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錦帶李家煥의 詩論一考

        明平孜(Myoung, Pyoung-ja)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錦帶李家煥(1742~1801)은 18세기 후반 남인 문단을 대표하는 주도적인물로서 학문적·문학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었다. 이 논문은 문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금대 이가환의 시론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금대는 詩가 ‘뜻이 언어의 밖에 존재〔意在言外〕’하는 본질적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文보다 전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시의 이해란 章句너머에 존재하는 ‘言外之意’를 찾아내는 신묘한 정신작용이라 하였다. 그리고 시를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가 시인의 神理에 합치되어야 하며, 시인의 神은 언어나 문자 이면에 존재하는 마음과 마음, 곧 心印으로 전수된다고 보았다. 금대는 詩는 性情의 발현이며 성정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성정을 가진 모든 인간은 시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담박하고[淡], 꾸밈없는[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性情之眞’으로 인식하고 성정의 자유로운 표출을허용하였다. 그러나 금대는 유학자적 입장에서 무분별한 성정의 표출을 좌시하지 않았다. 그는‘性情之眞’의 이상적 표현을‘溫柔敦厚’로 보았다. 금대는 백성들의 시가 ‘溫柔敦厚’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위정자가 風敎를 통해 백성들의 성정을 순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溫柔敦厚’의 詩風을 진작시켜 ‘性情之眞’이 ‘性情之正’의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啓導해야 한다고 하였다. 금대와 그의 부친 이용휴는 淸新한 시풍을 지향했고, 파격이라 할 수 있는六言詩의 창작을 즐겼다. 淸新은 표현에 있어서는 자구의 도습이나 모방·조탁을 넘어선 깔끔하고 새로운 언어 표현을 뜻하고, 풍격에 있어서는 맑은 탈속의 정신세계에 대한 지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六言詩는 당시로서는 五言詩와 七言詩의 정형을 뛰어넘는 기이한 新詩였다. 이로 인해 금대가 지향한 淸新한 시풍과 파격적인 六言詩의 창작은 擬古的, 模倣的시풍에 젖어있던 당시 문인들에게 ‘奇詭’와‘尖新’으로 인식되었다. 금대가 추구한 眞詩는 ‘似〔같게〕’·‘當〔꼭맞게〕’에 의해 사실과 감정을진실되게〔眞〕묘사한 시이다. 충만한 성정이 부득이하게 표출된, 無意의 순수성을 보존하고 있는 眞詩는 그 가치가 인정되어 사람들에 의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眞詩는 일체의 수식이 가미되지 않았어도 깊고, 맑으며, 무성하고, 소박하다. Geumdae Lee Ga-hwan(錦帶李家煥; 1742~1801) is an initiative figure representing the Namin literary group during the latter 18th century. He is positioned importantly in academic as well as literary aspects. This study is going to consider the poetical theory of Geumdae Lee Ga-hwan who is regarded crucially in literary aspects. Geumdae deemed that the meaning of si(詩; a poem) is harder to be delivered than that of mun(文; a prose) because of its fundamental property of ‘uijaeeonoe〔意在言外; Meaning exists outside language〕’. He said that understanding poetry is a miraculous action of mentality to find out ‘eonoejiui(言外之意)’ existing beyond janggu(章句). He also sees that to understand a poem, the reader’s sinri(神理) should agree with the poet’s, and the poet’s sin(神) is delivered through mind to mind, that is simin(心印) existing outside language or letters. Geumdae deemed that si(詩) is the expression of seongjeong(性情;nature), and because everyone has nature, anyone can be a poet through that nature. He considered that ‘seongjeongjijin(性情之眞)’ is simpleness [淡], plainness[素], and naturalness and allowed a poet to express his nature just as he wishes. However, Geumdae did not accept the indiscriminate expression of nature in his position as a Confucianist. He regarded the ideal expression of ‘seongjeongjijin(性情之眞)’ should be ‘onyudonhu(溫柔敦厚)’. Geumdae insisted that to let the people’s poetry reach the level of ‘onyudonhu(溫柔敦厚)’, politicians should be able to purify their nature through punggyo(風敎), and this should encourage the sipung(詩風) of ‘onyudonhu(溫柔敦厚)’ and guide them to reach their ‘seongjeongjijin(性情之眞)’ to ‘seongjeongjijeong(性情之正)’. Geumdae and his father, Lee Yong-hui, pursued the poetical style of cheongsin(淸新; neat and new) and enjoyed writing yukeonsi(六言詩) which was regarded sensational then. In expression, cheongsin(淸新) refers to using neat and new expressions being freed from following, imitating, or elaborating old ones. Also, in one’s personality, it means pursuing the world of pure mentality escaping from secularity. Also, yukeonsi(六言詩) was a sinsi(新詩; a new kind of poetry) then escaping from the typicality of oeonsi(五言詩) or chileonsi(七言詩). Because of this, the poetical style of cheongsin(淸新) and sensational creation of yukeonsi(六言詩) Geumdae pursued were regarded ‘gigue(奇詭)’ or ‘cheomsin(尖新)’ by literary persons of the time who were deeply immersed into the style characterized by uigo(擬古; following old things) or mobang(模倣; imitation). Jinsi(眞詩) which Geumdae pursued is the poetry depicting facts or feelings truthfully〔眞〕based on ‘sa(似〔identically〕’•‘dang(當〔fittingly〕’. The value of jinsi(眞詩) expressing full of nature inevitably and preserving the purity of muui(無意) is often acknowledged by people and transmitted from month to mouth. Jinsi(眞詩) is deep and clear, and abundant and plain even though not any single rhetoric is added to it.

