대부터 지리적으로 한강수역에 인접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전략적 위치에 있어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지방의 중심적 역할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광복 이후 국토개발의 중심축에서 벗어나면서 수십 년 동안 다른 지역에 비해 발전이 제한적이었고, 결과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충주는 주목받지 못한 관심 밖 도시에 불과했다. 2000년대를 기점으로 중부고속도로에 이은 중부내륙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개통, 2021년 12월 여주-문경 간 중부내륙철도의 일부 개통으로 대한민국 인구 2,000만 명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수도권을 1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한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는 충주가 이제 더 이상 중소도시가 아닌 수도권의 신도시이며 핫플레이스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을 의미하며, 최근 서충주 신도시는 수소산업의 핵심 기업도시로 주목받으면서 시민들에게 쾌적하고 현대화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반면에 구도시를 중심으로 기존시설의 낙후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슬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충주시는 수십 년 간 검토를 진행해왔지만 아직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없는 단계이다. 대체적으로 낙후된 부지는 이해당사자간의 첨예한 소유권 문제와 다양한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법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이지만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 낙후된 구도심 혹은 방치된 지역을 그대로 둔 채 지역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도시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 외곽도시의 도시 확장을 추진한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도시가 낙후되는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주민이 줄어들고 수요가 감소하면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것 역시 현대의 대다수 도시들이 겪고 있는 비슷한 상황이다. 충주시의 기존 도시계획도 구도심 외곽 지역을 확장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었지만, 지역의 활성화를 최대한 극대화하지 못했다. 따라서 도시의 생명력을 불어 넣기 위해서 구도심의 활성화와 기존 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재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시가 오랜 기간 재개발에 대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여러 유휴 시설 활용에 대한 방안을 궁극적으로 찾지 못한 대안으로 브라운필드 재생의 관점에서 도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충주시에서 브라운필드 활용이 미비한 것은 다음과 같은 크게 두 가지 원인에서 비롯된다. 첫째, 유휴 시설의 대부분이 민간 소유인 경우가 많아 소유권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발 진행에 있어 소유자 간 협의와 법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유휴 시설이 방치되고 있다. 둘째, 충주시의 재원 조달 능력에 한계가 있어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재정의 자립도가 낮다.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도시계획의 경우 재원이 한정되어 있어서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각종 민간의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민간의 자본 유치는 직간접적으로 필수적이다. 전면 재개발이 아니더라도 브라운필드 재생도 일정의 예산이 필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만으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재생 프로젝트를 지연시키고 개발 여건을 복잡하게 만들어 충주시의 브라운필드 활용을 위한 재생의 문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따라서 충주시 브라운필드의 적극적 활용 방안을 위해 무엇보다 민간의 투자 유치, 각종 규제의 정비와 민간의 각종 이해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법적문제에 대한 해결 장치 마련과 민관의 이해당사자간 의사결정이 원만하게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국내외 브라운필드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충주시의 수십 년 간 해묵은 지역 난제를 극복해 국내의 명실상부한 브라운필드 활용 대표도시로서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 This study begins with a reevaluation of Chungju City, which, until before the liberation,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as since been pushed to the periphery and experienced stagnation. Historically, Chungju City, while not serving as the capital of a past nation,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gion due to its strategic location adjacent to the Han River basin and its significance in transport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However, in the modern era after liberation, it moved away from the cor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saw limited progress compared to other regions. As a result, Chungju became a city overlooked by many. However, starting from the 2000s with the opening of the Central Expressway, followed by the Central Inland Expressway and the Pyeongtaek-Jecheon Expressway, and