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 山西 東南部지역의 北魏千佛碑像 考察

        서남영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In Zhangzi, Gaoping, and Jinchengs (areas located in the Shanxi southeast Changzhi basin), there are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They have a Buddha statue triads at the bottom, and smaller Buddhist statues are placed throughout the surface as well. First of all,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Northern Dynasties Steles with Buddha statues in the Shanxi Province,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teles with Buddha statues were excavated mostly in the southeast Shanxi Province, excluding Linfen and Yuncheng in the southwest Shanxi Province. In addition, I examined the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he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in the southeast of Shanxi Provinc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tele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resembled these of a Stele with Thousand Buddha Statue created in the year 496 A.D., which is the oldest example in Shanxi Province.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e the Buddha statue triads decorating the bottom niche, the dress code of the early Northern Wei period, and the narrowly expressed faces. In addition, other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e the Western style Flying Devas and strict arrangement of smaller Thousand Buddhas (all dressed in the K āṣāya style covering both shoulders and in the Dhy āna Mudr ā Buddha pose) throughout the surface of the statu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were generally produced around the year 500 A.D. -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However, some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had Bodhisattva statues that held vyajanas and niches that were house-shaped. These differences point to the influence by iconography from other regions. In other words, some of the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in southeast Shanxi, were similar to those common in the Gansu, Shaanxi, and Henan Province. I discovered that the Bodhisattva statues that held vyajanas and the Thousand Buddhas style were similar to the Buddhist statues in Gansu; it is probable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gions. Furthermore, Gansu, south Shaanxi, and southeast Shanxi regions pass through the inland areas around the Yellow River basin. This locational factor allowed the transmission of similar styles of statues from the west to the southeast of Shanxi around the 6 th century and affected the way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were made. This study will be further continued with additional research on Steles with a Thousand Buddha Statues in the Shanxi Province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in this paper. 산서 동남부 長治盆地에 위치하는 長子와 高平 및 晉城 일대에서는 하단에 小 龕을 두어 여래와 협시 보살상을 배치하는 三尊像과 그 외에는 비상 전체에 걸쳐 千佛을 배치하는 千佛碑像이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우선 산서지역의 北朝 불비상의 검토를 통하여, 佛碑像이 서남부에 위치한 臨汾과 運城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서 동남부 지역에서 출토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산서 동남부지역 千佛碑 像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각 불비상의 양식과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산서지방 最古의 佛碑像에 해당하는 北魏 太和20年(496)銘 李道興等 邑子千佛碑像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들 천불비상에서는 하단 불감에 표현된 삼존상의 존상 구성과 북위 전기에 확인되는 여래상의 가사 착의법 및 세장하게 표현된 용모에서 공통점이 확인된다. 덧붙여 서방식 천인상과 천불에 있어서도 엄격한 배열을 바탕으로 통견과 선정인의 결한 좌상으로 표현된 점이 공통점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 볼 때 千佛碑像은 대체로 500년 전후, 즉 5세기 말-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천불비상 중 일부 보살상이 지물로서 拂子를 들고 있는 점과 가옥형의 불감이 등장하는 점에서는 타 지방 도상과의 영향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즉산서 동남부 천불비상에서는 甘肅이나 陝西, 혹은 河南 조상과 공통점이 일부 확인되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 보살상이 拂子를 들고 있는 점과 천불의 선례가 甘肅 조상에서 이미 확인되는 점에서 양 지역간의 영향관계에 관해서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했다. 나아가 감숙-섬서남부-산서 동남부 지역, 즉 황하유역을 중심으로 한 이들 내륙을 관통하는 지역권에서 확인되는 양식상의 공통점이 6세기경 서쪽에서 산서동 남부 지역으로 전해지면서 千佛碑像의 제작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했으나, 이 부분은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산서 지역 千佛碑像에 관한 미공개 데이터와 연구를 통해 추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과 천불의 조영과 가치

