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교과기반 통합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연구(II)

        김정현(Kim, Jung-Hyun),전세경(Jeon, Se-Ky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4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의 대상자는 우리나라의 성장기 초등학생이다. 일생을 통해 이 시기는 신체의 양적 측면의 성장 발달과 기능적 측면의 확대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식생활을 통한 영양건강관리의 역할과 올바른 식생활행동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학교식생활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지향에 대한 방안 및 학교생활의 다른 요소와는 어떤 관련성을 갖는가에 대해 탐색해 보고고 이해하기위하여, 초등학교 전 학년에서 담임교사가 교과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의 통합적용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교과기반 식생활교육의 통합적용은 성장기 초등학생의 생 활 속에서의 식생활의 내용을 교과교육적 접근법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며, 관련 분야에서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수 있도록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교사중심교육으로서 통합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교과기반 통합적용, 학교식생활교육 환경의 통합적용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이는 초등학교에서의 학교식생활교육의 정착 마련을 위한 기반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the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ba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Recently dietary education in school faces an important role and as a way to solve various dietary problems, it is an imperative to do integrate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to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Even thought elementary school student learns diverse subjects in each different place and time, the result of learning must be placed in same student mind. We were able to structurali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goals, framework of contents based on subject curriculums. We have carried ou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on how and what the program is actually conducted for from firs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teach philosophical, historical, literature, artistic, and religious elements of dietary educa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specify the contents of curriculum centered on integrated subjects with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and to systematize them by grade and school. In the field of school dietary education,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basis of curriculum to effectively realize the ideal dietary education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hope to achieve a standard framework for educational goal and curriculum contents for dietary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학생 식생활능력 배양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이은주,김정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objective and content system for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dietary abilities as a core competency of dietary life. First, the meaning of sustainable diet and food literacy were clarifi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objective and contents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curriculum of Korea and US, UK, and Japan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dietary education and domestic and overseas curricula,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and verified by experts. Under the overall goal of 'understanding sustainable diet, cultivating food literacy, solving problems faced by dietary life, and developing competencies and attitudes as healthy citizens who can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and the global environment', detailed objectives that fit the three content systems were developed. Under the 'dietary life for individual health' category, the middle ranges of 'food selection', 'food intake', and 'management ability' were included. The 'dietary life for the community' consisted of 'eating etiquette', 'traditional dietary culture' an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e 'dietary life for the global environment' consisted of 'environment - friendly dietary life', 'food system' and 'dietary life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s a basic frame for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competences by linking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with food literacy. The developed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objective and contents system could be able to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ompetencies as a member of sustainable communities and districts. 교육계에서는 지식기반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핵심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식생활교육에서는 지속가 능성 개념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목 표 및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관련 핵심역량인 식생활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고찰 및 선진국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생활과 식생 활능력의 의미를 분명히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식생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미국, 영국, 일본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 로 초등학교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거쳤다. ‘지 속가능한 식생활을 이해하고, 식생활관리 능력을 함양하여 식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사회와 지구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한 시민으로서 역량과 태도를 기른다‘ 는 총괄 목표 아래 3가 지 대영역별 내용체계를 구성하였고 해당하는 세부목표를 설정하였다. ‘건강을 위한 식생활’ 대영역 아 래 ‘식품선택’, ‘식품섭취’, ‘관리능력’ 의 중영역으로, ‘지역사회를 위한 식생활’ 대영역은 ‘식사예절’, ‘전통식문화’, ‘지역농산물’의 중영역으로, 그리고 ‘지구환경을 위한 식생활’은 ‘환경친화적 식생활’, ‘푸 드시스템’, ‘식생활체험’ 의 3가지 중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중영역 별로 주요 학습주제가 될 수 있는 소영역을 포함하여 내용체계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과 식생활능력을 연관시 켜 초등학생의 식생활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에 대한 기본 틀을 제공하였다. 개 발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는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사회, 환경까지 사고를 확장하 여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및 지구의 일원으로서 식생활능력을 키우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식생활교육 연구 동향 및 방향성 탐색 1) 이 은 주 (서울교육대학