      • KCI등재

        『정언묘선』의 풍격과 栗谷의 詩道

        趙麒永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1 No.-

        율곡은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며, 글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보았다. 이에 율곡의 시관은 ‘시본성정(詩本性情)’의 성정론,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의 도본론(道本論)으로 정리되었다.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이에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 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첫째, 충담소산(沖澹蕭散)이란 아무런 욕심이 없는 깨끗한 것이며, 어디에 구속됨이 없이 자연스럽고 편안한 경지를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충담소산(沖澹蕭散)한 풍격 및 의취를 『시경』3백편 외에 도연명의 시에서 볼 수 있다고 여겼으며, 율곡도 여기에 도연명의 시를 가장 많이 실었고, 다음으로 위응물의 시를 많이 실었다. 둘째,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은 조용하고 침착하며 스스로 흡족하게 여기는 삶 속에서 흥에 겨워 표현된 것으로 이 시작품을 읽게 되면 심기가 저절로 화평하게 된다고 하였다. 율곡은 욕심 없이 한가롭게 유유자적하면서 사는 평화로운 삶의 경계를 동경하여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을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청신쇄락(淸新灑落)은 세속적 가치를 초탈하여 물욕에 얽매이지 않는깨끗함을 말한다. 매미가 허물을 벗듯이 속기를 떨쳐내며, 맑은 바람을 쐬고 이슬을 마시듯이 매우 고상하여 세상 사람의 입에서 나온 것 같지 않다고 하였다. 넷째, 용의정심(用意精深)이란 뜻의 운용, 곧 시어의 설정 및 시적 구성이 정미(精微)하고 심오(深奧)한 것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글귀와 시어가 단련되고 품격과 운도(韻度)가 엄정하며, 매우 작은 것조차 찾아내고 깊숙한 경계도 볼 수 있어 생각이 저절로 천박하지 않게 『정언묘선』의 풍격과 栗谷의 詩道 87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다섯째, 주제를 설정하고 구상을 전개함에 있어 ‘정심의원(情深意遠)’한 것을 위주로 하였다. 그리고 ‘원이불패(怨而不悖)’하고 ‘애이불상(哀而不傷)’하는 전통적인 시도를 제시하였는데, 이는‘성정지정’에 의거하고 온유돈후한 시교(詩敎)를 지향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격사청건(格詞淸健)은 필력이 씩씩하고 굳세되 급하게 다그치는 뜻이 없으며 엄정하고 심원한 맛이 있다고 하였다. 다만 격사청건(格詞淸健) 한 작품을 위주로 하였다고 하여 격조와 사치의 청건(淸健), 곧 맑고 건장한 형식미를 통하여 내용미가 승화되는 풍격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정공묘려(精工妙麗)는 비록 아로새기고 색칠한 꾸밈이 있으나 도리에 어긋나고 겉만 아리따운 데에는 이르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형식적인 면을 고려한 풍격임을 나타냈다. 그리고 마지막 「지자집」은 율곡의 정언묘선}서문이나 박세채의 글을 참고로 하여 어느 정도까지 상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명도(明道)하고 이아(爾雅)한 내용이라면 『염락풍아』에 실린 작품의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는 도본문말(道本文末)과 성정지정에 근거하는 율곡의 시관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율곡 또한 명도적인 내용이나 철리적인 의경을 추구하여 이러한 시도의 양상이 그의 시세계의 일면이 되었고 보았다. 결국 율곡의 명도적이고 철리적인 시세계가 정언묘선의 마지막 「지자집」의 내용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e contemporary writings is very little ability, as Tao(道) put to good use utilize for literary composition, without a decoration, It to be the elegant prose or extreme sentence and make an impressio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cut a conspicuous figure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沖澹蕭散).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閒美淸適),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淸新灑落).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用意精深).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情深意遠).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格詞淸健).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精工妙麗). It is embellish one’s style and polish up a sentence, but 116 東洋古典硏究 第31輯 is not make outward show and keep up appearances.