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해 딴섬의 고투수성 충적층에서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에 의한 규모종속 수리분산 연구

        강동환,심병완,권병혁,김일규,Kang, Dong-Hwan,Shim, Byoung-Ohan,Kwon, Byung-Hyuk,Kim, Il-Kyu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6

        투수성이 높고 대수층의 저유량이 풍부한 강변여과수 개발 예정지역의 충적층에서 시험규모가 2m (IW-1공와 5m (IW-2공)인 경우의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이 수행되었다.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의 양수율은 $2,500m^3/day$ 이었으며, 주입정 (IW-1 및 IW-2공)에 염소이온 5kg을 순간 주입하였다. 염소이온의 농도이력곡선을 작성하여 초기도달시간과 최고농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누적질량회수곡선을 통해 양수 후 경과시간에 따른 염소이온의 질량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염소이온농도 대 누적질량회수율의 이력그래프를 작성하여 누적질량회수율에 따른 염소이온농도의 증가와 감소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염소이온농도의 증가/감소 구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농도증가율과 감소율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양수정에서 관측된 경과시간별 염소이온농도 자료를 CATTl 코드의 quot;Converging Radial Flow With Instantaneous Injectionquot; 해석법에 적용하여 종분산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종분산지수는 양수정과 IW-1공 사이의 충적층에서는 0.4152 m, 양수정과 IW-2공 사이의 충적층에서는 3.2665 m이었다. 양수정에서 이격거리가 멀수록 종분산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이격거리에 대한 종분산지수의 비는 각각 0.21과 0.65 정도이었다. Convergent flow tracer test for 2 m (IW-1 well) and 5 m (IW-2 well) of test scale was conducted at the alluvial aquifer with high permeability and storativity. Pumping rate for convergent flow tracer test were $2,500m^3/day$, and the chloride tracer of 5 kg was instantaneously injected into IW-1 and IW-2 wells. Differences of first arrival time and peak concentrati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ncentration breakthrough curves of chloride. Recovered chloride mass were analyzed by recovered cumulative mass curves. And, increment and decrement for chloride concentration were analyzed through chloride concentration versus recovered cumulative mass ratio graphs. Also, increment and decrement ratios of chloride concentration were estim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es for increment and decrement intervals of chloride concentration. Longitudinal dispersivities were estimated by quot;Converging Radial Flow With Instantaneous Injectionquot; method using CATTI code. Longitudinal dispersivities estimated by CATTI code were 0.4152 m between pumping well and IW-1 well, and 3.2665 m between pumping well and IW-2 well. Longitudinal dispersivity was increased according to far distance from the pumping well. The longitudinal dispersivity according to distance were estimated as 0.21 between pumping well and IW-1 well, and 0.65 between pumping well and IW-2 well.

      • KCI등재

        충남 부여 궁남평야 충적층의 퇴적구조

        박지훈 ( Ji Hoon Park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충남 부여 궁남지 일대에 발달한 충적평야(이하 궁남평야)에서 행해진 시추공 자료를 대상으로 층상해석, 층서해석 및 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여 궁남평야(현 해발고도 약 5.99~8.00m) 충적층의 퇴적구조와 퇴적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궁남평야 충적층의 최대 층후는 약16.20m이며 최종빙기 최한랭기에 왕포천(금강의 지류)의 하상에 해당되는 매몰곡저의 해발고도는 -10.21m인 것으로 밝혀졌다. ② 궁남평야의 충적층은 크게 하부층, 중부층, 상부층으로 구분된다. 하부층은 최종빙기 최한랭기에 퇴적된 기저력층의 성격이 강한 고선상지성 사력층(또는 력층)층이다. ③ 중부층은 주로 실트 (또는 점토) 계통의 무기질층으로서 홀로세 초기~중기(약 9,300~7,100yrB.P.)에 해면 상승과 더불어 퇴적된 세립질층이다. ④ 상부층은 주로 모래, 사질 실트(또는 점토)와 같은 무기질층으로서 홀로세 후기(약1,500~650yrB.P.)에 금강 및 왕포천의 하천 종단면이 평형상태에 도달한 이후에 퇴적된 현생 범람원층이다. 그리고 중부층과 하부층에서는 유기물(또는 토탄)이 수 매 협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전기비저항 및 지구통계학을 활용한 충적층의 간극률 주상도 산정

