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명기 소장 한글 번역본 ≷천예록≸의 재편 및 향유 양상 연구

        정보라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3

        본고는 새로운 한글 번역본 ≷천예록≸ 자료인 정명기본 ≷천예록≸을 학계에 최초로 소개하고 자료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의 서지사항과 필사기의 분석을 통해 이 자료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글본 야담이 향유된 양상의 일단을 엿볼 수 있었다. 한양의 궁궐 근처 송현에 사는 11세 어린 소녀에 의해 정명기본 ≷천예록≸이 향유․필사되 었던 정황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한글본 ≷천예록≸이 궁궐 내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궁 근처로까지 유통되었던 상황과 한글본 ≷천예록≸의 향유층이 그 신분과 연령 대에서 다양한 층위로 이루어져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문본 ≷천예록(天 倪錄)≸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에 선택 및 탈락된 이야 기들의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선록의 기준이 ‘11세 소녀인 김 소저의 독서 대상으로 삼아도 될 만한 것인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명기본 ≷천예록≸에는 11세의 김 소저에게 크게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적당히 흥미롭게 읽을 만한 성격의 이야기들이 선록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문면을 대조하여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의 양상에서 (1) 한문본 제목의 음가(音價)를 그대로 한글로 표기하였다, (2) 후평(後評) 부분이 생략되었다, (3) 역자 및 필사자의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다, (4) 한글 번역 과정에서 독자의 수준을 배려하였음이 확인된다, (5) 기본적으로 직역을 지향하였다, (6) 특히 축약이 많이 이루어졌다, (7) 오류의 양상에서 한글 번역본을 전사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는 일곱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 :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을 중심으로

        이강옥 한국구비문학회 2002 口碑文學硏究 Vol.14 No.-

        18C 야담집인 <천예록>은 야담의 형성과 발전의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먼저 <천예록>은 기이한 이야기를 많이 수록하고 있지만, 기이에 현실적이거나 윤리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전설을 야담계일화나 야담계소설로 전환시켰다. 그리고 사건을 구체화하고 풍경과 배경을 뚜렷하게 만들었는데, 그것은 <천예록>이 야담 작품의 자족성을 확립한 증거라 볼 수 있다. 또 등장인물의 말을 그대로 제시하고 세부적인 행동이나 배경을 상세하게 기술하는 등 지연의 서술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압축과 절제를 추구하는 일화의 수준을 넘어서서 소설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함께 <천예록>은 경험자가 자기 경험을 진술하는 모범을 부각시켰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런 진술방식은 <청구야담>이나 <동야휘집> 등 19세기 본격 야담집에서 중심 서술방식으로 응용되었다. <천예록>은 야담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정명기 소장 한글 번역본 『천예록』의 재편 및 향유 양상 연구

        정보라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3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 to the field of academia. This aims to figure out the aspect for compilation and translation of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 compilation of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was for interesting reading of 11 years old girl nearby palace.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 shows a shift in its translation into Hangeul. The conversion was as follows. (1) transcribe title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n phonetic script, (2) The comments section was omitted, (3) the person who translated ito korean and manually copied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 had below average in academic ability, (4) the reader's standards was considerated in the course of translation, (5) basically it was a direct translation, (6) specially there were so many omission, (7) Cheonyerok (collection by prof. Chung Myung ki) was manually copied from Version of Cheonyerok translated in Hangeul. 본고는 새로운 한글 번역본 『천예록』 자료인 정명기본 『천예록』을 학계에 최초로 소개하고 자료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의 서지사항과 필사기의 분석을 통해 이 자료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글본 야담이 향유된 양상의 일단을 엿볼 수 있었다. 한양의 궁궐 근처 송현에 사는 11세 어린 소녀에 의해 정명기본『천예록』이 향유․필사되었던 정황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한글본 『천예록』이 궁궐 내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궁 근처로까지 유통되었던 상황과 한글본 『천예록』의 향유층이 그 신분과 연령대에서 다양한 층위로 이루어져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문본 『천예록(天倪錄)』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에 선택 및 탈락된 이야기들의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선록의 기준이 ‘11세 소녀인 김 소저의 독서 대상으로 삼아도 될 만한 것인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명기본 『천예록』에는 11세의 김 소저에게 크게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적당히 흥미롭게 읽을 만한 성격의 이야기들이 선록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문면을 대조하여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의 양상에서 (1) 한문본 제목의 음가(音價)를 그대로 한글로 표기하였다, (2) 후평(後評) 부분이 생략되었다, (3) 역자 및 필사자의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다, (4) 한글 번역 과정에서 독자의 수준을 배려하였음이 확인된다, (5) 기본적으로 직역을 지향하였다, (6) 특히 축약이 많이 이루어졌다, (7) 오류의 양상에서 한글 번역본을 전사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는 일곱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최민열본 『天倪錄』의 국역 양상