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사상(문학) ; 도은 이숭인의 누정시(樓亭詩) 연구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누정(樓亭)에 대해 음영(吟詠)한 편액시와 기문을 통해, 누각과 정자에서의 문학 활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누정문화와 그 향유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도은의 <秋興亭記>에는 정자의 주인은 물론 이곳에 온 시인묵객들이 달관의 경지를 체득할 수 있기를 간구하는 도은의 내심이 반영되어 있다. <霜竹軒記>의 경우, 군자의 문화의식을 실현할 수 있는 문학 현장이 바로 승경지 상죽헌이란 점에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星州夢松樓記>는 누정에서 이루어지는 사대부들의 문화활동이 퇴폐와 타락에 흐르는 것을 경계함으로써 스스로가 건전하고 건강한 마음으로 성인(聖人)의 산수 취향을 본받고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처럼 도은의 기문에는 자연과 공존하는 누정을 애호하여 문화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향유하기 위해 솔선하였던 그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이점은 그의 군자적 풍모와 학문정신의 높이와도 무관하지 않다. 도은의 누정시에는 누각과 정자에 올라 흥감을 표출하는 시인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속태(俗態)를 벗은 소나무의 고고한 기상을 감지하게 된다. <題玉田禪師松月軒…>시에서 그는 "소나무 사이에 비친 달을 가장 사랑한다(最愛松間月)"고 음영하며 자신의 내면 또한 밝은 달빛처럼 사물의 이치를 훤히 비추어 통찰하는 경지에 이르기를 희구하고 있음을 보인다. <題尙州風詠亭>시는 문장의 대가로 세상을 울린 목은의 웅준(雄俊) 전아(典雅)한 문학정신을 추앙한 것으로, 스승의 기상을 떠올리며 옷깃을 여미는 도은의 겸공(謙恭)을 알 수 있다. <晴暉堂感興四首 其一其二>시는 한적한 곳에 깃들어 살며 맑은 솔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도은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도은의 미의식이 탈속의 지취(志趣)와 상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은의 누정시는 은사(隱士)의 지조와 기품 있는 삶이 돋보인다. <題鹽州客舍樓次韻>시의 경우, 도은은 백수(白水)와 황국(黃菊)이란 자연물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은사의 시정신을 궁구하고 있다. <驪江樓留別若齋次韻>시는 왕유의 <靑谿>시와 그 의상이 일치하는데, 은사의 삶을 갈망하며 천공(天工)의 대자연과 같은 청정한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題嶺南樓>시는 낙일(落日)의 장관(壯觀)에 대한 감명을 자연 경관의 묘사라는 형상화 방식을 통해 시화함으로써 즉경생의(卽景生意)의 미학을 생성하고 있다. 화자가 여행길에 올라 객지에서 잠시 머무는 사람으로 묘사된 시작(詩作)에는 도은의 시재에서 우러난 청신(淸新)의 이미지와 객창감에서 시름하는 나그네의 적연한 이미지가 교차되어 있다. <登樓代人作>시는 인간의 실존 자체를 비극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내면의 높은 경지를 보인 작품이다. <浮碧樓次韻錄呈巡問令公>시에서도 인간의 실존적 비극이 내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심의(心意)를 인생무상으로 위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題僧舍寓軒>시는 객창감에 젖은 심사를 맑은 흥감으로 승화시키고 있어 도은시의 개성이 청신의 미학을 형상화한 사례에 해당하는데, 공감각적 심상과 청신한 미감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그만의 담박한 시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s to discuss Doen, Lee Sung-In. Doen was a poet, while endeavoring continuously to keep Koryo from subverting by Chos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his arbor poetry by adding the study on scholar`s chinese poems in the latter part of the Koryo. First of all, the content of this study consists of an examination of the background about his arbor poetry. His literary works written by Doen was tried to realized in the Confucian ideology. The tablet of the arbor appeared the arbor culture and pleasure formula about the literature activity of the intercourse. And the tablet of the arbor of Doen stood for the far-sighted view, the culture consciousness of a man of virtue, the mountain and water protection about a saint. The arbor poetry of Doen inhered in the proud isolation such as pine tree, the poetical sentiment on the noble-mindedness, the modesty, the unworldliness. Also he produced of the arbor poetry in the constancy and the nobility for the hermit. He revealed the landscape, the heart of a stranger, the transiency of all things. Doen represented the traditional life style as a scholar and a hermit, accompanied by the literariness of arbor poetry.

