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사적·비방사적 초효율성 모형을 이용한 지역신협의 효율성 비교 연구

        김병철 한국제도경제학회 2013 제도와 경제 Vol.7 No.2

        본 연구는 2009∼2011년까지 3년간 우리나라 신용협동조합의 14개 지역신협에 대해 방사적 모형 인 DEA-CCR, DEA-BCC모형과 비방사적 SBM-CCR모형과 SBM-BCC모형을 이용하여 초효율성을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통계적으로 비교검정 하였다. CCR과 BCC 초효율성 측정결과 비방사적 모형의 초효율성 평균 지수 값이 모두 방사적 효율성 지 수 값 보다 적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비방사적 모형이 투입과 산출의 여분(slack)요소를 반영해 보다 엄격하게 효율성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CCR 초효율성 모형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부산지역 신협의 경우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 에 의한 순위가 4위로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다른 지역들은 대체로 유사한 순위를 보여주고 있 다. 그러나 경북, 강원지역 신협 등 일부지역의 경우 순위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BCC 초효율성 측성결과 울산지역 신협은 방사적, 비방사적 모두 1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경 기지역의 경우 방사적 모형으로 측정 시 6위에서 7위를 보여주고 있으나, 비방사적 모형의 경우 2 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효율성 지수 값이 1이상으로 나타난 지역신협들 중 많은 지역들이 과 다 투입과 과소 산출량을 나타내는 슬랙이 존재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 간의 초효율성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순위합 검증(rank-sum test)결 과 유의수준 5%에서 모형간의 순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메타변경 초효율성모형을 이용한 지방공기업의 효율성과 기술격차 평가

        유금록(Yoo, Keum-Rok)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1

        본 논문에서는 메타변경 초효율성모형(metafrontier super-efficiency model)과 집단변경 초효율성모형(group frontier super-efficiency model)을 사용하여 2013년도 전국 67개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의 효율성과 기술격차를 분석하고, 효율성과 기술격차의 차이를 검정한 후,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효율적인 시설관리공단이 10개인 반면 비효율적인 시설관리공단은 57개이다. 둘째, 11개 시설관리공단에서는 기술격차가 존재하지 않는 데 비해 56개 시설관리공단에서는 기술격차가 존재한다. 셋째, 군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집단변경 초효율성이 일반시와 자치구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집단변경 초효율성보다 높은 반면 군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기술격차가 일반시와 자치구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기술격차보다 더 크다. 이는 군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기술수준이 일반시와 자치구 소속 시설관리공단의 기술수준보다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자치단체는 시설관리공단의 효율성과 기술격차를 측정함으로써 위탁사업에 대한 표준원가를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하며, 공기업의 효율성과 기술격차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메타변경 및 집단변경 초효율성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iciency and technology gap of 67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s financed by 67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2013 with nonradial metafrontier and group frontier super-efficiency models, tests for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technology gap, and then suggests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Summarizing analytic results, first, efficient corporations are 10, while inefficient ones are 57. Second, there are no technology gaps in 11 corporations, whereas there are technology gaps in 56 corporations. Third, the group frontier super-efficiency of corporations invested by county governments is higher than that of corporations funded by city and borough governments, while the technology gap of corporations capitalized by county governments is larger than that of corporations financed by city and borough govern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nagement technology of corporations invested by county governments is lower than that of corporations financed by city and borough governments. Finally, suggesting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consider the options for setting the standard costs of contracting-out projects by measuring the efficiency and technology gap of local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s, and it is useful to utilize the metafrontier and group frontier super-efficiency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technology gap of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 평가 - 초효율성모형을 이용한 시계열분석 -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경영개선정보를 제공하고 전라북도 산하기관들에 대한 체계적인 경영평가를 위한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개발공사에 대한 현행 경영평가체계와 도시개발공사의 효율성을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규모수익가변 및 초효율성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하고, 경영효율성 및 초효율성을 측정한 결과와 비효율성의 원인 및 정도, 준거집단을 분석했다.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이 100%인 연도는 2003년도와 2005년도, 2006년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연도 중 2005년도의 효율성이 110.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도의 효율성은 90.20%로 나타났으며, 2007년도의 효율성은 53.56%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To provide management improvement informations for enhanc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as well as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systematic managerial evaluations of public agencies associated with Jeonbuk Province,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nagerial evaluation system and major previous literature 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in Korea, formulated variable-returns-to-scale(VRS) and super-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s for evaluat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from 2003 through 2007, and analyzed technical efficiency and super-efficiency scores, the sources and amounts of inefficiency, and reference set. The efficient years in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showed to be 2003, 2005 and 2006 years, of which the efficiency of the 2005 year is the highest level of 110.26%.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cy of the 2004 year revealed to be 90.20%, while that of the 2007 year indicated the very low level of 53.56%.