the partial opening of the Central Inland Railroad between Yeoju and Mungyeong in December 2021, Chungju City has transformed into a city where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reaching 20 million people, can access the capital area within one hour. This signifies that Chungju is no longer a small city but a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 potential to become a hotspot. Furthermore, recently, the West Chungju New City has gained attention as a core city for the hydrogen industry and is perceived by citizens as a pleasant and modernized city. On the other hand, older parts of the city are experiencing severe neglect of existing facilities, leading to the progression of slum-like conditions. Chungju City has been aware of this issue for decades, but there is still no fundamental solution under consideration. Generally, the neglected areas face complex challenges, including contentious ownership issues and various other problems, making it difficult to find legal solutions. This is not just a problem unique to Chungju City but a common issue for most cities nationwide. However, these issues cannot be ignored any longer. Expecting regional revitalization while leaving neglected or abandoned areas as they are is a challenging task. Even if urban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suburban cities are pursued,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phenomenon of urban neglect will repeat over time, potentially resulting in a decline in population and demand, leading to wastage of resources. This is a situation faced by many modern cities. Chungju City’s existing urban planning also progressed with a focus on expanding the outskirts of the old city. However, such urban planning did not maximize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erefore, to breathe life into the city, revitalization of the old city center and recycling based on existing facilities must precede. In this study, although Chungju City has long recognized the issue of redevelopment, it has not found alternative solutions for various idle facility ut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urban revit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ownfield regeneration. Currently, Chungju City faces challenges in brownfield utilization due to two major reasons. Firstly, many idle facilities are privately owned, leading to frequent ownership disputes. This hinders the progress of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neglect of these facilities. Secondly, Chungju City has limitations in its financial capacity to promote brownfield regeneration projects. Most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low financial independence, and budgets are limited for urban planning that requires significant funding. Henc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private investments are urgently needed. Brownfield regeneration, even if not a full-scale redevelopment, requires a certain budget, and local government budgets alone are insufficient to address this. Therefore, attracting private capital is essential,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dditionally, issues related to private stakeholders and legal matters are intertwined, making it difficult to plan and execute projects. These issues are identified as one of the reasons for delaying regeneration projects and complicating th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brownfield utilization in Chungju City. Therefore, to actively utilize brownfields in Chungju Cit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governance structure where private investment is attracted above all else, legal issues that can resolve various regulations and private interests are addressed, and private and public stakeholders can cooperate smoothly.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brownfield utilization, Chungju City has ample potential to overcome long-standing regional challenges and become a leading city in brownfield utilization in the country.

