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부모상담 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 분석

        홍은영,임진영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학부모상담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체험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학부모상담 전, 학부모상담 과정과 그 이후, 학부모상담 평가의 3회기로 나누어 4명 의 연구대상이 작성한 자기 기술지를 기초로 하여 비구조적인 집단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 적 분석과 체험분석 기법을 응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교사는 학부모 상담 과정에서 부담스러움, 긴장, 불안, 두려움 등의 부정적인 정서 체험을 한다. 둘째, 학부 모상담의 목적은 ‘정보 전달’과 ‘문제 해결’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학부모상담을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학부모상담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체험 내용이 달라진다. 셋째, 학부 모상담의 목적에 따라 교사를 대하는 학부모의 태도와 학부모상담의 성과 또한 달라진다. 넷 째, 문제 해결을 위한 학부모상담은 상담을 요청한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학부모상담 과정 이 달라진다. 다섯째, 학부모와 비교한 교사의 나이, 교사의 양육 경험 유무는 학부모상담 체 험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초등교사가 학부모상담 과정에서 체험하는 내용이 상담 이후의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관계에 순환적 영향을 미친다. 일 곱째, 초등교사가 학부모상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하는 상담 외적인 요인으로는 상담 문 제의 해결, 교사의 기대 달성이 있으며 상담 내적인 요인으로는 로저스가 제시한 상담의 요 소인 공감, 진정성, 수용이 있다.

      • KCI등재후보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주동범(Ju Dong-Beom),이원석(Lee Won-Seok),이현철(Lee Hyun-Chul),김광석(Kim Kwang-Seok)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2017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초등학생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부모 학교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 학부모 학교활동 참여는 학부모수준에서의 학교활동 참여와 학교수준에서의 학교활동 참여로 구성된다. 학부모수준 변수는 부모의 SES, 부모의 교육지원, 부모 자녀 관계, 부모의 학교활동 참여 횟수, 부모의 학교만족도이며, 학교수준 변수는 학부모 모니터링 인원, 학부모 모니터링 횟수, 학교장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 교사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부모수준에서는 부모의 SES, 부모의 교육지원, 부모 자녀 관계, 부모의 학교활동 참여 횟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준에서는 학부모 모니터링 횟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 인식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이 논의․제시되었다. Us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BELS),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d the implications of policy for activating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The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s of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 parent level and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 school level. The variables of the parent level include parent s socioeconomic status, parent s educational support, parent-child relationship, number of the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arent s school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s of the school level include number of person of parent s monitoring, number of parent s monitoring, perception of principal s parent or community, and perception of teacher s parent or commun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s socioeconomic status, the parent s educational support,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number of the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the parent level. Second, the number of the parent s monitoring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but the perception of teacher s parent or community relationship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negatively in school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최준섭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학부모 상담주간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 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 8명의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에 관한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주제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 담자료의 분석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는 총 46개의 의미단위, 14개의 주제,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학부모 상담주간은 초등학교 담 임교사인 참여자의 관점에서 정보수집의 기회, 소통과 공유의 기회, 점검과 반영의 기회, 학 생성장의 기회, 깨달음과 반성의 기회, 성장과 변화의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실시된 지 약 10년이 되었지만,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학부모 상담주간을 실제 운영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 를 대상으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학생을 매개로 하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학생과 학부모 외에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도 교육적, 학교상담 차원에서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 연구결과는 학부모 상담주간을 보다 체계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의 보완과 개선 및 관련 연구를 보다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 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ental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urse of operating parental counseling week.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 data on the operation experie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of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46 categories, 14 topics, and 6 catego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ent Counseling Week became an opportunity for information gathering, communication and sharing, inspection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student growth opportunities, enlightenment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and growth and change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who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arent counseling week was implemented, but amid a lack of research on the operational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s counseling week’s education and school counsel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ediated by students has various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and parent will activate related studies to operate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부모 민원 대처 과정에 관한 체험분석