        鄭恩雨(Jeong Eunwoo)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1

        마곡사 영산전은 천불전으로도 불렸으며 17세기 후반 벽암각성의 제자인 月波印英에 의해 중수되었다. 영산전에는 70~80cm 크기의 목조과거칠불좌상과 불석과 석고로 제작된 천불이 봉안되어 있다. 칠불좌상은 내부에서 발원문이 발견되어 1681년 조각승 단응을 비롯한 20여 명이 함께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이는 단응이 만든 가장 이른 기년명 불상이다. 목조대좌 역시 불상과 함께 단응이 제작하였음이 대좌 내부에 쓰여진 묵서를 통해 확인된다. 석가불의 대좌에는 6면에 걸쳐 네 가지의 청정한 지혜의 상징인 四智를 새기고 ‘平等性智’의 양 측면에는 ‘頓漸二門’, ‘惺寂對治’을 음각하여 선사상과 그 수행법을 강조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목조대좌 가운데 유일한 사례이다. 천불은 총 994존으로 불석 544존, 석고 459존, 나무로 제작된 불상이 1존이다. 불상의 재질이 다른 점을 고려해 보면 천불은 한번에 조성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즉, 불석의 제작시기는 17세기 또는 중수시기인 1843년으로 추정되며, 석고 천불상은 1970년대 권정환에 의해 제작되었다. 마곡사 영산전 불상은 1681년 조각승 단응에 의해 만들어진 점과 과거칠불과 천불의 조합 그리고 과거칠불이 천불의 증명불로 구성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 Yeongsanjeon(靈山殿) Hall of Magoksa Temple has also been referred to as Cheonbuljoen (千佛殿) and was renovated by Wolpa Yinyeong (月波印英), a disciple of Byeokam Gakseong (碧巖覺性), in the late 17th century. In Yeongsanjeon Hall, Wooden Seated seven Buddha Statues 70~80cm in height and One Thousand Buddha Statues made of zeolite and plaster are enshrined. An inscription was found inside the Seated Seven Buddha Statues revealing that the statues were created in 1681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round 20 Buddhist monks with Daneung as a leading sculptor. These are the earliest inscribed Buddhist statues made by Daneung. The inscription (mukseo) written inside the pedestal confirms the fact that Daneung made the wood pedestals as well as the statues. On the six sides of the pedestals of the Buddha statues, the four types of wisdom (四智) symbolizing four kinds of pure wisdom were carved while “頓漸二門” (two gates of sudden and gradual) and “惺寂對治” (clearing mind and confronting delusion) were engraved on each side of “平等性智” (the equality wisdom) to emphasize the idea and practice of zen. These are the only ones of their kind among all the extant wood pedestal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e One Thousand Buddha Statues consist of 944 statues in total: 544 zeolite statues, 459 plaster statues, and 1 wooden statue. Given the multiple materials used, it is believed that the One Thousand Buddha Statues were not made all at once. In other words, the zeolite statues were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17th century or rebuilt in 1843, but the plaster statues were made by Kwon Junghwan in the 1970s. The Buddha statues in the Yeongsanjeon Hall of Magoksa Temple are of major significance due to the following facts. They were created in 1681 by Daneung, a monk sculptor, and are a combination of the Seven Buddha Statues and the One Thousand Buddha Statues, and the Seven Buddha Statues are comprised of the Buddhas of Verification.