        김준형(Kim Joon-Hyeong)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7 No.-

          이 글은 최민열본 『천예록』을 대상으로 야담의 국역 양상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한다. 최민열본은 『천예록』 이본 중 유일한 국문본이다. 최민열본은 이미 국역되어 있는 『천예록』을 전사한 것이다. 하지만 이미 국역되어 있는 『천예록』을 전사하는 과정에서 개작의 양상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최민열본을 대상으로 『천예록』의 국역 양상을 살펴도 무리가 없다.<BR>  최민열본의 국역 양상을 크게 오역, 추가, 생략, 축약, 변이 등 다섯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 추가나 변이는 매우 미비하게 나타나며, 생략과 축약 현상이 빈번하다. 이는 최민열본의 특징이라 하겠다. 최민열본은 한문본을 번역하는 가장 중요한 요점이 오로지 줄거리 전달에 있음을 확인케 한다.<BR>  최민열본을 통해 야담의 국역화 양상을 두 가지 면에서 지적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당시 야담집 번역에 직역이 최우선이었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야담의 국역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야담의 소설화 과정에 일정한 영향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hase of translation to Korean in Chonyaerok collected by Choi, Min Yeol. The Choi’s collection of Chonyaerok is the only version written in Korean. The Choi’s collection duplicated the other unknown version. It means that there is no proof of remaking. So, it will be a proper approach to research the phase of translation to Korean.<BR>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to Korean in Choi’s collection are mistranslation, addition, omission, abbreviation and change. The omission and the abbbreviation are frequent but the addition and the change are a few. This fact means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ranslation is to convey the thread of the story.<BR>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to Korean in Chonyaerok collected by Choi explain these two facts. The first, when one translate Yadam, the convey the thread of the story is very important. And second, translation of Yadam to Korean contribute to develop novel, especially from Yadam to novel.

      • KCI등재

        『天倪錄』과 『東稗洛誦』의 국문번역본 고찰

        남궁윤(Nam Gung, Yoon)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7 No.-

        본고에서는 국역본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존재와 번역양상을 통해, 야담의 국문번역본이 갖는 의의와 문학사적 경향을 고찰하였다. 조선의 야담은 상층 남성들 사이에서 향유된 서적물이었기 때문에 여성이나 하층 신분의 사람들에게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야담 수용계층도 서서히 변화를 맞았다. 남성들 사이에서 읽히던 야담집 중 재미있는 것들이 여성들 사이로 흘러 들어갔고, 『청구야담』과 같은 야담집은 전 작품이 국역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또 한편에서는 기존 야담집의 이야기를 선별하여 국역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바로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역본에서 이같은 사실이 확인된다. 『천예록』의 국문본은 최민열본이 현전하는 유일본이며, 『동패락송』의 국문본에는 나손본 『육신전』의 『동패락송』, 국민대본 『동패락송』, 그리고 천리대본의 국역본이 있다. 여기서 천리대본의 국역본 『동패락송』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43편의 작품제목 옆의 ‘언문’·‘언’ 등의 기록은 번역본이 존재했다는 분명한 정황에 해당한다. 한문본 야담집의 편찬자들이 이야기의 진위여부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면,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역본에는 이러한 고민이 제거되어 있다. 또 두 야담집의 국역본은 특별한 개작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모두 한문본에 대한 선 역본이라는 점, 선별된 작품이 일련의 체계를 갖는다는 점 등에서 야담집이 당대 독자의 요구를 견인하며,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천예록』은 여성 독자의 요구가 반영된 측면에서, 『동패락송』은 하나의 읽을거리로서 번역된 특징을 갖는다. 두 야담집의 국문번역본은 번역양상에서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만, 각각 목적에 따라 선집된 점이 같다. 즉, 작품 내 이야기가 선별되고, 그 존재형태도 다양해짐에 따라 야담의 기능도 변모했던 것이다. 이처럼 야담집이 일반적인 독서물로 향유되었다는 사실은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문번역본의 출현과 궤를 같이 하는 동시에, 야담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까지 열었다. 한문본의 국문화는 야담만의 특수한 현상이 아니다. 소설이나 연행록, 기행가사 등의 다양한 서사장르 전반에 일어나고 있던 일반적인 추세였다. 그에 따라 야담사 전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불가피해졌다. This study there is study in great detail at same time the literature lighting up to the meaning that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is have of the unofficial historic story until personal trends through national script translation real intention existence form and translation aspect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as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ranslation of two unofficial historic story collections and the risky times weren't certain, but it was a anthology of similar times, and translation and enjoyment consisted in similar processes. There is the side that the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is remove sharply fact, and I have led an interest, and was translated if Chinese character thi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was described at true delivery dimensions. The reason is as it was performed by the trends that it is towed Dongpaeraksong, and it was translated as one reading to drag feminine desire out that it rose Cheonyerok. That is, regular difference showed, but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ese of two two unofficial historic story collections am objective anger does each a anthology, and to have been a collection form on translation. In this way one book was sorted, and function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can be various as I existed with various forms. On the other hand, these trends have the same way of national script anger trend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these trends have toward a regular meaning. Chinese character real intention national script anger serious trouble was the general trend that was already happening in genres such as a novel or YeonHaengRok, trip words etc. etc. not being the phenomena that there was here. New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unofficial historic stories whole is unavoidable thing according to the above sentences. The national script these reading formed in enlarged of a market commercial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latter period changing societies have the same way of customer(leader) stratum, and demand of class of readers was towed so as regular, and national script regular course translation these were published in various genres, and it is thing.

