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농촌 관광 서비스디자인 개발 연구 -다자이촌의 체험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손향박,홍창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rvice design-based model that effectively improves tourist satisfaction in the rural experiential tourism industry, using tourist satisfaction evaluation indicators. The research method employs the RTSIBE (Rural Tourist Satisfaction Index By Experience) tourism satisfaction evaluation model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z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Dazhai Village experiential tourism process. A service design model to enhance tourist satisfaction has been develop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visitors to Dazhai Village are satisfied with sensory experiences, emotional experiences, and cognitive experiences. Howeve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behavioral experiences, reflecting issues such as insuffici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rural experiential tourism industry, inadequate analysis and summarization of rural characteristic resources and advantageous resources, and failure to fully utilize the unique features of rural experiential tourism projects. Therefore, the proposed Dazhai Village experience prototype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is a blueprint for Dazhai Village experiential tourism that outlines the entire service process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tourists' behaviors, starting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rural experiential tourism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is blueprint has the advantages of being clear and visual, allowing the development team and villagers to have a clear grasp of roles, procedures, and processes during the service provision process. Such research can serve as a criterion for improving tourist satisfaction in the experiential tourism industry, and future studie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mor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체험관광 산업에서 관광객의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 디자인 기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선정된 대상은 지리적 요인과 산업적 요인이 부합하는 중국 체험 관광마을의 대표인 샤먼시 다자이촌이다. 연구 방법은 체험관광 프로세스의 고객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RTSIBE(Rural Tourist Satis faction Index By Experience) 관광만족도 평가 모델을 지표로 다자이촌 체험관광 프로세스의 고객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디자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다자이촌 관람객들은 감각 체험, 감정 체험, 사고 체험 등에 만족했지만, 행동 체험에는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체험관광 산업에 대한 사전 조사가 부족했고 농촌 특색 자원과 유리한 자원이 충분히 분석 및 요약되지 않았으며 농촌 체험관광 프로젝트의 특색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따라서 서비스 디자인 차원에서 제안된 다자이촌 체험의 프로토타입은 농촌 체험관광 산업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관광객 개개인의 행동과 연계하여 서비스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그려내는 다자이촌 체험관광의 청사진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체험관광 산업의 관광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판단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제안의 단점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 및 실행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을 보안하기 위해 내적가치와 실행 가능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종합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과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대상으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와 최적화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제안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면 농촌 체험관광 산업의 발전이 향상되고 동시에 관광객이 체험 과정에서 더 많은 체험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람 중심접근법 기반으로 관광체험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탐색 및 관광만족도

        김지효,오현성,서인석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2

        By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Latent profile analysis:LPA), this study identifies travelers’tourism experience profiles based on the four realms of experience (entertainment, esthetlc, escaplst, educational).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ur distinct types of travelers’tourism experience profiles in terms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hese four tour experience profiles were then contrasted with travel satisfaction. Results declared that traveler belonging to profile groups pertaining to the high level of all four types of experiences(entertainment, esthetlc, escaplst, educational), were associated with travelers’ high level of travel satisfaction. This translates to and supports the fact that traveler satisfaction is more likely obtained with the existence of various types of travel contents and experience. This study discusses some implication tourism theory,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on tourism profiles.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접근법에 기인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활용하여 관광체험 속성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고, 도출된 관광체험 속성 프로파일(유형)별로 관광객의 관광만족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지 관광체험 4개 요인(학습체험, 엔터테인먼트, 일탈체험, 몰입(심미)체험)의 조합에 따라서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특징이 다른 4개의 관광객 관광체험 프로파일 유형이 탐색 되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탐색된 4개의 관광객 관광체험 프로파일 유형별 관광객의 관광만족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체험 4개 요인 모두 다 높은 수준에 속한 프로파일 4 그룹 관광객의 만족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유추컨대, 관광지 방문시 다양한 관광체험 콘텐츠는 관광객의 만족도와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관광체험 분야 학술적 및 실무적 적용,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 “갯벌체험의 여가활동이 주는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분석”

