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복 · 이규경의 이마두 《천주실의》 인용 양상 비교 검토

        노용필(Noh, Yong-Pi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이마두(Matteo Ricci, 1520~1610)의 《천주실의》를 인용하여 저술한 안정복(1712~1791)과 이규경(1788~1856)의 글에 나타난 그 인용의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마두의 초기 저술들에 대한 조선 후기 수용의 역사 전반을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안정복은 그의 저술에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직접 인용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저술에서 재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 가운데 그 자신의 대표적 천주교 비판 저서로 정평이 나 있는 〈천학고〉 자체에서 《천주실의》를 유일하게 직접 거명하고 그 내용을 인용하였으나, 그 내용을 《천주실의》 원문 전체를 전산 입력 후 검색 기능을 통해 일일이 대조해본 결과 적지 않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한편 이규경은 〈척사교변증설〉에서 《천주실의》를 인용함에 있어서 그 양상은 3가지이다. 첫째는 중국 명나라 사조제의 《오잡조》를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음이다. 셋째는 정하상의 취조 내용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재인용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결국 이렇듯이 이규경은 《천주실의》를 한 번도 직접 인용한 적은 없었다. 비록 그럼에도 《천주실의》의 전체 중에서도 ‘인혼’ 문제의 규명 및 설파에 설정된 제5편 (23)항이 안정복과 이규경의 저술에서 유일하게 공통된 인용 항목이었다. 그리고 이는 특히 그 제3편의 전편에 걸친 핵심 주제가 다름이 아닌 ‘인혼불멸론’이었다는 사실과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써 안정복의 〈천학문답〉 등에서 전면적이면서도 정면으로 행해진 천주교 비판에 있어서나, 이규경의 〈척사교변증설〉에서 ‘척사교’의 실상을 자세히 소개함에 있어서나, ‘인혼’의 불멸 문제를 《천주실의》에서 인용해서 화두의 중심으로 삼았음이 확연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quotation in the writings of An Jeong-bok(1712~1791) and Lee Kyu-gyeong(1788-1856) authored by quoting Matteo Ricci’s(1520~1610) T’ien-chu Shih-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use the outcomes as part of work illuminating the overall history of how the late Joseon dynasty accommodated Matteo Ricci’s early books. In his writings, An Jeong-bok sometimes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T’ien-chu Shih-i and in other times he requoted from other writings. Of these, Cheonhakgo - credited as his representing criticism on Catholic Church - directly mentioned T’ien-chu Shih-i uniquely and quoted its content. As a result of one-by-one comparison of the whole text using search function after putting it into the computer, the study foun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quotations. On the other hand, three aspects were revealed when the study examined how Lee Kyu-gyeong quoted T’ien-chu Shih-i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First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Fivefold Miscellany of Xie Zhaozhe during the Ming dynasty. Secon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Lee Su-kwang’s Jibong Yuseol. Thir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detail of interrogation of Jeong Ha-sang. As such, Lee Kyu-gyeong never directly quoted T’ien-chu Shih-i. Yet, what was in common uniquely in quotations of the writings of An Jeong-bok and Lee Kyu-gyeong was Part 5 Section (23) out of whole T’ien-chu Shih-i - investigating and elucidating the issue of ‘human soul’. And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argument for ‘Human soul never perishes’ was the central theme throughout Part 3 in particular. So, it’s certain that the issue of immortality of human soul was the central theme of the writings of these two scholars by quoting from T’ien-chu Shih-i whether from An Jeong-bok’s all out and straightforward criticism on Catholicism in his Cheonhak Mundap or from Lee Kyu-gyeong’s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actual state of ‘Cheoksagyo’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 KCI등재

        『천주실의』에 대한 문학적 접근

        최창익(Choe, Chang Ie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사용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천주실의의 발화자가 어떤 위상을 점하는지를 밝힌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천주실의에 대해 사상적·종교적·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천주실의를 문학적으로 살펴본다. 이 작업을 위해 문학이론인 ‘스카즈론'을 사용한다. 스카즈론이란 러시아문학이론이다. 스카즈가 ‘1. 설화, 이야기 2. 구비문학 중의 이야기, 설화' 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소설의 소통 상황인 "작가-서술자-독자"의 구조를, "작가-화자-청자-독자"의 구조로 특정화하여, 각자 독자적인 인격체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품 내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문학적으로 살펴본 천주실의의 구조는, 동양에 대한 우월감을 지닌 서양인이, 동양에 서양을 이식시키려는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실의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최초 맹아를 발견한다. 리치는 동양을 서양에 비해 사상적으로 열등한 대상으로 보고, 이 문화를 서양의 방식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래서 리치를 동양을 선교적 정복과 개조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오리엔탈리스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이 문학적 양식으로 표출되는 최초의 방식을 확인한다.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esedent research from philosophical `religious’ cultural viewpoint about Lord of Heaven disappointment mainly in virtue study. But, in this paper, examine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literary. And it used ‘Skaz-theory' that is literature theory for this work. Structure of thousand cubital cells that examine literary in this learning can see as first attempt that Westerner who have sense of superiority for East see, and transplant West on East. Therefore, we find first bud of orientalism of cloth cubital cells. Matteo Ricci sees East on target who is skinny from though than West, and I wished to change this culture to European method. So, we can see Ricci on first Orientalrist that see East as formal attire and target of reconstruction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we confirmed foremost way that orientalism is expressed as literary western form through this writing.