      • KCI등재

        『東稗洛誦』을 통해 본 야담의 奇異性 약화

        이승은(Lee, Seung-Eu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0

        본고는 『천예록』의 자장에서 형성된 『동패락송』이 『천예록』을 계승하는 동시에 나름의 변모를 꾀하면서 야담의 전형을 확립해 간 것으로 보고, 두 작품집에 동시에 수재된 이야기를 통해 그 구체적 면모를 살펴본 것이다. 『동패락송』은 『천예록』의 이야기를 수용하면서 인물과 공간의 묘사에 있어서 비현실적인 설정을 약화하거나 소거하였으며, 이야기의 구성 역시 평이하게 바꾸었다. 그 결과 이야기의 주제와 지향점이 바뀌게 되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祖靈의 경우 그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치부하지 않고 오히려 장례와 효에 대한 서사를 확대기술하는 경우도 보였다. 이처럼 기이의 서사를 축소하는 대신 『동패락송』에 새롭게 기록되는 이야기는 부의 성취, 과거 급제 등 현실적인 욕망의 추구와 성취에 대한 것이다. 이는 야담의 관심사가 초월적 기이의 세계에서 현실과 일상의 문제로 이동해가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러한 이야기가 후대의 야담집에 반복적으로 전재된다는 점에서 『동패락송』이 이후 야담의 전형을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lteration from Cheonyerok(天倪錄) to Dongpae-raksong(東稗洛誦) through the common stories between the two, viewing Dongpae-raksong(東稗洛誦) as emblematic of yadam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Dongpae-raksong(東稗洛誦) weakened or erased the supernatural features of characters and the description of space, and changed the plot to a chronological order, recording the stories from Cheonyerok(天倪錄). It also led the change in theme. With regard to the progenitor ghost, it was not considered as a supernatural being, and the story was extended if it was about funeral and filial duty. Stories about desire in the real world, such as how to get rich and how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newly appeared in Dongpae-raksong(東稗洛誦) instead of supernatural stories. This indicates that the attention of yadam writers and readers turned towards matters of the real world and daily life.

