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초극소 미숙아(<1,000 g)에서 분만 형식 (제왕절개 vs. 질식분만)에 따른 예후

        성세인 ( Se In Sung ),김진규 ( Jin Kyu Kim ),유혜수 ( Hye Soo Yoo ),안소윤 ( So Yoon Ahn ),김은선 ( Eun Sun Kim ),최석주 ( Suk Joo Choi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최근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에서 제왕절개가 이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초극소 미숙아의 제왕절개 비율과 이들의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9년간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초극 소미숙아(<1,000 g) 415명 중 제왕절개를 시행 받은 325명의 특징, 예후를 조사하여 이들을 대조군인 질식분만을 통해 출생한 90명과 비교하였다. 결과: 초극소 미숙아 415명 중 325명(78%)이 제왕절개로 출생하였으며, 재태주수가 높을수록 제왕절개 비율도 상 승하였다. 재태주수, 부당경량아, 산모의 임신성 고혈압 유무, 산모의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여부가 초극소 미숙아의 예후와 연관이 있었으며 이들 교란 요인은 이후의 분석에서 교정되었다. 교란요인에 따라 층화분석하였을때, 제왕절 개군과 질식분만군에서 28일 이내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 다중 로지스틱 분석에서도 두 군(제왕절개군과 질식분만군) 간의 생존율과 이환율(뇌실 내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등)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단일기관 연구 결과 초극소 미숙아(<1,000 g)에서 제왕절개가 이들의 단기 예후를 향상시키지는 않았다. Objective: 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elivery by Cesarean section is associated with a better prognosis for the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neo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mode of delivery in ELBWIs. Methods: Medical records of 415 ELBWIs (<1,000 g)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t Samsung Medical Center (SMC)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the ELBWIs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C-group, N=325) were compared with those of vaginally delivered infants (V-group, N=90).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outcome difference, and to obtain odds ratios for mortality and morbidities according to the mode of delivery. Potential confounders were adjusted in thi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415 ELBWIs, 325 (78%) were delivered by C-section. Gestational age and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deliver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Gestational age, small-for-gestational age status,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nd antenatal steroid administration were found to interact with the outcomes of ELBWIs and were corrected in the subsequent analysis. The analysis was stratified by confounders, and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mortality within 28 day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and morbidities according to the mode of delivery. Conclusions: In our study, Cesarean se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s for the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KCI등재

        임상 ;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의 임상적 효과

        정지미 ( Ji Mi Jung ),한성우 ( Seong Woo Han ),구수현 ( Mi Lim Chung ),정미림 ( Soo Hyun Koo ),전가원 ( Ga Won Jeon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목적: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이 장점막의 위축을 방지하고 장운동을 성숙시킨다는 연구는 많지만 이로 인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의 우려로 실제로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장관영양이 이들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부산백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저출생체중아 61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008년 4월부터 조기장관영양을 시작하여 2007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를 대조군, 2008년 4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조기장관영양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장관영양 시작시기와 완전장관영양 도달시기는 대조군과 조기영양군에서 각각7±2일, 2±1일과 68±6일, 22±2일로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빨랐다(P<0.05). 정맥영양 시행기간은 대조군 58±6일, 조기장관영양군 22±2일로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짧았고, 28병일째 체중증가율은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괴사성 장염과 패혈증의 발생빈도는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담즙정체증(대조군; 44%, 조기장관영양군; 7%)과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폐이형성증(대조군; 78%, 조기장관영양군; 24%)은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은 괴사성 장염이나 패혈증의 증가 없이 완전장관영양에 빨리 도달하게 하였으며 기관지폐이형성증, 담즙정체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rly enteral feeding on the morbiditie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 weighing less than 1,000 g.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sixty one ELBWI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09. ELBWI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included ELBWI from January 2007 to March 2008, for whom enteral feeding was started beyond 3 days and the early feeding group included ELBWI from April 2008 to October 2009, for whom enteral feeding was started within 3 days. Results: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arly feeding group, start day of enteral feeding (control group vs. early feeding group; 7±2days vs. 2±1days), time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68±6 days vs. 22±2 days), and the duration of parenteral nutrition (58±6 days vs. 22±2 days) were significantly shorter, and weight gain at postnatal day 2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1).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cidence of sepsi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however, the incidence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44% vs. 7%) and bronchopulmonary dysplsia (78% vs. 24%)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arly feeding group. Conclusion: Early enteral feeding in ELBWI shortened the time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improved weight gain, and decreased the incidence of brochopulmonay dysplasia and cholestasis.

      • KCI등재

        초극소 미숙아(재태 연령 25주 이하)에서 발생한 조기 패혈증의 임상적 특징

        윤신애 ( Shin Ae Yoon ),전지영 ( Ji Young Chun ),호요한 ( Yo Han Ho ),김지숙 ( Ji Sook Kim ),유혜수 ( Hye Soo Yoo ),성세인 ( Se In Sung ),안소윤 ( So Yoon Ahn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1

        목적: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패혈증의 발생률 및 원인균,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미숙아 10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비교 하였으며, 주산기 인자와 생후 1주일 이내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총 107명의 환자들 중 11명이 조기 패혈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주 원인균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이었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아프가 점수, 질식 분만 빈도, 조직학적 융모 양막염 빈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조기 패혈증 군의 11명 중 9명에서 태아 빈맥을 보였으며(P=0.001), 조기 패혈증 군에서 생후 3일째와 생후 7일째에 낮은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P=0.033, P=0.045).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기 패혈증 군의 사망 환아 4명중 3명의 직접 사인이 조기 패혈증 이었다. 결론: 조기 패혈증의 초기 적절한 치료는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태아 빈맥과 낮은 혈소판 수치는 조기 패혈증과 연관성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onset sepsis (EOS) in micropreemi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07 extremely preterm infants born at 25 or less than 25 weeks of gestatio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5. Inf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f culture-proven EOS in the first 7 days of life. Retrospective analysis of perinatal factors and laboratory findings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was done between two groups. We compared the neonatal outcomes among two groups. Results: Culture-proven EOS was diagnosed in 11 of 107 infants (10.3%). Main pathogen of EOS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OS group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pgar score, delivery type and pathologic chorioamnionitis. Among 11 infants with EOS, 9 showed fetal tachycardia (P=0.001). And EOS group presented lower platelet count at 3rd day and 7th day of life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33, P=0.045). Neonatal outcomes in EOS group were compatible with control group. Main cause of death was sepsis in EOS group. Conclusion: In micropreemie, EOS is important factor of mortality. Our data suggest that fetal tachycardia and low platelet count during the first 7 days of life were associated with EOS.

      • KCI등재

        초극소 미숙아에서 발생한 다발성 장중첩증

        김하수 ( Ha Su Kim ),김현아 ( Hyun A Kim ),김성흔 ( Sung Heun Kim ),변신연 ( Shin Yun Byun ),김묘징 ( Myo Ji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3

        Intussusception in premature infants is very rare. Here, we report a case of multiple intussusceptions in an extremely preterm infant, born at 23+1 week’s gestation, who underwent an explolaparotomy, for bowel perforation and misdiagnosed necrotizing enterocolitis, at 20 days of lif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most premature case that has survived with multiple intussus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