        민대홍,윤형구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The geostatistical method has been applied to predict the properties of area which has the limitation of surve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files of porosity based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in alluvium soil through the geostatistical method and the consideration, when applied the geostatistical method, is also suggested. An area of alluvium is chosen the site for applying the geostatistical method because an area has limitation in applying the geophysical method.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difficult because the current flow is limited into the dried and alluvium soils. The three profiles are adopted to obtain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 Archie's law is applied to convert the measured electrical resistivity to porosity.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i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stimated porosity and the result show the similar trend. And the effect of various statistical functions is also investigated and the slightly different distribution is observed. 지구통계학은 각 측정값들 간의 확률적인 상관성으로 미지의 값을 예측하며 지반조사가 어려운 지역의 물성치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구통계학 기법을 활용하여 전기비저항으로 도출된 간극비의 고해상 주상도를 제시하고 분석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구통계학 기법이 활용된 지역은 전기비저항 탐사시 지층의 퇴적조건으로 인하여 전류 주입이 어려워 지층 특성 분석에 한계가 있는 충적층을 대상으로 하였다. 3개의 측선에서 측정한 전기비저항 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탐사된 미지의 값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측정한 전기비저항 데이터는 Archie's law를 통해 설계상수인 간극률로 변환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층의 간극률 주상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신뢰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 측선마다 표준관입실험도 함께 실시하여 데이터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분석된 간극률 값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지구통계학 활용시 결과값에 영향을 주는 확률통계함수의 영향에 대한 고찰도 함께 실시하였으며 충적층 지역에서는 그 영향 정도가 작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낙동강 충적층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연구

        김건영 ( Geon Young Kim ),고용권 ( Yong Kwon Koh ),김천수 ( Chun Soo Kim ),김형수 ( Hyoung Su Kim ),김성이 ( Sung Yi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3 지질공학 Vol.13 No.1

        지하수의 인공함양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낙동강변의 충적층내에 부존하는 자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추공 및 지표수에 대한 현장측정자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연구지역의 자연수는 Ca-HCO3형에서부터 Ca-SO4형에 속하며 특히 미량원소로서 Mn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중패커시스템 (Multi-packer system)에 의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심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Na, Ca, Mg, HCO3의 함량이 심도가 깊어질수록 증가하고 있고, Cl과 SO4의 경우는 맨 하부구간인 18m에서 채취된 시료들이 시료채취시기와 관계없이 매우 낮은 값을 보인다. 미량원소의 경우 문제가 되는 Mn은 시료채취 시기와 관계없이 중간 구간인 13.5m 구간에서 특히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연구지역내 물시료들에 대한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및 삼중수소 함량 분석결과는 다중패커설치공 및 일반 관측공과 지표수들간에 서로 중첩되어 구분이 어렵다. 황동위원소 분석결과는 지하수내 황의 기원이 퇴적암을 구성하는 황산염광물의 용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론튬 동위원소비는 양수정 및 그 인접공의 시료들과 강변에서 인접한 공의 시료들간에 차이는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질소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화학비료로나 토양내의 유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Geochemical studies on the alluvial aquifer system near the Nakdong River were carried out for the basic investigation of the estimation of artificial recharge for the river bank filtration. In-situ data do not show an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pumping well and river. Most of waters belong to Ca-HCO3 and Ca-SO4 types and show high Mn concentration. In the borehole installed with Multi-packer (MP) system, Na, Ca, Mg, HCO3 contents of the groundwater are increased with depth increasing. Cl and SO4 contents of the groundwater show the lowest values at the bottom level (18m depth) and Mn content is very high at the middle level (13.5 m depth) of MP system.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in the δ18O and D values and tritium content between MP, borehole and surface water samples. The sulfur isotope data indicate that the possible sulfur source is dissolution of sulfate mineral from sedimentary rock. Strontium isotope ratio shows a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pumping well and observation borehole samples. Nitrogen isotope data indicate that the nitrogen of water samples is originated from fertilizer or organic materials.

      • KCI등재

        충남 부여 군수리 일대 충적층의 퇴적구조

        박지훈 ( Ji Hoon Park ) 한국지리학회 2014 한국지리학회지 Vol.3 No.1

        In this study, with the object of alluvial plain in the whole area (hereinafter referred as the research area) of Gunsu-ri, Buyeo Chungnam Province we carried out facies analysis and stratigraphic analysis of the alluvium based on field work and preceding study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sedimentary structure of the alluvium in the research area.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①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alluvial geographical features formed over the Last Interglacial~Holocene are revealed on the current ground or buried under the ground in the research area. ② It was confirmed that clay layer(brown and yellow) and organic clay layer(grayish blue~charcoal gray) are deposited in the buried small valley formed dissected terrace gravel responding to the period of low sea level of the Last Glacial in the river terrace(formed in the Last Interglacial). ③ In the point bar(formed in Holocene), buried alluvial island, natural levee and back marsh were found. ④ Especially in terms of sequence of strata, the above-mentioned organic clay layer is naturally connected with ‘Baekje period paddy field layer’ buried in the research area. It mea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ack marsh of Geumgang River distributed in the research area were partially used as farmland in Baekje period.