        엄정은,이재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1

        This study attempts to help the elementary teachers find an advisable way to cope with parents' complaints by analyzing certain psychological elements in the process of coping.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co-researchers. They analyzed their experiences in 5 sessions. During these sess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interpretation and re-verification of co-researchers’ experiences and their collective agree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are 4 stag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cess of coping with parents’ complaints: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stage, emotion inducing stage, coping method selection stage, and coping response stage. Second, there were several emotional common factors sha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the coping process: anger, irritation, annoyance, absurdity, difficulty, sinking, and relief. Third, different types of emotions were induced depending on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parents’ opinions and concerns and the attitude of parents when they had complaints (whether they were polite or emotional). However, even when parents were polite, teachers faced negative emotions such as irritation, annoyance, and absurdity, when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ccept parents’ opinions and concerns. Fourth, in order to handle parents' complai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se ways to deal with complaints and emotional responses of parents. In order to deal with complaints, co-researchers identified whether contents of complaints were acceptable to the teachers and the school or not. Fifth, teachers’ experiences on dealing with parents’ complaints affected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future. They were affected in two different ways: externally and internally. External Reaction included reinforcement of child observation, present guidance and safety education, increasing detailed description, careful handling of work, and identifying the blacklisted parents in advance. Internal reactions include loss of motivation, passion exhaustion, avoidance and exclusion, psychological atrophy, and reflection on the way of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학부모 민원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정서 요인은 무엇이며, 민원에 대처하는 과정에 어떤 심리적 요소가 존재하는지 찾아봄으로써 초등교사가 학부모 민원에 보다 교육적, 상담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교사 9명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여 체험분석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가 학부모 민원에 대처하는 과정은 크게 4단계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 단계는 의미부여 및 해석 단계, 감정 유발 단계, 대처 방식 선택 단계, 대처 반응 단계로 제시할 수 있다. 둘째, 학부모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느끼는 정서적 공통요인은 분노, 답답함, 짜증, 황당함, 곤란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가 민원 처리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의 유발 요인은 민원을 제기하는 학부모의 태도와 민원 내용의 수긍 가능성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 민원을 처리하기 위하여 초등교사는 민원의 내용과 학부모의 감정적 대응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였다. 다섯째, 학부모 민원 대처 과정에 대한 체험은 이후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영향을 미쳤는데 외재적 영향으로는 아동 관찰 및 임장 지도 강화, 안전 교육 강화, 세세한 설명 증가, 꼼꼼한 업무 처리, 학부모에 대한 사전 파악이 나타났고 내재적 영향으로는 의욕 상실 및 열정 고갈, 회피 및 외면, 심리적 위축, 교육방식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진로활동의 영향

        이현철 ( Lee¸ Hyun-chul ),최성보 ( Choi¸ Sung-bo ),이예슬 ( Lee¸ Ye-seu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에서 수행한 「진로교육 현황조사」 중 2016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진로관련 활동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진로교육 현황조사」 학부모 설문에 응답한 초등학생 학부모 5,467명을 대상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만족도’에 대하여 ‘진로상담 만족도’, ‘진로활동 만족도’, ‘부모- 자녀 진로대화’, ‘진로자료 활용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 진로교육 관련 활동이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진로상담 만족도’와 관련하여 학교에서의 진로상담이 다양한 진로관련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진로활동의 만족도’와 ‘진로자료 활용 만족도’는 모두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이는 질적으로 우수한 진로활동 프로그램의 운영과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해주며, 지속적으로 해당 요소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청됨을 의미한다. 그뿐만 아니라, ‘부모-자녀 간의 진로관련 대화’도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학부모의‘학교만족도’에 대하여 ‘진로정보 필요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교에서 양질의 진로활동을 제공할 필요성, 초등교사의 진로상담 역량을 제고하여 진로상담을 활성화 할 필요성, 학생·학부모의 요구에 부합하는 진로교육자료를 체계적 제작하여 보급하는 것의 중요성 등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areer-related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parents’ school satisfaction by using 2016 data from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since 2016. To this end, in this study, using the response data of 5,467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2016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rent questionnaire, the influence relationship is analyzed after establish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reported as follows. First of all, career counseling satisfaction, career activity satisfaction, parent-child career dialogue, and satisfaction with using career data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chool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particular, in this study, it is empirically confirmed that career counseling at schools influences various career-related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career counseling satisfaction. These findings mean that activities related to school career education exert considerable influence on parents' school satisfaction. These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quality career-related program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need for career information on school satisfaction i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les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to provide quality career activities in schools to enhance the school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the need to promote career counseling by enhancing career counseling capab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materials that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parents.