      • KCI등재

        673년 세종지역 불교신앙의 성격

        길기태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7

        In the present Sejong area, several Buddha statues at a specific time in the year of 673 are being created. The Buddha statues are a type of stone monument that has not been found before, and they are Amitabulbisang(阿彌陀佛碑像) and Cheonbulbisang(千佛碑像). The Gyeyunyeon(癸酉年) 673 year was the time after Silla built the Soboryju(所夫里州) in the Sabi(泗沘) area of Baekje and it is understood that Silla secured control over the area since then. If so, it could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Silla on this area was exercised during the period. However, inscription of the Amitabulbisang shows Dalsol(達率), which is a rank of Baekje. It is the only thing that appears in the inscription, whereas Jisik(智識) and Hyangdo(香徒) shown in the inscription are all using the ranks of Silla. This means that Baekje's religious influence still remained. If Baekjae's religious influence had been sustained, it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nature of the Amitabha belief. Amitabha belief began from human instinctive fear of death, and it seems that it contains a future-oriented nature reflecting the dark reality that Baekje people felt through destruction and war of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heonbulbisang, which is found in the same area, shows a different nature from the Amitabulbisang. Cheonbulbisang uses the term Hyangdo of a Silla element, but it does not exhibit any rank of Baekje at all. Above all, nature of the Cheonbulbisang, is strongly projecting the will to embody the present age as the Buddha's Pure Land.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hilla's Amitabha belief at that time had a temporal nature. If so, it can be said that Silla's influences were included in composition of the Cheonbulbisang. The fact that the future-oriented belief of Baekje and the temporal Pure Land realization belief of Silla were mixed and appear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region reflects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s well as the unification state. Because Silla was conducting a war with Tang at the time, the present Sejong area was a key point of military and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deemed that Silla exercised influence on formation of Buddha statues in Sejong area in Gyeyunyeon 673,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the region and the groundwork of the Silla-Tang War(羅唐戰爭). 현재의 세종지역에는 673년이란 특정시점에 다수의 佛碑像이 조성되고 있다. 이 불비상은 이전에는 발견된 바 없는 石碑형식으로,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과 「계유명삼존천불비상」이 그것이다. 계유년인 673년은 신라가 백제의 사비지역에 소부리주를 설치한 이후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이 지역에 대한 신라의 영향력이 행사되던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아미타불비상의 명문에는 백제의 관등인 達率이 보인다. 명문에 보이는 지식 및 향도들이 모두 신라의 관등이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유일하게 보이는 것이다. 이는 여전히 백제의 신앙적 영향력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제의 신앙적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었다면, 이는 아미타신앙의 성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아미타신앙은 죽음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인 두려움에서 출발한 것으로, 나라의 멸망과 전쟁을 통하여 백제의 유민들이 느꼈을 암울한 현실을 투영한 내세지향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동일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불비상은 아미타불비상과는 다른 성격을 보여준다. 천불비상에는 신라적 요소인 香徒란 용어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관등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천불비상의 성격이 현세를 부처의 정토로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투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당시 신라의 아미타신앙이 현세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천불비상의 조성에 신라의 영향력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시기에 동일한 지역에서 백제의 내세지향적 신앙과 신라의 현세적 정토구현의 신앙이 혼융되어 나타나는 것은 통일정국이라는 점과 더불어 이 지역이 가지는 지정학적 특성도 반영한다. 현재의 세종지역은 군사 및 교통의 요충지이며, 당시 신라가 당과의 전쟁을 수행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그러하다. 따라서 신라가 계유년인 673년에 세종지역의 불비상 조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이 지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면서 나당전쟁에 대한 포석도 함께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전탑 천불상 연구