        이은주(Lee, Eun-Ju)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investigating the trend of researches on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115 researches about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ublished from 2009 when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was established to 2016. Research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17.4%), the recognition and current state of dietary education(21.7%),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program(54.8%) and th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6.1%). The major dietary problems were skipping meals, the safe and healthy choices of snacks and unbalanced diets and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ed improvement an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starting from the lower grades. the nutrition teacher was recognized as the person in charge of dietary education. However, the nutrition teacher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due to the burden of school food service and the lack of the time assigned to dietary education. As a result, the homeroom teachers role became more important as they could teach consistently throughout all of schools. Dietary contents about eco-friendliness and gratitude were the two main subjects of the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that needed reinforcement. the most frequent theme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ietary habits and the number of studies aimed at 5grade students was the highest. Dietary education is more effective for lower grades than upper grades. but a longer education period is needed. Dietary education which includes contents of eco-friendliness, health and gratitude should raise dietary life competency and include more dietary life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comprehensive dietary educational system spanning the whol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used by the homeroom teacher must be established.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초등 식생활교육’ 관련 논문 115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초등 식생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분석 논문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관련 논문이 20편(17.4%), 초등 식생활교육 인식 및 실시현황 26편(22.6%), 초등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이 62편(53.9%), 초등 식생활교육 방향 7편(6.1%)이었다.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를 살펴보면, 아침결식, 건강하고 안전한 간식 선택, 편식 등이 주요한 식습관 문제로 나타났고, 영양지식과 식습관 모두 보통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하였다. 식생 활교육의 필요성은 교사, 영양교사, 학부모, 초등학생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고, 저학년부터 시작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식생활교육 담당자는 영양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양교 사의 급식 업무 부담, 교육과정상 시간 배당 부족 등으로 직접 교육 비율이 낮아 일과 시간중 식생활지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식생활교육 내용 중 환경과 배려 부분 교육이 수행도가 낮아 내용 보강이 필요하다. 초등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식습관 관련 프로그램,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함께 교육한 프로그램,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이 많았다. 5학년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고, 저학년⋅고학년 비교 연구에서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교육 효과가 좋으나 더 장시간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등 식생활교육은 저학년부터 식생활교육이 가능하도록 초등학교 전 학년을 위한 식생활 교육 내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상 지속적 교육이 가능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 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및 교재 개발이 요구된다. 교사용 지침서 개발 및 교사 연수를 통해 담임교사가 일과시간 및 급식시간에 지속적으로 식생활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 선호도와 효과가 높은 실습 및 체험활동을 적절히 포함한 식생활교 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모니터링 연구

        오현정(Hyun-Jung Oh),김정원(Jeong-Weon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초등학교에 배포해 온, 알림장 형식의 바른 식생활교육 자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의 모니터링을 통해 그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5월에 걸쳐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22개교 28학급의 학생(668명), 학부모(572명), 교사(28명)를 대상으로 모니터 링을 실시하였다. 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는 수첩 활용 교육 전 설문조사와 4∼5주간의 학급별 재량 교육이 끝난 뒤 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 전·후의 효과를 분석하 였다. 교사의 경우, 수첩 활용 교육 후 수첩의 활용도, 교육적 효과, 그리고 개선점 및 보완점을 설문하였다. 수첩 활용 교육 결과, 초등학생 및 학부모의 바른 식생활 지식 및 행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p<.05), 행태영역보다는 지식영역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경우, 지식영역에서 저학년보다 중학년, 중학년보다 고학년의 정답률이 높았다. 행태영 역은 교육적 변화가 없는 학년군도 나타나, 행태의 변화는 좀 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첩 제작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개선점 및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수첩 교육내용의 수준 상 배포대상을 저학년이 아닌, 중학년이나 고학년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저학년을 배포대상으로 유지할 경우, 내용의 적정화와 구성의 단순화 및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 및 학부모의 행태영역 교육효과가 지식영역에 비해 크지 않았는데, 이는 수첩 활용 교육 기간이 약 한 달 정도로 단기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 학기 또는 한 학년도와 같이 장기적으로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이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다면 식생활 행태영역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가정식생활 수첩‘가족밥상’의 개선점을 보완하고, 수첩 활용 교육에서 학부모의 참여를 높여 보다 적극적인 가정과의 연계교육이 일어난다면, 수첩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있을 것이다.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promote good food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monitor the dietary education using the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by assessing the educational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providing improvement plans. In this research,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28 classes from 22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unggi-Do were surveyed in April and May of 2014. Parents and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eries of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a 4~5 week discretionary education period, an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ere analyzed. Also, a surve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s of the booklet was conducted on teachers after the discretionary education period, and areas for improvements were deduced. Overall, the education using the booklet was statistically effective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as well as behavior and attitude of both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p<.05). For students, those in higher grades had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ose in lower grades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However, the fact tha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ome student groups in behavior and attitude suggested the necessity of longer and continuous education to change them. Teachers suggested various useful ways to improve and utilize the education using the booklet. First, the level of the booklet was difficult for lower grade-students, therefore, the target for the distribution of the booklet should be middle or upper grade-students. Otherwise, simpl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the content of the booklet are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to lower graders. In addition, the education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towards students and parents than in the category of dietary behavior and attitude, most probably due to a short period of education around one month.