        남정기,이기동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6

        본 연구는 3면이 바다로 접해있는 우리나라는 남해안과 동해안 및 서해안을 중심으로 해양관광 자원을 기반으로 한 해양체험 관광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해양 관광객들의 해양 관광목적이 단순히 구경하는 관광보다는 가족단위 또는 각 대학 동아리를 비롯하여 각종 커뮤니티를 형성한 단체 및 가족 중심의 체험관광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리적 특수성을 감안, 동해안을 제외한 남해안과 강화도가 속해 있는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의 간만의 차가 7m 내외로서 수많은 갯벌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 할 만큼의 갯벌체험을 활발히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천광역시 강화도에 있는 남단갯벌은 세계 5대 갯벌지역으로 국내에서 현존하는 수많은 갯벌 중, 자연적으로 발생한 하구 형 갯벌과 더불어, 철새 도래지로도 유명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수성을 갖고 있는 강화도의 남단갯벌체험을 중심으로, 남단갯벌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갯벌체험을 통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재방문의 근거를 밝혀내, 보다 양질의 갯벌체험으로 발전시킴으로서, 더 많은 갯벌체험관광객유치와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강화도를 방문한 해양관광객들의 갯벌체험 경험이 여가활동에서 자연과 인간관계, 그리고 개인재미(성취)의 만족도 및 재방문의 성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실제 강화도를 방문한 관광객들 중에서 실제 강화도 남단갯벌체험에 참여했던 관광객을 중심으로 남, 여, 노, 소를 구분하지 않고, 전원 실증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개개인별 각각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갯벌체험을 통한 해양관광객의 갯벌체험 관광이 자연과 동화되고, 인간관계 형성과 함께 개인재미(성취)가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을 추진하겠다는 성향이 높게 나타나, 갯벌체험이 주는 해양체험 관광에 긍정적인 면이 많았음을 알았다. 이러한 긍정적인 분석결과에도 불구하고 강화도 남단갯벌체험을 계절에 따라 1회성 관광체험으로 인식한 나머지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하지 못하고 있음은 안타깝다고 할 수 있겠다. 강화도 남단갯벌체험을 통하여 얻어진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해안과 서해안에 산재되어 있는 갯벌을 활용한 체험관광을 활성화하는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광객체험이 체험품질, 체험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귀연,김미성,하동현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경주 지역을 방문했던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관광체험의 종류가 체험품질에, 그리고 체험품질이 체험만족에, 체험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변수들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아내어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을 완성하고 외국인 관광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외국인 관광객들이 느끼는 교육체험이 그들이 느끼고 있는 몰입, 놀람, 참가, 및 재미 모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관광객들이 느끼는 체험품질 중 몰입, 놀라움, 및 재미가 체험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목적지로서의 경주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매력적인 관광목적지로서 갖추어야 할 관광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즉, 경주는 몰입, 놀라움, 참가, 및 재미에 의거하여 관광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을 만족시키고 고객애호도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how foreign tourists' experiences affected experiences quality, those are immersion, surprise, participation and fun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ed their experiential satisfaction in the setting of Gyeonju.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ir experiential satisfaction affected loyalty inten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foreign tourists' educational experiences positively affected their experiential quality. Secondly, foreign tourists' immersion, surprise and fun of experiential qualit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experienti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marketer of Gyeongju should introduce or strengthen experiential quality.

      • KCI등재

        어촌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및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장양례,윤유식,구본기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5 No.6

        관광의 특성이 체험관광이나 관광레저활동, 교육적 활동을 중요시하는 패러다임 전환으로 인해 현장에서 가장 선호하는 경쟁력있는 시장지향 체험형 관광상품을 개발할 필요성에 따라 어촌체험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 만족도,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어촌관광 선호속성 22개.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3개,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12개 변인을 새롭게 도출하여 이론적인 측정개발을 구체화하였다. 둘째, 어촌체험관광 선호속성과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에 관한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주변적인 매력요인과 관광자원 요인이 정(+)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어촌체험관광 선호속성과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와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학습활동형 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관광자원 요인과 주변적인 매력 요인, 프로그램 요인에서, 특이활동형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주변적인 매력 요인과 관광자원 요인에서, 건강활동형 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주변적인 매력 요인에서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와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약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어촌체험관광 만족도가 높을수록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에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다섯째,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와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어촌체험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의도가 높으며,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에서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characteristics of tourism is changed into paradigm, authors tried to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preferred properties of tourists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depending on the need to develop market-oriented experience type tourism products which are the most preferred and competitive in the fiel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oretical measurement development by newly drawing 22 variables of preferred properties of fishing village tourism, 3 variables of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12 variables of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through review on related previous studies. Second, tourists who support learning activity type tourism products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tourism resources factor and nearby attraction factor, program factor. Third, higher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Fourth,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and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had an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more fishing village experience is satisfied, the higher recommendation intention is and it partly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 KCI등재