      • KCI등재

        天主와 理氣의 관점에서 본 동학과 서학의 사상적 접변 양상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5 泰東古典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적 연관관계를 동서사상의 만남과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마테오 리치의 천주 및 이기와 최제우의 천주 및 지기(至氣), 리의 의미 사이의 교착하는 양상을 해명하였다. 먼저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는 사물의 궁극적 원인이 되는 자립적 존재로서 만물에 편재하면서도 능동인과 목적인으로서 사물을 초월하여 이들을 낳아 기르는 특성이 강조된다. 반면에 최제우가 말하는 천주는 지기의 영명성을 가지고 사물에 내재함으로써 기(氣)와 필연적인 내적 연관성을 가진다. 또한 마테오 리치에서 리(理)는 영명한 지각능력과 주재력을 가지지 못하는 단순한 속성으로서 실체로서 사물에 의지해 있는 의뢰자인 반면, 기는 사물을 이루는 질료적 특성을 가지고 속성으로서 의존적으로 생멸하는 존재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와 이기 사이의 실체 속성 간의 관계는 어떤 필연적인 연관을 가지지 못하는 우연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최제우는 리에 대하여 인간의 도덕적 세계를 넘어서는 자연의 음양동정, 소식영허와 같은 자연세계에서의 법칙으로서 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지기는 영명성과 함께 능동인 목적인으로써의 자율적인 운동성과 주재성을 가지는 것으로 천주의 내재적인 실체가 됨으로써 천주와 필연적 연관관계를 갖는다. 요컨대, 마테오 리치의 천주와 이기관은 불완전하고 우연적인 사물 세계가 은총을 매개로 하여 완전한 선의 이데아로서 천주를 지향하여 그것을 모방하고 닮음으로써 천상 세계의 완전성에 참여하는 상달(上達)의 방향을 강조하였다. 반면 최제우에서 천주는 지기가 영명성을 가지고 창창(蒼蒼)하게 사물에 내재하는데, 인간이 이를 모시는 ‘시천주(侍天主)’를 통하여 지기를 화기(和氣)로 현실에 화현(化現)하고자 한다. 이 점에서 그의 천주이기관은 시천주를 통하여 지기를 아래로 실현한다는 의미에서 하달(下達)의 방향을 강조하는 세계관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천주이기관은 초월성과 내재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기반 위에서 천주와 이기 개념을 중심으로 초월성과 내재성, 우연과 필연, 실체와 속성, 자립적 존재와 의존적 존재, 인격성과 비인격성 등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런 기준에서 상대적인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 상호간 의미 지평이 엇갈리면서 교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stalemate aspect between the Lord of Heaven[天主] and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f Matteo Ricci and Choi, Jewoo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meeting and collis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First of all, Matteo Ricci emphasized characteristic being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simultaneously transcending and cultivating things as the efficient and final cause having the status of the self-reliant existence which becomes the ultimate cause of all things through the Lord of Heaven. On the other hand, the Lord of Heaven Choi, Jewoo said has a necessary connection with material force by being inherent in things with numen of supreme vitality[至氣]. Also, while principle in Matteo Ricci is relier which depends on the substantive thing as simple attribute doesn’t having numinous perception ability and control power, material force is existence produced and dissipated as attribute with material feature constituting thing. Summing up, in Matteo Ricci correlation between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only an accidental relationship less any sort of necessary connection. Whereas in Choi, Jewoo principle means an immutable law such as movements of yin and yang and growth and extinction, filling and emptiness of nature transcending the moral world of man. But supreme vitality has autonomous motility and control including the efficient cause and the final cause and has necessary relationship with it by becoming the inherent substance of the Lord of Heaven. In brief, the theory of Matteo Ricci’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emphasized direction of p​rogress upwards[上達] through which one participates in integrity of heaven world by defective and accidental things emulating the Lord of Heaven as idea of complete goodness carried by grace. While in Choi, Jewoo supreme vitality[至氣] as essence of the Lord of Heaven being brightly inherent in things, it can be embodied supreme vitality[至氣] as harmony vitality[和氣]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侍天主]. In this point, his theory of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s p​rogress downwards[下達] at the meaning that the Lord of Heaven realizes supreme vitality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 In this respect, Matteo Ricci and Choi, Jewoo’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can be understood in an aspect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coincidence and necessity, substance and attribut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nd in this standard world view of them can be ankylosed each other over alternation of mutual meaning horizon according to distinction of relative emphasis point.

