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센터 노동자의 다층적 고용불안정:서울청년센터 ‘오랑’ 종사자를 중심으로

        윤태영,남재욱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3

        서울청년센터 ‘오랑’의 종사자인 청년매니저는 공공서비스의 공급자이자 노동현장에서 고용불안정으로 대표되는 청년문제를 경험하는 ‘당사자’이다. 본 연구는 ‘복지정치’와 ‘민간위탁’이라는 맥락 속에서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지원이 핵심적인 사회정책으로 부상하게 된 과정과 청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에서 청년매니저가 경험하는 다층적 고용불안정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자치구 ‘오랑’의 센터장, 그리고 청년매니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과 초점집단면접을 병행하였고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복지정치’ 산물로서의 청년서비스 도입과 확립이라는 정치적 맥락과 ‘민간위탁’이라는 제도적 맥락이 중첩된 고용불안정을 경험한다. 정책도입 시기 효과적인 정치전략이었던 ‘당사자성’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생애주기에 따른 고용불안정’이라는 제약을 만들어낸다. 한편, 개별 종사자를 정규직으로 고용하더라도 위탁기관 교체에 따른 고용승계 비율과 예산제약 등 ‘민간위탁’의 한계로 인해 종사자는 고용불안정과 일자리 질의 하락을 직ㆍ간접적으로 경험한다. 본 연구는 청년의 고용불안정 해소를 목적으로 한 서비스 전달체계가 일선 종사자의 고용불안정 노동을 야기하는 현실을 드러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Youth managers, who work at the Seoul Youth Center ‘Orang’, are both public service providers and ‘parties’ who experience youth problems related to job insecurity.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labor market transition services for the youth as a key social policy and the multi-layered job insecurity within the youth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context of ‘welfare politics’ and ‘contracting-ou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enter directors and youth managers in the district(gu) ‘Orang’.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y apply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job insecurity in the political context of an implementation of youth services as a product of ‘welfare politics’ and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contracting-out’. ‘Partyhood’, which was an effective political strategy at introductory stage, is experienced by service providers as ‘job insecurity in the life-course transition’. Even if individual workers are hired as regular employees, they experienced job insecurity and a decline in job quality directly or indirectly due to the limitations of ‘contracting-out’ such as incomplete employment succession by changing a subcontractor and budget constraints. This study reveals the reality that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imed at resolving the employment insecurity of young people causes the job insecure of frontline worker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자들의 경험 회고 연구: 청년기의 시각

        김경민,강철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1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대표적 돌봄기관인 지역아동센터가 2004년에 법제화된 이후 20년 동안 운영되어 왔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했던 다수의 이용자들이 현재는 청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간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연구가 많이이루어져왔으나 청년이 된 과거 이용자들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과거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했던 20-30대 초반의 청년10명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청년기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며 새로운 이해를 마련해 보고자했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경험은 ‘가족을 보완하는 친밀한 돌봄 제공처이자 성장의 동반자’, ‘다양한 체험과 배움의장’, ‘사회에 대한 선경험의 장’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이 현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리질리언스를 돕는 관계 자원’, ‘임파워먼트의 근간: 자아존중감과 자신감’, ‘사회공동체 구성원으로의 적응 기반’, ‘타인을 돌보는시민으로의 성장 기반’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lf-reflection of young adults who were former users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s, shedding light on their experiences and their impac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established in 2004, play a pivotal role in providing care for children and teenagers from vulnerable social backgrounds. In 2023, nearly two decades after their inceptio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previous users have transitioned into young adulthood. Despite extensive research on current users of these centers, limit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ose who utilized them in the past and have since entered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address this gap,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involving ten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early thirties who were former users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s. Our primary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essence of their past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young adulthood and establish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By exploring the medium and long-term effects of their time in community childcare centers, this research serves as a valuable source of baseline knowledge for future investigations. This study focused on two central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s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adults?” Second, “What influence do experiences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have on the lives of young adults?” The analysi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vealed that experiences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held multiple meanings for the users. They saw these centers as “a place providing intimate care supporting growth and development,” “a setting for diverse and formative experiences and learning,” and “a space for early social interactions.” Meanwhile, the analysi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highlighted that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e influence of their community childcare center experiences as “a source of resilient relationships,” “a foundation for empowerment, fostering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a basis for integration into the wider social community,” and “a cornerstone for personal growth as a compassionate and caring citizen.” Drawing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we off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acts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s in shaping the lives and perspectives of young adults.