      • KCI등재

        원유(阮攸)의 창오죽지가(蒼梧竹枝歌) 연구

        양훈식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ry achievements centering on the 15th work of “Chang-o-jukjiga” among 132 poems of Bắc Hành Tạp Lục(北 行雜錄, 1813–1814) of Nguyễn Du(阮攸), who would provide a glimpse of Chinese poetry in Vietnam in the 18th century. “Chang-o-jukjiga” is a representative poem reflecting Vietnam’s literary sentiment and accounting for the largest volume of the poet’s single-titled verses written after his visit to China. This study examines three aspects: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 Yuh-seon(遊船) scenery and graveyard of exotic atmosphere; realistic experience and fresh expression; and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civilization-orientedness. In the scene of the mammary glands and the graveyard of exotic atmosphere, a combination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is presented, encompassing the boat ride on a single day of “Gi 11” to provide a vivid picture of the exotic atmosphere, with a “Gi 10” realistic parody of the boat in the contrast of white and bright colors. Based on the views of Confucian intellectuals, “Chang-o-jukjiga” illustrates th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Vietnamese and Chinese in unfamiliar landscapes. Nguyễn Du’s poems are presented through factual, realistic experience with fresh expression. The work is a poem depicting a clear night scene through the contrast of vision and hearing, while the article is an example of the narrator’s emotional adaptation as a Buddhist monk who had lived in an old temple whose name was unknown. From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a civilization-oriented perspective, it is understandable that “Chang-o-jukjiga” depicted more than just the lifestyle and mood of the day. “Gi 3” has a clear spat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song. In “Gi 6,” the place where the goose is headed is presented in the form of Yu Jong-won’s residence, expressing hope for Confucian intellectuals’ sense of civilization- orientedness. “Gi8” shows that he went up to Cheonbi-gak in Gyeryongsan Mountain to burn incense with his neighbor to express his condolences over the death of Cheon-bi. “Gi 1” says that the water from the space of Gyerim flowed into the Jang River, which is good for floating ships in Guangdong. In “Gi2,” we are envious of the prosperity of other cultures as seen by intellectuals, and it also reflects our commitment to a civilization-oriented style. It is a song that recites the customs of the region or the sorrow of a woman, originally taken from the folk song “Jukjisa” in Sichuan, China.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is trend was also seen in the syntax of Nguyễn Du’s work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his verses consist of a lively and cheerful tune, rather than a “live and cheerful tune.” Thus, Nguyễn Du described the atmosphere of the foreign country in “Chang-o-Jukjiga” with its bright and cheerful sentiment as an 18th-century event,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mourning. This is a portrait of the fact that the experiences of intellectuals with Confucian perceptions of the time were reflected in the work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aved the way for understanding the facade of Vietnam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베트남 한시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Nguyen Du(阮攸, 1765∼1820)의 북행잡록(1813∼1814)의 132수 가 운데 <창오죽지가> 15수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적 성과를 고찰하였다. <창오죽지 가>는 원유가 중국 사행을 다녀와서 쓴 단일 제목으로 된 그의 시문 중에서 가 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 운문으로 베트남의 문학적 정서를 반영한 대표적인 시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유선(遊船)의 풍경(風景)과 이국적(異國的) 정취(情趣) 의 묘파(描破), 사실적(寫實的) 경험(經驗)과 청신(淸新)한 표현(表現), 역사적 (歷史的) 시공간(時空間)과 문명지향(文明志向)의 세 측면에서 그 내용과 성격 을 고찰하였다. 유선의 풍경과 이국적 정취의 묘파에서는 <기십일(其十一)>의 단오일에 뱃놀 이의 풍경을 통해 시각과 청각의 복합 감각적 이미지를 제시하여 이국의 정취를 생동감 있게 보여주었고 <기십이(其十二)>는 화려한 색 가운데 흰색과 색감의 대조를 통해 뱃놀이를 사실적으로 묘파해 냈다. <기오(其五)> 작품은 당대 유교 적 지식인의 견해를 바탕으로 낯선 풍경에서 베트남인들과 중국인들의 정서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사실적 경험과 청신한 표현에서는 원유가 사실적 경험을 통해 청신한 표현으로 형상화한 시들이 제시되었다. <기칠(其七)> 작품은 시각의 대조와 청각의 대 비를 통해 청신한 밤 풍정을 형상화한 시였고 <기사(其四)>는 무상한 시간의 흐 름 속에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오래된 절에 거주한 한 스님의 정경을 원거리에서 조응한 화자의 감성이 드러난 일품(逸品)이었다. 역사적 시공간과 문명지향에서는 <창오죽지사>가 당대의 생활상과 애상적 분 위기만을 묘사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었다. <기삼(其三)>은 노래의 공간적⋅ 역사적 배경이 잘 드러났다. <기육(其六)>에서는 기러기가 향하여 가는 곳을 유 종원이 살던 형양으로 제시함으로써 유교적 지식인의 문명 지향의식에 대한 희 구를 드러냈다. <기팔(其八)>은 계룡산 천비각에 올라 천비의 죽음에 대해 이웃 과 함께 향을 피워 애도의 심정을 담았다. <기일(其一)>은 계림이라는 공간에서 일어난 물이 장강에 흘러들어 광동의 배를 띄우기에 좋다고 하였다. <기이(其 二)>에서는 지식인이 바라본 타국 문물의 흥성함을 넌지시 부러워하며 문명지향 에 대한 의지를 반영하였다 죽지가(竹枝歌)는 원래 중국 사천지방의 민요 죽지사(竹枝詞)에서 따온 지방 의 풍속이나 여인의 한을 읊은 노래라는 점에 착안하여 원유의 시문에서도 이러 한 경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그의 시문에서는 ‘원통하고 애달픈 곡조’보다 는 ‘생동감 있고 경쾌한 곡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 유는 전통적인 죽지사의 애상(哀傷)의 정조에서 벗어나 18세기 사행사로서 자 신만의 밝고 경쾌한 정조를 담아 「창오죽지가(蒼梧竹枝歌)」에서 이국의 정취를 보여주었다. 이는 당대 유교적 인식을 가진 지식인의 경험이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사실(寫實)의 형상화가 이뤄진 것이다. 이 논문은 18세기 베트남 한시 의 일면을 이해하는 길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후기 동성파(桐城派) 고문(古文) 연구

        샤오샤오양 ( Xiaoyang Xiao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3 No.-

        후기 동성파(桐城派) 작가 가운데 요영박(姚永樸)과 요영개(姚永槪)의 문장은 동성파의 법도를 따라 고아(古雅)하면서도 시의(詩意)를 함축하고 있어, 마기창(馬其昶)과는 조금 다른 경향을 보인다. 통주(通州)의 범당세(範當世)의 글은 중국과 해외의 일을 탐구하여 더욱 통속의 풍격이 있고 경세(經世)의 글에 가깝다. 오개생(吳開生)의 작품은 신학(新學)을 포용하고 있어 정미한 가운데 청신(淸新)함을 보인다. 마기창의 고아함부터 요영박과 요영개의 시의(詩意), 범당세의 통속(通俗), 오개생의 청신(淸新)함까지 동성파의 문장은 극에 달하여, 심오하고 고결한 고문(古文)으로부터 청신하고 활달한 백화(白話) 산문(散文)으로 차츰 나아가게 되었다. The prose of late Tongcheng School writers Yao Yongpu and Yao Yonggai, imbued with classical poeticism according to yifa (principles and methods), are slightly different in nature than that of Tongcheng writer Ma Qichang. The prose of Fan Dangshi, investigating affairs in China and abroad, were written in a more popular manner and very close to Jingshi (to manage a state) writing. Wu Kaisheng`s works fuse New Learning, being novel while precise. From Ma Qichang`s, to two Yao`s prose imbused with classical elegance and Fan`s vernacular style, and Wu`s prose which emphasized originality, the Tongcheng School not only reached its highest peak but gradually evolved from a profound and lofty archaic-style prose into a novel and fluent vernacular prose.

