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유식의 언어관

        이지중 ( Ji Joong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초기유식의 관점에서 보면, 언어는 인간의 세계이해를 가능케 하는 바탕이 된다. 유식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세계가 인식될 수 있는 것은 11식으로서의 의타성이 언어를 소통통로로 삼아 앎의 경계로 현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초기유식에서 인간의 앎은 언어가 그 바탕이 됨으로써 가능한 것인데, 유식학은 이를 훈습의 기제로 해명한다. 인간의 앎은 훈습에 의한 순환론적인 앎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곧 우리의 세계이해란 언어를 경계로 삼아 현상된 허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나의 의식에 경계로 드러난 세계는 훈습에 의해 아리야식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그것들의 씨앗이 언어를 빌어 현상된 것이고, 그런 까닭에 언어와 그 언어를 빌어 현상된 세계는 서로 소통성이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단순히 우리의 앎이 아무 의미도 없는 헛된 것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오히려 우리의 앎과 언어의 관계성에 관한 적확한 해석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의 본질과 앎의 관계에 관한 적확한 해석은, 우리 스스로 희론적 분별의 닫힌 세계로부터 열린 세계로의 초월을 말하는 것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무분별지로서 주체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그렇게 생각하는 지혜이자, 동시에 타인의 존재와 자연계의 사물 모두를 새로이 있는 그대로 깨닫는 것일 수 있다. 그렇다면 초기유식에서 언어와 앎의 불소통성에 대한 적확한 이해야 말로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한 가지 화두라 할 수 있다. In the early Vijnaptimatrata(No-mind), language is foundation that human understand their life-world by use of. Concerning the reason why human can understand their the life-world, even though it is vijnaptimatrata(No-mind), vijnaanavaadin(唯識學) explains that e-ta-sung(依他性, the nature of causal dependence) as 11 vijnapti phenomenalize into consciousness by the help of language. It means that not only human can be influenced by the power of language itself bu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eings that exist based on languag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human knowledges are of no use, which tells we shoul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eings in our life-world. It can be a positive clue that we would transcend from the closed world into the opened one of wisdom. It is the wisdom we see ourself and understand the other humans and beings itself as well. The understanding the name and form(意言分別) of our knowledge is a very important assignment we should carry out.

      • KCI등재

        심리치유 관점에서 본 유식30송과 아들러 개인심리학 비교 연구

        경은정(Kyung Eun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본 논문은 알아차림에 주목하여 심리치유 관점에서 유식(唯識)30송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의 마음을 논리적이며 구조적으로 설명한 유식30송과 사회적이고 목적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한 아들러 개인심리학을 비교 분석하여 추후 서양과 동양의 심리분석 연구에 초석이 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현장(玄奘) 역(譯)의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원전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유식19송과 아들러 초기기억 이론을 심리치유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관관계를 전개하였다. 의식과 무의식의 차원에서 유식19송은 무의식의 아뢰야식 종자가 드러날 때 알아차림을 하면 종자가 개량되어 다시 저장되는 과정에서 치유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초기기억 재해석은 자신만의 생활양식을 신념처럼 믿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고통스러울 때 의식 차원에서 트라우마의 병리적 현상을 치유하기 때문에, 그 둘의 심리치유 방법은 비슷해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유식30송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은 개인의 경험이 주관적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두 이론 모두 독립적이 아니라 유기적 관계에 의한 연기이며 있는 그대로 보려 한다는 면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유식은 오온의 연기에 의해서 사람의 마음이 시작되고 치유되는 과정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바라보는 반면에 아들러는 어릴 때 형성된 잘못된 신념이 고통을 유발하는 병리적 현상으로 바라본다. 이처럼 유식30송의 불교 심리학과 아들러의 서양 심리학은 관점과 해석으로 심리치유 방법과 이해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awarenes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Only and Adler’s Psychology from a psychotherapy perspective. The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Only is suggested to logically explain the heart of men while Alfred Alder’s psychology is said to understand humans comprehensively from a social and teleological perspective. The study’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hirty Verses of Consciousness Only and Alfred Alder’s psychology will become the cornerstone of future psyc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sed based on the original book of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Only』 by Hyun-Jang and the basic theory of Alder’s psychology. Among them, Nineteen Vesis of Consciousness Only and Alder’s early recollection theory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healing and a correlation was developed.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Nineteen Vesis of Consciousness suggests that as the memory seeds are revealed (Bijas), awareness appears and psychological healing occurs as the memory seeds are saved. However, the reinterpretation of early recollections only heals an individual’s pathological phenomenon of trauma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when individuals strictly liv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become distressed and are in pain. Due to this, the two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can appear similar,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y are essentially different.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and Alder’s psychology are subjectively construct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Both theories are not independent, however,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acting based on organic relationship. However, Consciousness views the starting and healing process of a person’s mind as panca khandha while Alder perceives that false beliefs formed in childhood cause pathological phenomena pain.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method and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healing are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of Buddist psychology of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and the western psychology of Adler.