      • KCI등재
      • KCI등재

        잔여기준 범위방향 초효율성모형을 이용한 지방공기업의 운영효율성 평가: 지방공영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유금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6 No.1

        Using a slacks-based range direction model of super-efficiency, which is a new approach capable of analyzing efficiency when outputs or inputs include both negative and positive data,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returns to scale of 26 public development projects directly managed by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2013, tests for differences in operational efficiency by the type of local governments, and then suggests reference groups for benchmarking as well as adjustment options for the operation size and outputs of inefficient public development projects, policy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Analytic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high, but there are large differences among public development projects. Second,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development projects managed by metropolitan governments is 9.6% point higher than that of those under city and county governments. Third, 11 development projects are run in an area of increasing returns to scale, 8 operate in a region of constant returns to scale, while 7 are maintained in an area of decreasing returns to scale. Fourth, we need to use the slacks-based range direction model of super-efficiency in order to analyze operational efficiency by reflecting nonradial slacks when outputs or inputs not only contain both negative and positive data, but there are also multiple efficient public enterprises. 본 연구에서는 산출물이 음수와 양수를 포함한 경우에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인 잔여기준 범위방향 초효율성모형(slacks-based range direction model of super-efficiency)을 사용하여 2013년도 전국 26개 공영개발사업의 운영효율성과 규모수익을 분석하고, 자치단체 유형 간 운영효율성의 차이를 검증한 후, 비효율적인 공영개발사업의 운영규모 및 산출물의 조정방안과 벤치마킹 준거집단, 정책적・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영개발사업의 운영효율성이 높지만 공영개발사업들 간 차이가 크다. 둘째, 광역시 공영개발사업의 운영효율성이 시・군 공영개발사업보다 유의수준 10%에서 9.6%포인트 높다. 셋째, 규모수익체증(IRS) 영역에서 운영되는 공영개발사업이 11개, 규모수익불변(CRS) 영역에서 운영되는 공영개발사업이 8개인 데 비해 규모수익체감(DRS) 영역에서 운영되는 공영개발사업은 7개이다. 넷째, 산출물이나 투입요소가 음수와 양수자료를 포함하고 다수의 효율적인 공기업이 존재하는 경우 산출물과 투입요소의 비방사적 잔여(nonradial slacks)를 반영하여 운영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잔여기준 범위방향 초효율성모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공기관 효율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 비방사적 방향거리 초비효율성지표의 적용

        유금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8 No.4

        This article analyzed the super-efficiency of local public enterprises with a focus on local public water utilities enterprises using a non-oriented non-radial directional distance measure of super-inefficiency, and then suggested implications for advancing evaluation methodology and policy evaluation practices.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super-efficiency of public water utilities enterprises is very high, which arises from it that lots of public water utilities enterprises are efficient. The directional slacks-based measure of inefficiency proposed by Färe & Grosskopf (2010), the commonly used non-radial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in most studies, may not only lead to negative efficiency scores, but it does not also differentiate a large number of efficient water utilities enterprises. One needs to utilize the non-oriented non-radial directional distance measure of super-inefficiency with a unit value direction vector to discriminate the efficiency of efficient decision-making units, as well as satisfy unit invariance. 본 연구는 투입산출지향적(non-oriented) 비방사적 방향거리 초비효율성지표(non-radial directional distance measure of super-inefficiency)를 사용하여 기초자치단체 상수도공기업을 중심으로 지방공기업의 초효율성을 분석하고, 평가 방법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상수도공기업의 초효율성이 평균적으로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도공기업의 초효율성이 매우 높은 이유는 다수의 상수도공기업들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방사적 방향거리함수인 Färe & Grosskopf(2010)가 제안한 방향 잔여기준 비효율성지표는 음수(-)인 효율성점수를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효율적인 상수도공기업들의 효율성을 구분하지 못하는 약점을 갖고 있다. 단위불변성을 충족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단위들의 효율성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단위방향벡터를 사용한 투입산출지향적 비방사적 방향거리 비효율성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효율성을 이용한 생명보험회사의 효율성 순위 연구