        이진호(Lee Jin-Ho)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4 No.-

        천불은 불교가 시작된 초기부터 인도와 서역 그리고 중국에서 회화 또는 조각으로 조성되어 많은 예가남아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이르기까지꾸준히 조성되었다. 이 논문에서 통일신라시대를 다루는 것은 이 시기 천불상이 그 시대만의 특수성이 잘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문헌자료 및 작품이 부족한 삼국시대 불교미술을 이해하고, 나아가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불교미술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불교미술 중 천불상의 가장 이른 예로 중국 병령사 169굴 남벽에 남아있는 소조상(420년)이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1세경에 성립된 경전에서 이미 천불이 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간다라 사원의 탑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소형 사당에 불상이 반복적으로 봉안된 것을 천불상의 시원으로 추정하였다. 간다라 사원에서 조성되기 시작한 천불상은 서역사원에서도 나타나며, 중국이나 서역 석굴사원의 천불상은 벽면을 가득 채우다가 점차적으로 천정으로 배치되어 장엄적인 기능이 강조되었다. 천불신앙과 조상은 삼국시대 불교가 전래된 시기와 거의 동시에 함께 전달되어 우리나라 초기 불교미술에서부터 영향을 끼쳤는데, 이는 불교미술에서 최고(最古)의 기년명을 가진 연가7년명(539) 금동불입상이 천불신앙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시대 천불의 수용과 신앙은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이 활발하게 조성될 수 있었던 기반을 제공하게 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구성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특징을 살펴보면, 불상(佛像)과 문양(文樣) 형식은 불상이나열된 사이사이에 문양이 배치된 형식이고, 불상과 탑(塔) 형식은 불상과 탑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식으로 모두 탑 부재용이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대부분 7세기 후반에서 8세기중반에 집중적으로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경주를 중심으로 조성된 이유로는 경제적 능력을 지닌 지배층 세력의 뒷받침이 필요했기 때문이며, 이는 천불상과 관련된 사찰에서 모두 고신라의 기와가 출토된 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주지역을 비롯하여 울산과 청도지역에서 조성된 것은 울산이 당시 중요 항구로서 경주와 밀접하게 교류했으며, 청도는 주요 교통로로서 주민들이 왕경 내의 공사에 동원되기도 했던 점이 천불탑이 건립될 수 있었던 근거이다. 또한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과 비교하여 초기 밀교 경전인 관불삼매해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초기 밀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불교미술사에서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다루어진 주제로, 중국이나 서역의 석굴사원에서도 보기 드문 예로 통일신라미술의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데 의의가 있다. Cheonbul images were produced in large numbers both in paintings and sculptures in India, Xiyu(the Western Regions), and China from the advent of Buddhism. Even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made continuously throughout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oseon Period. Cheonbul images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display a form hardly found among those made during either the Three Kingdoms Period or the Goryeo or Joseon Dynasties, or in other Buddhist countries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us, Cheonbulimages are important for scholars of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in both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cerning which only a small number of literary materials or artworks remain, and i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clay Buddha(420 AD) carvedon the southern wall of CaveNo. 169 of Bingling Temple, Gansu Province, China has been referred to as the earliest of the extant Cheonbul images. However, this study notes that Cheonbul had already appeared in Buddhist scriptures written around the 1st century and assumes that Buddha images, which were repeatedly kept in a small shrine next to a tower in Gandhara, were the origin of Cheonbul images. Cheonbul images, which were first produced in Gandhara, spread to Xiyu. Cheonbul images in cave temples in Xiyu and China were first made on the walls and were gradually made even on the ceilings, inspiring solemnity among onlookers. Sculptured Buddha images, including Cheonbul image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lmost simultaneously with Buddhism. They influenced local Buddhist art from the beginning, as can be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the Standing Gilt-bronze Buddha Image inscribed with the year of Yeonga(an era name used by Goguryeo 7th year=539 AD), which is the oldest Buddhist artwork to have been discovered in Korea, is associated with a Cheonbul-based religion. The introduction of Cheonbul images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provided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many such imag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Cheonbul imag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ir composition: (A) Buddha images plus pattern(with patterns laid between the Buddha images) (B) Buddha images plus pagoda(Buddha images and pagodas being placed alternately), all of which were designed to be mounted on pagodas. Most of them were made in Gyeongju between the late-7th century and mid-8th century. The location of Gyeongju was associated with the need for financial political support, as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roof tiles dating back to pre-Unified Silla have been unearthed from all the temples associated with Cheonbul images. It is assumed that stones used to make Cheonbul pagodas were supplied from tile kiln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The existence of Cheonbul pagodas in Ulsan and Cheongdo, but not in Gyeongju,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Ulsan was an important port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Gyeongju, that Cheongdo was on a major path leading to Gyeongju, and that the local residents there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 work carried out in the capital.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Cheonbul images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associated with tantric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made with a group of rock-carved Buddha images in Namsan, Gyeongju, with the focus on Gwanbul sammae haegyeong, a relevant scripture. Although the Cheonbulsang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been neglected, they are nonetheless important materials for those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as they display the originality of the country in which they were made, since nothing similar has been found elsewhere.

