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탄소 중온화 첨가제 자동투입장치의 현장 적용 연구

        정규동,이진욱,이문섭,황성도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국토해양부의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 생산 및 시공 잠정지침’(국토해양부, 2010)을 지침으로 확정 하는 기준에서 중온화 첨가제의 사용기준이 중량을 계량할 수 있는 자동식 투입장비를 사용하도록 제정되고 있다. 현재의 비닐백을 사용한 인력투입 방식은 중온화 첨가제의 계량, 투입에 과다 인력이 소요되고, 투입 중의 잘못으로 생산이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아스팔트 포장의 대체를 위해서 중온화 첨가제의 자동화 투입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중온화 첨가제 투입중량의 자동기록이 가능한 자동 투입장비를 제작하여 현장 적용하였다. 투입장비는 그림 1과 같이 모듈 1과 모듈 2로 나뉘어지며, 1차저장소, 슈트, 운송장치, 사이클론, 2차저장조, 계량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모듈 1은 1차 저장소, 슈트, Blower, 유출구, 연결호스, 컨트롤 패널을 한 개의 모듈로 묶어 이동 및 설 치가 용이 하도록 하였으며, 1차 저장소의 중온화 첨가제가 슈트를 통해 블로워의 바람으로 플랜트로 압 송되도록 되어 있다. 모듈 2는 사이클론, 2차 저장조, 계량조 순서로 일체화된 박스로 제작되었으며, 플 랜트의 믹서 윗 층에 위치한다. 1차 저장소에서 압송된 중온화 첨가제가 사이클론 방식으로 2차 저장소에 모아지며, 이동식 컨트롤 패널 또는 플랜트 오퍼레이팅실에서 입력한 중량으로 계량된다. 계량은 로드셀을 이용하여 계량조 하단부의 믹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자동 개폐 밸브 설치하였다. 2차 저장조에 중온화 첨가제의 양이 30% 이하면 자동으로 Roots Blower 를 가동하여 90% 까지 중온화 첨가제를 채운다. 부산시 아스팔트 플랜트에 적용한 결과 계량이 원활하게 이루어졌으나 1차 저장소 하단 부분에서 중온 화 첨가제의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중온화 첨가제의 형상을 변경하였으며, 유출구의 크기를 크게 증가 시켰다. 또한, 중온화 첨가제가 500kg 이상이 저장될 경우 여름철에 막히는 현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1차 저장소에 부분적인 압밀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보완하고 있다. 중온화 첨가제는 아스팔트 함량의 1.5%가 사용되므로 계량의 정밀도가 중요하며, 현재의 시스템은 목 표하는 정밀도을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방식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중온화 첨가제가 지속적인 열과 압력에 노출되어 뭉치는 원인을 현장 적용을 통해 해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식 첨가제의 투입을 위한 표준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EPDM 고무의 첨가제에 따른 가류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수(Soo Lee),배정수(Joung Su Bae)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1

        화학 관능기가 다른 지방산 에스터계, 지방산 금속염 및 아마이드계 분산 및 흐름개선 첨가 제가 EPDM과 카본블랙을 충전제로 사용한 고무 배합물의 가류 특성과 가류된 고무 배합물의 기계적 물성 및 노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니점도계, 레오미터, 경도계, 만능재료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125 o C에서 측정된 무니점도는 아마이드계 > 금속염계 > 에스터계 첨가제의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코치시간은 에스터계와 금속염계 첨가제는 첨가 유무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조금 늦어 지며, 아마이드계 첨가제는 1분 이상 빨라졌다. 160 o C에서의 레오미터 측정 결과 가류시간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가류반응이 빨리 진행되었다. 델타토크 값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에스터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는 약간 감소하였다. EPDM 배합물의 인장강도는 에스터계 첨가제가 첨가된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아마이드계와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신율의 경우는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나머지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인열강도는 첨가제의 첨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에서 확연히 상승하였으며 경도는 첨가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100 o C에서 24 시간 열노화시킨 EPDM 배합물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신율의 변화는 첨가제를 함유한 모든 EPDM 배합물이 10-2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Effect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dispersions and flow improving additives composed with fatty acid esters, fatty acid metal salts and amide compound on the vulcanizatio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properties of rubber compounds of EPDM and carbon black as fillers. were investigated using Mooney viscometer, moving die rheometer, hardness tester, and universal test machine. The aging characteristics of vulcanized EPDM compounds were also investigated. The Mooney viscosity measured at 125 o C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order of amide type> metal salt type > ester type additive. Scorch time showed little or no difference with the addition of ester or metal salt type additives, but the amide type additive shortened a scorch time more than one minute. Rheological measurement data obtained at 160 o C showed that the vulcanization time was faster for metal salt type and amide type additive systems. Delta torque values of EPDM compound increased with metal salt type and amide type additives, but slightly decreased with ester type additiv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PDM compound was greatly improved when an ester type additive was added, but the amide type or metal salt type additive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 elong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metal salt type additive, while the res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tear strength of the EPDM compound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ll kinds of additives, and it increased remarkably in the case of metal salt type additive. Hardness of the EPDM compounds was nearly same value regardless of additive types. The thermal aging of the EPDM blend at 100 o C for 24 h showed little change in the case of metal salt type or amide type additive, but the elongation tends to decrease by 10-20% for all EPDM compounds containing additives.