        김재현 ( Jae Hyun Kim ) 한국보험학회 2016 保險學會誌 Vol.107 No.-

        이 연구는 초효율성(super efficiency)을 활용하여 기존 생보사 효율성 연구에서 효율적인 기업이 다수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전통적인 DEA에서 동일하게 효율적으로 나타난 생보사 가운데 간결한 상품포트폴리오와 판매채널을 믹스한 소형 생보사가 최상위에 위치한 반면, 국내 대형3사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은행계열사가 크게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생보사 간 양극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생보사의 효율성과 자산규모, 상품포트폴리오 및 방카슈랑스 의존도 등의 기업 특성이 유의한 수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measures super efficiency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companies from 2007 to 2014. Super efficiency is useful to identify ranking of efficient DMUs from the traditional DEA.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small life insureres with simple product portfolio and direct distribution channel are superior to so-called Big-three, although all of which efficiency scores are identical in the traditional DEA. This study finds that insurers`` efficiency scores are polarized while bank related insurers are improving.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the life insurers’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s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product portfolio and dependency of bancassuranc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감사원의 연도별 효율성 측정과 함의

        서호준 ( Hojoon Se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최근 헌법개정논의의 한 축인 감사원의 독립기구화와 관련하여 독립성이 강화될수록 효율성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측면에 주목하고, 감사주체인 감사원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감사원은 유일한 국가 최고감사기구이기 때문에, 효율성을 비교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타 기관과의 비교보다는 감사원이 업무를 수행해 온 개별연도(1970~2016) 자체를 의사결정단위(DMU)로 삼아 DEA모형과 초효율성 모형을 통해 연도 간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7개년 기간 동안 어느 모형에 의하든 효율성 평균점수는 90%를 상회하고 있어 우리나라 감사원의 효율성 수준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연도 역시 50%에 근접하여 모형의 식별력도 무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효율성 분석결과에 따르면 1970년의 초효율성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1970년대의 효율성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정부에서 감사원의 효율성은 출범초기에 높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출범초기에 감사원의 효율성이 높은 것은 정부가 감사기능을 통해 공직기강 확립 및 통치기반 강화에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으로 감사원이 독립기구화되는 경우에도 감사원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며, 감사주체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장려해야하고, 다차원적인 효율성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감사원이 정치적 변동과 무관하게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의 제도적 장치마련이 필요하고, 감사원의 높은 효율성에 대한 홍보·전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aspect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BAI), which is an axis of the debate o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s likely to weaken the efficiency as independence is strengthened, and analyzed the efficiency of BAI. In particular, since the BAI is the supreme audit institution, there is no one to compare the efficiency. The individual years (1970~2016) that the BAI has performed are used as the DMU(Decision-Making Unit) rather than comparing it with other institutions, and the annual efficiency is analyzed by DEA Model and Super Efficiency Model. It has been shown that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each model exceeded 90% regardless of the model for 47 years, making it more likely to have a relatively good level of efficiency. The year when it was found to be efficient was also close to 50%,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model was considered to be acceptable. As a result of the Super Efficiency analysis, the efficiency level of the 1970s was the highest in 1970 and most of the BAI's efficiency was high at the beginning of the government. It seems to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the basis of government through the audit function. As policy proposal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AI, to encourage the efficiency analysis on the auditor,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fficiency, to promote the high efficiency of the BAI, and to redefine the status and role of the BAI.

      • KCI등재후보

        공공서비스에 있어서 민간위탁과 직영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효율적 의사결정단위들 간의 효율성 차이를 구분할 뿐만 아니라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방사적 잔여와 비방사적 잔여를 반영하여 효율성점수를 계산하는 잔여기준초효율성모형(Super-SBM)을 사용하여 서울시 K자치구의 방역소독관리위탁사업의 초효율성을 측정하고, 위탁사업과 직영사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한 후, 비효율성의 근원과 정도를 설명했다. 본 논문의 경험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위탁사업의 효율성이 직영사업보다 47.2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위탁사업과 직영사업의 평균차이에 대한 t검정과 Mann-Whitney U검정결과, 위탁사업의 효율성이 직영사업보다 유의수준 10%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