      • KCI등재

        천주가사의 어조와 서술방식 연구 -18세기말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7 No.-

        Literature is one of the art work that use language as a tool to express life and reflect the epoch. Lyrics as one of the way of literature may play the role as a means that put human and society. Since it is religious lyrics, Cheonjugasa is based on the religious values instead of rational judgements or objective persuasions. Despite some limitations as literary works, there is no doubt to be one of the part of the poetry literature. It contains attitudes about life and recognition about human being as traditional literature. Therefore, Cheonjugasa needs to be studied as a part of literature, and individual analysis is required to find the literary values. As a lyrics of late Chosun, a statute characteristics from expression technique and rhetorics need to be studied. Cheonjugasa is a part of lyric literature consisted of 3.4 jo or 4.4 jo 4 metre written by Catholic. Its contents includes the expression of godliness of Catholic believers. This study analyzed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Cheonjugasa" works which appeared at the first time in 18th century. Ancestors of Catholic tried to strengthen the lives of believers through Cheonjugasa, and it had important roles of revealing the teaching and meaning of early catholic church. At first, when yangban accepted Catholic as a study, it was regarded not as a learning field but as a religion, and Western Learning was regarded as a monster. It may be the extension of the gentry lyrics to the ordinary people in late Chosun. Since the lucid logic based on life was expressed, Cheonjugasa may have the role as the persuasive didactic literature. 이 글은 天主歌辭와 反天主歌辭인 闢衛歌辭를 대상으로 가사 작품의 어조와 서술 방식을 분석하여 조선조 후기 가사의 흐름을 살피고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천주교가 본격적으로 박해를 당하기 이전의 작품들이기에 신앙을 지키고자 하는 처절한 절규나 교리의 가르침을 정확하게 깨우치기보다는 천주교 신앙의 가장 근본이 되는 내용을 유교의 이념과 덕목에 견주어서 표현하고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조선 사회는 성리학이 지닌 모순을 뛰어넘기 위한 대안으로 실학을 등장시켰으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서학과 과학 문명은 조선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조선 사회의 기초가 흔들리고 민중들의 불만이 표출되면서 천주교의 평등사상은 보통 사람들에게 환영받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과 맞물리면서 조선조 후기에 모습을 드러낸 종교가사로서의 천주가사는 가사문학의 하위갈래이며, 가사라는 양식을 문학적 토양으로 하여 창작되었다. 18세기말 조선이라는 특수한 시간과 공간 안에서 낯선 사상이 낯익은 노래 양식과 만나서 내용상으로는 논증의 과정을 거치며 창작된 것이 18세기 말의 天主歌辭와 闢衛歌辭 작품이다. 이들 가사 작품은 작가 자신이 겪은 체험을 불러내어 새로운 공감의 장을 만들기도 하고 나누기도 했다. 문화 융합의 관점에서 볼 때, 천주가사가 지닌 내용들은 노래를 통해서 독자나 청자에게 체험을 나누며 긴장과 일치를 느끼게 하는 역할까지도 해내고 있다. 천주교의 핵심 교리를 짧은 노래로 전하려 했던 「天主恭敬歌」와 구약성서 십계명의 가르침을 토착 언어와 서민들의 일상을 바탕으로 표현했던 「十誡命歌」, 「天主恭敬歌」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지었던 「警世歌」를 꼼꼼하게 살피는 것은 조선 후기 가사 작품의 본질을 찾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본다. 또한, 闢邪衛正을 주장하며 五倫歌의 짜임에 따라 조목조목 천주교의 가르침을 비판했던 「尋眞曲」과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철학적 사유의 과정을 이야기로 풀어나갔던 「浪遊司」는 유학자의 입장에서는 금수만도 못한 천주교의 도리를 비판적 시각으로 표현하고 있다. 천주가사는 유학자들의 미의식이 반영되었던 사대부 가사가 지니고 있는 군주에 대한 생각과 이념을 천주로 대체하여 전통 양식에 새로운 종교적 가치와 이념을 담은 문학작품이다. 가사작품의 어조와 서술방식을 분석하면서 얻은 결과는 시가문학의 본질이자 가사의 본질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떤 방식으로 공유되고 확장되었느냐하는 데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 KCI등재