        메타버스관광 체험요소가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와 메타버스 관여도의 조절효과

        천선미,이형룡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메타버스관광 경험자를 대상으로 ‘체험경제이론(4Es)’을 적용하여 콘텐츠의 다양한 체험요소가 행도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그리고 메타버스 관여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폈다. 수집된 최종 유효표본 220부에 대한 데이터는 SPSS 26.0,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매개효과분석 그리고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타버스관광의 4가지체험요소 즉, 오락적·교육적·심미적·일탈적 체험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4가지체험요소는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의미 없어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셋째, 4가지 체험요소와 행동의도 사이에 지각된 가치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가지 체험요소의 체험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때저관여자가 고관여자보다 교육적·심미적 체험요소에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평소 메타버스관광에 대한 정보와 관심이 적은 저관여자의 경우 4가지 체험요소 중 관광지의 정보 및 학습요소 그리고 가상공간에 구현된 관광지의 미적요소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관광은 실재감 부족이라는 한계가 있음에도 관광객들은 콘텐츠에 대한 ‘가치’를 느끼면 행도의도가 발생하며, 저관여자와 잠재관광객의 경우 관광지에 대한 정보와 구현된 관광지 분위기에 따라 지각된가치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관광지의 객관적 진정성, 체험, 실존적 진정성, 만족 간의 영향관계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를 중심으로

        송주연(Song, Juyeon),김남조(Kim, Namjo)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5

        As cultural heritage tourism continues to grow,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commercialize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 In such a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authenticity so that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s not dist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uthenticity, experience,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in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 The study area is the Cultural District of Incheon Port‘s Area, which is well known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tourists visiting the area, and a total of 290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bjective authenticity affects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affects satisf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think experience’ and ‘relate experie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e experience was more partial mediating effect than think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although objective authenticity affects ‘sense experience’ and ‘feel experience’, these two experiences do not affect existential authenticity. Through this study, I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authenticity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in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ncrete creating experience environment and program development. 문화유산관광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근대문화유산관광지를 상품화하는 경향이 증가 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문화유산이 갖고 있는 가치가 왜곡되지 않도록 진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문화유산관광지를 대상으로 객관적 진정성, 체험, 실존적 진정성,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근대문화유산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는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을 방문한 관광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0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객관적 진정성이 실존적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실존적 진정성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진정성과 실존적 진정성의 관계에서 인지체험과 관계체험의 부분매개 역할이 확인되었으며, 관계체험이 인지체험보다 부분매개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객관적 진정성은 감각체험과 감성체험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 두가지 체험이 실존적 진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근대문화유산관광지에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체험 및 진정성의 관계를 규명하 였으며, 구체적인 체험환경 조성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체험경제 요인이 부산의 관광이미지 및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N호텔 및 해운대관광객을 중심으로-