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result in the category of dietary behavior and attitude, the period of education for using the booklet must be extended. The effect of dietary education using the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could be improved greatly by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booklet and making more parents b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dieta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바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미숙,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3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은 바른 식생활교육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5년간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해 온 알림장 형식의 소책자이다. 본 연구는 ‘가족밥상’ 소책자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의 내용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각 차시별 목표를 설정, 학습내용을 선정 및 조직, 세부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시 강서구 H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 24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12차시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시간을 활용한 바른 식생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수준의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하여, 바른 식생활교육이 추구하는 3대 핵심 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를 반영한 초등학생 대상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둘째, 개발된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환경, 건강, 배려’ 영역의 지식적 측면과 ‘환경, 건강’의 행동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p<0.001)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바른 식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정식생활 수첩은 학생들의 바른 식생활 형성에 도움을 주는 충실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정식생활 수첩을 활용한 바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확산되기를 기대하여, 향후 다양한 학년 수준에 맞는 가족밥상 수첩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연구,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한 바른 식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 of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s an education booklet for desirable dietary life.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elements of dietary education were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books, previous articles, and children’s prior knowledge and behavior on food. And total 12 themes for dietary education were selected by the contents of ‘Family Dining Table’ booklet. For each theme, instruction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a 3rd grade elementary class consisting of 24 students in Gangseo-gu, Seoul, by using the time of Student Club Activity in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ies from April to July 2014, and the educational effect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control clas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tiliz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was developed successfully. The developed program focused on learners’ activity and consisted of 12 themes needed for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eflecting the three core values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and by using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Secondly, the developed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knowledge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as well as behavioral aspects of environment and health among students (p<0.001), proving its educational effects. Although the ‘Family Dining Table’ booklet contains useful information for students’ dietary education, it has not been utilized enough.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promote the dietary education us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Family dining table’ booklets and programs for other grade levels.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정경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irs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dietary education 5 practice guideline'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using diverse activities for experience and nutrition education medium. Then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120 1st-year students of C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uring 2nd semester in 2015 and 1st semester in 2016.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dietary habits, food literacy and food education literacy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by using pre- and post-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id not improve the dietary habit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 Second,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food literacy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p<0.001). The nutrition management category of the 5 sub-categories of the food literacy was especially improved(p<0.001). Third,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food education literacy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p<0.001). The knowledge category of the 3 sub-categories of the food education literacy was especially improved(p<0.001). Lastly, the satisfaction score of the subjects was 4.40±0.48 about th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and 4.52±0.49 about the activity for experience of the program. The satisfaction scores of the subjec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x. In conclusion, th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d not improve their dietary habits significantly, but improved their food literacy and food education literacy significantly.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를 위해 개발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식습관, 식생활관리 능력 및 식생활교육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식생활교육 5대 국민 실천지침과 연계되며, 다양한 체험활동과 매체를 활용하여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C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5년 2학기와 2016년 1학기에 걸쳐 각각 14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해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 식생활관리 능력 및 식생활교육 능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전ㆍ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117명의 자료가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되었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식습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식생활관리 능력은 식품선택, 식사준비, 영양관리,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기평가로 구성된 5개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특히 사전 조사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던 영양관리 영역에서 가장 큰 점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식생활교육 능력은 인지, 지식, 실천의 3개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특히 지식 영역에서 가장 큰 점수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5점 만점 중 4.40±0.48점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체험 활동에 대한 만족도 또한 4.52±0.49점으로 매우 높았다.