      • KCI등재

        모래자갈과 암반의 복합지층에 시공한 저심도 터널의 사례연구

        김치환,Kim, Cheehwan 한국암반공학회 2015 터널과지하공간 Vol.25 No.3

        모래와 자갈이 암반 위에 퇴적된 지층에서 터널의 윗부분이 지하수가 많은 모래자갈층을 통과하는 상황에서 터널을 시공하였다. 지상의 일부 곡선구간에 빌딩들도 있는 저심도 터널을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강도가 작고 지하수가 많은 터널천정부의 모래자갈이 터널 내로 낙하하는 유사현상(sand flow)을 예방해야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강관다단그라우팅이나 제트그라우팅으로 터널주변 충적층을 굴착 전에 미리 보강한 후 터널을 시공하였다. 이와 같이 터널을 보강한 효과와 지상빌딩의 안전을 시공 중 계측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he tunnel is excavated through the alluvial layer composed of sand and gravel with groundwater deposited on rock. A portion of upper part of the tunnel is located in the alluvial layer and there are several buildings just above the curved section of the tunnel. It is necessary to prevent from sand-flowing into the tunnel due to low strength of the alluvial, high groundwater level and shallow depth of the tunnel from the ground surface. For this, the alluvial around the tunnel is pre-reinforced by umbrella arch method with multi-stage grouting through large diameter steel pipes or jet grouting before excavating the tunnel. The effect of the pre-reinforcement of the tunnel and the safety of the buildings are monitored by measurement of ground deformation occurred during tunnelling.

      • KCI등재

        충남 공주 제민평야 충적층의 퇴적구조

        박지훈 ( Ji Hoon Park ),이애진 ( Ae Jin Lee ) 한국지형학회 2015 한국지형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structure of the Jemin Plain alluvial (17.2~31.5 m a.s.l.), developed in the whole area of the Jemin Stream banks in Gongju, Chungnam. The research was done by carrying out facies analysis, grain size analysis, radiocarbon dating and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Plain`s trench materials and exploratory holes drilled on the alluvial plain. Results showed that the thickness of the Plain alluvial was between 2.2 and 14 m. Furthermore, the altitude above sea level of the river bed (buried valley bottom) in the coldest period of the Last Glacial of the Jemin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was found to between 3.2 and 28 m. The alluvium of the Plain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he Lower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Lower layer was composed of gravel in the most part and of a thin layer of peat. This basal gravel layer was deposited in the coldest period of the Last Glacial. The Middle layer mostly consisted of silt and contained a sandy gravel layer, an organic layer and a cultural layer. The Middle layer was formed by flooding in the Post-Glacial age. The Upper layer was mostly composed of silty sand and also contained a sandy silt layer and a buried layer. These silty sand and sandy silt layers were formed by flood and mass movement after the longitudinal profile of the Jemin Stream reached an equilibrium state in the late Post-Glacial age. The buried layer was an artificially dumped layer made to reduce damages caused by river flooding in the modern ages.

      • 하천인접 통과 토사 NATM 터널의 차수효과 및 지하수 유출특성 고찰

        이상철(Sang Cheol Lee),홍장호(Jang Ho Hong),기인도(In Do Ki),윤현섭(Hyun Seop Yoon)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0

        과거 지하철공사에 적용된 터널은 안정성확보를 위해 주로 암반 터널로 시공되었으나, 최근 시공여건으로 인해 토사터널 설계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하천하부를 통과하거나 최근 접한 터널노선이 선정되고 있다. 특히, 자립도가 낮은 충적토 토사터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차수보강이 필수적이나 충적층은 상류에서 하류 간에서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토질 특성이 있고 지하수 영향이 크므로 설계단계에서 개략적인 지반조사를 실시할 경우 지반의 상당한 불확실성을 야기하며 시공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지반변형이 우려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이 인접한 NATM 토사터널 시공사례를 통해 시공시의 차수보강효과와 지하수 유출특성을 기술하고자 한다. The condition of facing has been designed to rock material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unnel structures in the past, and recently, so many subways or highways have been planned under and adjacent to river or buildings, having potential risks because of the limit of area. It has been very important to Apply reinforcement method in the tunnel structures, that is, grouting method and reinforcement of the upper face using large steel pipe. But, it is very uncertain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luvial soil layer by investigating soil condition approximately, which causes some damages to tunnel structures, including ground settlements. In this paper, we will state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groundwater Efflux and the effect of grouting method, by using some case studies of NATM Tunnel with soil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