      • KCI우수등재

        1253년 충주성전투 승첩과 방호별감(防護別監) 김윤후(金允侯)의 역할

        강재광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2

        1253년 야고(也古)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몽골 제5차 침입군이 고려를 대대적으로 침공하였다. 제5차 침입군은 대몽전쟁기 중에서 가장 강력한 몽골 군단이었다. 몽골군 본진은 서해도의 양산성, 교주도의 동주산성·춘주성, 양광도의 양근성·천룡산성 등을 함락시키고 고려 중부 내륙 최대 거점인 충주를 포위하였다. 고려는 몽골군의 경상도 방면 진출을 막기 위해 충주에서 그들과 일대 혈전을 벌이게 되었다. 1253년에 낭장 김윤후(金允侯)는 충주산성 방호별감(防護別監)으로 파견되었다. 그의 직함으로 볼 때, 그가 파견된 곳은 충주읍성이 아니라 충주산성이 분명하다. 그런데, 1253년 당시 『고려사』에서 대몽전투의 현장은 주성(州城) 혹은 충주성으로 나온다. 충주성은 충주에서 거리가 가깝고 방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조령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었던 대림산성일 가능성이 높았다. 방호별감 김윤후는 충주성에서 몽골군 본진 제1군에 맞서 70여 일 동안 항전하였다. 몽골군 총사령관 야고가 함께 종군하였던 탑찰아(塔察兒)의 군영을 습격하는 불상사를 일으켜 몽골 황제에 의해 몽골로 소환되자 전열이 흐트러진 그들의 침공을 가까스로 막아낼 수 있었다. 1256년 몽골 제6차 침입 때 몽골군에 의해 충주성이 함락되고 곧바로 충주산성이 공격당한 사례로 보아, 1256년의 충주성은 충주읍성이 분명한데, 1253년에도 김윤후에 의한 충주산성전투와 별개로 충주읍성전투가 전개되었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고려사』에서 ‘주성’은 용례에 따라 읍성 혹은 산성이 서로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충주성전투에서 김윤후는 청야입보에 의거한 수성전을 기본 전술로 유지하면서도 출성전·매복전·야간기습전 등 변칙 전술을 가미하여 몽골군을 격퇴시켰다. 그는 충주성이 함락될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다음과 같은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1)힘껏 싸울 수 있다면 귀천에 상관없이 관작을 내리겠다고 충주민에게 공언하였다. (2)관노 문서를 소각하여 관노들에게 신분해방에 대한 믿음을 보였다. (3)몽골군에게 빼앗은 소와 말을 군사와 백성들에게 나눠줘 그들의 항전의지를 최대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한 결과, 충주성 입보민은 결사항전하여 몽골군 본진을 물리쳤다. 충주성전투 승리로 인하여 군공을 세운 자는 모두 관작을 받았고 충주는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 Yeku(也古)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fifth invading army of mongol, attacked extensively Goryo dynasty in 1253. The fifth invading army of mongol was the most intensive mongol corps out of the period of the war against mongol. Military headquarters of mongol army captured Yangsanseong(椋山城) in Seohaedo(西海道), Dongjusanseong(東州山城) and Chunjuseong(春 州城) in Gyojudo(交州道), Yanggeunseong(楊根城) and Cheonryongsanseong( 天龍山城) in Yanggwangdo(楊廣道). Eventually they sieged Chungju(忠州) that was the largest strategic foothold of the middle part of Goryo dynasty. Goryo had to see bloody battle against mongol arm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road toward Gyungsangdo(慶尙道) direction of mongol army. Nangjang(郎將), Kim Yoonhu(金允侯) was dispatched to Chungju as Chungjusanseong(忠州山城) Banghobyulgam(防護別監) in 1253. Throughout his official designation, the spot that he was detached, was Chungjusanseong abundantly clearly. By the way, actual place of the battle against mongol in 1253, was written to Juseong(州城) or Chungjuseong(忠州城) in Goryosa(高麗史). Chungjuseong was a possibility to be Daerimsanseong(大林山城) that was closed to Chungju, and was advantageous to defense, and was located to strategic point crossing to Joryung(鳥嶺). Banghobyulgam Kim Yoonhu fighted in Chungjuseong during seventy days almost against main force units of mongol army. During this battle, Yeku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mongol army had a injury because of attacking camp of Tagachar(塔察兒), his mongol rival. Finally, Yeku was summoned to mongol by order of mongol emperor. And then, Kim Yoonhu had managed to stop attacking of mongol army that battle line was in disorder. After Chungjuseong battle in 1253, mongol army captured Chungjuseong and they instantly attacked Chungjusanseong in the period of the sixth invade to Goryo in 1256. Throughout this case, it is assumed to be deployed Chungjueupseong(忠州邑城) battle separately, regardless of Chungjusanseong battle by Kim Yoonhu in 1253. On this account, it is cleared that ‘Juseong’ was used with Eupseong(邑城) or Sanseong(山城) according to examples in Goryosa. At Chungjuseong battle in 1253, Kim Yoonhu maintained the battle for keeping fortress based on Cheongyaipbo(淸野入保) as elementary tactics. In addition to this, he is considered to defeat mongol army, carrying out sudden battle outside fortress as irregular tactics. When Kim Yoonhu was confronted with crisis situation that Chungjuseong was just close to the collapse by enemy’s strong attacking, he showed leadership like this. (1)He declared to give the office and peerage to Chungju people regardless of noble and mean, if they could fight hardly against mongol enemy. (2)He provided the trust to Gwanno(官奴: slaves in government employ) toward status liberation, burning out Gwanno ledger himself. (3)He handed out cows and horses that had taken from mongol enemy, to soldiers and Ipbomin(入保民). Therefore, he raised their fighting will to the fullest extent. The result of these outstanding leadership, Chungjuseong Ipbomin defeated military headquarters of mongol army, fighting back desperately. Owing to the victory of Chungjuseong battle, meritorious persons prized for the office and peerage all together, and Chungju was elevated to Gukwonkyung(國原京).