      • KCI등재

        첨가제가 배접용 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콩, 석회, 황랍, 백반 첨가제를 중심으로

        백영미,조경실,이영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풀을 조제하여 배접하는 경우 첨가제가 풀의 성질 및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향후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용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에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類全集), 다능비사(多能鄙事), 죽여산방잡부(竹嶼山房雜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반과 황랍을, 장황지(裝潢志)와 제민요술(濟民要術)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회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그 특성 즉, 점도, pH, 유연성, 박리강도, 항균성, 방미성, 보존성 등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첨가제 고유의 특성이 풀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반은 유연성을 증가시켰으나, 점도, 접착강도, pH는 감소시켰으며, 황랍은 유연성, 점도, 접착강도, pH를 모두 감소시켰으며, 석회는 유연성, 점도, pH, 접착강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raditional paste materials and additives for investigation were selected through careful literature survey. We used the immersed glutinous rice flour, soybean as a traditional paste materials and a yellow wax, alum, and lime as additives. The effect of additives on viscosity, pH, adhesive strength, flexibility, antibacterial activities, mildew resistance, and conserva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viscosity, pH, and adhesive streng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ditives. Alum increased flexibilty but decreased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Yellow wax deceased flexibilty,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Lime increased flexibilty,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The conservation properties increased by adding all additive. The present work was therefore carried out with the objective of offering the base datum for keeping traditional papers and textiles using traditional paste.

