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터 논문 :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의 지각하는 이혼결정과정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문정화,김미라,김은량,박양균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초기 노년기 이혼여성이 지각하는 이혼결정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초기노년기 여성이 이혼결정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황혼 이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기노년기에 이혼한 여성이 이혼초기 적응과정에서 자녀들과의 갈등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과정에서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 상담을 의뢰하여 2012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총 18회기 동안 진행된 개인상담 사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상담사례의 상담 축어록을 코딩하면서 줄 단위 비교와 전체를 비교하면서 이혼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친 원가족 특성과 이혼결정과정 을 중심으로 주요 개념을 도출한 다음 하위범주를 재분류하여 상위범주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Miles와 Huberman(1994)의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분석결과 이혼결정에 영향을 미친 원가족 특성과 이혼결정과정을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원가족 특성의 경우 돌봄과 애정의 결핍, 버팀목의 부재, 현실 도피적 결혼 선택 조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이 지각하는 이혼결정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결혼초기 불안정한 단계(복합적인 문제 발생과 좌절감의 연속)로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남편의 사업실패와 경제적 곤란, 잦은 다툼과 폭언, 불만족스러운 성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은 이혼고려 단계(남편과의 정서적 단절)로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남편의 외도, 남편의 가출로 나타났다. 세번째는 이혼보류 단계(남편의 빈자리 홀로 버티기)로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가출한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딸들, 자식 생각하며 이혼 망설임, 양가감정으로 이혼결정 미루기로 나타났다. 마지막은 이혼결 정단계(체념하며 이혼으로 향하는 마음)로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폭언과 대들기, 보호 받지 못함에 대한 서운함, 한탄과 미래에 대한 불안, 이혼통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초기노 년기 이혼결정과정에 대해 상담 사례를 분석하여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을 위한 상담지원 방향을 모색하였 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원가족에서 가족들로부터 충분히 수용받지 못한 경험은 결혼을 통해 원가족 에서 충족하지 못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욕구 등을 얻고자 하며 결혼을 현실 도피적인 수단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원가족에서 해결되지 않은 가족들에 대한 미해결 정서문제는 원가족에 서의 미해결된 정서문제를 가지고 있고 효과적인 의사소통방식을 학습하지 못한 경우 이는 핵가족 정서체 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장기동거부부의 만성화된 부부갈등 문제에 개입할 경우 가족체계적 관점을 가지고 다세대 맥락에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노년기의 이혼결정과정을 결혼초기부터 단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부부갈등을 촉발시키고 악화시킨 요인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장기간의 결혼생활로 인한 심리적 외상을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는 정서지원에 초점을 두어한다. 특히, 핵가족에서 해결하지 못한 자녀들과의 갈등 문제가 이혼후 적응과정에서도 지속될 수 있는 점과 경제적 곤란의 문제 등을 고려하 여 통합적인 사례관리서비스와 상담적 개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와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

        전근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우울의 변화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차, 5차, 8차, 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대상과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차 조사당시 만 65-69세의 노인들이며, 측정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우울과 사회적 관계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노년기 우울수준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비선형적 관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8차년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11차년도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11차년도는 대체적으로 후기 노년기에 해당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차함수 기울기와 이차함수 기울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우울의 초기값이 통제 전보다 2.5배 가량 증가하여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우울이 더 높아졌다. 즉, 사회적 관계가 동일하다는 가정에서 우울이 크게 증가였기 때문에 초기 노년기 우울은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영향력을 지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관계와 우울의 각 시점별 시간효과를 살펴본 결과, 각 시점별 사회적 관계와 우울은 동일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5, 8, 11차의 배우자유무는 우울의 2, 5, 8, 11차 시점에 동일한 효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와 사회친분관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유형이 우울이 미치는 효과는 달랐다. 자녀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사회친분관계 그리고 배우자 유무 순이었다. 자녀관계가 각 시점별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동일하지만 유형별 비교에서는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와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

        전근성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of the depression change among the younger elderly, and to verify the temporal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f the depression change among the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nd, 5th, 8th, and 11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were employed. The target participants were aged between 65 to 69 at the time of the 2n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level of the younger elderly decreased in the beginning and increased as time passed. It shows that a non-linear relationship was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the depression level of the younger elderly. In other words, the depression level decreased from the 2nd year data to the 8th year data, but increased slightly in the 11th year data. It is considered that the 11th year is the late old age to the targeted aged group. Second,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epression changes of the early elderly after controlling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the slope of the linear function and the slope of the quadratic function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itial value of the depression level, however, increased 2.5 times higher than before controlling the variables. It shows that the depression increased after controlling social relationship. Third, the time effect of each of the panel data relating to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depression showed the same results whether their spouses were present or absent in the 2nd, 5th, 8th, and 11th panel data.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same effect. The effect of the depression, however, showed in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was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spouse presence or abs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우울의 변화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차, 5차, 8차, 11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차 조사당시 만 65-69세의 노인들이며, 측정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맞는 우울과 사회적 관계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노년기 우울수준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비선형적 관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8차년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11차년도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11 차년도는 대체적으로 후기 노년기에 해당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관계를통제한 후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차함수 기울기와 이차함수 기울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우울의 초기값이 통제 전보다 2.5배 가량 증가하여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우울이 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관계와 우울의 각 시점별 시간효과를 살펴본 결과, 2, 5, 8, 11차의 배우자유무는 우울의 2, 5, 8, 11차 시점에 동일한 효과로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와 사회친분관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달랐다. 자녀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사회친분관계 그리고 배우자 유무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노년기 여성이 경험한 이혼결정단계별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문정화 ( Moon Jung Hwa ),김미라 ( Kim Mi Ra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8 No.-