      • KCI등재

        연구논문 : 무등산 불교미술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

        이경화 ( Kyung Hwa Lee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에 관한 글이다. 예술은 문화를 토대로 탄생하고 문화는 그 지역별로 중심지가 존재한다. 현재는 무등산 불교문화가 쇠락하였지만 늦어도 남신라시대부터 이 지역의 행정중심지이자 문화중심지로서 그 문화가 찬란하게 번성하였음을 남아있는 유물을 통해 짐작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의 불교문화는 고립된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한국 불교문화의 축소판과 같은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임을 다음과 같이 알 수 있었다. 먼저 신라하대의 개선사지 석등은 9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왕실발원 명문을 가지고 있다. 이 석등의 명문은 좌에서 우로 쓰여 진 비한문식이고 ``京租``의 해석에서 서울에 내는 세금이 아닌 벼의 품종에 불과하다는 점을 새롭게 보았다. 그리고 중심사 등 무등산 남록을 중심으로 신라 하대 이후 무등산에 끼친 선종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원효사 소조불은 화엄의 영향으로 고려시대에 천불로 조성된 작품이다. 기존에는 제작시기를 고려 후기로 추정하였으나 이 글에서는 고려중기로 재고하였다. 원효사 소조천불의 조성 배경에는 11세기에 신라말에서 고려초에 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선종이 침체하고 교종이 부흥하는 사실과 연관 지어 보았다. 11세기 말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원효의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이후 그에 연원을 둔 교학이 주목되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 북쪽 기슭의 교종 사찰 원효사와 남쪽 기슭의 선종을 대표하는 중심사가 대치되는 양상이 있었음을 보았다. 셋째 조선후기 불화의 畵聖으로 불리는 의겸이 이 지역에 연고를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의겸의 활동은 임란의 피해를 복구하고 이룬 경제적 안정과 대흥사를 필두로 고양된 화엄학을 배경으로 한다. 19세기 불화승을 대표하는 원효사의 두 화승인 풍계현정과 원당내원의 배출 역시 그러한 바탕이 전조가 되었다. 각각 그들은 대흥사 천불전 천불과 대광명전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그들의 폭넓은 교류를 통하여 무등산이 19세기 불화제작의 주요 거점 중의 하나였음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Mount Mudeung,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in order to infer this region`s cultural identity. Furthermore,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around this area were reviewed, which showed the region`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provinces in Korea. Buddhism flourished in this region for a long time with a number of remains. Given this region`s central role in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esents an example of Korea`s Buddhist faith development. Gae-sun temple site ``stone tower`` was built in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of Silla dynasty. It does not have the classical solemnity seen in the stone tower in Hwa-um temple. Instead it shows a cheerful and decorative trend of the perio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al script inscribed on the stone tower is not a typical Chinese script. A new interpretation was offered for the script.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after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780 -935AD) was inferred from remains such as the iron Vairocana Buddha statue at Jeungsim Temple. There was an influence of Avatamska Sutra tradition on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It was considered to be built in late Koryo dynasty. This dating was based on the style of garments for the Buddha Statue. Given that this style can be found in Buddha statues from Sung dynasty that was a ruling dynasty in China between 960 and 1279 AD, it is possible to consider it to be built in mid Koryo dynasty. In the late 11th century, non-Zen sects of Buddhism flourished, whil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diminished.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might have been built under this circumstance. Around Mount Mudeung, there was a contrast: Won-hyo temple (non-Zen sect) at the north and Jeungsim Temple (Zen sect) at the south. Euigyeom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nent monk painters during late-Chosun period. His art work remains in Seo-bong temple where his teacher and parents died. His active art work wa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Avatamska Sutra. During his time, this region`s economy was in a recovery (or booming) phase, after the destruction caus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Chosun dynasty) in 1592. His two successors in the 19th century in Won-hyo temple followed the Avatamska Sutra. They produced paintings in Dae-heuing temple. Considering their influenc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unt Mudeung was a center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무등산 불교미술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