      • KCI등재

        경상남도 지역 청년 정책 사업 수혜자의 참여 요인 및 만족도 분석: 대학일자리센터를 중심으로

        유재은 ( Jae Eun You ),최종우 ( Jong Woo Choi ),문효진 ( Hyo Jin Moo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4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공공부문 주도 대책과 산학협력 등을 강조하는 사업들을 다양하게 마련하고 있지만, 정책적 측면에서 정부 추진의 다양한 사업들이 청년 수혜자 층 입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은 미지수인 것이 현실이다. 대학일자리 센터 사업은 대학생들의 진로발달과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상시 상담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정부 프로그램 중 하나로, 사회진출 이행을 위해 대학 내에서 이뤄지는 진로발달 관련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일자리센터 사업 프로그램을 수혜 받는 청년들의 시각과 관점에서 원하는 프로그램 서비스가 무엇인지, 어떤 욕구와 성향을 가진 청년들에게 사업을 제공했을 때 더 효율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일자리센터 사업 수혜 청년들을 설문조사 한 뒤 사업 참여요인과 사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사업 참여요인을 추천형, 비용형, 신뢰형, 실용형으로 그리고 청년들의 욕구를 연봉 추구형, 성공 추구형, 워라밸 추구형, 직업 안전성 추구형, 전문성 추구형으로 나누어 사업 참여요인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공과 연봉, 워라밸, 직업 안정성을 추구할수록 사업에 더 많이 참여하고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청년들의 진로 설정 및 취업 이행에 있어 청년들의 사업 참여 결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업 수혜자인 청년들의 욕구를 명확히 파악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ublic sector-led measures and projects that emphasiz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support youth employmen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ose projects are producing results to satisfy the college students. The University Job Center Program is one of the government programs that provide 24/7 counseling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that are in need of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find out what program services are desired by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University Job Center Program and whether the program is effective when providing services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certain needs and tendencies,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of the University Job Center Program and analyzed particip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the programs. First, we analyzed participation factors by classifying into recommendation type, cost type, trust type, and practical type, then analyzed satisfaction of program by dividing the job satisfaction criteria of youth beneficiaries into salary pursuit type, success pursuit type, life balance pursuit type, and job stability pursuit type. As a result, the colleg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they pursued success, salary, life balance, and job security, where those factors led to higher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college students to set their career paths and implementing employment, it is necessary the University Job Center Program clearly understand the needs of beneficiaries of the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산업센터 이전기업의 성장효과와 결정요인 분석

