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박정선,손가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need for and improvement of the project for caregive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workers in social care projects for caregivers. Methods : In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 As a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23 themes, 6 theme cluster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were changes through social care programs, difficulties in program execution, and the way forward.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ssence and necessity of social care for caregiver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lement a program for caring families caring for the elder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수행기관 종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돌봄가족 대상 사업의 의미와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4월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녹음 및 전사하여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23개의 개념, 6개의 범주,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주제는 사회적 돌봄사업을 통한 변화, 사업수행의 어려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돌봄가족을 위한 사회적 돌봄사업의 의미와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기관이 유의해야 할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돌봄대상자가 아닌 돌봄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 미진한 현 시점에서, 이 같은 결과는 고령층을 돌보는 돌봄가족들을 위한 사업을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요양보호사 교육의 고도화 방안에 관한 초점집단 인터뷰:

        김혜진(Kim, Hye Jin),장숙랑(Jang, soong nang)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궁극적으로 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기위해 다양한 전문가와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요양보호사와 교육운영주체 및 행정주체로 구성된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현 요양보호사 직무교육, 치매전문교육 체제 및 운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 인식을 공유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인터뷰 내용 분석 결과, 의견을 크게 ‘직무교육’, ‘치매전문교육’, ‘교육운영체제’, ‘인력관리’ 4개의 대범주로 분류하여 각 범주별 합의된 의견과 개별 의견을 제시하였다. 현장 중심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강사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근무 여건 개선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육운영체제 측면에서는 교육 주체와 교육 운영의 법적 근거가 필요하며,정부, 요양기관 및 협회 간 역할 정립이 우선 되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현장 인력관리 측면에서 인력 수급 및 처우 개선 문제가 시급하다는 호소가 많았고, 처우문제는 곧 직무교육 참여에의 동기부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A high-quality workforce is essential to delivering the high-quality care for the older people who are beneficiarie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Providing adequate education and ongoing training opportunities could be one answer that may lead to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workforce crisis and difficulties that care workers face in current education system, especially in contents and administration aspects and draw out suitable solutions or improvement measures. The focus group interview approach was chosen to reflect opinions of long-term care workers, directors of the education syste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managers. The findings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heme and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common subjects:‘Training contents’, ‘Training environment’, ‘Administrator’, ‘Compulsory training’, ‘Care givers supply’, ‘Working condition’. Also, four content areas were presented as follows:‘Job training’, ‘Dementia care training’, ‘Administration system’, ‘Workforce’. The caregivers demand very practical training programmes and trainers with a lot of field experience.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 and treatments for them leeds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the on-going training.

      • KCI등재

        ‘옥천사람들’은 왜 <옥천신문>을 구독하는가?