      • 『天倪錄』 소재 기이담의 양상과 의미

        이승은(Lee, Seung-eun) 한국어문교육학회 2011 어문학교육 Vol.43 No.-

        이 논문은 초기 야담집인 『천예록』의 기이담의 양상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천예록』은 총 62화 중 47화가 기이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이때 기이담은 전란과 재해, 전염병 등으로 혼란스러웠던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적 성격을 지닌다. 이들 기이담의 당대 사회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귀신이나 요괴로 가시화된 경우이다. 이야기기 대기근과 함께 17세기 조선을 덮친 전염병의 모습, 미지의 존재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공포를 표상한 것이다. 둘째, 소망의 환상적 실현을 통해 현실 모순에 대한 비판의 기능을 하는 경우이다. 전쟁과 재해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의 삶은 기이담 속에서 이인에 의한 구출과 같은 환상적인 해결책을 꿈꾸었다. 이는 겉으로는 소망이 실현되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들이 현실적 대안 없이 이야기 안에서 환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라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셋째, 유가적 가치관을 표상하는 조상혼령담의 경우이다. 예교의 발달에 따라 제사의 중요성이 크세 인식되었고, 이것이 전대에 비해 조상혼령담의 비중이 증가한 이유이다. 한편 『천예록』에는 조상혼령이 낮에 나타난다거나, 욕망을 지닌 존재로 변모하는 이야기도 등장하는데, 이는 예법을 지탱하는 구조에 생겨난 혼란상을 암시한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look into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strange stories from 'Cheonyerok'. 47 stories among the total 62 from 'Cheonyerok' handles strange stories which show an allegorical characteristic to the contradiction of the chaotic reality from war, disasters and contagious disease. The social meaning of the time of these strange stor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subject of fear and horror has been visualized to ghost or monsters. The story symbolized the more fundamental fear towards the unknown, contagious disease that swept the 17th-century Chosen along with the great famine. Secondly,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through fulfilling hope with a fantasy touch. The plights of war and disaster made the people dream of a fantastic resolution such as being rescued by a righteous person in the stories. On the surface, it may seem like the hopes being fulfilled and the problems being solved. However, it is a problem where it remains only a fantasy in the stories and no practical alternative. Third, stories about the spirits of ancestors which show the values of Confucianism. The spread of Confucianism brought people to b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which brought along the increase of stories about the spirits of ancestors. Meanwhile, stories where spirits of ancestors appearing during day time or turning into beings with desire can be found in 'Cheonyerok', which implies the confusion that came up in the structure that supports Confucianism.

      • KCI등재

        任埅의 기이 수용과 『天倪錄』

        유형동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이 논문은 水村 任埅과 그가 저술한 『天倪錄』을 통해서 유교이념의 자장에서 기이가 수용되는 양상 의 일면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임방은 기이함에 대한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어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이를 수용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물이 바로 『천예록』이다. 임방이 기이를 수용한 첫 번째 방식은 기이함을 통 해서 유교적 이념이나 질서를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도 크게 두 가지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기이함이 드러나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평결을 통해서 이야기의 세계에 대해 동 의를 표하는 방법이다. 임방은 이야기의 주제의식을 조상에 대한 후손의 효라는 유교적 이념과 관련지 음으로써 기이가 수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다른 한 가지 방식은 기이함이 드러나는 이야기 를 현실 논리를 통해서 반박하고 부정하는 것이다. 불교적 세계와 관련성을 지닌 이야기들이 평결에서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폄하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임방이 기이를 수용하는 두 번째 방법은 이념적인 색채와는 무관하게 기이함 그 자체로 수용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이인담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다. 임방이 당대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유교의 장에서 기이를 수용하면서 보이는 주체 반응은 동일화, 반 동일화, 비동일화로 구분하여 살필 수 있다. 기이함에서 유교적 이념을 도출하는 것은 지배이념에 순 응하는 주체반응인 동일화로, 기이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그 세계를 부정함으로써 유교이념을 구현하 는 것은 순응하는 동시에 탈주하는 비동일화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유교이념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기이를 수용하는 양상은 넓은 관점에서 유교이념으로부터 탈주하는 반동일화로 설명할 수 있다. 임방이 다양한 주체반응을 보이면서 기이를 수용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현실에 대한 지대한 관 심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이를 수용함으로써 외침과 재해 등으로 혼란해진 사회를 교정하고 올 바르게 인식하고자 한 것이다. 때로는 문란해진 기강을 바로잡고, 때로는 상처받은 민족적 자존감을 회복하는 방편으로 기이를 수용했다고 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signs of eccentricity being accommodated in ideology of Confucianism through Soochon-YimBang and his Cheonyerok(天倪錄). YimBang tried to accommodate eccentricity in various ways despite the fact that he is a Confucian scholar with great interest in eccentricity. And the outcome is Cheonyerok. First, how YimBang tried to accommodate eccentricity was to confirm and realize the Confucius ideology or order through eccentricity. Such tendency is composed of two primary methods. The first method is of expressing agreement on the world of stories by introducing and giving verdict of stories that reveal eccentricity. YimBang established a foothold for eccentricity to be accepted by relating thematic consciousness with Confucius ideology of filial duty of descendants towards ancestors. The other method is of refuting and denying stories with eccentricity through logic of reality. Stories that have relativity with the world of Buddhism being degraded into a groundless story is a classic example. The second method of YimBang accommodating eccentricity is accepting the eccentricity itself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color. This can be found mostly through stories of hermit-stranger(異人談). The reaction that YimBang showed while accommodating eccentricity in Confucianism chapter, which is a dominant ideology of the time, can be signified by classifying it into identification, counter-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Deducting Confucius ideology from eccentricity is the identification of reaction that complies to the ruling ideology that giving body to the Confucius ideology by introducing eccentric stories and denying the world can be explained as the disidentification that accommodates and escapes at the same time. Also, a complexion of accommodating eccentricity without sticking to the Confucius ideology can be explained as the counter-identification that escapes from confucianism ideology from a broad perspective. Ironically, the reason why YimBang accommodated eccentricity while showing various reaction was because he wanted to correct the society that fell into disarray by outcry and disaster and to correctly acknowledge it. Eccentricity was accommodated at times as a way to correct discipline that fell out of order and to recover wounded national dignity.