      • 조선 후기 은일 공간으로서의 충주

        이새롬 ( Lee Sae Rom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2 충주학연구 Vol.1 No.0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한시에 표상된 충주(忠州)의 이미지를 정리하여 충주가 정치적 좌절을 겪은 문인들의 미련과 좌절, 기대 등의 심리가 문학적으로 투영된 공간으로서 정치적·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충주는 예로부터 한양에 접근하기가 쉬웠으며, 풍부한 물산을 자랑하고, 산과 강이 어우러진 승경과 함께 탄금대와 같은 명승지를 완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특징으로 인해 많은 문인들이 충주를 은거지로 삼았다. 특히 기묘명현의 많은 이들이 충주에 은거하며 자신들만의 세력을 구축하였다. 조선 후기에 노론(老論) 핵심 인사들이 호서 지역에 머물게 되면서 충주는 기호사림(畿湖士林)의 학맥을 잇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누암서원의 존재는 충주가 기호사림의 중심지였음을 알려준다. 조선 시대 문인들은 정치적 혼란기에 일시적으로 혹은 오랜 기간 중앙정계에 설 자리를 잃었을 때, 그들 나름대로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공간으로 충주를 택하였다. 조선 후기 문인들 중 많은 이들이 충주에 내려왔지만 대부분 충주에 은거하는 기간은 짧은 편이었다. 대부분 출사와 은거를 반복하였기 때문이다. 그중 정호(鄭澔)와 안중관(安重觀)은 노론 문인으로 충주가 고향이며, 정치적으로 불리할 때마다 충주에 은거하였다. 두 문인은 충주에 거주하며 많은 시를 남겼는데, 충주에서 누리는 아름다운 풍경과 한적함에 대한 만족감을 표출하는 한편, 자신의 뜻을 알아주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염증, 출사에 대한 미련을 표출하였다. 정호는 <sub>영의정 ‧ 좌의정을 </sub>역임할 정도로 중앙 관료로서 활약하였으며, 당시 노소(老少) 갈등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었다. 정호는 은거를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한 의사표시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그렇기에 언제든지 도성으로 돌아갈 수 있는 충주를 은거지로 택하였다. 안중관은 주로 외직에 있었으며, 그가 스스로 사직한 이유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그가 은거하며 쓴 시에는 그의 불우의식과 현실에 대한 염증이 짙게 드러난다. 안중관은 현실에 대한 체념으로 인해 은거를 택하였지만 도성을 향한 미련으로 인해 최후의 배수진으로서 도성과 가까운 충주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충주는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 복잡한 현실 속에서 잠시 떨어져 여유로움과 위안을 얻어갈 수 있는 곳이자 언제든 출사의 기회를 놓치지 않을 만한 공간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image of Chungju (忠州) represented in the literati’s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late Joseon, and confirmed that Chungju had important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s a literary space in which the psychology of regret, frustration, and expectations of the literati who had suffered political setbacks was projected. Since ancient times it was easy to access Seoul from Chungju, and it was possible to appreciate famous sights such as Tangeumdae along with the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rivers. It was also an area where products were abundant. Due to these geographical features, many of the literati stayed in Chungju. In particular, many figures of victims of Kimyo Year Literati Purge secluded in Chungju and established their own influence. In the late Joseon, as key Noron figures stayed in the Hoseo region, Chungju also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connecting Kiho Sarim’s academic vessel. The existence of Nuam-seowon indicates that Chungju was the center of Kiho Sarim. The literati in the Joseon era lost their place in central politics temporarily or fo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but they chose Chungju as a space where they could exert their own influence. Many of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came to Chungju,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most of them were secluded in Chungju for a short period of time. Most of these repeated going to office and being secluded. Among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Jeongho(鄭澔) and Ahn Jung-gwan (安重觀) were the Noron literati, and were secluded into Chungju as their hometown whenever they were politically disadvantaged. The two literati lived in Chungju and left many poems, and while expressing satisfaction with the beautiful scenery and serenity enjoyed in Chungju, they expressed their disgust about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and their lingering about going to office. Jeongho was active as a central bureaucrat to the extent that he served as Yeonguijeong-Jwauijeong, and he was at the center of the noron-soron conflict at the time. Jeongho’s seclusion was utilized as a means of expressing his will to carry out his own will. Thus, that’s why he chose to be secluded in Chungju, where he could return to Seoul at any time. Ahn Jung-gwan was mainly employed at a government post away from the capital, and it is not clear why he resigned himself. However, his poems that he wrote while he was secluded deeply reveal his awareness of misfortune and his disgust of reality. Although Ahn Jung-gwan chose to be secluded because of his resignation from reality, he seems to have stayed in Chungju, close to Seoul, as a position taken up with a river behind the troops because of his lingering toward Seoul. It was confirmed that Chungju was a place where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could get relaxation and solace from the complex reality for a while, and a space where they could not miss an opportunity to go to office at any time. Through this, the literati’s awareness and literary discourse in the late Joseon was investigated in a space outside of Seoul, a symbol of central power.