        이경화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에 관한 글이다. 예술은문화를 토대로 탄생하고 문화는 그 지역별로 중심지가 존재한다. 현재는 무등산 불교문화가 쇠락하였지만 늦어도 남신라시대부터 이 지역의 행정중심지이자 문화중심지로서 그 문화가 찬란하게 번성하였음을 남아있는 유물을 통해짐작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의 불교문화는 고립된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한국 불교문화의 축소판과 같은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임을 다음과 같이알 수 있었다. 먼저 신라하대의 개선사지 석등은 9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왕실발원 명문을가지고 있다. 이 석등의 명문은 좌에서 우로 쓰여 진 비한문식이고 ‘京租’의해석에서 서울에 내는 세금이 아닌 벼의 품종에 불과하다는 점을 새롭게 보았다. 그리고 증심사 등 무등산 남록을 중심으로 신라 하대 이후 무등산에 끼친선종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원효사 소조불은 화엄의 영향으로 고려시대에 천불로 조성된 작품이다. 기존에는 제작시기를 고려 후기로 추정하였으나 이 글에서는 고려중기로재고하였다. 원효사 소조천불의 조성 배경에는 11세기에 신라말에서 고려초에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선종이 침체하고 교종이 부흥하는 사실과 연관 지어 보았다. 11세기 말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원효의 재평가가 이루어졌고이후 그에 연원을 둔 교학이 주목되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 북쪽 기슭의 교종사찰 원효사와 남쪽 기슭의 선종을 대표하는 증심사가 대치되는 양상이 있었음을 보았다. 셋째 조선후기 불화의 畵聖으로 불리는 의겸이 이 지역에 연고를 두었음을알 수 있었다. 의겸의 활동은 임란의 피해를 복구하고 이룬 경제적 안정과 대흥사를 필두로 고양된 화엄학을 배경으로 한다. 19세기 불화승을 대표하는 원효사의 두 화승인 풍계현정과 원담내원의 배출 역시 그러한 바탕이 전조가 되었다. 각각 그들은 대흥사 천불전 천불과 대광명전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그들의 폭넓은 교류를 통하여 무등산이 19세기 불화제작의 주요 거점 중의 하나였음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Mount Mudeung,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in order to infer this region’s cultural identity. Furthermore,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around this area were reviewed, which showed the region’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provinces in Korea. Buddhism flourished in this region for a long time with a number of remains. Given this region’s central role in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esents an example of Korea’s Buddhist faith development. Gae-sun temple site ‘stone tower’ was built in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of Silla dynasty. It does not have the classical solemnity seen in the stone tower in Hwa-um temple. Instead it shows a cheerful and decorative trend of the perio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al script inscribed on the stone tower is not a typical Chinese script. A new interpretation was offered for the script.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after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780 -935AD) was inferred from remains such as the iron Vairocana Buddha statue at Jeungsim Temple. There was an influence of Avatamska Sutra tradition on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It was considered to be built in late Koryo dynasty. This dating was based on the style of garments for the Buddha Statue. Given that this style can be found in Buddha statues from Sung dynasty that was a ruling dynasty in China between 960 and 1279AD, it is possible to consider it to be built in mid Koryo dynasty. In the late 11th century, non-Zen sects of Buddhism flourished, whil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diminished.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might have been built under this circumstance. Around Mount Mudeung, there was a contrast: Won-hyo temple (non-Zen sect) at the north and Jeungsim Temple (Zen sect) at the south. Euigyeom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nent monk painters during late-Chosun period. His art work remains in Seo-bong temple where his teacher and parents died. His active art work wa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Avatamska Sutra. During his time, this region’s economy was in a recovery (or booming) phase, after the destruction caus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Chosun dynasty) in 1592. His two successors in the 19th century in Won-hyo temple followed the Avatamska Sutra. They produced paintings in Dae-heuing temple. Considering their influenc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unt Mudeung was a center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문화기호학으로 풀어보는 운주사 천불 천탑의 문양들