      • KCI등재

        栗谷 李珥의 漢詩와 ‘淸’의 文學性

        박수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4 石堂論叢 Vol.- No.88

        栗谷 李珥는 한국 유학 사상사에서 가장 손꼽히는 인물이다. 그의 氣 중심 理氣論과 그에 기반을 둔 人心道心說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깊이를 보여주는 주요한 논의로 평가된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의 문학사에 있어서도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문인이기도 하다. 율곡은 한 사람의 문장가이자 시인으로서 상당히 많은 문학 작품을 저작하였다. 율곡은 자신의 문학 인식을 여러 글에서 두루 기술해 놓았다. 『精言妙選』에서는 모두 중국의 시작품을 가려 뽑아 수록했지만, 율곡은 『精言妙選』의 찬집에서 우리나라 시학의 바른 길을 제시해 보이고자 했다. 율곡은 도학의 기반 위에 문학을 수용하며 문학이 지향해야 할 바는 도를 구현한 성현의 문이란 생각을 말했다. 나아가 성현의 문장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천지의 문장을 말하며 천하의 지극한 문장은 바로 꾸밈없는 자연스러운 문장이라 논의하였다. 율곡은 『精言妙選』의 찬집 작업에서 ‘淸’의 문학성을 가장 중시하였다. 그가 『精言妙選』의 첫 권인 「元字集」에는 ‘沖澹蕭散’한 작품들을 실어 시학의 원류를 밝혀 보이고자 했는데, 맑고 담박함을 지칭한 ‘沖澹’은 기본적으로 ‘淸’의 이미지가 내재된 풍격이다. 또한 「亨字集」의 ‘閒美淸適’과 「利字集」의 ‘淸新灑落’은 모두 ‘淸’의 문학성을 작품 비평의 중요한 요건으로 제시한 풍격이기도 하다. 天得의 자연스러움에서 구현되어지는 ‘淸’의 문학성은 여러 비평가들이 시문학에서 도달해야 할 수준 높은 경지로 꼽는 풍격이다. 「仁字集」에서 표방한 ‘格詞淸健’의 경우도 詩格과 詞語의 측면에서 맑고 굳센 문학성을 보인 작품을 가려 모은 것이라 하니, 율곡이 시문학에서 ‘淸’의 문학성을 지향했고 그것을 『精言妙選』 작품 선발의 핵심적 준거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연스런 ‘淸’의 문학성은 唐風의 시문학이 지향하는 하나의 대표적인 풍격이면서, 동시에 宋風의 시문학에서도 도외시하지 않는 중요한 풍격이기도 하다. 시문학 작품은 唐風과 宋風을 막론하고 일단은 인위적 꾸밈이 없는 자연스러움을 높이 평가한다. 載道의 문학론에 의해 창작된 시문학은 성리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대개가 宋風的 경향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다. 율곡의 경우도 도학을 사상적 토대로 삼고 있어 시문학에 대한 인식도 우선적으로 宋風의 경향을 지닌다. 그러나 율곡은 문단의 주도적 흐름이 宋風에서 唐風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살면서, 宋風의 문학성 중에 특히 차분하고 깔끔하면서 맑고 담박한 ‘淸’의 문학성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율곡이 생각한 시적 지향이 ‘淸’의 문학성이었던 만큼 그의 실제 작품 세계에서도 ‘淸’의 문학성을 실천적으로 구현해 내고 있다. 沖澹蕭散과 閒美淸適도 ‘淸’의 문학성을 바탕으로 하는 풍격이지만 율곡의 시작품에서는 淸新灑落한 풍격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 보인다. 『栗谷先生全書』의 詩稿를 살펴보면 ‘淸’의 문학성을 구현한 시작품을 율곡의 생애 전 시기에 걸쳐 두루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淸’의 문학성은 평소 存心養性을 통해 심성을 깨끗하고 고결하게 지니고자 한 율곡의 시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율곡은 그의 한시작품에서 ‘淸’의 문학성을 실천해 보였다. 『精言妙選』에서 표방한 沖澹蕭散, 閒美淸適, 淸新灑落의 풍격은 곧 ‘淸’의 문학성을 높이 평가해 강조한 것이기 ... Yulgok(栗谷) Lee-yi(李珥) is a famous philosopher of Korean confucianism history. And also he is one of presentative writer on Korean literary history. He wrote several articles about his literary thought. Yulgok(栗谷) wanted to show the proper way of poetry making 『Jeong- eunmyosun(精言妙選)』. He insisted that Confucian ethics must accept literary. And he wrote that the aim of literary was the saint’s literary presenting Confucian ethics. Yulgok(栗谷) attached importance to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on the making 『Jeongeunmyosun(精言妙選)』.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hich is presented by Natural come from haven(天然) is the high level of literary works. Such the natural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one of main T’ang style(唐風), as well as one of main Song style(宋風). Yulgok(栗谷) lived the period of a turning point Song style(宋風) and T’ang style(唐風). He intended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as clean and light one of the literariness of Song style(宋風).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Yulgok(栗谷)’s poetic intend, and he practiced that on his own poem works. We can find many poems the style of New-clean(淸新) on Yulgok(栗谷)’s works. On the collection of Yulgok(栗谷)’s poems(『栗谷先生全書』) there are many works presenting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during his all life. Such the literariness of ‘Clean(淸)’ was caused by Yulgok(栗谷)’s poetic attitude which always wanted to have highly-clean mind.