      • 충주지역 피리형가마의 특징과 축조배경

        조용호(Cho, yong-ho)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중앙고고연구 Vol.0 No.9

        이 글에서는 충주지역에서 조사된 피리형가마를 중심으로 철제품, 목탄, 철광석의 유통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피리형가마는 측구를 가진 窯로서 측구부탄요로 불리 기도하며 충주시 주덕읍 이류면, 신니면, 노은면에서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입지는 대체로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 지형 및 바람세기에 따라 장축방향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는 연소부와 소성부·연도부·배연부·측구·측면(전면)작업장 등으로 구성되며, 주로 참나무류를 탄화하였다. 연소부, 소성부, 연도부를 기준으로 형식분류 한 결과 연소부 Ⅰ유형, 소성부 b유형, 연도부 나유형이 대체로 많이 축조되었다. 충주 지역에서 조사된 피리형가마는 고고지자기연대 및 탄소연대 분석결과로 볼 때 크게 두 단계 정도로 구분된다. 충주지역 역사적 변천 및 제철유적과 철제품, 목탄, 철광석의 유통과정을 살펴보았다. 역사적 변천은 4단계로 구분되었다. 생산된 철제품과 목탄·철광석은 남한강과 내륙 교통로를 이용하여 한성기 백제 중앙과 충청내륙지역으로 유통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충주지역은 남한강이라는 지리적 특수성과 풍부한 철광석으로 인해 주변에 피리형가마가 대규모로 축조되었으며, 이를 통한 주변과의 물류 유통 및 집단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된다. 또한 철광석과 양질의 목탄 생산 등을 고려하면 이 지역 중심에 대규모의 시설을 갖춘 집단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충주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이상과 같은 제양상들을 통하여 충주지역은 한성기 백제 중앙의 영향권에 들어오기 이전부터 마한의 정치체와 교역 또는 유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백제 한성 기에는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생산, 유통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writing is aimed at looking a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ironwork, charcoal and iron ore centering on charcoal kiln investigated at Chungju District. Charcoal kiln, as the one having the function of the side window for extracting charcoal, is also called pipe-shape charcoal kiln and side-gutter-type kiln which was built concentrically at Ieryu-myon, Shinni-myon, and Noeun-myon of Judeok-eup, Chungju-si. Charcoal kiln is mostly located at the hillside and it is judged that people chose its building direction according to topography and the wind strength. Its structure is divided into the combustor, firing section, stack, smoke-hole, side window for extracting charcoal, lateral[front] workings, and mostly oak family was used. This writing classified the forms of charcoal kiln on the basis of the combustor, firing section, and smoke-ho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tternⅠof the combustor, pattern b of the firing section and pattern b of the stack were used the most on the whole. In addition, the period for the charcoal kiln investigated at Chungju district is judged to be built mostly from the divided into stages. Lastly, this researcher took a look a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iron-working remains, steel products, charcoal, and iron ore centering on the charcoal kiln. in Chungju district and this researcher was also able to discover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produced steel products, charcoal, and iron ore from Chungju to the center of Baekje Hanseong and inland area of Chungcheong-do using the Namhan river and inland traffic routes. This research thinks that Chungju district is important in looking at the cultural aspects at that time in that a large scale of charcoal kilns were identified at its neighbouring area by virtue of its ge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the Namhan river and abundant reserve of iron or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ron ore and good quality charcoal from this area, it is judged that there might be a cluster equipped with a large scale of facilities in its center, so Chungju district is highly likely to be the very place.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charcoal kiln like above, it is most likely that there might be a trade or act of physical distribution between Chungju district and the body politic of Mahan far before the infuence of Baekje Hanseong, and it is judged that there might arise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under the more systematic management in the period of Baehje Hanseong