        ‘천주’ (天主)와 ‘상제’ (上帝): 다산 정약용에서의 천주교와 유교 그리고 정치적 사유

        김석근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Tianzhu[天主] was a translated word and a new term. It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Latin word 'Deus', which means God. When Matteo Ricci’s 『天主實義』 was published in China, it became a Chinese character.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intellectuals, ‘Tian’[天] was enough.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re connected in Dasan Jeong Yak-yong, and how ‘Political thinking’ works in his life and thoughts. In the Confucian Joseon society, Jeong Yak-yong declared a break from ‘Western Studies’[西學], Catholicism. He couldn't use the term 'Tianzhu'. But through his experience in Western Studies, he accepted the attributes of a personal God, that is, omnipotence, and ubiquitous being. Jeong Yak- yong's perception is meant to be a criticism of the real world he encounters every day. He realized that the traditional moral system, in other words, Neo Confucianism[朱子學] based on Li[理] and Taegeuk[太極], was not able to control the World no longer. It can be said to be a ‘Confucian theology’ that reconstructed Confucianism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personal God. 이 글은 다산 정약용에서 ‘천주교’와 ‘유교’가 어떻게 이어지고 있으며, 또 그속에서 ‘정치적인 사유’는 어떻게 작동했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천주교를 통해서 무엇을 알게 되었으며 어떤 지적인 자극을 받았는가, 그리고 그와 관련해서 정치적 사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마리로 ‘天主’와 ‘上帝’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天主’는 번역어로서 새로운 조어(造語, coinage)였다. 라틴어 'Deus'를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天主實義』를 통해서 한자어로 자리잡았다. ‘天主’는 곧 ‘上帝’라는 식으로 설명했다. 상제는 중국 고전에 나오는 단어였다. 다산은 현실 속에서 천주교, 서학과의 단절을 선언했다. 그는 ‘천주’라는 용어를 쓸 수 없었다. 하지만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얻을 수 있었다. 그는 마테오 리치의 ‘천주’(혹은 ‘상제’)관을 참조하면서도, 인격적인 상제, 전지, 전능, 편재한 상제의 속성만을 받아들였다. 그는 삼라만상을 주재하고, 안양하며, 실질적으로 감독하는 상제를 상정했다. 그 같은 인식은 유교라는 큰 틀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주재자, 인격신 상제[제3의 인격신]를 도입한 유교적 신학체계라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현실에 대한 ‘비판’임과 동시에 다산의 거시적인 정치적 사유의 일단을 보여주는것이기도 했다.