      •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현정,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현장을 둘러싼 교육 주체 간의 갈등 심화 현상의 단면을 이해 하기 위해 접근으로서 초등교사의 학부모 관계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 간 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 및 직무만족도 설문을 온라 인으로 실시하였다. 전국의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회수하고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은 타협형, 회피형, 통합형, 양보형, 지배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타협형에 뒤이어 회피형 방식이 높 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 관리 유형은 성별, 직위,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 째,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 중 타협형, 통합형, 양보형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타협형, 통합형, 양보형의 갈등관리 방식을 활용 하는 것과 교사의 높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학교 현장의 갈등 및 교사 직무만족도의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Teacher-Parent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Type Scale and Job Satisfaction Sca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reated as questionnaires and administered online.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160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s were ‘Compromise’, ‘Avoidance’, ‘Collaboration’, ‘Accommodation’, and ‘Dominating’. It is somewhat unusual that ‘Compomising’ is followed by ‘Avoid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er-parent relationship based on gender, position, and marital status. Third, elementary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Compromise’, ‘Collaboration’, and ‘Accommodation’ among teacher-parent conflict management styles. It can be seen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if they utilize ‘Compromise’ and ‘Collaboration’ conflict management styles to effectively resolve confli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way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conflict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in school.

      • KCI등재

        초등교사가 체험한 교사-학부모 관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관계 규정과 관계 상황을 중심으로

        강진아(Jinah Kang)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체험한 교사-학부모 관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적 사례연구로서, 초등교사가 학부모와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어떠한 관계 상황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교사-학부모 관계를 규정하게 되는지, 구체적 사례를 토대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네 가지 문화주제 첫째, ‘배경’: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둘째, “필요”: 도구적 지시연관, 셋째, “갑과 을”: 행위, 체계, 그리고 비정상성, 넷째, ‘빈말’: 어떤 대화가 필요한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Merleau-Ponty의 전경과 배경, Heidegger의 도구성, Harbermas의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화, Heidegger의 빈말과 참말 등의 개념에 기반하여 각 문화주제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교사-학부모 관계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계 규정 및 관계 상황을 해석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학부모 관계에서 불거지는 문제가 우리 교육사회의 구조적 문제임을 직시해야 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더 나은 교사-학부모 관계를 위하여 새로운 방식의 관계 규정과 관계 상황을 모색하는 담론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대전, 세종,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 정보 및 지식의 습득 방법 조사