      • KCI등재후보

        충주 지역 중원역사문화 스토리텔링의 기초자료

        홍성화(Hong, Sung-hwa)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본 연구는 충주 지역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과제를 선별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중원 지역의 역사 문화 컨텐츠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탄금호를 비롯한 남한강 일대 스토리텔링과 충주의 향토 음식과 관련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남한강 유적은 크게 선사 유적, 불교 유적, 성곽 유적, 고분 유적, 충주 고구려비, 탑평리 유적, 나루와 조창 유적을 중심으로 역사 컨텐츠가 집중되어 있다. 남한강 유적은 중원의 역사가 태동한 근원지로서 향후 ‘中原역사유적지구’로 발돋움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충주의 향토음식과 관련해서는 향토음식의 개발과 더불어 폰 시볼트의 견문기를 통해 해외에 소개되었던 충주 小盤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선의 통신사행 때 충주의 연회를 비롯하여 충주의 맛 중에서 최고의 일품으로 일컬어졌던 달천의 물맛을 통해 남한강 문화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충주 지역 역사 문화 스토리텔링의 활용은 명실상부한 중원역사유적으로 새로이 발돋움하는 충주의 위상과 관련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ubjects which can develop to the story-telling projects regarding to the history & culture content of Chungwon region and make preliminary data since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systemization of the storytelling projects in Chungju is required. This study showed that a necessity of the regional storytelling including the Namhangang River area and local foods in Chungju preferentially arises. This study especially found that the remains of the Namhangang River area were concentrated on the historic contents such as prehistoric sites, Buddhist cultural heritage, remains of fortress, tomb monuments, Chungju Goguryeo Stele, remains of Tappyeong-ni and ruins of ports and warehouses. Namhangang River area remains are the important heritage that can be developed further as the District of Chungwon History & Culture since the remains were the base where Chungwon history had been emerged. Regarding the native local foods in Chungju, we ne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nd pay attention to the Chungju soban, small dining table of Chungju which was introduced overseas through the travel writing written by Phillip Franz von Siebolt. Another feature of the local culture of Namhangang River area is the distinct banquet held in Chungju during the Joseon TongShinSa, Joseon mission to Japanan and the taste of Dalcheon water which was reputed to be the best flavor of Chungju. Thus, the utilization of history and culture story-telling in Chungju is requisite for the growing reputation of Chungju, the true remains of Chungwon Historic Area.

      • KCI등재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문에 나타난 ‘충주(忠州)’에 대한 지역 인식