      • KCI등재

        영수합(令壽閤) 시(詩)의 미적(美的) 특질(特質)

        김여주 ( Yeo Ju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문화적으로 문학적으로 다양성을 구가하던 조선후기의 사대부 문학 활동, 곧 경화세족들의 문학 활동의 자장 안에서 조선 여성들의 의식이 한시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 있는가를 살펴보는 방식이 기존 연구였다면, 본고는 영수합의 작품 자체에 보다 집중하였다. 이는 작품을 통해 작가의 의식세계를 유추하고, 작품의 창작 배경을 살펴 문학적 의의를 밝혀내는 것에서 한발 나아가 작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내적 특징을 세밀하게 분석해서 그 문학성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기인한 것이다. 미시적 관점에서 작품 자체에 드러나는 풍격과 순수한 감성적 면모에 포커스를 맞춘 연구라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영수합 시의 대부분이 농서 시절에 가족과의 唱酬作品으로, 그 대상이 남편, 아들들과 두 딸이었다. 그러나 작품에 드러난 주 대상은 아들들이고 남편에 대한 情意는 거의 드러나 있지 않으며, 더욱 특이한 것은 『幽閒集』이라는 詩集을 남겨 놓은 큰 딸인 幽閒堂 洪原周에 대한 언급도 거의 없다. 이것은 당시 조선후기 사회의 여성 시작활동에 대한 의식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럼에도 문집으로 발간할 수 있었던 영수합의 시에 대한 자식들의 자부심이기도 하며, 『令壽閤稿』의 작품이 선별되어 선집 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우선 룡西에서 주변의 경관과 일상의 흥취를 맑고 담박하게 그려낸 시들에서는 淸新한 감각이 맑고 담박한 자연과 어우러져 그려지면서 沖澹한 풍격을 형성해 놓고 있다. 또한 양적으로는 모성을 드러내며, 고향인 한양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따뜻하고 절제된 감성으로 묘사한 시들이 가장 많다. 농서에 있으면서 자식들에 대한 애틋함, 고향인 한양을 그리워하는 향수의 정감이 교차되면서 그 감성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편이지만 서글퍼서 애를 끓이는 감상으로 치닫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절제하면서 “哀而不傷”함을 통해 전아한 풍격미를 드러낸다. 擬作이라는 표현을 통한 남편과의 창수 작품에서는 여성적 감성보다는 노련하고 힘이 있는 선비 의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부드럽지만 세밀하고 구체적인 표현을 통해 자연스럽게 老健한 풍격을 드러낸다. 물론 이것을 사대부가의 여성으로 자라면서 사대부적 시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신만의 세계를 형성해서 날카롭게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모성애를 지닌 따뜻한 눈으로 타자를-백성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영수합 특유의 의식이 드러나면서 그것을 시적 미감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것은 영수합의 시적 재능인 것이다. Existing studies have approached Yeongsuhap(令壽閤)’s Chinese poetry in the light of women’s literature. That is, they have looked at how gentry women in the late Chosun period expressed their consciousness in Chinese poetry with cultural and literary varieties. On the contrary, this study attempts to infer the poet’s consciousness through their works and examine their literary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ir writing backgrounds as it is important to appreciate the literary values of their works by analyz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works. In other work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traits inherent in the works themselves and pure sentimental aspects they have by taking a microscopic point of view. First of all, Nongseo(롱西) has pure and simple poems that portray surrounding landscapes and joys from daily life with cheongshin(淸新) senses, matching pure and simple nature and bringing out their chungdam(沖澹) traits. In quantity, a majority of them express their motherhood while still a majority describe their longing for their hometown, Hanyang, with warm but disciplined voices. Yeongsuhap directly expresses these feelings, imparting jeanah(典雅) beauty through “aebulsang(哀而不傷)” senses. Again, ”Euijak(擬作)“ the intercalrary poem work with her husband, depicts the consciousness of a well-versed classical scholar rather than womanly sentimentality, which can be explained as the influence of scholarly culture on the gentry woman’s upbringing. However, it can be assured that Yeongsuhap established her own wolrd of poetry with a warm eye as a mother who embraces the others while peering into reality with a sharp insight.