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체험 활동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14주간의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식습관을 개선시키지는 못했지만 식생활관리 능력과 식생활교육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1학년 학생들은 예비교사로써 요구되는 식생활교육 능력을 갖추는 것 보다 본인들의 건강을 위한 식생활관리 능력을 갖추는 것이 더 시급한 식생활교육 대상자임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향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교육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 논문의 내용 분석

        정경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은 크게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 현황을 조사한 논문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교사와 영양교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영양교육 시기와 아동의 주요 영양문제에 대해 공통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양교육 담당자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논문에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학교 영양교육의 주요 담당자를 ‘영양교사’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담당자로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의 역할이 분명히 구분되고 각각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어느 한 집단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주요 담당자를 논하는 자체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현황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거의 같은 내용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교육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영양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교육매체가 매우 제한적이며, 영양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함을 호소하는 공통된 문제점들이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전체적인 문제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설문조사시 사용된 영양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대상자들의 정확한 인지가 부족하여 이와 관련된 응답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많은 연구들이 어떤 의도에 의해 수행되었거나, 선행 연구의 오래된 연구 내용을 수정이나 보완 없이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급식을 통해 초등학교에 영양교육의 개념이 도입된 이래 많은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므로 선행 연구들의 고정화된 연구 내용에 관례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충분한 고찰을 통해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 현재의 상황에 맞는 타당한 연구 내용과 방법을 통해, 초등학교 식생활 교육의 진정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es on the state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s were classified into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First,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ad same thought about the main nutrition problems of the children and the most effective time to start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most researches, the percentages of thinking that dietary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high. This thoughts are needed to be corrected because roles of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are different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thaught the same contents when doing nutritional education. Also, both of them used a few limited materi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complained of lack of the guideline books and sources that gave reliabl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ltogether, researches had the several problems in their results because they were conducted with a deliberate purpose or in accordance with ol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It has been many years since the concept of nutritional education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school lunch. Over the time,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circumstance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From now on,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which set the advanced goal and use a valid metho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se changes instead of just following the fixe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for the true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및 인식 조사

        이경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도 및 의지, 그리고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인지도는 남녀 차이 없이 3.09점 정도로 보통이었으나 식생활 관심도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복지와 권리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남자보다는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식생활 관심도 하집단보다 상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실천 태도 및 의지는 3.39~3.58점으로 높지 않았고, 특히 친환경농산물이나 동물복지 인증제품, Non-GMO 제품 선택과 식물성 식품위 주의 식생활에서 실천 의지가 낮았다.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은 3.93~4.19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특히 식품 소비와 폐기 관련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음식윤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실천 태도 및 의지(r=0.511), 그리고 교육 필요 성 인식(r=0.607)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식생활에서 음식윤리는 중요하며 초등 식생활교육에서 음식윤리 교육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길수록 실천 태도 및 의지가 높았고, 교육 필요성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식생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음식윤리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토 및 의지가 더 높았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 교 육 필요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관심도를 높이고 음식윤리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perception of importanc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 and the need f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of food eth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20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ir food ethics awareness was average at 3.09 points without gender differences,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lower group of dietary interest. The awareness of welfare and rights was the lowest. They regarded food ethics as important. Female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and the upper group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the lower group. The attitude and will of elementary pre-teachers to practice food ethics were not as high as 3.39~3.58 points, and in particular, they had low willingness to practice in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imal welfare certified products, Non-GMO products, and diet based plant foods.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3.93~4.19 points, and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related to food consumption and disposal was high.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r=0.511)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r=0.607).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food ethics, the will to practi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etary life intere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및 식생활역량 연구