        이정은(Lee, Jung-Eun),지옥화(Jhee, Ok Hwa)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과 학부모의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이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 습관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생은 일반사항, 식생활 및 건강관련 요인, 간식 섭취 실태, 식생활습관을 학부모는 일반사항, 식생활 관련 요인, 영양지식, 식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남학생은 158명(49.2%), 여학생은 163명(50.8%)이었으며 체질량지수 분석 결과 저체중 195명(60.7%), 정상 95명(29.6%)이었고 비만은 31명(9.7%)이었다. 학생 식사 횟수는 하루 3번이 209명(65.9%)으로 가장 높았고 수면시간과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편식은 ‘조금하는편’이 222명(69.2%)로 가장 높았고 지역에 따라 편식과 편식 이유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지역에 따라 건강보조식품 섭취 여부에 따라 차이(p<0.05)가 있었으며 세종의 경우 24명(40%)로 섭취율이 가장 높았다. 간식 섭취이유는 ‘맛이 있어서’가 208명(64.8%)으로 가장 높았고 학생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간식 섭취 장소는 ‘집’이 219명(6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편의점·패스트푸드점이 60명(18.7%)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역과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학생 성별, 거주지역, 부모 영양지식 점수, 학부모 학력,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종류별 간식 섭취에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학생의 경우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에서 2.57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학부모의 경우 ‘단 음식을 먹는다.’에서 2.59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학부모 영양지식 점수 문항에서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에 관련된 문항의 정답 평균점수가 0.21점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부모 학력과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다(p<0.001). 또한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생·학부모 식생활 습관 문항별 상관관계에서도 학부모의 영양지식이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위해서 학부모의 식생활습관과 영양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앞으로도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 정착을 위해 실과교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가정과 연계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heir nutrition knowledge, and aims to understand the eating habits of sixth graders and parents. Students looked at common problems, eating and health-related factors, parents status of snacks and eating habits,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The body mass index was followed by 158 boys (49.2 percent) and 163 girls (50.8 percent), followed by 195 students (60.7 percent), 95 students (29.6 percent) and 31 girls (9.7 percent). Daily meals for stud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209 people (65.9 percent), while sleep time (p<0.05). The light side had the highest number of 222 (69.2%) and a significant result was given for convenience and convenience depending on the region (p<0.05). Differences (p.105) were shown depending on the intake of local health supplemen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people (40%) in taxonomy. The reason for the snack intake was that the taste was the highest with 208 (64.8 percent), and the difference in student sex (p[0.05). Snack-eating place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with 219, followed by convenience stores and fast-food restaurants with 60 to 18.7 percent,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rea of residence and students sleep time. Depending on student residence, gender, parent, nutrition knowledge, parents, student scores, academic performance and sleep time, the difference in snack intake by type could have been known.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eating and nutrition knowledge are important for the right cause of students, and requires a variety of home-related guidelines as well as the actual curriculum of eating habits for the right settlement of students.

      • KCI등재

        혁신초등학교 학부모가 경험한 의사소통 특성 연구

        김양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초등학교의 합리적 의사소통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학부모가 경험한 의사소통의 특성을 탐구하는데있다.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해 혁신+학교인 들꽃초등학교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떤 의사소통을 경험하였는가를분석하였다. 학부모 7명을 대상으로 혁신학교에 대한 경험, 담임교사와의 소통 경험, 학교운영에 관한 소통경험, 일반적인 대화 경험, 학교참여 의식에 대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erriam(2009)의 순차적이고 순환적 방법을적용하여 3개 주제, 6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들꽃초등학교는 온 &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개방과 공유, 대등한 관계에서의 참여, bottom-up 소통방식으로 교사와학부모 간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는 비권위적인 태도, 배려와 존중하는 마음, 합리적인 설명으로학부모와 진정성으로 소통하고 있었다. 셋째, 학부모는 학교에 대한 기대감과 학교에 대한 이해, 학부모간 상호교류 활동으로 학교와교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합리적 의사소통에서 드러난 한계에는 학부모들이 일부 교사로부터 느끼는 불편과 실망, 그리고 학부모 상호관계에서의 내적인 대립과 불만이 있었다. 결론 혁신학교에서 합리적 의사소통으로 민주적인 자치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통 가능한 적정 학교 규모, 교사들의 진정성있는 태도, 학부모 연수를 통한 학부모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 졸업생 학부모의 학교 참여 등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parents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rational communication in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and analyzed how parents of Deulkkot Elementary School, an innovation plus school,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Seven parents were interviewed in-depth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on experience in innovative schools,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homeroom teachers, communication experience in school management, general conversation, and schoo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three topics and six categories by applying sequential and cyclical method of Merriam(2009). Results First, Deulkkot Elementary School strived for reasonabl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opening and sharing, participation in equal relationships, and bottom-up communication. Second, the teacher tried to communicate with parents with truthfulness through an unauthorized attitude, a mind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and a reasonable explanation. Third, parents actively supported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expectations for schools, understanding of schools, and mutual exchange activities between parents. The limitations revealed in rational communication were the inconvenience and disappointment that parents felt from some teachers, and internal confrontation and dissatisfaction in parent inter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alize a democratic autonomous community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 in innovative schools, efforts such as the appropriate size of schools that can communicate, sincere attitudes of teacher, parent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arent training, and participation of graduated parents in schools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