      • 첨가제 펠릿을 이용한 목재 펠릿보일러의 타르 감소와 열효율 분석

        주상연 ( Sang Yeon Joo ),정인선 ( In Seon Jeong ),김민준 ( Min Jun Kim ),오광철 ( Kwang Cheol Oh ),이상열 ( Sang Yeol Lee ),조라훈 ( La Hoon Cho ),박선용 ( Sun Yong Park ),이서현 ( Seo Hyeon Lee ),이충건 ( Chung Geon Lee ),김대현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화석에너지 사용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과 자원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목재펠릿은 ‘탄소중립(Carbon Neutral)’ 연료로써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대응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 시 발생되는 타르는 낮은 온도에서 연소실과 배기관에 응축 및 축적되어 열교환이 일어나는 표면의 열전달을 줄이고, 부식 및 침식을 일으켜 장비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르를 저감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는 첨가제를 펠릿에 혼합, 실험을 진행하였다. 적용된 첨가제는 백운석과 석회석으로써 바이오매스 가스화 시생성되는 타르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물질로 나타났고 상위 단계의 타르가 하위 단계의 타르로 분해되어 건조개질과 증기개질 반응을 촉진 시켜 재의 용융 온도를 높이고 생성되는 침전물, 슬래그 등을 감소시킨다. 실험을 위해 목제펠릿 제조 시 백운석 2%, 석회석2%, 백운석 석회석 각각 1% 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작되었다. 단위 시간별 동일한 외부환경(산화제량, 부하, 주변온도, 펠릿소비량)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고형 첨가제가 첨가된 펠릿으로 보일러의 타르 감소 및 열효율 성능 비교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첨가제 펠릿의 열효율은 기존 목재펠릿대비 석회석2%와 석회석1%, 백운석1% 각각 1.79%, 5.02% 상승 된 것을 확인하였고 석회석1%, 백운석% 각각의 첨가제 펠릿이 목재펠릿 보일러의 열효율 증가를 위한 효과적인 첨가제로 판단되었다. 또한 석회석2%의 경우 단위면적당 타르의 양이 0.06 g/cm<sup>2</sup>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광물질 첨가제가 한우 번식우 바닥의 화학적 성분, 미생물 성상 및 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주영호,이성신,노현탁,최정석,정승민,최성운,김삼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미네랄 첨가제가 한우사 바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경남 진주시 소재 한우 번식우 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우방당 미네랄 첨가제를 5 ㎏ 첨가하였으며, 시험구로는 무첨가구(CON); bentonite 시험구(BN); illite 시험구(IL); 및 fly-ash 시험구(FA)로 두었다. 각각의 시험구로 4개의 우방을 이용하였으며, 우방당 5마리 한우 암소를 공시하였다. 미네랄 첨가제를 처리한 후 각 우방당 5곳에서 0, 7, 14, 21 및 28일에 우분을 채취하였다. 샘플은 건물, 발효특성, 미생물 성상 및 가스 발생량 분석에 이용되었다. 전 기간 동안 건물과 acetate 함량은 미네랄 첨가제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무첨가구에서 7, 14 및 28일에 유기물 함량은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은 가장 낮았다 (p<0.05). IL 시험구에서는 14, 21 및 28일에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IL, BN 및 FA 시험구에서는 각각 14, 21 및 28일에 무첨가구보다 대장균이 낮았다(p<0.05). FA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살모넬라 수가 가장 높았다(p<0.05). IL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암모니아 발생량이 가장 높았고 (p<0.05), 황화수소는 전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28일간 결과값을 평균하였을 때, 무첨가구에서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이 가장 낮았다(p<0.05). IL 시험구에서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BN 시험구는 ㏗가 가장 높았다(p<0.05). 대장균 수는 IL 시험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살모넬라 수는 무첨가구 보다 IL과 FA 시험구에서 더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광물질 첨가제는 분 중 가스 발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illite와 fly-ash 처리 시에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ineral additives on Hanwoo manure in barn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Hanwoo cow Farm. The manure in barns was applied with mineral additives at 5 ㎏/barn following: without additives (CON); bentonite (BN); illite (IL); and fly-ash (FA). Each treatment used 4 barns as replication and each barn contained 5 cows. After mineral additives were spread, the manure in barns was sub-sampled from 5 sides of pen at 0, 7, 14, 21 and 28 days. The sub-samples were used for analyses of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counts and gas emissions. The concentrations of dry matter (DM) and acetic acid were not affected by mineral additives on all days. CON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p<0.05) but lowest concentrations of crude ash (p<0.05) at 7, 14 and 28 days. IL barns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total N (p<0.05) at 14, 21 and 28 days. IL, BN and FA barns had lowest Escherichia coli (E. coli) than CON barn (p<0.05) at 14, 21 and 28 days, respectively. FA barn had highest Salmonella (p<0.05) at 28 day. IL barns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ammonia-N gas (p<0.05) at 28 day. On other hand, hydrogen sulfide gas was not detected on all daysz. In the mean of results for 28 days, CON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p<0.05) but lowest concentrations of crude ash (p<0.05). IL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total N (p<0.05) and BN barn had highest ㏗ (p<0.05). E. coli was lowest (p<0.05) in IL barn and Salmonella were lower (p<0.05) IL and FA barns than CON barn. In the present study, the mineral additives did not affect the gas production of cow manure, but the pathogenic microbes such as E. coli were inhibited by illite and fly-ash.

      • KCI등재후보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에 의한 주석산화물이 도핑된 In2O3(ITO: Indium Tin Oxide)의 분말 제조에 대한 연구

        김상현(Sang Hern Kim) 한국유화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indium tin oxide) 입자들은 인듐과 틴의 수용성 전구체들과 유기 첨가제를 분무 열분해하여 얻었다. 유기 첨가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을 이용하였다. 분무 열분해 시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얻어진 ITO 입자들은 구형이며 속이 꽉찬 형태를 가지는데 비해 유기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무 열분해를 하면 얻어지는 ITO 입자들은 유기 첨가제의 양이 증가 할수록 껍질이 얇고 다공성이 증대된 중공 입자가 얻어진다.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분무 열분해를통해 얻어지는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oC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전환되지 않으나, 유기첨가제를 첨가하고 분무 열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마이크 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oC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 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쉽게 전환되었다. 응집된 나노 크기의 ITO의 일차 입자의 크기를 Debye-Scherrer 식에 의해 계산하였고 ITO 입자를 압축하여 만든 펠렛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The micron-sized ITO(indium tin oxide)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aqueous precursor solutions for indium, and tin and organic additives solution. Organic additives solution with citric acid(CA) and ethylene glycol(EG) were added to aqueous precursor solution for Indium and Tin. The obtained ITO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the aqueous solution without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spherical and filled morphologies whereas the obtained ITO particles with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more hollow and porous morphologies with increasing mole of organic additive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 organic additives was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wherea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out organic additives was not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after post-treatment at 700oC for 2 hours and wet-ball milling for 24 hours. The size of primary ITO particle by Debye-Scherrer formula and surface resistance of ITO pellet were measured.

