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참조적 출처 기억에서의 자기 긍정 편향

        김경미,이도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본 연구는 출처 점검 과제(source monitoring task)를 사용하여 자기 긍정 편향(self-positivity bias)의 영향으로 인해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self-reference effect)의 크기가 기억 내용의 정서가에 따라 달라지는 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이 자기 참조 및 타인 참조 부호화 조건에서 단어들을 학습한 직후 기억 검사를 받았던 실험 1에서는 긍정 형용사에 비해 부정 형용사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학습과 검사 사이에 24시간의 파지 간격을 둔 실험 2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더욱 극대화되어 부정적 단어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 긍정 편향으로 인해 동일 정서가의 정보일지라도 자신과의 관련성에 따라 그 출처가 기억되는 양상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아를 참조하여 정보를 처리(self-referential processing)하는 것이 늘 더 정확한 기억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며, 주로 부정적 측면에서 논의되어 온 기억 편파 및 왜곡이 자기 고양 동기의 실현 및 긍정적 자기 개념의 유지 등을 돕는 순기능적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would differ for positive versus negative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self-positivity bias within a source monitoring paradigm. In Experiment 1 where a memory test immediately followed a learning phase, the size of self-reference effects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positive words compared to negative words. This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for negative words was found to be more pronounced in Experiment 2 where a 24-hour interval was introduced between learning and memory test phases: no self-reference effect for negative word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due to the self-positivity bias, the association between a memory and its source become systematically biased toward positivity when a memory is self-relevant as well as toward negativity when a memory is about others. Overall, the current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crucial role of memory in maintaining and enhancing positive self-image and further suggest that memory bias, which has mostly been discussed for its negative consequences, may serve a functionally adaptive role by enhancing individuals' positive self percep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KCI우수등재

        출처 감찰 연구의 개관: 기본개념, 측정이론 및 도식 편향 현상에 대해

        이준득,이훈진 한국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6 No.3

        This paper is aimed to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research on source monitoring. Source monitoring is the set of processes involved in specifying about the origins of memories. After proposing the theory of source monitoring framework in 1993,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source monitoring tasks in cognitive psych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clinical psychology. The recent studies focused on the process of the self functioning.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empirical literatures studied using the task and explored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with other psychological constructs in Korea. This study gu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and representative empirical studies of source monitoring. Further, this study reviews the clinical studi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disorder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of the empirical studies on schema bias of source monitoring task as discussing the suggestion of the previous studies. 출처감찰은 한 개인의 기억이 어떤 출처에서 온 것인지를 밝히는 정보처리과정을 말한다. 출처감찰능력에 대한 이론적 제안 이후, 인지심리학, 발달심리학,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많은 실증적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도 개인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출처감찰과제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국내 심리학계에서는 출처감찰에 대한 연구가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으며, 관련 연구도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출처감찰의 기본개념과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실험적 성과들을 구체적으로 개관하였다. 다음으로는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출처감찰과제가 활용된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여러 심리장애와 출처감찰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현재까지의 출처감찰과제 연구 중 최신 연구 분야인 도식 편향 현상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억과 기록 -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김명훈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Archival science is prior to explore meaning and role of recordmanagement in given environments rather than developing recordmanagement methodology.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don’t merelymean to exchange record management medium from paper to digital. Themost important point exploring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is notmanagement skills or methods, but meaning of records and role of recordmanagement in contemporary society. All these days, however, the theoriesand methodologies has been developed focusing on written records andpublic records mainly in the deep-rooted influence of positivism. In such situations, the discussions of social memories can exploremeanings and roles of record management in pluralistic society. Meanwhile,many articles in archival science has been widespread recognition thatrecords will soon be just memories in terms of objective and neutralevidence. In recently, however, conviction on objectivity and neutrality ofrecords has broken down by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archivalscience.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record and memory and to argue the roles of archival science for buildingsocial memories.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은 기록의 의미와 기록관리의 역할 변화란 관점에서 볼 때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기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근대 시민혁명 과정에서 연유하여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정립된 기록의 의미와 기록관리의 역할은 아직도 완고하다. 실증주의사조에 기반을 둔 문자화된 종이기록 중심의 관리이론 및 방식은아직도 지배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주로 공기록과 같은 대규모조직에서 생성된 기록들을 대상으로 관리하며 과거의 사실에 대한 보고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억 담론은 문자화된 공기록 중심의 기록관리를 탈피하고, 다원화된 사회 속에기록의 의미 및 기록관리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동안 국내외 기록학계에서는 기록은 행위에 대한 객관적, 중립적 증거라는 점에서, 기록은 곧 기억이라는 단순한 인식이 만연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속에 기록이 지닌 객관성, 중립성에 회의를 품게 되었고, 사회의 다원화 속에 공기록 중심의 기록관리에 대한 반성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에본고에서는 기록과 기억의 관계 정립을 위한 기반 연구로,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관리의 역할 및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기록과 기억 간의 관계 정립을 위한 단초로 기억 담론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고찰한 다음, 그동안 기록학 영역에서 진행되어 온 기억을 둘러싼 제반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발판으로 사회적 기억 형성을 위해 기록학 영역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 및 향후 방향성을 논의코자 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수줍음 경향, 면담자의 사회적지지, 출처 감찰 훈련이스트레스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nterviewers’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training on the accuracy of children’s memory of a potentially stressful event. Children (N = 128) aged 3-12 year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a minor dental procedure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and extend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social support improved the accuracy of children’s source monitoring. Younger children were more easily influenced by an interviewer’s social support than older children. Furthermore, for children who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more shy than others in the same-age group, the accuracy of their report improved considerably when an interviewer provided social support. By creating a naturalistic situation (i.e., dental operative procedu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way children report stressful experiences and found out ways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children’s reports might be facilitated by a supportive interviewer. The finding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ren’s motivation and ability to give a reliable report of a stressful ev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particularly helpful in providing guidelines for interviewing children in legal settings. 본 연구는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아동의 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실험실을 벗어난 상황을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불안이나 긴장,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가 자연스럽게 유발되는 치과 진료를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 그리고 아동의 기질적 특성이 자유 회상 보고의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경험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즉 면담자의 개방적 질문에 따른 자발적 보고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기억 역시 선행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게 미취학 아동들은 취학 아동보다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취학 아동에게 기대되지 못했던 출처 감찰 훈련의 효과도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이 기질적으로 수줍음이 높은 아동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가 유발된 사건에 대한 아동 기억의 정확성이 면담자의 태도와 인지 훈련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진술 조사 맥락에서 피해 아동의 수줍음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면담 실시와 면담자 태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후보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episodic memory: dissociating distinct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episodic encoding from spatio-temporal contexts based on medial temporal lobe-cortical networks

