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학년별 문자 이해력 비교 분석

        최성규,성학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4

        본 연구는 초등부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집단별과 학년별 문자 이해력의 발달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에 재학중인 청각장애아동 120명과 건청아동 120명이었다. 두 집단의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각각 20명씩을 선정하여 한국표준수용어휘력검사를 실시하였다. 문자카드 어휘에 맞는 그림을 올바르게 짚은 정답의 숫자를 합산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문자 이해력을 집단과 학년별로 비교하였다.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은 학년의 증가에 따라 문자 이해력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청각장애아동의 문자 이해력은 건청아동의 초등부 3학년 수준까지는 약 2년 정도 지체되지만, 건청아동의 초등부 4학년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건청아동은 초등부 4학년을 기점으로 문자 이해력에 있어서 급격한 발달이 일어나지만, 청각장애아동은 급격한 발달이 초등부 6학년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의 문어지도를 위한 방법론의 재고와 함께 청각장애아동에게 적합한 지도 전략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개진되었다. The most important difficulty in the field of deaf education is how to teach literacy ability effective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vocabularies understanding is an important fundamental ability to learn the meaning of sentences and semantics in reading and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bilities of vocabularies understanding between hearing impaired and hearing children. One hundred and twenty hearing impaired and one hundred and twenty hearing children who are the first through sixth grade in elementary levels. Korean Standard Vocabulary Test material was adopted to check the vocabulary understanding ability. T-test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that (a)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showed steady and slow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vocabularies; (b) the hearing children indicated rapid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ability of vocabularies in fourth grade after third grade; and (c)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delayed about two years later in vocabulary understanding than those of the hearing children. However, the vocabularies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sixth grade hearing impaired children did not exceed fourth grade level in those of the hearing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hearing impaired children's vocabulary understanding ability is limited in hearing children's fourth grad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bicultural and bilingual approach which is a new language teaching method is adopted in the field of hearing impaired education to develop the vocabulary abilities.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재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on the self-expressionand peer-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is study, 8 children with hearingimpairment who attended a local welfare center were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Out of 16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8 were designated as a comparison group and theremaining 8 as a control group. The group therapy program ran a total of 15 sessions once or twice aweek.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stimulu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The instrumentsused in this study were a self-expression scale and peer relationship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whole categories of self-expression andthe subcategories such as spoken contents, voice and nonverbal expressions. Group art therapy without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whole categories of self-expression and the subcategory, nonverbalexpression.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whole subcategories.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peerrelationship and the subcategori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punishment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that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xpression and peer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s than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복지관에 다니는 청각장애아동 8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초등학교청각장애아동 16명을 비교집단(8명), 통제집단(8명)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2회기로 80분씩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표현척도와 또래관계척도이며,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전체와 하위요인 중 말한 내용과 음성요인, 비언어적 표현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는 자기표현 전체와 하위요인 중 비언어적 표현에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청각장애아동의 또래관계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집단미술치료는 또래관계와 하위요인 중 사회적지지,처벌주도권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에서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일반적인 집단미술치료보다 청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과 작업치료의 역할: 주제에 대한 비평

        이유나,김정란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6 No.-

        ◉ 목적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에 관한 문헌을 종합하여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감각통합에 대한 평가 및 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06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출판된 청각장애가 있는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엔진은 PubMed, Scupus, Web of science 그리고 학술지검색은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를사용하여문헌을수집하였다. 검색에사용된용어는“children”, “deaf”, “hard of heari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hard of hearing”, “hearing impairments”, “sensory integration”, “Sensory processing”와 “occupational therapy”이다. 선정된 문헌은 각 연구의 특성과 근거의 강점을 평가하여 근거수준에 따라 요약하였다. ◉ 결과 : 선정된 연구는 총 4편이며 연구참여자는 91명이었다. 청력손상이 있는 아동은 청각과 전정감각의 손상 외에도 구강감각, 촉각, 시각에서의 제한이 있어 감각통합의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초래되었다. ◉ 결론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관한 정확한 평가 및 중재의 시행이 요구된다.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analyze the study on sensory integration in children who are hard of hearing to determine the role for occupational therapy. ◉ Methods : The reviewer researched studies on sensory integr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from January 2006 to May 2015. Information was found using PubMed, Scupus, Web of science an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search terms “children”, “deaf”, “hard of heari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hard of hearing”, “hearing impairments”, “sensory integration”, “sensory processing”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reviewer each assessed study characteristics and rated study indicationwide strength of evidence. ◉ Result : There were a total of 91 participants in the 4 selected articles. The data showed that atypical behaviors were present in all domains but were most prevalent in auditory and vestibular processing, followed by oral and tactile processing and least prevalent in visual processing. ◉ Conclusion : This literature review highlights the essenti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be beneficial for planning bo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 KCI등재