      • KCI등재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에 의한 주석산화물이 도핑된 In2O3(ITO: Indium Tin Oxide)의 분말 제조에 대한 연구

        김상헌 한국유화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indium tin oxide) 입자들은 인듐과 틴의 수용성 전구체들과 유기 첨가제를 분무 열분해하여 얻었다. 유기 첨가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을 이용하였다. 분무 열분해 시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얻어진 ITO 입자들은 구형이며 속이 꽉찬 형태를 가지는데 비해 유기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무 열분해를 하면 얻어지는 ITO 입자들은 유기 첨가제의 양이 증가 할수록 껍질이 얇고 다공성이 증대된 중공 입자가 얻어진다.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분무 열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전환되지 않으나, 유기첨가제를 첨가하고 분무 열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 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쉽게 전환되었다. 응집된 나노 크기의 ITO의 일차 입자의 크기를 Debye-Scherrer 식에 의해 계산하였고 ITO 입자를 압축하여 만든 펠렛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The micron-sized ITO(indium tin oxide)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aqueous precursor solutions for indium, and tin and organic additives solution. Organic additives solution with citric acid(CA) and ethylene glycol(EG) were added to aqueous precursor solution for Indium and Tin. The obtained ITO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the aqueous solution without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spherical and filled morphologies whereas the obtained ITO particles with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more hollow and porous morphologies with increasing mole of organic additive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 organic additives was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wherea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out organic additives was not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after post-treatment at 700℃ for 2 hours and wet-ball milling for 24 hours. The size of primary ITO particle by Debye-Scherrer formula and surface resistance of ITO pellet were measured.

      • 첨가제가 Mn-Zn Ferrite의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창현 가야대학교 2005 가야대학교 논문집 Vol.14 No.-

        Mh-Zn 페라이트에 SiO₂와CaO를 첨가제로 첨가하고 이들이 미세구조와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SiO₂를 단독 첨가하였을 경우 첨가제량을 100ppm, SiO₂/CaO를 복합첨가한 경우는 첨가량이 100/200ppm일 때 높은 초투자율값을 얻을수 있었다. 미세구조 특성은 SiO₂를 단독첨가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입성장을 보였으며, 과잉첨가시 비정상입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O를 단독첨가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구조의 변화는 없었다. 복합첨가시 SiO₂/CaO 첨가량이 100/200ppm일 때 균일한 미세구조를 보였다. 상대손실계수(tanδ/μ_(i))는 CaO를 단독으로 첨가했을 경우 상온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this experiment, well-known additives for Mn-Zn ferrites, CaO and SiO₂ were added at amount of content and effects on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examined. The high initial permeability is obtained when SiO₂ 100ppm is added only and SiO₂/CaO, 100/200ppm is added. Properties of microstructure are observed abnormal grain growth by adding SiO₂ solely and control effect of abnormal grain growth as additives of an excess. In the case of added CaO soley as the additive, there is no change in the micorstructure as the amount of CaO increase. As amount of additives SiO₂/CaO, l00/200ppm, the uniform microstructure are observed. In the case of adding CaO solely, the tanδ/μ_(i) is showed low quality at room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육계사료 내 사료첨가제가 계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윤병선,Youn B.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3