      • 한국천주교회 설립과 그 주역들에 대한 교회법적 고찰

        최인각(Choi, Inga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8 No.-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조선천주교회는 1779년부터 1835년까지 56년간이나 성직자 없이 평신도들이 세웠으니, 이들이 마땅히 조선천주교회의 창립자들이라 불려야 한다.”라고 강론에서 밝혔다. 이는 한국인 스스로 신앙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가톨릭사회를 구성하고 조직하며 교황 및 그의 친교 안에 있는 주교들에 의해 통치되는 교회로 설립되었음을 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강학과 이승훈의 세례와 그 세례가 이루어지기까지의 경위, 이 과정에서 드러난 이벽의 중요한 역할, 신앙집회, 을사박해, 가성직제도, 천주교 전파, 제1차 성직자 영입운동, 제사문제, 여러 박해, 제2차 성직자 영입운동 등, 평신도에 의해서 이어지는 과정 ‘56년간’을 모두 한국천주교회의 설립 과정으로 본 것이다. 교회법에서 제시하는 교회 선교활동의 고유하고 최종적인 목표 중 하나는 교회를 세우고 심는 것이다. 이 선교활동의 대부분은 선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런데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에 실질적인 역할을 한 이들은 선교사들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공부하고 노력하며, 심지어 박해를 거쳐 순교까지 하면서, 성직자 없이 자체적인 선교활동을 한 평신도들이다. 이런 자체적인 선교활동을 통해 눈에 보이는 교회를 완전하고 독립적으로 심은 때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836년으로 본 것이다. 이렇게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은 성령의 감도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면은 ‘하느님의 섭리’로 인한 것이고, 그 결과 ‘하느님께서 이루신 기적’으로 열매 맺었다.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자들은 그리스도와 합체되고, 교회와 합체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그리하여 한국에 천주교회를 심는 데 목숨을 바치는 수고를 다 하였다. 이러한 원천은 그들이 간직한 신망애의 삶이었다. 그 중심에는 이벽, 이승훈, 권일신, 권철신과 동료들이, 그리고 여러 박해를 통해서 성숙한 신앙인(순교자)들이 그 길을 이어갔다. 이 모든 것의 핵심은 하느님의 섭리였다.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의 주역들은 평신도였고, 교회법적인 신분으로 볼 때 예비신자 전 단계에 속한 이들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세례 받은 사람이 보여주는 신앙 증거와 교회 건설의 큰 결과를 이루어내었다.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신앙선서와 성사들 및 교회 통치의 유대를 갖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가를 볼 수 있다. 이는 스스로 신앙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주교들에 의하여 통치되는 교회에 속하기를 바라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요소들이다. 이런 모든 과정과 모습은 전 세계에 유례없는 역사이며 사건이다. 이러한 역사는 보편교회와 나눌 필요가 있다고 본다. John paul II gave the following homily, “In Korea these lay people, justly considered as the ‘founders of the Church’ in Korea spread the Gospel in their homeland for 56 years, from 1779 to 1835, without the assistance of priests.” This signifies that Koreans themselves receive the faith, based on this, establish and order in Korea as a society in the catholic Church, governed by the successor of Peter and the Bishops in communion with him. John Paul II has seen the process, ‘that 56 years’ which continued to establish to found the korean Church from lay men, for example, their study(Conference) of the Science of Heaven, their practice and the transmission of their faith made the evange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possible, the baptism of Yi Seung-Hoon and the circumstance of the baptism, religious congregation in Myung-rye bang, Eulsa persecution(1785), organization of the impromptu clergy, the spread of Catholic Church, the first movement of asking the clergy, the memorial issue, the various persecutions and the second of asking the clergy, ect. Missionary activity properly so called, through which the Church implants among peoples or groups where it has not yet taken root, is carried out by the Church especially by sending heralds of the Gospel, until the New Churches are fully constituted. But those who are actually a role to establish Korean Catholic Church are not missionaries but korean lay men who studied themselves, suffered martyrdom through persecutions and acted missions without clergy, through their own missions. That time is the 1836 that John paul II saw Koreans implanted completely and independently the visible Korean Church. This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resulted by the inspirit of the Holy Spirit. The inside was made by the providence of God, the result signed as a fruit of God's miracles. The Founder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wed commitment that incorporate with Christ and Church. So they tried to implant the Church and devoted their life. This source is the life of the faith, of the hope and of the love. In this center there were Yi Byok, Lee Sueng-Hoon, Kwon Il-Shin, Kwon Cheol-Shin, Cheong Yak-Jong and their companions. And the faithful(martyrs) continued that way through the persecutions. The core of these all was the providence of the God. The protagonists of the foundation in Korean Catholic Church were lay men, their canonical identity was a preliminary believer. But they presented the evidence of the faith as a baptized people and achieved the great result of foundation of the Church.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baptism of Lee Seung-Hoon in Beijing, we can see how much effort to have bond the oath of faith, of the sacraments and of the Church' government. These are elements that they received the faith themselves, in addition to hoping to belong the Church, governed by bishops in communion with him. All of this looks and the process is a unique history and event in the world. This history is necessary to share with the universal Church.

      • KCI등재

        『천주실의(天主實義)』에서 시도한 보유론(補儒論)의 한계

        신의연 ( Eui Yun Sh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81 No.-

        『天主實義』是 1583年從意大利到中國來的利瑪竇神父的代表著作而且在中國最早介紹基督敎的思想傳敎書. 타從補儒的角度下給中國儒學者介紹基督敎的基本內容和敎理. 他引用『詩經』、『書經』、『中庸』等的原始儒敎經典裏面的``上帝``思想和名稱來說明基督敎的DEUS. 還有制定령外一個適當的飜譯詞``天主``來補充基督敎的信仰對象. 這語言上補儒工作的意義相當重大. ``上帝``和``天主``打開了當時中國儒學者的形而上的宗敎觀. 但是爲了介紹基督敎的敎理探討思想背景的時候, 采取了西方的哲學體系和倫理方法引進形而上的天主, 同時按托瑪斯·阿奎那的一套神學和經院派的哲學來排斥佛敎、道敎、朱子學. 他站在西方人思維體系和受敎育的神學家立場進行論述. 還有他反駁的佛學, 或``太極``, ``理``的理解也不太深. 帶有一些西方分析主義和文化優越主義的色彩.『天主實義』在思想方面沒有做補儒的工作. 到目前爲止,在東方的基督敎裏『天主實義』裏面所看到的局限性仍然保持著妨碍東方人在信仰上與天的和解.