      • KCI등재

        金陵 南公轍의 晩明小品 수용 양상과 그 의미 -尺牘題跋을 중심으로-

        김광섭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is essay was studied laying stress on a transformation aspects of Manmyong sopum that appeared in Nam Gongcheol's chukdog. He was a typical Gwangakmunin and Gomunga, but he borrowed Seo Wi·Yuan Hongdao's writing in chukdogmun. They saw things as emotion and enjoy the fun, not as Do(道) or Li(理)like Gomunga. As a real feeling express -ion of individual and aspect of appreciation of the beautiful hobby, he prssented a Chongsingijeol(淸新奇絶)'s style and Seomsedansok(纖細斷續)'s composition method, and free from in solemn argument's writing , and recognized Bijaneo(非莊語)'s use by play instinct attitude. For example, when described landscape, he compared beauty of landscape in beautiful state of woman. Specially, we can find Gongan School' effaction from chukdog about landscape and separation. Also, there was discuss about method of landscape sightseeing. Nam Gongcheol inclined surroundings to small and plain thing that met be -tween scenic part and another scenic part as 'Doncheon Bokji(洞天福地)'. It was presented by Kim seongtan(金聖歎). Nam Gongcheol advocated to express own opinion which is formed from own heart. Sentence that is indited through these process looks stale, but becomes always new writing. He adopted the Won goendo's opinon about criticized Simun(時文) by emulation and plagiarism at that time. And he asserted to express nowaday Do(道) through method of truth and change in nowaday language. we can recognize that accepted vestiges of reading and their appreciation of the beautiful hobby. 본고는 金陵 南公轍(1760~1840)의 척독에 나타난 徐渭(1521~1593)·袁宏道(1598~1610) 척독의 변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금릉은 조선후기 대표적 관각문인면서 고문가이지만, 만명 소품문을 일정 부분 수용하고 있다. 그가 읽은 명청서적에 대한 독서록은 王世貞(1526~1590)과 錢謙益(1582~1664)에 관한 것 밖에 남아 있지 않지만, 척독문에서 서위, 원굉도의 글을 차용한 것들이 여러 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고문가들처럼 道나 理로서 사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情으로 사물을 보아 그 興趣를 즐기는 것을 수용한 것이다. 개인의 진실한 정감 표현과 심미취미의 측면에서 淸新奇絶한 풍격과 纖細斷續의 작법을 제시하고, 莊重한 立論의 글쓰기에서 벗어나, 遊戱的 태도로 非莊語의 사용을 인정하였다. 그 예로 산수를 묘사할 때, 산수의 아름다움을 여인의 미려한 모습에 비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금릉은 六經과 史漢八家를 문장의 正宗으로 삼은 인물이다. 이러한 문학관은 고문을 학습하기 시작한 16세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근간을 이루고 있다. 반면, 본고에서 밝히고자 하는 금릉 척독의 만명 소품적 특징은 박지원, 이덕무, 유득공 등과 교유하기 시작한 20세 경부터 전시병과에 급제한 33세 이전까지에서 주로 나타난다. 금릉은 博學을 통해 자신의 문장을 짓고자 하였으므로, 博學의 과정속에 당송팔가 이외에 명청제자, 특히 晩明 작가들의 글을 읽고 탐닉한 측면이 있다. 특히 산수나 이별에 관련된 척독에서 공안파의 영향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金聖歎(1610경~1661)의 평비본 『西廂記』에서 산수를 잘 유람하는 방법에 논한 것이 있는데, 금릉은 이러한 글을 차용하여 자신의 유람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산수를 유람하는 방법으로 金聖歎(1610경~1661)이 『西廂記』 를 평할 때 이용한 ‘洞天福地之法’을 제안하였는데, 명승지와 또 다른 명승지 사이에서 만나는 작고 평범한 사물에 주위를 기울이고 그 興趣를 즐겼다. 문학관에서도 자기의 마음속에 형성된 자신의 견해를 표출할 것을 내세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어진 문장은 성인과 현자의 문장이 그렇듯, 이치는 진부한 듯 하지만 뜻은 항상 새로운 글이 되기 때문이다. 그 한 예로, 당시에 모방과 표절로 비판받던 時文에 대해, 원굉도의 견해를 받아들여 事實에 절실하고 道에 가까운 時文의 본래 의의를 강조하고, ‘眞’과 ‘變’의 방법을 통해 오늘날의 道를 오늘날의 언어로 표현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공안파 산문에 대한 독서의 흔적과 그들의 심미취미를 수용한 일면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것은 政治현실과 탈속의 공간에서 이중적 가치관을 지녔던 경화세족의 문화의식으로 확대해석할 수 있고, 個人趣味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眞情에 기초한 趣味의 향유는 道와 理라는 거대 담론에서 벗어나 일상적이고 평범한 것에서 즐거움을 찾거나, 書畵나 古董속에서 옛 작가의 風神을 만나 즐기는 문화 현상의 밑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전의 유래와 의미의 다양성