        선미라 ( Mi Ra Su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1

        본 연구는 운주사 천불 천탑의 석탑과 불상에 존재하는 각종 기호와 문양을 통해 당시 문화에 내재된 운주사의 문화 기호를 풀이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천불 천 탑의 기호와 문양의 의미뿐 만 아니라, 운주사를 현대사 속에서 여러 방면의 문화적 형태로 재조명해 보는 일련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운주사의 기호와 문양은 기이한 기하학적 형태로 인하여 이민족 건설설이 대두되기도 하고, 심지어 우주인이나 혹은 외계인의 건설 설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해주는 징표로는 운주사의 문양인 9층 석탑의 탑신석에 이중 마름모꼴의 안쪽에 새겨진 연꽃 문양과 3층 석탑에 새겨진 마름모꼴 문양, 7층 석탑에 새겨진 볼록한 엑스(X)자 문양과 볼록한 엑스 엑스(XX)자 문양, 엑스 엑스(××)자 문양, 그리고 광배석불의 불상 뒤의 화염문(火焰文)으로 나타나며, 그 기호 의미는 나선 문양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형 다층석탑의 기단면석 부분(일명 연화탑)의 연꽃 문양과 U자형 문양 등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운주사 문양의 상징은 자유, 해방에 의한 미륵 세상, 국가와 민중 수호, 풍요다산과 평안, 시작과 끝, 탄생과 부활 그리고 세상 거꾸로 보기-뒤집힌 세상 등의 기호들로 볼 수 있다. 결국 운주사 천불 천 탑의 코드는 인간과 사회의 변혁을 요구하고, 국가와 민족을 수호했던 호남문화의 수천 년의 기억 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집단 무의식에 잠재되어 또 다른 문화양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terpret narrative signs of Unjoo Temple inherent in the culture of that time.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signs and figures that exist in stone pagodas and Buddhist statues which are one of Chonbul-Chontap secrets of Unjoo Temple. It is thought that it is a new chance to reorganize cultural styles of Unjoo Temple in various fields of modern history as well as meanings of Chonbul-Chontap signs and figures. Specifically, because of geometric forms of the signs and figures of Unjoo Temple, it is thought that it was built by foreign peoples and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it was built by aliens. The following signs support such suggestions: lotus flower figures inside the double diamond shape on the pagoda body stone of the nine-storied stone pagoda, a diamond figure inscribed on the three-storied pagoda, baggy X figure and XX figure of the 7-storied pagoda, flame letters on the back of Gwangbae-seok-bul. However, the meaning is well explained in what looks like spiral figures, lotus flower figures on the base of the circular multi-storied pagoda (Yeonhwatop) and U-shaped figures. So, this study speculates signs and figures in symbolic, geometric, artistic, cultural and religious aspects. The figures of Unjoo Temple symbolize freedom, Mireuk world by independence, protection of people and the nation, abundance, fecundity, comfort, beginning, end, birth, revival, and reversed world. Finally, the codes of Chonbul-Chontop of Unjoo Temple ask revolution of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already exist in long memories of Honam culture that protected people and the nation. Such phenomenon which has been kept in collective unconsciousness suggests that it can create another cultural aspect.