      • KCI등재

        『한국천주교회사』(샤를르 달레, 1874)의 편찬과 한글 번역

        양인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This article is taking note of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of Charles Dallet. The background and the time of compil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allet and catholic missionaries of Joseon during the proceedings are reviewed.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to Joseon and its translation into Korean is also examined. Dallet who had worked as a missionary in India went back home to France in 1867 because of illness. In the central office of the MEP(l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he came to take charge of the arrangement of documents of Daveluy, a catholic missionary of Joseon. With this work Dallet widened his understanding of the Joseon and the catholic church of Joseon. This also paves the way for him to take over the compil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Joseon which had been worked by Daveluy. Dallet started the work on the compil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Joseon around the year of 1868, not in 1872 as it is known so far. Dallet worked on the compil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Joseon basing on Daveluy’s documents, but without any experience of visit to Joseon he had a difficulty. Therefore Dallet sent a letter to his colleagues, catholic missionaries of Joseon, then he was offered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the Joseon system and language. With this help of the missionaries he could complete the compil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Joseon.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was published in France in 1874, and the catholic missionaries of Joseon pursued to make its Korean version. At first, they tried to translate the Goryeojujeung, the Chinese version of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into Korean. But they changed their plan to translate the original book in French into Korean. Missionaries divided up the translation work from around 1885 to early 1900s. The Korean version was not published in a book form but published serially in the magazine, Gyeonghyangjapji. From the compilation work to translation of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the entire process was accomplished by French missionaries.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which had been translated only a part of it was translated in full in Korean in 1981. 이 글은 샤를르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에 주목한 연구이다. 달레의 조선 천주교회사 편찬 배경과 시기, 편찬 과정에서 그와 조선 천주교회 선교사들의 교류를 검토하였다. 『한국천주교회사』가 조선에 전해져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도 살펴보았다. 인도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던 달레는 질병으로 1867년 프랑스에 귀국하였다. 그가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서 맡게 된 일은 조선 천주교회 선교사 다블뤼의 문서 정리였다. 달레는 다블뤼의 문서를 정리하면서 조선과 조선 천주교회에 대한 이해를 넓혀갔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달레는 다블뤼의 조선 천주교회사 편찬 작업도 이어나가게 되었다. 달레가 조선 천주교회사의 편찬을 시작한 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1872년이 아니라 1868년경이었다. 달레는 다블뤼의 문서를 중심으로 조선 천주교회사의 편찬 작업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조선을 방문한 경험도 없었으므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그는 조선 천주교회의 동료 선교사들에게 서한을 보냈고 자료와 조선의 제도, 조선어 등의 정보를 제공받았다. 그는 이와 같은 조선 천주교회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조선 천주교회사를 완성할 수 있었다. 1874년 프랑스에서 『한국천주교회사』가 간행되자 조선 천주교회 선교사들은 한글 번역을 추진하였다. 그들은 『한국천주교회사』의 중국어 번역서인 『고려주증』을 한글로 번역하려 했다가 프랑스어 원서를 번역하기로 했다. 번역 작업은 1885년경부터 1900년대 초까지 선교사들이 분담하였다. 한글 번역서는 출간되지 않았고 『경향잡지』에 연재되었다. 이처럼 『한국천주교회사』 편찬에서 번역에 이르기까지의 전(全) 과정이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이뤄졌다. 일부만 번역되던 『한국천주교회사』는 1981년에 한글로 완역되었다.

      • KCI등재

        필사본 천주가사집 출현의 배경과 의의 :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Studio Circa Chungiugasa Relatae