        김주영,신기동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3

        Firm's location is basically motivated by profit maximization but the direction and reason are differ from its segmentation and size. This study is to find out motivation and effects of firm's relocation especially relocated firms in knowledge industry center. Generally, firms that short distance move tend to focus on problem solving motivation like employee shortage and cost minimization. Results of analysis of logit model can be summarized like this. First, among relocated firms about 40% of firms experienced the growth of total product and number of employees. Second, Determinants of firm’s growth was ratio of youth employees and time of location, type of business. This results coincide with general theory with firms’ location effects and confirm that the importance of labor capital of firms growth. Knowledge industry center have merits on its advantage to market and traffic axis so it provide start-up and urban type firm with market accessibility so this report have an implication to unemployment problem these days. 기업들의 입지는 기본적으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나 이동의 방향이나 이유는 기업의 규모나 업종 등에 따라 차등적인 양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내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입지에 따른 기업의 이주동기와 이동의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식산업센터는 비교적 도심에 근접하고 상업시설과 개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쾌적한 근무환경과 교통의 편리성과 동종업계와의 연계성 측면에서 유리한 입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 지식산업센터로 이주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주에 따라 이들 기업이 누리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지식산업센터가 청년고용을 중심으로 한 고용문제의 해결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들의 지식산업센터 이전을 통해 매출액과 종사자 측면에서 성장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결정요인으로는 매출액의 경우 청년고용비중 변수와 고용여건 개선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수의 경우 청년고용 특성 변수외에 입주기간과 업종 특성이 종사자수 증가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런 점에서 지식산업센터가 가진 입지적 특성과 향후 제도적인 보완을 통해 청년실업 해소의 한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논리모델을 통한 희망디딤돌센터 시범사업의 분석 - 보호아동 및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통합자립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김성경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3

        본 연구는 희망디딤돌센터 시범사업을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성과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희망디딤돌센터는 아동복지체계에 있는 아동의 보호기간 중 자립지원과 보호종료 후 자립지원을 연속적으로 잇는 청소년 지원주택 성격의 통합자립지원기관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을 1단계 사업(기반구축 사업), 2단계 사업(목적사업), 3단계 사업(공공화 추진사업)으로 유형화하여, 1기 시범사업기관인 강원센터, 대구센터 및 부산센터의 사업을 분석하였다. ‘투입’ 요소는 물적 자원, 인적 자원, 행정 자원으로 계획대로 지원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 요소는 1단계~3단계 사업으로 모두 수행되었으며 1단계 기반구축 사업기간의 차이로 인해 센터별 2단계 사업기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산출’에서 1단계, 3단계 사업은 계획대로 추진되었으며 2단계 사업은 센터별 중점사업에 따라 목표치와 결과의 차이가 드러났다. ‘성과’는 첫째 지표로 참여자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3개 센터의 자립체험사업 참여자의 자립준비기술의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강원센터 및 대구센터의 자립생활사업의 성과는 입주자의 자립역량척도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프로그램의 개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 다. 두 번째 성과지표는 정부 사업으로의 안정화로 법적 기반, 정부 사업으로 편입, 재정 안정을 살펴본 결과, 3개 센터 모두 정부 사업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보호기간 중 자립지원과 보호종료 후 자립지원을 연속적으로 잇는 사업의 중요성을 보여주었고 자립역량 향상의 성과를 실증적으 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와 추후 연구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ilot project of Korean Hope Stepping Stone Center by applying a logic model. The pilot project was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Phase 1 (foundation establishment), Phase 2 (major services), and Phase 3 (stabilization as a government agency). The analysis focused on the projects of the pilot centers from the first phase, including the Gangwon Center, Daegu Center, and Busan Center. The ‘inputs’ were analyzed as finances, human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resources, which were provided as planned. The ‘activities’ included all phases from 1 to 3, though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the foundation establishment phase resulted in variations in the duration of Phase 2 across centers. For ‘outcomes,’ the first indicator measured changes in participan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independence preparation skills of participants in the three centers. The outcomes of the independence living programs at the Gangwon Center and Daegu Cent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ife skills assessment of residents. The second outcome indicator was the stabiliza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financial stability. All three centers were confirmed to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government ag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인 군사훈련 현황