        본 연구는 초기 노년기에 이혼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담사례를 통해 이혼결정단계별로 경험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총 18회기 진행된 상담 사례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상담과정에서 진술된 의미 있는 주제를 분석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로 이혼결정은 <불일치로 인한 잠재적 갈등>, <소통 장애로 인한 이혼 위기 촉발>, <밖으로 도는 남편과의 정서적 균열>, <자식을 위한 이혼철회>, <분리를 시도하는 딸들에 대한 배신감 증폭>, <결혼생활 유지 의미 상실과 이혼결심>의 단계를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혼결정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 경험으로는 <실망과 불신>, <피해의식과 분노>, <정서적 유기와 상처>, <자책과 감내>, <원통함과 소외>, <무기력과 한(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결정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초기노년기 여성노인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elderly women experience in each divorce decision making stage and they are shown by counselling cases made with elderly women who got divorced in their early stage of elderly life. For this purpose, total 18 counseling case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2 to March 2013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made by analyzing meaningful subjects emerged in individual testimonies during a counseling process and it shows that the decision to divorce goes through stages such as < Potential Conflicts due to Discrepancies >, < Divorce Caused by Communication Disorders >, < Emotional Instability Caused by Outgoing Husbands >, < Withdrawal of Divorce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 >, < Increase in Sense of Betrayal Against Their Daughters attempting to isolate >, and < Loss of Meaning to Maintain Marriage and Consequent Divorce Determination >. In addition,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 divorce decision process appear to be, < Disappointment and Distrust >, < Victim Mentality and Anger >, < Emotional Abandonment and Wound >, < Self-Blame and Perseverance >, < Chagrin and Alienation >, and < Lethargy and Resentment >.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counseling strategies for psycho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omen who go through difficulties in their divorce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의 이혼 후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혼초기 2년을 중심으로

        문정화 ( Jung Hwa Moon ),김은량 ( Eun Ryang Kim ),박양균 ( Yung Gyun Park ),김미라 ( Mi Ra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4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effective counselling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dusk divorce and to support elderly divorced women in overcoming difficulties while making decisions about divorce. A total of 18 session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2 to March 2013 for this research. Also, we have used an analyzing method of Miles and Huberman(1994)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when elderly women divorce, they initially have increased negative feelings towards their husband, are frustrated about unsolved conflicts among their original family members, and have more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constant financial troubles and had difficulty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However, having these consultations allowed them to forgive others, learn from the past, start to understand their family, and have a more positive view of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pport divorced women and to find a way to provide beneficial counselling regarding a subject that has not been addressed sufficiently in past research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노인들은 누구와 함께할 때 더 행복할까? 노인의 일상적 대인 상호작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강승민,장재윤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ocial interactions and momentary happiness among Korean early elders in their 60's. We first examined if older adults are happier when interacting with others than being alone. Then we further examined whether their level of happiness differs depending on people they interact wi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Using a day reconstruction method, 150 Korean early elders in their 60's reported the social interactions and momentary happiness experienced during a single da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momentary happ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ubjects who were engaged in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family members (excluding spouse) than those that were alone. Overall, elders felt happier interacting with their friends or family members than their spouse. However, gender difference was found: Old Korean women felt happier interacting with their friends or family members than interacting with their spouse. Moreover, they were happier alone than with their spouse at the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ing alone and interacting with others in the level of momentary happiness for elderly men.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한국 60대 초기 노년기 남녀 노인들의 일상에서 노인이 혼자 있는 것이 행복한지 타인과 함께 있는 것이 더 행복한지 비교하였고, 만약 타인과 함께 있는 것이 더 행복하다면 누구와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한 지 그리고 성별 조절효과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일상재구성법’으로 서울 거주 60대 노인 150명의 평범한 하루 속 대인관계 상황을 직접 조사하였고 위계적 선형 모형을 사용하여 노인들은 어떤 대상과의 상호작용에서 더 행복을 느끼는 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남녀 노인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을 느꼈으나, 배우자와 함께할 때는 혼자 있는 것과 비교해 행복수준이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남녀 샘플을 구분하면 다소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혼자 있는 것보다 타인(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하지만, 혼자 있을 때가 배우자와 함께 있을 때보다 유의수준에 근접하게 더 행복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반면 남성노인들은 혼자 있을 때와 배우자,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있을 때의 행복수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