        김영수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3 인간연구 Vol.- No.5

        본 고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의 출현 배경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통해 19세기 후반 한국 가톨릭 교회와 우리 사회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는 논의이다. 17세기 이후 유입된 천주교 사상은 18세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는 과정에서 적지 않게 우리의 문화로 대표되는 사회상이나 민속 등과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보편 교회의 시각을 넘어 우리의 문맥 안에서 이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본 고의 대상이 되는 천주가사나 연로위령 기도), 옹기의문양의 외적 형태나 한국 가톨릭 신심의 다양함 등은 그 구체적인 예가된다. 이 중 본 고에서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을 대상으로 한국 교회와 사회, 나아가 시대적 관련성을 추적하였다. 현전하는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총 53종으로, 여타의 단일 작품의 필사본에 비해 그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그만큼 천주가사의 수용이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 필사 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 32종이며, 그 가운데 종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제작되었다는 점은 이 시기 우리 사회의 변화가 천주교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점에 착안하여 그 출현의 배경과 의의를 각각 문화사, 교회사적 관점에서 추적하였다. 천주가사의 출현은 우리 문화적 풍토에서 가사라는 대중적인 문학 갈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17세기 이후 지속되어진 변화에 따라 19세기에는 각종 필사본과 상업적 유통을 위한 방각본이 간행되는 등 문화적 욕구의 발현이 일반화되었는데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출현하게 된다. 한편 교회 내에서는 신교의 자유를 맞이하여 피폐된 교회의 재건을 위한 교리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천주가사는 근대 문학이나 근대 음악을 형성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였으며, 여기서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근대로의 전환에서 재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외래 문화를 한국적 양식속에 수용함으로써 우리 문화 담당층의 주체적 역량을 담아내고 있었다는 점이다. 박해를 견디는 자기 강화의 방법이자 신자들 사이의 결집력을 높이던 천주가사와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기점으로 점차 소멸된다. 이는 크게는 서구 지향의 급격한 사회 변화와 관련이 있다. 한편 자국의 문화에 대한 우월감으로 한국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파리외방전교회를 비롯한, 교회 지도층의 무관심에도 기인한다. 천주가사에 대한 당시 지도층의 언급이 없는 이유나, 활발한 출판 활동에도 불구하고 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천주가사는 천주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 지극히 한국적이면서도 동시에 천주교 교리를 담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 속에서 나타난 한국어로 된 교리서로, 한국인이면서 가톨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도전받는, 위기의 시대에 이를 해결해 줄 토착화 신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Articulus storico substrato sensuique productionis scriptorum Chungiugasanorum operam dat, studio culturae Chungiugasanae relatae. Usque ad praesens tempus LII genera manu scriptorum transmissa sunt, quorum tantummodo XXXII productionis tempus proponi potest. Haec XXXII genera scriptorum XIX saeculo exeunte vel XX saeculo ineunte condita sunt. Unde contextum storicum et sensum huius scripti quoad culturam vitamque ecclesialem statuere possumus. Productio scriptorum Chungiugasanorum contextu culturali Coreano fieri potuit, praesertim litteraria forma ;Gasa; appellata. Huius generis litteraria ratio a XVII saeculo usque ad XIX saeculum orta et propter culturalem placitum diffusa est; quamobrem multa manu scripta producta sunt, quorum exemplaria commercii causa multiplicata sunt. Et Chungiugasana scripta hoc contextu orta sunt. Eodem tempore Coreanae Ecclesiae nuper religiosam libertatem adeptae atque post martyrum spatium nova structuratione egenti libris ad catechesim opus esse inciperat. Scripta Chungiugasana maximi momenti ad institutionem hodiernae litteraturae musicaeque fuerunt. Insuper in his scriptis supra ordinem Coreanae culturae dominium documentari potest, ita ut extraneae culturalis formae in Coreana cultura acceptatio formas particulares originalesque produxit, quibus similes formae difficile in storia universalis Ecclesiae inveniri possunt. Scripta Chungiugasana ratio fuerunt qua primi Coreani christifideles propter persecutionem firmari temptaverant, ad invicem hoc angustiarum tempore coniuncti. Sed horum scriptorum momentum a XX saeculo infeliciter imminutum est. Haec res ob propensionem ad occidentalizationem eiusque consequentiam probabiliter tribuenda est. Forsitan tamen processus hic ob mentem missionariorum gallica origine ortus est, qui superiorem culturam possidere putantes culturam Coreanam non recce intelligerunt et ruinam culturalium formarum illis non propriarum effecerunt. Forsitan hoc et propter parvam sollicitudinem auctoritatis Ecclesiae factum est. Revera in huius temporis documentis reliquia culturalis Chungiugasana vitae vel Chungiugasanorum scriptorum absunt, et quamquam litteraria vis magna fuit, Ecclesia tamen illorum scriptorum edendorum minime curavit. Scripta Chungiugasana testimonia sunt catholicorum Coreanorum fidei Christi adhaesorum, tam originali modo-coreano simul et totaliter fideli doctrinae catechismi catholicae Ecclesiae. Quamobrem Chungiugasanae rei notitia et eius scriptorum editio, Coreana lingua exaratorum et intra Coreanam culturam ortorum, non modo magni sunt momenti tamquam testimonia fidei servatae in aetate confusionis circa propriam identitatem, verum etiam nobis hodie perutiles esse possunt ad quaestionem verae inculturationis intelligendam et ad inculturatam theologiam elaborandam, quae nobis adsit ad nostram Coreanam identitatem adhuc non evidentem comprehendendam.