        한국판 DIT를 통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 비교

        윤은희,최성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2

        This research applies the Defining Issues Test (DIT) fit for Korea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morality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who were integrated into general schools and deaf and hearing-impaired schools in the 4th, 5th, 6th grade, and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118 children (without a hearing impairment) attending general schools.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students who hav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hi-Square statistics, T-test, and the ANOVA test we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in choice of action and moral judgment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also showed variability in the direction of behavioral choices for conflict sit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ral developmental comparisons according to the moral judgment power of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hearing impaired children, except for “patients’ begging”, suggested reasons for choosing behavior opposite to that of the auditory child. Further,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eactivation of language schemes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lack of literacy, and the lack of experience with various environments for DIT using the schema theory. 이 연구는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DIT (Defining Issues Test)를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에 통합 중인초등학교 4,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청각장애아동으로 부가장애가 없는 131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동일 연령의 가청아동 118명이다. 두 집단 간 행동선택과 도덕판단력 비교는 카이제곱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및 일변량 분산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갈등상황에 대한 행동선택에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모두 행동선택의 방향이 일치되지않는 변이성이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도덕판단력에 따른 도덕성 발달 비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에게도 변이성이 나타나지만 ‘환자의 애원’을 제외하고 가청아동과상반된 행동선택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로 도식이론을 활용한 DIT에 대한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도식 비활성화의 문제, 문해력 부족,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대한 경험의 부재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고심도 청각장애아동의 빠른 연결(fast mapping) 능력 연구

        정종민(Jong Min Jung),배소영(So 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는 3 - 6세 사이의 정상발달아동 16명과 고심도 청각장애아동 17명을 대상으로 빠른 의미연결능력을 살펴보았다. 2편의 비디오를 시청하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새로운 말소리를 들려주었다. (1) 비디오를 시청하는 상황에서 정상발달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은 새로운 말소리를 어느 정도 빠르게 의미를 연결시킬 수 있는지, (2) 두 집단 간에 빠른 연결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3) 두 집단 간에 낱말유형(명사 vs. 동사)에 따라 빠른 연결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비디오 시청 후 아동의 빠른 연결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이원분산 반복측정(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정상발달아동은 총 10개의 새로운 낱말 중 46.3 %를 빠르게 의미와 연결시켰고, 청각장애아동은 34.7%의 빠른 연결을 수행하였다. (2) 두 집단 간에는 빠른 연결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며, (3) 낱말유형에 따라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정상발달아동은 낱말유형간에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청각장애아동은 동사를 명사보다 더 많이 빠른 연결을 시키고 있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fast mapping abilities of 17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16 normal children aged from 3 to 6 years old(Mean=4;6). After viewing 2 video tapes, each child heard novel words included in the stories and was asked to point to the scene that depicted a novel wor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word type and the group. Normal children fast mapped verbs as much, whereas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ast mapped verbs more than nouns In conclusion, Korea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can fast map novel words with meanings although their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hildren. Interestingly,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fast mapped verbs more than nouns. The position of Korean verbs at the end of the sentence, providing a better hearing condition, may explain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s precocious fast mapping abilities of verbs. Other variables such as cognition and syntax complexity need to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특성

        윤은희,최성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ra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 general school experience, and disability point of view by applying DIT(Defining Issues Test) fit for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who were integrated into general school and deaf and hearing-impaired schools in the 4th, 5th, 6th grade, and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students who hav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ehavioral selection and moral judgmen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hearing - impaired children were analyzed by Chi - Square test, T - test, and one - 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havioral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variables on the conflict situation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s the age of the grade increases, as the disability identity is established, the obligation to obey the law and obey the norms of the society becomes more stronger. In addition, general school experience shows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ogitation post conventiona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disability perspectives on the background developmental moral judgm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However, grade and general school experience were significant. Stage 3 developed in grade 6, and experience in general school showed particularity in stage 3. This suggests that general school experience has an impact on moral judgment. 이 연구는 한국판 DIT (Defining Issues Test)를 적용하여 청각장애아동의 성별, 학년별, 일반학교 경험별, 본인에 대한 장애관점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청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에 통합 중인 초등 4,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부가장애가 없는 청각장애아동 131명이다.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행동선택 및 도덕판단력은 카이제곱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아동의 갈등상황에 대한 배경변인별 행동선택 특성에서 남학생이 더 직관적이며, 학년별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본인에 대한 장애관점별 에서는 장애정체성이 확립될수록 법을 준수하고 사회의 규범을 따라야 한다는 의무감이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학교 경험은 인습 이후의 사고 발달에 차별성을 나타낸다. 둘째,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별 도덕판단력 발달 특성에서는 성별과 본인에 대한 장애관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학년과 일반학교 경험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 3은 6학년에 발달되며 일반학교 경험은 특히 단계 3에 차별성이 나타났다. 이로서 일반학교 경험이 도덕판단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