        이서현,최낙진 한국언론정보학회 202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26 No.-

        <옥천신문>은 기초단위 지역의 대표 주간신문으로 회자되곤 한다. 언론학계와 지역신문발전위원회 등의 평가지표가 이를 증명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옥천신문>은 구독면에서 독자들의 신뢰도와 충성도가 높은 신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바탕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옥천신문> 독자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자들은 <옥천신문>을 통해서 옥천의 소식을 두루 알 수 있다는 점과 옥천군청보다 <옥천신문>에 이야기할 때, 생활민원이 더 빠르게 해결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또한 보도자료를 그대로 쓰지 않고 직접 현장을 취재한 기사들이 많다는 점도 이 신문을 구독하는 이유로 들었다. 이는 생활밀착형 솔루션 저널리즘 측면에서 <옥천신문>과 독자들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주목할 점은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석한 독자들이 앞의 요인 못지않게 <옥천신문>의 전·현직 기자들이 지역에서 보여주고 있는 삶의 모습들을 신뢰하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들은 발행인을 포함한 전·현직 기자들이 신문을 빌미로 사익을 취하거나 행정기관과 야합한 적이 없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한마디로 <옥천신문> 독자들은 전·현직 기자들을 ‘바른 사람들’이라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점이 <옥천신문>을 구독하고 더욱 신뢰하는 이유라 밝혔다. 이 연구는 소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인터뷰라는 제한점이 있지만, 개개인의 삶이 노출되기 마련인 지역에서 지역신문에 대한 신뢰가 신문내용만이 아니라 전·현직 기자들이 보여준 삶에 대한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매체에 대한 신뢰도 및 평가가 신문내용 위주에서 제작주체들의 저널리즘 행위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why local readers subscribe to the Okcheon-Shinmun,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weekly newspaper of basic administrative units. This recognition is not only supported by the evaluation indexes from media-related academia and the Local Press Commission. However, more importantly, the Okcheon-Shinmun is known for its high trustworthiness and loyalty in terms of subscri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this phenomenon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with five readers of the Okcheon-Shinmu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aders subscribe to the Okcheon-Shinmun because it provides comprehensive news about Okcheon, and they believe that it resolves local civil complaints faster than the Okcheon County Office when issues are reported in the newspaper. Moreover, the fact that the newspaper often features articles based on field reporting rather than merely reproducing press releases was also cited as a reason for subscribing. This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kcheon-Shinmun and its read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embedded solution journalism. A notable point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is that the participants, as much as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factors, trust the lifestyles demonstrated by the current and former reporters of the Okcheon-Shinmun in their community. Readers believe that these reporters, including the publisher, have never exploited the newspaper for personal gain or colluded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In short, readers think of the current and former reporters as upright individuals, and this is a significant reason why they subscribe to and trust the Okcheon-Shinmun more deeply.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small number of readers involv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trust in local newspapers in a region, where individual lives are inevitably exposed, is based not only on the content of the newspapers but also on the belief in the lives demonstrated by former and current journalists. This implies that the future evaluation and trust in media could extend from content-focused assessments to the journalistic actions of the producers.

      • KCI등재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홍란,배영미,정윤경,김정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nursing homes contracted-out by city of Seoul based on categories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s using Donabedian's analysis framework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nursing hom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7 nursing homes contracted-out by the city of Seoul. Also, financial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workers and elderly residents in the nursing homes, and institutional visits were performed. Regarding structure of quality of servic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taffing. Social service spendings were similarly minimal across nursing home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s, physical condition of facilities, difficulties managing facilities due to increased labor costs, and necessity of recruiting more staff were suggested. In regard to aspects of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of focus groups revealed their efforts for good care and difficulties in delivering service. With respect to the outcome of servic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care overall, while expressing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service in nursing homes were discussed. Also, implications for enhancing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resident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Donabedian(1988)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의 질을 구조, 과정, 결과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 전체(7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종사자 및 입소자 대상 초점집단인터뷰, 기관방문을 통한 실무책임자와의 개별면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 측면에서 인적자원의 차이는 기관 별로 크지 않았으며 사업비 지출은 전반적으로 매우 미비하였다. 시설의 물리적인 낙후, 인건비 증가에 따른 기관운영의 어려움, 인력충원의 필요성 등이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제시되었다. 과정 측면에서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종사들은 ‘좋은 돌봄’을 위한 노력 및 업무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서비스의 결과와 관련하여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입소노인들은 대체적으로 서비스에 만족하였으나 시설생활에서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의 구조와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과 입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융복합교육을 위한 영어교사 전문성 및 교육여건: 초,중등 영어교사들의 초점집단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안성호 ( Sung Ho G. Ah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2