        Jonghyun Park(박종현),Yoonjin Nah(나윤진),Sumin Yu(유수민),Seung-Koo Lee(이승구),Sanghoon Han(한상훈)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2

        일화기억은 핵심 이벤트와 그에 연합된 맥락으로 구성된다. 해마와 해마 주변 영역이 일화기억의 부호화에서 맥락을 표상하는 역할에 관해 연구되어왔지만, 시공간적 맥락 외에 다양한 맥락-특이적 정보들에 대한 표상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자기기능공명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맥락정보(예, 육하원칙 - 누가, 왜,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내측두엽 및 대뇌피질 신경연결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명의 얼굴과 하나의 사물로 구성된 실험 이벤트를 보면서 여섯가지 맥락 부호화 과제를 수행하였다.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정보를 활용해 내측두엽의 세부 영역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였고 맥락 기억 과제별 기능적 신경연결성 네트워크를 탐색하였다. 일반선형화 모델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맥락정보를 처리할 때보다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을 연합할 때 내측두엽의 세부영역,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영역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활성화를 보이며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영역들과 내측두엽 영역이 맥락조건간 차이에 관여하는 기능적 연결성 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맥락부호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해마세부영역들과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등 간의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정보들을 다변량 패턴분석의 주요입력변수로 선정하였고, 기계학습을 통해 맥락 조건 간 연결성 패턴분류를 시도하였다. 네트워크 패턴분류에서도 시공간 맥락 조건과 각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처리 조건 간에는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화기억에서 특정 맥락을 처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특성과 맥락 조건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 Episodic memory consists of a core event and the associated contexts. Although the role of the hippocampus and its neighboring regions in contextual representations during encoding has become increasingly evident, it remains unclear how these regions handle various context-specific information other than spatio-temporal contexts. Using high-resolution functional MRI, we explored the patterns of the medial temporal lobe (MTL) and cortical regions’ involvement during the encoding of various types of contextual information (i.e., journalism principle 5W1H): “Who did it?,” “Why did it happen?,” “What happened?,” “When did it happen?,” “Where did it happen?,” and “How did it happen?” Participants answered six different contextual questions while looking at simple experimental events consisting of two faces with one object on the screen. The MTL was divided to sub-regions by hierarchical clustering from resting-state data. General linear model analyses revealed a stronger activation of MTL sub-regions, the prefrontal lobe (PFC), and the inferior parietal lobule (IPL) during social (Who), behavioral (How), and intentional (Why) contextual processing when compared with spatio-temporal (Where/When) contextual processing. To further investigate the functional networks involved in contextual encoding dissociation, a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eatures selected as the task-based connectivity links between the hippocampal subfields and PFC/IPL. Each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contextual processing was individually and successfully classified from spatio-temporal contextual processing, respectively. Thus, specific contexts in episodic memory, namely social, behavior, and intention, involve distinct functional connectivity patterns that are distinct from those for spatio-temporal contextual memory.