        최진아(Choi, Jin-a)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5

        본 논문에서는 死者의 노자돈으로서 사령제와의 관련성만이 제기되어 온 지전의 유래와 의미를 사료 중심으로 살펴보고, 기존의 인식과 달리 훨씬 더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어 그 안에 다양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음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중국에서 유입된 지전은 그 역사가 殷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설이 있으나, 그 보다는 漢나라 전후에 지전과 유사한 의미의 價値財를 儀物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초기에는 실물 화폐를 사용하다가 국가의 제재로 종이로 지전을 만들게 되었으며, 이후 唐에 이르러 祀祭에 쓰이기 시작하며 성행하였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 지전이 정확히 언제 유입되었는지 알 수는 없으나, 8세기경 천도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는 수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보편화된 시기는 보다 그 이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고문헌 사례를 통해 지전이 사령제와 같은 종교제의 외에도 국가 및 관청의 제의, 유교의 상장례와 조상제의, 그리고 무속과 불교제의 등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된 사례를 통해 지전에 내재된 의미를 본문에서는 크게 神體, 請神과 送神의 媒介物, 그리고 禮緞으로 분류해 보았다. 신체의 의미를 지니는 지전은 그 안에서도 신령이 강신하는 상징물과 死者가 머무르는 神主로 구분된다. 전자는 그 자체가 무속의 신령이나 祖上神, 그리고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져, 신이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부군당을 비롯한 마을의 祭堂이나 巫家의 신당 그리고 개인의 집에 마련해 놓은 사당 등과 같은 聖所에 장식되어, 신의 모습을 가시화 한 畵像이나 彫刻像 등과 등가의 개념으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자는 지전 안에 死者의 영혼이 담겨진다고 믿어 그 자체를 神主와 동일시 여겼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청신과 송신의 매개물의 의미를 지녔던 지전은 유교 상장례와 무속제의에서 사용되었는데, 유교상장례에서는 死者의 招魂의식에 魂을, 무속제의에서는 神과 魂을 초대하고 보내는 請神과 送神의 매개물로 인식되었다. 특히, 이들 제의에서는 매개물로 인식되는 지전이 송신의례에 소각되어짐으로써, 초대한 神과 魂을 떠나보내는 것으로 믿어졌다. 禮緞의 의미를 지니는 지전은 獻物의 의미와 冥錢의 의미로 구분해보았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지전은 그것을 태우거나 제장 주변에 놓음으로써 神이 사는 天界와 死者가 사는 冥界에서의 價値財인 財貨로 전환된다고 믿어졌다. 즉, 이승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곳에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제적인 價値財가 필요하다는 관념이 당시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지전은 神과 死者, 그리고 現世人 상호 간의 소통이 가능하게 해 주는 상징적 매개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Jijeon (紙錢, paper money) has been primarily recognized as a travelling expense for the dead. Up until now, only its relevance to a shamanistic ritual to escort the spirit of the dead to the Heaven wa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reveal that Jijeon, unlike the current perception of it, was used for multiple purposes in far wider areas, thereby having a number of implicat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origin and multiple implications of Jijeon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The history of Jijeon, which was brought from China, dates back to the Yin dynasty. Yet, it is estimated that a brass coin was circulated before and after the Han dynasty, and Jijeon was used later during the Tang dynasty after paper was created. Commodity money was used in the early days. Religious meaning was given to paper under the san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aper came to be used as currency later. This paper money influenced Buddhism, and used for the religious ceremony, reflecting the conception of Buddhism. It is not clear when Jijeon was brought to Korea. But given that Jijeon was used for the funerary rituals in Buddhism around 8<SUP>th</SUP> century, Jijeon is estimated to be introduced at least in the 8<SUP>th</SUP> century. It is highly like that Jijeon was commonly used later. Jijeon was used as a ritual tool in various areas, including government offices, funeral rites,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and shamanistic and Buddhist rites. It was placed in Bugundang (shrines set up near or on the grounds of government offices in the capital or in the provinces) as a symbol of Bugun (government office deity) during rituals hosted by the government. People believed that they can call back the spirit of the dead via Jijeon, or the spirit of the deceased in dwelled Jijeon during funeral rites and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Jijeon was also used for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It decorated the holy place at the shamanistic and Buddhist ritual. Jijeon, used in various areas, holds a number of implications, including the body of god,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gods and offering for both deities and the dead. Jijeon symbolized as the body of god, has been treated as equal to either one of the gods of shamanism or the guardian of a village. It has been seen as a spirit tablet at the ancestral rite. Jijeon also has been viewed as a medium either to raise the spirit of the dead or to communicate with gods. As offering for deities, Jijeon was burned to be used as money for the spirit. The paper money was believed to be dedicated to the dead and deities while being burned. Being used as a symbol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at the funerary rituals in Buddhism, Jijeon was thought to become wealth which can be used in the world of the dead. There was a belief that wealth matters even in the afterlife. People believed that the dead people would need money to live their lives in the other world, just like they did in this world. From that perspective, Jijeon was considered to serve as a symbolic medium which enable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 KCI등재후보

        율곡의 시문학관(Ⅱ)

        조기영 (사)율곡학회 2008 율곡학연구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This thesis considered the poetic definition, description, utility, personality, selection of poems, composition of poem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expound importance and what should be of morality through various type. He cut a conspicuous figures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unmyos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율곡 이이(1536-1584)의 시문학관 양상을 고찰하였다. 도를 꿰뚫는 그릇(貫道之器),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이라는 항목에서 시문학의 효용, 풍격, 선시(選詩), 시도(詩道) 등에 대한 율곡 이이의 관점 및 태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도를 꿰뚫는 그릇’에서 율곡은 학문이란 도를 밝히는 것이며,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라고 하였다. 이는 도덕을 구명하고 도덕으로써 심신을 수양하며, 이 세상에 도덕을 실현하는 순리적이고 교화적인 학문론인 것이다. 이에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를 말하여 ‘도본문말(道本文末)’의 태도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고, 인간사회에 있어 도덕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다양한 유형을 통하여 진술하였다. 도본문말(道本文末)의 도덕적 문학론의 입장에서 다양한 현실세상의 군상을 유형별로 그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세상을 위한 진정한 근본인 도를 꿰뚫는 학문, 도에 근본을 두고 세상에 절실한 선무를 다스리는 정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율곡의 지론이었다. 따라서 율곡이 말한 ‘관도지기’나 ‘형도지기’는 요약하면 ‘도본’이자 ‘무분(務本)’에 연유한 시문학관이 되는 것이다. 넷째,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에서는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이에 『정언묘선』에는 율곡의 시적 관점뿐 아니라 시적 취향이 담겨 있으며, 시작품이 지니는 구체적인 특징 및 효용성 등을 고려하여 시를 선별하였다. 박세채는 『정언묘선』의 ‘지’편의 내용이 이아(爾雅)한 것, 곧 아정(雅正)한 풍격의 시작품이라고 밝혀 율곡이 시의 진정성을 고려하여 마지막 ‘지’편을 명도(明道)한 내용의 운어로써 끝을 맺었다고 말한 부분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마지막 ‘지’편의 작품 내용은 ‘명도이아(明道爾雅)’의 풍격을 지니는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도본문말에 근본을 둔 율곡의 문학적 태도나, 시는 문사 가운데 정수이고 시의 근본은 성정이며 시문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말한 그의 시관과 일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