        어강석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Because of its central lo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hungju historically has had an important status. Due to this geographical condition, literary nobles who traveled between Hanyang and Kyungsangdo, naturally held particular perceptions about Chungju. Those who climbed over Joryeong Mountain and left Chungju, saw it as a starting point on the way to villages and ending point of Hanyang (now Seoul), but for those who came to Chungju over Joryeong, Chungju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n the way to Hanyang. Therefore, Chungju was a place of both beginnings and endings. Chungju seemed very close to Hanyang psychologically, even though it actually was actually 300 ri (about 118 km) away, because land routes and water routes were well developed. To the men of letters who had had to leave Hanyang for political conflict, Chungju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avoid the doubt of the court but easily return when necessary. However, those who retired from the political world and wanted to live in a smaller town climbed over Joryeong. Thus, Chungju was the last staying place for those who harbored ambitions of a post in the court but a passing place for those climbing the opposite way over Joryeong, meaning they had resigned from public office and would never return. 충주는 한반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상을 지 니고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조선시대 한양과 경상도를 오가 던 문인들은 자연스럽게 충주에 대해 특별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먼저 조령 을 넘어가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서울이 끝나는 곳이며, 향촌이 시작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반대로 조령을 넘어오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서울이 시작되는 곳이 었다. 즉 충주는 서울의 시작임과 동시에 향촌의 끝이고, 향촌의 시작이며 서울 의 끝이 되는 지점이었던 것이다. 또한 충주는 실제 거리는 서울과 300여 리나 떨어져 있었지만, 육로와 수로 가 잘 발달되어서 심리적으로 한양과 매우 가깝게 느껴졌다. 따라서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서울에서 물러나야 하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거리에 있어 비교적 안전하였기 때문에 조정의 의심을 피할 수 있으면서 쉽게 다시 나아갈 수 있는 곳 이었다. 하지만 진심으로 고향으로 물러나고 싶은 사람들은 조령을 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충주는 관직을 마음에 품고 있는 사람들이 거처를 정 하는 가장 마지막 지점이며, 충주를 벗어나 조령을 넘어가는 것은 완전히 물러 나 벼슬살이에 뜻을 두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충주 호암동 유적 토광적석묘와 충주지역 정치체

        이동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8

        충주 호암동에서 확인된 토광적석묘는 주변에서 확인된 동일시기 무덤 중 높은 위계의 분묘로 파악된다. 본고에서는 충주 호암동 토광적석묘의 당시 위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남부지역에서 확인된 적석묘 계열의 분묘와 비교 검토를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다변량 분석법인 다차원척도법과 GIS를 프로그램을 이용한 밀도분석(Kernel Density)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충주 호암동 토광적석묘는 서남부지역에서 확인되는 단독묘 중 위계가 높은 분묘군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주 호암동 토광적석묘는 MDS그래프 상에서 독립적인 지역에 위치하는데 이를 통해 호암동 유적에서 확인된 세력의 특수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어서 실시한 밀도분석 결과 서남부지역의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는 6~7곳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하여 충주지역에는 주변지역에 위력을 행사하던 정치체와 읍락집단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읍락집단을 辰國을 구성하던 하나의 정치체로 파악하고자 하며 위치는 진국의 동변(東邊)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충주 호암동 토광적석묘는 마한 성립 이전 충주지역에 위치한 읍락의 수장층 분묘로 이해된다. 더불어 충주지역에 존재하였던 비교적 높은 위계의 ‘읍락집단’을 상정해 볼 수 있다. The Underground stone tomb Shrine, identified in Hoam-dong, Chung-ju, is ranked highly among the tombs of the same period in its vicinity. In this paper,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Underground stone tomb in Hoam-dong, Chung-ju, a comparative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tombs of the Jeokseokmyo family identified in the southwestern region. For the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e method, which is a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and the Kernel Density using the GIS program were us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Underground stone tomb in Hoam-dong, Chung-ju belongs to a tomb group with a high hierarchy among single tombs identified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e Underground stone tomb Shrine in Hoam-dong, Chung-ju, is located in an independent area on the MDS graph,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specificity of the forces identified in the Hoam-dong ruins. As a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conducted subsequently, it is judged that there were six to seven cultural and political cent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political and village groups that exercised power in the area surrounding Chung-ju. This township group is regarded as a political entity that constituted the country, and its location is regarded 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ast side of the Qin Dynasty. In conclusion, the Underground stone tomb in Hoam-dong, located in Chung-ju are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Mahan is believed to be the burial mound of the head of the village.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latively high-level “Euprak group” existed in the Chung-ju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