        본 논문은 ‘통합적’ 영어 수업을 실시하거나 운영한 경험이 있는 4명의 초ㆍ중등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실시한 초점집단인터뷰 결과를, ‘융복합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과 교육여건에 대한 그들의 개념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것이다. 그 인터뷰들은 녹음ㆍ전사 후 분석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상적인 융복합교육 영어교사는 교과 전문성과 아울러 ‘교과통합 역량’, ‘대인관계 기량’, ‘학습ㆍ혁신 기량’, 그리고 공정성과 합리성을 지녀야 한다; 둘째, 영어교과 자체는 융복합교 육에 매우 적합하지만, 한국의 영어교사와 학생들은 아직 영어를 교수 매개어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참여 교사들은,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평가 제도와 대학입학 선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하며, 창의적 체험 활동 등 기존 제도가 합목적적으로 운용되어야 하고, 학교/행정/연구 기관을 포괄한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의 업무가 합리적으로 경감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성적 성찰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은 미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거하여, 본 논문은 교대ㆍ사범 대학에서 그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sed responses from two consecutive focused group interviews of two primary and two secondary "integrative" English teachers focusing on their conceptualiza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n ideal yungbokhap education.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to obtain result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 ideal yungbokhap English teacher must have "curriculum-integ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to his/her subject expertise, strong inter-personal skills, skills for learning and innovation, and an attitude of equity and rationality; second, although English itself is quite feasibl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participants believe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re not yet prepared to use English as medium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respondents believe the secondary education evaluation system and college admiss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and current class hours for creative experiences must be used purposively. A systematic and collaborative approach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schools, educational managements, research groups to reasonably alleviate the burdens placed on teach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Korean English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meet the needs for 21st century English teachers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양가적 정동을 통해 본 학술장의 변화―국내 박사과정생의 초점집단인터뷰(FGI)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대성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3 한국사회 Vol.2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affect that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on the academic field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field,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2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domestic doctoral students. Through this, the paper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fund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terests of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South Korea. Rather than devaluing the knowledge produced within the academic field and internalizing ridicule and pity towards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GI participants trusted and affirmed their value as researchers and thus contribu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academic field by temporarily denying some of the things that did not conform to academic values. The ambivalent affect was evident when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from participating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in the academic field, but at the same time felt displeasur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fueled predictions of changes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in the interests of knowledge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and expressed critical opinions to gain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researchers working in the field that is not included in the academic world centered on professors. Doctoral students felt displeasur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for mutual evaluation among researchers in Korea. FGI participants called for academic policies that support and evaluate not only the publication of papers, but also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and various gatherings and activities based on academic research, to increase the pleasure and decrease the displeasure they felt in competing and collaborating with established researchers when producing new knowledge 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이 논문에서는 국내 박사과정생 대상 2022년도 초점집단인터뷰(FGI) 자료를 활용해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학술장에 대해 갖는 양가적 정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장에 참여하는 박사과정생이 연구자로서 지닌 이해관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 및 평가 방식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학술장의 변화 가능성을 제안한다. FGI 참여자들은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을 향한 조롱과 동정을 내면화하며 국내 학술장에서 생산되는 지식의 가치를 부정하는 대신에, 연구자로서 자신의 가치를 신뢰하며 긍정하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하며 학술장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었다. 양가적 정동은 박사과정생이 학술장의 협력과 경쟁 관계에 참여해 쾌감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함께 어울리는 일부 기성세대와의 관계에서 불쾌감을 느끼며 나타난 것으로 국내 학술장의 변화를 예측하게 했다. 박사과정생들은 국내 학술장의 지식 생산이라는 이해관심에서 쾌감을 느끼고, 교수 집단 중심의 학계로 포괄되지 않는 학술장에서 연구자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부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박사과정생은 국내에서는 연구자들끼리의 상호 평가가 인정되지 않기에 불쾌감을 느꼈다. FGI 참여자들은 국내 학술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했을 때 학문 기성세대의 연구자들과 경쟁, 협력하며 느낀 쾌감을 높이고 불쾌감을 줄이는 방향으로 논문 게재뿐 아니라 자료 수집과 정리, 학술연구에 기반한 다양한 모임, 활동 등을 지원하고 평가하는 학술 정책을 요구했다.