      • KCI등재

        『현겁경』 을 기반으로 한 초기 서역 불교수행체계에 관한 고찰

        한지연(Jee Yeon H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현겁경』 은 초기 대승 경전의 위치를 자지하고 있으며 삼세불사상 및 천불사상의 주요 내용을 담고 있어 대승불교의 발전, 특히 신앙의 발전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경전이다. 그러나 현재의 ‘종파’ 개념으로 본다면 이는 그 어떠한 종파에도 속하지 않으며 복잡한 사상의 구조보다는 다른 대승경전 속에 스며들며 영향을 주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이에 대한 사상이나 신앙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는 양상에 관해 연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 경전의 東傳(동전)과 중국 내에서의 역경의 현황 등을 우선 밝힌다. 그리고 이 경전을 근거로 하는 신앙사와 수행체계의 발전사를 서역이라는 지역에 국한시켜 연구를 진행한다. 강경을 통한 개인 수행이 강한 간다라 지역에서 드러나고 있는 2~4세기의 사원구조와 이 속에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병렬식 불상의 배치 등은 관불수행과 연결시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문화적 현상이 과거 우전국의 각종 사원지에서 드러나고 있어 이러한 연관성을 『현겁경』이라는 카테고리로 묶어서 보았다. 또한 하서회랑에 조성되어 있는 석굴사원 내에 등장하고 있는 千佛(천불)과 과거 유행했던 불명회라는 집단의 활동을 통해 『 현겁경 』 을 바탕으로 하는 신앙사를 밝혀보았다. 그러나 본고는 본 경전에 대한 연구의 시론적 입장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여러 연구과제를 남기면서 글을 마친다. Bhadra-kalpa sutra which contains the idea of Buddhas of the past, present andfuture and the thousand Buddhas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sutra forthe development of not only Mahayana Buddhism but also the whole Buddhism. Even though the sutra itself have no concept of specific denomination, it hadgiven a lot of influence on other sutras of Mahayana Buddhism later on. Here in this study, to begin with the spread of this sutra toward the East andthe translation work in China is researched. Then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religion and the form of the religious practice based on this sutra in westernregion. The peculiarities such as the design of temples of Gandhara built in 2~4century which shows the tendency of self-discipline through reading sutras and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statues can be explained to have relations withmeditating upon Buddha. Moreover those peculiarities are also shown on thetemple sites in Khotan area. These cultural relations are here studied with theinfluence of Bhadra-kalpa sutra.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Bhadra-kalpa sutraon the history of Buddhism is researched through the thousand Buddhist statuesin the grottoes built along Hehsihuilang and the activities of Fo-Ming-Hui once prevailed. This early-stage study on the Bhadra-kalpa sutra leaves more questions and subjects that has to be research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Imagining Ritual and Cultic Practice in Koguryŏ Buddhism

        Richard D. McBride Ⅱ(리차드 맥브라이드)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9 No.2

        고구려 불교의 의식 및 신앙관행에 관한 상세한 연구는 현전하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불가능한 실정이나, 북중국에서 시행되던 의식 및 신앙관행들과 유사성을 가졌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예컨대 인왕경좌강회(仁王經座講會), 팔관회(八關會)와 같은 공덕을 쌓기 위한 의식들은 불교 공동체 내에서 포살(布薩)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신앙관행의 주최자가 관행을 지키는 것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현전하는 도상(圖像)들은 천불(千佛), 미륵(彌勒), 아미타불(阿.陀佛) 신앙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명문(銘文)을 통해 미륵이 출현할 먼 미래에 다시 태어나는 것 뿐만 아니라 도솔천(兜率天)에 상생하는 것이 불교 승려들과 신자들의 중요한 목표였음을 알 수 있다. 불교관련 문헌들은 미륵이 있는 도솔천에 다시 태어나기를 열망하며 사유상(思惟像)을 이용하는 방식인 명상 시각화(meditation visualization)라는 신앙관행을 보여 준다. Due to the scarcity of extant source materials, the ritual and devotional practices of Kogury. Buddhism cannot be known in any great detail, but they probably had much in common with those practiced in Northern China. Merit-making rituals like the Convocation for the Recitation of the S.tra for Humane Kings and Assembly of the Eight Prohibitions show the relevance of the po.adha in Buddhist communities and suggest a host of devotional practices associated with observing the practices. Extant images allud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s of the thousand buddhas, Maitreya, and Amit.yus. Inscriptions indicate that rebirth in Tuita Heaven was an important goal for Buddhist monks and laity, as well as rebirth on the earth in the distant future when Maitreya comes. Buddhist literature describes the devotional practice of meditation visualization, a way of using pensive images to aspire for rebirth in Tu.ita Heaven in the presence of Maitrey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