      • KCI등재

        최면상태에서 전생(前生)을 보고한 2례

        박희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3

        최근 최면중 저생을 보고하 환자의 치료과정을 정리한 서적이 관심을 모으면서 전생이나 환생을 주제로 한 영화나 TV 드라마가 인기를 끌고 청소년과 대학생들 사이에 환생 신드롬이 확산되어 사회심리현상으로까지 나타났다. 저자는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최면중 전생을 보고한 환자들 중에서 2명의 증례를 기술하였다. 나아가 최면과 기억, 유사기억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생의 내용은 증례의 정신역동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이는 전생기억이라는 것이 최면반응성과 사회적 맥락의 기대와 신념 등에 의해 재구성되고 조직화된 유사기억(pseudomemory)이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During hypnosis patients sometimes fantasize entire complex scenarios and later define these experiences as memories of actual events rather than as imaginings. This article examines 2 cases reporting past-life identity during hypnotic trance state. In each case, elicitation of the past-life events is associated with social constructions, hypnotic procedures and structured interviews which provide demands for the requisite experiences, and which then legitimate the experiences as past-life identities. These 2 cases show their own idiopathic psychodynamics symbolically through past-life regression during hypnosis. This article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recall is reconstructive and organized in terms of current expectations nd beliefs.

      • KCI등재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6

        This article purposes to define archival justice and suggest democratic modeling of the archive 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TRC), which is focused on victims of state violence. These purposes come from critical mind that the absence of framework of the records management for collective memory would cause incorporation of TRC archives into mainstream archives systems in which voices of victims have been marginalized. This article intends to expand theoretical prospects of documentation of past affairs through applying humanistic and theoretical frameworks differently from institutional and policy approaches on restoration of collective memory. In order to do this, this article first considers archival justice as archives building in which state violence’ victims are pivotal and then extracts theoretical frameworks for building the archives based on archival justice from recent discourses of post-colonial archives and community archives. As the next step, it criticizes current conditions of TRC archives in Korea on the basis of extracted theoretical frames and finally suggests realistic models in which each theoretical frame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to TRC archives that is focused on victims.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아카이브 정의’(archival justice)의 개념적·이론적 관점을 정립하고 국가 통치 폭력의 피해당사자들을주축으로 한 진실화해위 아카이브의 체계적 재구성을 고민한다. 이는 국내 기록학계에서 집단 기억을 구현할 수 있는 기록관리프레임의 부재가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라는 집단 기억의 장을 또다시 기존의 지배체제 중심적이고 공공 아카이브 등의 주류시스템에 그대로 병합되는 영역으로 남겨두는 상황을 초래할 수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기존의 집단기억 복원에 대한 제도적·정책적 접근법과 달리 인문학적인 이론프레임을 접목함으로써 과거사 기록화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위해서, 이 논문은 먼저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 피해당사자가 중심이 되는 아카이브 구축을 ‘아카이브 정의’로 보고, 이에 입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을 ‘후기식민주의 아카이브’와 ‘공동체 아카이브’의 최근 이론적 논의들에서 추출해낸다. 이어서 이들 지적 자원에 기반하여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의 현실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즉 피해 당사자 중심의 동시대적 기록관리 모델링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재인 기억과 출처 기억 수행에 실행 기능이 미치는 영향 탐색 연구

        이승진 한국인간발달학회 2016 人間發達硏究 Vol.23 No.3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children's age-dependent memory ability by evaluating recognition memory and source memor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attempts to identify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in the formation of early episodic memory in children. Four- to six-year-old children were presented with a variety of factual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e.g., experimenter or doll). Then, we evaluated the children's recognition memory (the facts they learned) and source memory (the path through which they learned the information). Executive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well known working memory, inhibitory control, and set shifting task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hildren showed relatively better recognition memory and source memory with increasing age.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children's source memory even when children's age and receptive language ability was controlled.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early episodic memory in children and executive function as well as the need for follow up studies.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참조적 주의편향 및 기억편향에서의 차이

        김다선,이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0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self-referential attention bias and memory bias according to social anxiety levels in early adulthood. Participants (N=110)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high social anxiety (HSA), middle social anxiety (MSA), low social anxiety (LSA), and healthy control (HC). Attention bias was measured using spatial cueing task, and memory bias was measured using a source monitoring task. Stimuli of the tasks were presented under three conditions for the tasks: self-reference (SR1), perception of self by others (SR2), and other-reference (OR). Disengagement bias scores (DBS) were used as an attention bias. Conditional Source Identification Measure (CSIM) was used to measur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source of the words learned and guess indicator (g) was used to measure the ability to guess the source of words not learned. According to the attention task results, the HSA group had difficulty disengaging attention (DBS) from negative stimuli at SR2 compared to the HC group. In the memory task, the MSA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for positive stimulus of OR than the HC group (CSIM). This reflects the result that, unlike the HC group that avoided positive stimulus of OR, the MSA group showed no attention bia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memory processing in social anxiety groups was discussed by introducing self-referential condi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