      • KCI등재

        『천예록』에 나타나는 신격의 변화와 그 의미

        이승은 ( Lee Seung-e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본고는 『천예록』에 나타난 비일상적 존재나 사적에 관한 이야기를 신화적 기원으로부터 유래하여 변형되었다는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여귀, 이인, 요괴는 과거의 국모신, 토지신, 성황신, 성주신과 업신과 같은 민간 신앙의 대상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었고, 아버지가 동물로 변하는 이야기는 시조신에 대한 신화가 변형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예록』에서 과거의 신들은 신성성이 거세된 채 귀신이나 요얼로 치부되며 그들의 권능은 작괴(作怪)나 변괴(變怪)로 인식되는 등, 전반적으로 신격의 상실이라는 방향성을 보였다. 이는 신화적 존재에 대한 『천예록』의 편찬자 임방과 당대 사람들의 인식이 조정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성리학적 질서와 유교적 합리주의에 의거하여 신과 인간, 동물과 인간사이의 관계는 변화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천예록』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본래 목소리를 잃어버린 하위주체의 또다른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reveals that the story about the non-ordinary existence and the personalities shown in the Cheon-ye-rok is derived from the mythical origin. In the story, we can find the origins of witch, monk, ghost and monster in the objects of folk beliefs such as Mother goddess, Seongju, Eup, Seonghwang and the spirits of the terrain in the past, and we confirmed that the story of the father changing into animal is a deformed myth about ancestors god. The gods of the past seems to lose their dignity as the sacredness is castrated as ghosts or wicked existence, and their powers are recognized as a reason of an extraordinary calamity in Cheon-ye-rok.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s of people about the mythical being were being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animals and humans has been changing, based on the ethical order and Confucian rationalism. And through the story of Cheon-ye-rok, we can find an example of the subordinate who lost their original voice.

      • KCI등재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천예록’의 신이담과 각종 도상을 중심으로-

        권정은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features of ghost story and picture in late Joseon Dynasty. Methods :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compare two genres after the looking into ideology. Conclusion : Korean have shared Chinese customs relating to ghost, but the situation was changed and the literati group started to enjoy the legends in CheonYeoRok that is the compilation of ghost story. And there were multiple types ghost icons including Ten-kings picture or Sweet dew picture. These different genre commonly showed the various version. And the story reveal all kinds of lineage of ghost without the fixed pattern in composition. And the pictures demand meticulous visual reading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being of ghost. Result : As a result, the ghost story and picture revealed the meaning of aesthetics of grotesque that express the curiosity and imagination about living and death as the integration of popular culture. 목적 : 본고는 조선 후기 귀신을 다룬 문학과 그림의 특징 및 존재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조선 시대 관련 이데올로기의 흐름을 파악한 후, 예술 작품의 양상을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결과 : 그 결과 조선 전기에는 신유학을 중심으로 무속의 귀신관을 억압했으나, 중기 이후 상황이 바뀐 것에 주목했다. 야담 및 <천예록>과 같은 대표 작품집에서 적극적으로 신이담을 다룰 뿐만 아니라, 그림 역시 상황이 달라졌다. 이어서 관련 작품의 실상을 살펴본 결과, 우선 다양성의 측면에서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천예록>은 신이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수록했고, 그림 역시 시왕도와 감로도를 비롯한 각종 도상에서 신, 령, 괴의 층위를 두루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구성을 보면, 이야기는 정형화를 탈피하여 귀신의 온갖 내력을 수용하고자 했으며, 도상은 이미지의 근거를 파악하기 위해 시각적 읽기의 과정이 수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조선 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은 적층 문화가 집약된 결과물로 삶과 죽음을 둘러싼 인간사의 궁금증과 상상력을 피력한 기이의 미학을 수립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