        표영수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아시아ㆍ태평양전쟁기 일제는 21만여 명의 조선인들을 일본 군대의 군인으로 강제동원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선인에 대한 군사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 방식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그리고 조선총독부 군사훈련기관을 통한 군사훈련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학교 교육에서는 교련을 통하여 군사훈련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일반 청년에 대해서는 일본어 교육과 ‘황민의식’의 주입은 물론 기초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회교육의 차원에서 청년훈련소를 비롯하여 조선청년특별연성소, 장정훈련소 등 다양한 형태의 기구를 설치, 운용하였다. 또한 일제는 1938년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와 함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 운영하는 한편 1943년에는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에 따라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1944년 징병제가 실시됨에 따라 기존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폐지하고 징병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를 설치하였다. 이들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와 해군병지원자훈련소, 군무예비훈련소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해 조선총독부와 조선군사령부에 의해 직접 설치, 운영된 군사훈련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일제의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은 전쟁의 장기화와 전장에 확대에 따라 조선인을 군인으로 동원하였을 때 일본 군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각각의 군사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1942년 이후 육군 현역 장교가 배속된 학교의 교련 교수시간은 중학교의 경우 5년간 총 430시간의 교련과 23일간의 야외연습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학교교육의 군사훈련은 실업학교, 사범학교, 양성소, 대학예과전문학교, 전문학교, 대학 등 상급학교에서도 교련 및 야연연습 시간이 각기 책정되었다. 또한 보통학교 졸업 이후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들에 대한 사회교육과 관련하여 청년훈련소 본과의 경우 4년간 총 350시간의 교련이 실시하였고,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1년간 총 200시간의 교련 및 근로작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이곳에서의 연성과정을 통하여 군인 및 노무자로 동원하였다. 그리고 조선인 군인동원이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설치된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구체적인 시간은 확인할 수 없으나 주된 훈련 내용으로 보통학과와 술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교련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6개월의 훈련기간 동안 보통학 500시간과 술과 340시간으로 책정되어 있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해군동원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군사훈련이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에서의 훈련은 주당 총 39시간의 교육시간이 책정되어 있었으며 제1부의 경우 2개월(1944년도의 경우 40일), 제2부의 경우 6개월(1944년도의 경우 5개월)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당 39시간 가운데 일본어와 교련이 각기 10시간(26%)씩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어 주로 일본어 보급과 군사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In the period of Asia-Pacific War, the Japanese imperialism forced 2.21 million of Koreans to mobilize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conducted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n various ways in order to mobilize Koreans to the Japanese army. The ways of military training to Korean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divided into school education, social education, and military education through the institutions of military educ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these, the school education was conducted by high school dril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aspect of social education the various forms of institutions such as Korean Youth Special Camp, Youth Adult Training Center,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and conducted the basic military training, as well as educ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infused the sense of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to those who did not enter school. The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long with enforcement the Arm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38, and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ccording to enforcement of the Nav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43. As the conscription was enforced in 1944, the existing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abolished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established for the draft.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was installed directly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Korean Military Headquarters in order to mobilize the Koreans to Japanese army, which had the character as a military training institutions. The military training of the Japanese imperial to Koreans, as the war was protracted and the battlefield was expended, intended to adapt Koreans to Japanese army, when they was mobilized to it. Looking at the contents of each of the military training, after 1942 the instruction time of the school that assigned the army active officer was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otal 430 hours of school drill and 23 days of field training during 5years. And in the senior school such as trade school,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training school, Preparatory a vocational school, technical school, university, these military training of school education also involved the training time of the school drill and field training. In the case of social education to those who did not enter senior school after graduation from primary school, the regular course of Youth Training Center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350 hours during 4 years, and Korean Youth Special Camp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200 hours during 1year and conducted the labor work. Especially, Korean Youth Special Camp mobilized Koreans to army and laborers through the soft curriculum.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stalled as the military mobilization was conducted on a full scale seemed to have the primary department and art department involving the high school drill in the main education program, although we could not confirm the specific time for education.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rranged the education time for respectively 500 hours of primary education and 340 hours of art department involving directly military education for navy mobilization. The training of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volved the time for education of 39 hours per week, and Department1 involved 2months(40days in 1944), and Department2 6 months(5 months in 1944). And The time for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and high school drill was respectively 10 hours(26%) which was the very much time, through this, it was seemed to focus on the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and the military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