      • KCI등재

        유전자 편집기술에 관한 초기 유식사상적 관점-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중심으로 -

        정경진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In November 2018, the birth of twin girls from embryos whose genes had been altered using CRISPR gene­editing technology took place for the first time in China. As Nature’s Chief Features Editor Rick Monastersky said in an interview, it is a scientific event that will be remembered for forcing us to congront questions about “who we are, where we have come from, and where we are going?”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w on the medical use of human ES cells, but I do not think that the bioethics discourse that supports it has been fully carried out not only in the Buddhist community but also in society. In the early Yogācāra, which studied the structure of human consciousness, the origin of life forming is considered to be ālayavijñāna. In this essay,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main question of ‘Is human ES cells human beings?’ and the problem of violating the Ten Precepts such as ‘not to kill’ and ‘not to lie’ in the study of gene­editing targeting human ES cell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arly Yogācāra. Especially from the standpoint of the Yogācāra philosophy that acknowledges the four stages of existence and the five stages of embryo in the womb, human ES cells are considered human beings. And today’s cutting­edge medical technology, the CRISPR gene­editing, confirms that is has been thoroughly improved in the pursuit of human interests, and points out that these research cases cannot be altruistic behaviors because they appear to be a violation of both ‘not to kill’ and ‘not to lie’. 유전자 편집기술로 유전자를 변형시킨 배아로부터 아이가 태어나는 일이 2018년 11월 중국에서 처음으로 일어났다. 네이처 편집담당자 릭 몬스타스키(Rick Monastersky)가 인터뷰에 남긴 말처럼 “우리가 누구이고, 어디서 왔으며,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어려운 질문에 직면하게 하는 기억에 남겨질 과학적 사건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현재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의학적인 사용에 대하여 법률은 정비되어가고 있지만 그를 뒷받침하는 생명윤리담론은 불교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충분히 형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인간의 식(識)의 구조를 고찰한 불교의 초기 유식사상에서는 생명체를 형성시키는 근원을 아뢰야식(阿賴耶識, ālaya­vijñāna)이라고 간주한다. 본고에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편집연구에 있어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인간일까?’라는 주된 문제와 더불어 불살생계와 불기어계라는 십선계의 위범의 문제를 초기 유식사상적 관점에서 연구·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사유(四有)와 태내오위(胎内五位)설을 인정하는 대승 유식사상의 관점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인간으로 간주된다. 또한 오늘날의 최첨단의료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철저하게 인간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연구사례들은 불살생계와 불기어계를 위범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타행이 될 수 없음을 지적한다.

      • KCI등재

        간화선: 마음을 밝히는 몸의 철학

        원혜영(元惠英)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1 No.-

        간화선에서 몸은 어떠한 의미로 마음과 관계맺음을 할까? 수행을 하는 사람이라면, 몸과 그 몸을 토대로 하는 마음에 관심이 많다. 개인 수행에 집중하게 하는 초기유식 섭대승론과 간화선 전통을 연결해 보려는 시도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 있다. 서양철학에서 몸에 관련된 논의를 함께 거론하려는 것도 간화선을 이해하려는 다른 방법의 제시이다. 참선은 우리에게 근사한 세계를 연다. 화두의 세계이며 몸의 세계이다. 의심이라는 커다란 이슈를 품고 마음을 들여다보고 틀어잡으면서 그것에 용맹정진, 간절함을 가지고 온 힘을 기울이는 경험은 불교도들에게 필수적인 코스가 되었다. 수행전통은 사사로움과 은폐성으로 인해, 마음과 몸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그 세세한 여정과 궁극으로 나아감을 알아차리기는 어렵다. 보편화하거나 대중적으로 공유하려면, 언어를 통해야하는 수고스러움이 있다. 내면세계 속에서 집중하는 것은 외부의 일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개인만의 희열에 머물기보다는 공동체에 집중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것은, 수행이 마음을 향해 있지만 그것은 자신의 몸이 세상과 어떻게 작용하고 영향을 주고받는지 알게함이다. 초기유식과 간화선은 수행을 위한 방법론으로 몸에 관련하여 텍스트와 현실세계에서 교류가 있는 편이지만, 서양철학에서 몸에 관련된 언급들은 설명서 역할에 머문다. For Ganhwa practitioner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is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body, and the mind that has the body as its means of expression, I will connect the practice tradition of Ganhwa Seon and the She dasheng lun (Mah āy āna sa ṃgrahaśāstra) of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which emphasized personal training. I will also present some body-related discussion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Ganhwa Seon. Seon reveals to its practitioners a wonderful world, a realm of hwadu and body. Embracing the great issue called “doubt,”practitioners look into and focus their minds to maintain undaunted practice. This meditation experience, which involves fervent exertion of their whole being, has been established as essential for most Korean Buddhi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wareness in this meditative state partly due to its private and obscure nature, despite it being a matter of body and mind. To make it more universal or to share it with the public entails the trouble of using some language. To concentrate one’s consciousness immersed in the inner world greatly affects the daily life of the outer world. I emphasize that Ganhwa Seon practitioners should concentrate on the community rather than maintaining a state of personal bliss because they should understand how their body interacts with and influences the world, regardless of their Seon practice being focused on their minds. I think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actice theory of both Ganhwa Seon and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lies in this. Both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and Ganhwa Seon seem to have som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ir texts and the real world in relation to the body as part of their practice methodology. I employed the body-related discussion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function as an instruction man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