        이은주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67 first-grade students in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urveyed using the tools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were 65.88 and 67.97 out of 100, respectively, suggesting a need for improvement. The dietary habit score was higher for students living at home (69.15) than those living in dormitory (64.24) and self-boarding students (61.0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ietary habit scores, there were not many smokers (4.88) and few students (4.33) drinking caffeine more than three cups a day. Regular three meals (2.37) and students eating breakfast (2.39) were small, indicating that regular eating was necessa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items according to gender and mal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The number of breakfast meals and fruit intake rate were statistically lower for self-boarding students. In the case of dietary life competency score, the item score of confirming the expiration date of food purchase was the highest(4.07), and the dietary plan considering the nutritional composition was the lowest(2.69), A balanced diet education was needed. The score of food preservation and food hygiene was highest in dormitory students and lowest in self-boarding ones. It is important that the opportunity for cooking is given because the score of cooking ability is the highest among the self-boarding.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take dietary education to have good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및 식생활역량 점수를 확인하여 식생활 현황을 진단하고, 예비 초등교사의 식생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별함으로써 향후 초등교사가 될 교육대학교 학생의 바람직한 식생활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 6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점수는 65.88점(100점 기준), 식생활역량 점수는 67.97점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습관 점수는 자택에서 거주하는 학생(69.15점)이 기숙사 거주 학생(64.24점)과 자취 학생(61.00점)에 비해 높았다. 식습관 점수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흡연학생이 많지 않았고(4.88점), 카페인 음료를 하루 3잔 이상 마시는 학생(4.33점)이 많지 않았으나 규칙적인 3끼 식사(2.37점)와 아침식사를 꼭 먹는 학생(2.39점)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규칙적인 식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4 문항은 모두 남학생이 점수가 높았고, 자취하는 학생의 경우 아침식사 먹는 횟수와 과일 섭취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역량 점수의 경우 식품 구매 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항목 점수가 4.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구성을 생각하는 식단 계획이 2.69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균형 잡힌 식단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보관이나 식품위생에 대한 점수는 기숙사 거주하는 학생이 가장 높았고, 자취생이 가장 낮았다. 요리 역량에 대한 점수는 자취생이 가장 높아 요리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중요하므로 예비 초등교사의 조리실습 기회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습관 점수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식생활역량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식사준비 영역을 제외한 식품선택, 영양관리, 지속가능 식생활, 자기평가 4개 영역은 상위집단일수록 식생활역량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예비 초등교사의 평생 건강관리와 향후 식습관이 형성되는 초등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좋은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식생활교육이 수행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성별과 거주형태에 따라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대상 학생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식생활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김효심(Kim, Hyo-Shim),김종우(Kim, Jo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양강좌용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적용하고 식생활 능력과 식생활 교육소양 점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J교대 1학년생 24명을 대상으로 2016학년도 2학기 중 실시하였고, 자기보 고식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C용 SPSS 패키지프로그램에 의한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예비초등교사의 식생활 능력 점수의 전체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선택, 식사준비, 영양관리,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기평가 등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식생활 교육소양 점수의 전체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하위 영역인 기초, 환경, 건강, 배려, 교육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주관적 진술을 통한 질적 평가 결과 역시 예비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식생활 능력과 식생활 교육 소양 점수의 향상 효과를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iveness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applied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t was developed as an undergraduat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focucing food and dietary life education literacy. It was applied to 24 freshmen in the course of ‘Dietary Life Education for Children’ developed for students’ own managing healthy diet lifelong and preparing education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later. It was conducted for 2 hours per a week with main themes about nutritional contents, educational literacy, special lecture, and practical activities simultaneously in groups during second semester in 2016. It was developed two scales for measuring their dietary life and educational literacy with each 5 subcategories. There were food choice safety, meal preparation, nutritional management, awareness of sustainability, and self-evaluation in scale 1 : Dietary life literacy. Then, there were basic, environmental, healthy diet, appreciating consideration, and competency for education in scale 2: Dietary life education literacy for self-reported pre and post questionnaires to evaluate their scores. It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test through pc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most part between pre and post scores of Means in their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education literacy except only two subcategories. Finally, it was qualitatively supported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and education literacy in this study by classifying their subjective expr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