      • KCI등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우후남,정종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6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4 No.-

        Recent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 for disabled parents counseling their peer groups has been brought up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Suppor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rights guarante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ence to present proposals for improvem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parents peer group counseling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paper is to conduct survey and interview. 95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rst year out of three year counselor certificate program at universities in cities like Seoul, Incheon, Gyeonggi, Daejeon and Daegu and 80 disabled parents with no training background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11 students from training program were selected from each city and they performed intensive interview(FGI)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 group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educated group showed more positive meaning in terms of identity of disabled parents, self-effectiveness, self-worth, changes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than noneducated group. Therefore, I propose the revitalization of Peer Counseling Training for Disabled Parents and the future plans to support the substantial consultation activities. 최근 발달장애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장애인부모동료상담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장애인부모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장애인부모동료상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향후 추진과제를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4년부터 전국 5개 지역(서울, 인천, 경기, 대전, 대구) 대학과 연계하여3년 과정으로 시작된 장애인부모동료상담사 양성과정 1차 년도 수강생 95명과 교육에참여하지 않은 일반 장애인부모 80명 전체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여 동료상담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 수강생 중에서 11명을 지역별로 선정하여 집중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을 받은 집단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 보다 장애인부모정체감,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변화, 스트레스 수용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나타났으며, 초점집단인터뷰(FGI)조사결과에서도 장애인부모동료상담을 통하여 심리적변화의 효과를 경험하였다고 진술하고 있으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제도화와 함께 실제적인 상담활동지원 등 향후 추진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신유미,변금선,최혜지,한동우,김형용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한국의 노인일자리사업은 2004년 노인의 소득보충과 사회참여 활성화를 목표로 시작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2004년 2만5000개 일자리로 시작한 노인일자리사업은 연 평균 24.6%씩 사업규모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예산규모 증가만큼 적절한 실적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장중심의 자료를 확보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현황과 한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 재정지원 노인일자리사업 각 운영주체인 지자체,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등 관계기관, 각 사업별 수행기관, 참여기업, 참여노인, 비참여노인을 포함하였다. 보다 현장 중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초점그룹인터뷰(FGI)방식을 사용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FGI는 5~7명씩 5개 집단(관계기관, 수행기관, 참여기업, 참여노인, 비참여노인)으로 구성하여 최소 1~2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둘러싼 각각의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다른 맥락적 논의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기준에 따라 살펴보면서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의 복잡성, 관계성, 현장성을 담보한 실질적인 전달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체벌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희선,김기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ircumstances a child experienced corporal punishment and how thi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led to an attitude toward corporal punishment. For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s was conducted in three regions nationwide for 17 children in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6 graders and one group of secondary school 2 grader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derived from topics related to children's experience of direct and indirect corporal punishment and their perception of corporal punishment by utilizing and analyzing the method of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opics and 10 sub-topics were derived. This study explored that within the various physical spaces in which children live, corporal punishment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behavior correction or academic improvement, and that the experience of corporal punishment, especially at home, is understood as a love for children, leading to a favorable attitude toward corpoal punish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enhance the presence of 'right to be free from punishment' in children's rights. 본 연구는 아동의 체벌 경험과 체벌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3개 지역 3개 그룹의 17명 아동에게서 탐색된 체벌의 직·간접적 경험과 체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체벌 경험과 인식은 총 4가지의 주제와 10가지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 중 첫 번째는 ‘체벌이 경험되는 공간’으로, ‘개인 사정이라 다 말할 수 없는 공간, 가정’과 ‘체벌이 동의되고 묵인되는 공간, 학원’, ‘일부 선생님에 의한 위협 공간, 학교’의 세 개 하위 주제로 드러났다. 두 번째 주제는 ‘체벌의 경험 양상’으로, ‘어릴 때 더 잦고 점차 수위가 세지는 가정 체벌’과 ‘점차 격해지는 학원 체벌’이라는 두 가지의 하위 주제로 탐색되었다. 세 번째 주제는 ‘체벌 과정에서의 느낌’으로, ‘기분 나쁘고 자존심 상하는 가정 체벌’과 ‘점차 익숙해지는 학원 체벌’의 두 가지 하위 주제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체벌의 허용 공간과 체벌 인식’의 주제가 도출되었는데, 이 주제는 ‘체벌의 허용 공간: 애정과 사랑의 가정, 그리고 선택에 의한 학원’과 ‘미래의 체벌 가능성에 대한 의식’, ‘받아들여질 수 없는 체벌,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의 대화’라는 세 가지 하위 주제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체벌 경험과 인식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이에 관련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