        첨가제 선택을 위한 목적으로 성장단계별 육계 사료에 햄 철 성분, 규산염, 설탕 제조 부산물, 목초액을 첨가하여 실시한 첨가제 비교시험에서, 사육성적은 동일한 계사 내에서도 환경조건이 좋은 위치에서 사육된 대조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좋은 성적을 보여 사육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시험구중에서는 햄철 성분 첨가구가 증체량이 많았고 규산염 첨가구의 증체성적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설탕 제조 부산물의 메틸기 절약 효과는 사육시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져 다른 첨가제의 효능보다 낮았다. 사료효율은 첨가제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구의 공간 배치 잇점으로 사료 섭취량이 적고 체중증가가 커서 사료 요구율이 낮았고, 시험구 중에서는 목초액과 햄철 성분 첨가구가 거의 동일한 사료효율을 보였다. 축산연구소에 의뢰한 육질 평가에서는 사육성적이 좋았던 대조구를 제외한 시험구 중에서는, 규산염 첨가구의 보수성이 가장 좋았으나 가열 감량이 많아 도계 후 제품의 실중량이 작아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상품화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사려된다. 대조구를 제외한 시험구 중에서는 햄철 성분함유구가 전단력과 가열감량, 조지방 함유량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고, 회사에서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와 사육성적을 고려하였을 때, 햄철 성분이 함유된 첨가제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mprovement of meat quality in broiler chcikens. Birds were fed basal diet(control), ferritin, illite, betafin, or wood vinegar counting broiler feed according as broiler growth stage. Birds fed with basal diet, which was distributed under the best environmental condition, were more weight gain than other groups reared under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mean weight gain, the ferritin-group showed the highest and the illite-group showed the lowest among the feed additive groups; therefore, the effect of feed requirement change in odor reduction in illite and methyl saving of betafin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feed additives along to pass rear time. Meat quality was appraised by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of RDA. Except the control-group, that had the best feed conversion ratio, the cooking loss of the illite-group was the biggest among groups although the illite-group chickens had a good water hold capacity. Therefore, illite is not good for making merchandise by reason that group chickens get reduction carcass weight after slaughter. On the other hand, the ferritin-group got the highest point of shear stress, cooking loss, and crude fat level. That group showed the best appraise in both breast and leg of sensory test in company and also feed conversion ratio was the highest among feed additive groups. As a result, the ferritin-group might use for making new merchandise among the feed additive groups.

      • KCI등재후보

        퇴비화 첨가제의 공기투과성에 대한 분석

        김병태 유기성자원학회 2012 유기물자원화 Vol.20 No.3

        국내에서 퇴비화 첨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톱밥과 목편(woodchip)으로서, 이들 첨가제는 주로 적정 수분함량 및 C/N비의 조절에 주안점을 주고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톱밥과 목편(woodchip)은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첨가제의 공기투과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 첨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톱밥과 목편(woodchip)의 혼합비율에 따라 용적밀도, 수분함량, 공기공극, 입자크기, 공기유속 등이 공기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모든 첨가제에서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공극율은 감소하고 입자크기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목편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효과는 더욱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공기공극율과 수분함량은 선형의 관계로서 공기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건조수분함량 0.25∼0.43(d.b.)(습윤수분함량으로는 20∼30%) 이후의 구간에서는 공기공극율이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압력손실이 감소함으로써 공기투과성이 개선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입자크기가 5 mm로 커질 때까지 압력손실은 지수적으로 감소하여 공기투과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있다. 이는 수분함량 증가에 따라 미세입자가 입단화됨으로써 대공극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공기이동성이 원활해 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첨가제의 입자크기가 공기공극율이나 수분함량에 비하여 공기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았으며, 퇴비화시에는 초기 입자크기를 5 mm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적합하다. Common bulking agents in composting system include woody materials such as sawdust and woodchips. These bulking agents are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the proper control of C/N ratio and moisture content in the composting. The topic for the effect on air permeability of bulking agents has far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the composting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ulk density, moisture content, air-filled porosity, particle size and air flow rate on air permeability of several mixture ratios of sawdust and woodchip bulking agent. Increasing the moisture contents, the air-filled porosity was decreased and the particle size was increased for all kinds of bulking agent mixtures.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of mixing ratio of woodchip, these effects were sharply magnified. The air permeability respond to air-filled porosity was very similar to that for moisture content which was anticipate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air-filled porosity and moisture content. Above the region of moisture content 0.25 or 0.43(d.b.)(20 or 30% w.b.), the pressure drop decreased even though air-filled pore spaces were filling with water. Especially, to the particle size of 5 mm the pressure drop was decreased exponentially, so the air permeability was dramatically improved. By the water had the role of binding of the small particles, the macropores less resistances to air flow were created in the matrix.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air permeability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air-filled porosity or moisture content. And it is needed the preparing of initial particle size above 5 mm for efficient compo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