        이준혁 ( Lee Jun Hyuk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체험경제요인이 인지적 및 정서적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체험경제요인에서 관광객들이 어떠한 속성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관광이미지들과는 어떠한 관계로 작용하는지를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설문은 부산의 N호텔 이용객 및 해운대지역 관광객들에게 2021년 3월25일부터 4월 25일까지 31일간 걸쳐 조사하여 18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속성을 정제하여 체험경제요인에서는 교육적 체험, 도피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등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인지적 관광이미지에서는 관광편리성, 독특성, 친절성, 축제도시, 위생청결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정서적 관광이미지에서는 역동성, 현대성, 화려함, 희망적인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확인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체험경제요인은 그대로 각각의 요인들(교육적 체험, 도피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도출되었으나 인지적 관광이미지에서는 독특성, 정서적 관광이미지에서는 흥미성(역동성에서 변경됨) 등의 요인들로 정제되었다. 구조모형분석결과 도피적 체험요인과 심미적 체험요인이 인지적 관광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오락적 체험요인과 심미적 체험요인이 정서적 관광이미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관광이미지는 정서적 관광이미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관광이미지만이 고객만족도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인지적 관광이미지는 정서적 관광이미지를 완전매개하여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what attributes tourists a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experiential economic factors and how they work with tourism images through the effects of experiential economic factors on cognitive and emotional tourism images. The questionnaire was surveyed for 31 days from March 25 to April 25, 2021 to domestic tourists using N Hotel and Haeundae area in Busan to secure 180 valid questionnaires. The attributes were distill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factors such as educational experience, escape experience, recreational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were derived from experiential economic factors, and tourism convenience, uniqueness, kindness, festivals city, and sanitary cleanliness factors were distilled from cognitive tourism images. Factors such as dynamism, modernity, splendor, and hopefulness we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tourism image. However, as a result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each factor (educational experience, escape experience, recre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was derived as the experiential economic factor, but it was unique in the cognitive tourism image, and the interest in the emotional tourism image.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vacuation experience factor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nfluence the cognitive tourism image, and the entertainment experience factor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tourism image. Also, cognitive tourism im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tourism image, and emotional tourism image affected to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However, cognitive tourism image was found to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by indirect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생태-문화관광의 결정요인

        윤성준(Yoon, Sung-Jun),구인경(Koo, Inkyung)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2

        문화관광 소비자의 고객지향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자원의 소비행동에 대한 체험적 접근이 중요하게 된다. 생태-문화관광에 있어서 관광객체험의 중요성은 매우 큰데 그 이유는 관광의 특성상 관광객과, 자연환경, 그리고 지역 주민들과의 복합적인 체험은 관광 목적지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생태-문화관광에 대한 인식을 체험 마케팅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에 기반한 체험적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찾아내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개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생태-문화관광객들의 관광동기가 체험유형과 인과관계를 가지는지를 조사하고, 둘째, 생태-문화관광 체험으로 인한 관광지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셋째, 생태-문화관광 체험과 관광지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생태-문화관광에 대한 관여도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관광동기 중심리적 안정감이나 관광지 또는 관광 상품에 대한 매력을 느껴 생태-문화관광지를 방문한 경우 네 가지 체험요인에 대한 평가 중 각기 다른 세 가지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탐색은 행동체험에 대한 평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영향력이 가장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험요인에 대한 평가가 생태-문화관광지방문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성/인지 체험, 행동체험, 감각 체험, 관계 체험 모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태-문화관광 관여도의 체험과 만족도 간의 조절 역할을 검정한 결과, 관여도는 단지 감각 체험과의 유의한 상호작용을 통해 만족도에 조절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eriential approach to eco-cultural tourism behavior is very useful because experiences of tourists, natural resources and community members affect tourist's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ons regarding eco-cultural tourism and to find strategic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Based on Schmitt’s(1999) fiv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do motives of eco-cultural tourism influence experiential factors? Second, do experiences of eco-cultural tourism affect the tourist's satisfaction? Third, does the involvement level of eco-cultural tourism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eco-cultural tourism motives is composed of four factors--mental security, self-exploration,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ttractiveness of tour package. The mental security,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tour package influenced three experiential factors. The self-exploration motive significantly influenced just one experiential factor. Also, the eco-cultural tourism experiential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ourists' satisfaction. Finally, the involvement of eco-cultural tourism had a moderating effect through a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sense experiential factor.

      • KCI등재후보

        어촌관광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 관광체험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 남해군을 중심으로

        김석영,이병윤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어촌관광의 체험요인이 어촌을 방문하여 체험하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체험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남해군의 어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실무적인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가설을 실증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 15.0)과 AMOS(Ver. 7.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촌관광의 체험요인이 체험하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지각된 가치는 관광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