      • KCI등재

        泉州港視野中的宋麗貿易: 有關泉州商人的那些事

        왕련무 ( Lian Mao Wang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6

        본 글은 『高麗史』 및 중국 문헌 관련 자료에 대한 통계와 분석, 연구를 통해 宋代각 시기의 泉州港과 고려무역의 흥성과 쇠퇴 변화 및 그 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두 나라간 泉州, 海商의 경제·문화 교류와 외교관계의 역할을 밝히는 것에 치중하고자 한다. 글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들을 논술한다. (1) 북송 元祐4년(1089)에 발생한 `徐전公案`에 대해 杭州 知府 蘇軾은 이에 대해 나쁘게 평을 하여 여러 차례 조정에 상주하였고, 慶歷과 嘉祐의 정책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고려 승려를 태우고 亡僧淨源을 추모하러 항주로 온 `주범`인 천주 해상 徐전을 엄하게 다스릴 것을 주장하였다. 그 목적은 복건과 절강 해상에서의 금지 행위를 막고, 고려와 遼나라에 대한 해상무역을 저지하는 것에 있었다. 그렇지만 이 사건이 천주항에서의 해상무역에 미친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淨源은 천주인이었기 때문에 천주 해상과의 교류와 밀접하였다. 자료가 보여주듯이 淨源과 고려왕자 僧統義天의 여러 해 동안의 교류에서 천주해상은 그들에게 편지, 경서를 전해주었고, 양국의 교 철학 교류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高麗史』와 관련된 자료의 통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송과 고려간 무역의 첫 번째 절정기는 11-12세기 초의 북송 眞宗朝부터 徽宗朝까지였다. 천주 해상이 고려로 무역하러 간 것 역시 이 시기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 이 시기를 천주항과 고려 무역의 蜜月期라고 한다.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로 간 천주 상인의 수가 가장 많았고, 게다가 상당히 활발하였다. 그 무역의 발전 추세는 다른 항구의 상인들과는 실제로 비교할 수가 없었다. 송과 고려무역의 첫 번째 절정기는 거의 泉州해상들로 인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시기에 泉州港과 고려의 무역이 매우 발전하였던 이유는 천주에 아직 市舶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南海로 가는 통행료가 적었던 것과 관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南宋 紹興년간(1131-1162년)에 송과 고려무역의 짧은 두 번째 절정기가 왔다. 그러나 남해무역에서 천주항이 날로 번창해짐에 따라서 천주항을 중심으로 하는 거대한 국제무역권이 형성된 이후에 고려와의 무역은 북송 시기처럼 그렇게 두드러지거나 중요해지지 않게 되었다. (3) 고증을 해보니 泉州港에는 北宋때부터 고려로 직항하는 항로가 있어 明州를 경유할 필요가 없었다. 상선은 泉州港에서 출발하여 바로 주산군도의 沈家門에 이른 다음 東海를 거쳐 조선반도 남단에 도착한다. 다시 서해안을 따라서 고려왕성에 이르렀다. 13세기에 고려로 향하는 천주 상선의 항로에 약간의 변화가 생겨 반드시 먼저 명주를 거친 다음에 계속하여 운항하여야 했다. 그 원인을 따져보니 `風水之說`과의 관련이 매우 컸다. 비록 이러하더라도 천주 상선은 명주에 먼저 이른 후에 계속하여 옛 항로를 따라 고려로 갔다. This paper studies the different phases of trading between Quanzhou and Gaoli (Korea) during the Song dynasty, focusing on source materials that include The History of Gaoli (Gaolishi) and other related historical documents. As the leading port for foreign trade in China at the time, Quanzhou Harbor`s rise and the fall had a great impact on both economic activity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main points discussed in this paper include: (1) The Xujin Incident that took place in the 4th year of the Yuan you reign-perio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1089). Research shows that the Northern Song monk Jingyuan, an ative of Quanzhou,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aoliprince Zengtongyitian. Quanzhou merchants delivered the ircor respondence, as well as Buddhistsutras, the merchants thus being instrumental in the spread of Buddhism between the setwo countries. When the Monk Jingyuandied, Quanzhou merchants took an umber of GaoliBuddhist monksto Quanzhou to pay tribute to him. (The famous Song poet SuShi, then a municipal of ficial in Hangzhou, had in fact, written to the Song emperor proposing to punish those Quanzhou sea merchants so that the Song regime could suppress Liao`s, a minority ethnic country in the northern border, active oceanic participation and its threat to Song regime.) (2) According to A History of Gaoli, the peak trading period between Song and Gali happened during the eleventh and the twelfth centuries, the Northern Song Zhen Emperor`s reign-period. It wa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honeymoon period" between Quanzhou and Gaoli sea merchants. Among all the sea merchants, Quanzhou merchants were the majority, and the most powerful group. It can be argued that the trading prosperity between Song and Gaoli was largel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Quanzhou port. Since there was no official custom or related trading regulations at the time, the sea merchants could enjoy the considerable financial profit. The second, but comparative short peak trading period between Song and Gaoli happened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Shaoxing reign-period (1131-1162). It declined however after the rise of the trading between Quanzhou and other Southern Seacountries. Trading between Quanzhou and Gaoli further declined when Quanzhou became the center port for a large scale of global economy in Song and later period of Chinese history. (3) Research shows that there was a direct oceanic route from Quanzhou to Gaoli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starting from Quanzhou, to Shenjiamenhou (Shen`s Family Back Gate), to Zhoushan Island, crossing the Eastern Sea, to the southern tip of Chaoxian Pennisula, travelling along the Pennisula`s eastern coastline, and eventually to the Imperial City Gaoli. In the 13th century, this route detoured to Mingzhou before ending in Gaoli, possibly due to the natural "wind and water"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