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관 협착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시 조영 양상에 따른 단기 추시 결과

        안영준,이승림,김성완,정홍준,이정하,최인석,양보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3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신경근 차단술시 조영 양상 및 척추관 면적에 따른 단기 추시 결과를 확인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신경근 차단술은 요추부의 추간판 탈출증 뿐 아니라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하지 방사통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결과들이 다수 보고 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의 순수한 중심성 요추부 협착증 환자 중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 받은 217명을 대상으로 시술 전 후 Visual Analog Scale(VAS) 점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영제의 퍼짐 양상을 관찰하여 조영제가 신경근을 따라 척추관까지 도달한 경우는 Type I, 조영제 주사후 신경근을 따라 근위부 또는 원위부 모두로 조영되었으나 척추관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Type II로 정의하였으며, 각각의 분류에 따른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척추관 면적을 표준편차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면적에서 조영제 퍼짐 양상에 따른 치료 효과도 비교하였다. 결과: 조영 양상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시술전과 비교하여 두 그룹 모두에서 VAS 점수의 감소를 보였으나, 두 그룹을 비교한 t-test 상 type I 그룹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척추관 면적과 관련한 연구에서 척추관 면적이 172.2mm2이상인 환자에서는 두 그룹 모두에서 시술 전과 비교하여VAS 점수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추시 기간 동안 두 그룹간 VAS 점수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척추관 면적이 73mm2미만인 환자에서의VAS 점수는 시술전과 비교하여 두 그룹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고, 추시 기간 동안 두 그룹간 VAS 점수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신경근 차단술시 조영 양상과 상관없이 단기 추시상 효과가 있었으며, 조영제가 척추관까지 도달한 군(Type I)에서 그렇지 않은 군(Type II)에 비해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척추관 면적과 관련하여 척추관 면적이 비교적 넓은 환자에서는 조영되는 양상과 관계없이 신경근 차단술의 효과가 있고, 조영되는 양상에 따른 두 그룹간 효과의 차이가 분명했다. 하지만 척추관 면적이 비교적 좁은 군에서는 시술 전과비교하여 VA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없었고 조영양상에 따른 효과의 차이도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근 차단술시 주사침의 삽입각과 위치를 조정하여 조영제가 척추관까지 도달함을 확인후 약물을 주입하여야겠고, 심한 중심성 협착증 환자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염두에 두고 치료 계획을 결정하는것이 좋을 것이다.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observe the short term effect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depending on the contrast pattern and spinal canal siz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NRB is quite effective not only for patients with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s but also for those with sp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Visual Analog Scale(VAS) score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from 217 subjec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and underwent sNRB. Two types were classified after observing the contrast’s spreading pattern, Type I contrast reaching the spinal canal and Type II not reaching the spinal canal. Efficacy of the treatment for each type was also compared. In addition,the spinal canal siz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reatment efficacy depending on the contrast pattern was also compared in each category. Results: When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contrast pattern, type I showed a more significant reduction in VAS score according to T-test although both types showed a decrease in VAS score after the procedure. In regards to spinal canal dimension, both types showed decreased VAS scores after the procedure in patients with spinal canal size larger than 172.2mm2; however, there were no changes in VAS score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for those with spinal canal size smaller than 73mm2.Conclusions: There was a short term effect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in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regardless of their contrast pattern, type I group showing a stronger correlation. In regards to spinal canal dimension, patients with larger spinal canal sizes not onl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VAS score after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but also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ntrast pattern.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score before and after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in patients with small spinal canal sizes,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outcome depending on the contrast pattern in patients with small spinal canal sizes. Therefore, when performing selective root nerve block (sNRB), the operator should remember to manipulate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spinal needle when injecting the appropriate drug after confirming that the contrast material reached the spinal canal. The operator should also consider surgical management when performing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in patients with severe central spinal stenosis.

      • KCI등재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 있어서 신경근 침강 증후의 임상적 가치

        김현준,이규열,김우철,오용승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ssess the diagnostic value of the sedimentation sign seen on MRI with lumbar spinal stenosis and to compar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erve root sedimentation sign is an additional tool to diagnose lumbar sp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re were 302 patients enrolled that had been diagnosed with lumbar spinal stenosis by MRI, which were reviewed to identify a sedimentation sign and all underwent the operative treatment. There were 142 patients who could not have their spinal stenosis diagnosis confirmed by MRI, and thu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o estimate the diagnostic value of nerve root sedimentation sign. Correlation with the duration of preoperative symptoms and the number of involved seg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sedimentation sign positive (Group I) and negative (Group II). We estimated Million Visual Analogue Score (MVAS) and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for the assessment of the pain and the functional disability. Results: A positive sedimentation sign was found in 265 patients (87.7%) and diagnostic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involvement of 2 or more segm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dimentation sign in the positive group (P<0.001). MVAS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64.5±4.6%, KODI, 62.9±3.9% after surgical treatment in Group I. In Group II, each score showed improvement of 34.6±2.3% (MVAS), 37.1±1.8% (KODI). The improvement of these scores in Group I was better than in Group II. Conclusions: The nerve root sedimentation sign is an additional tool to diagnose lumbar spinal stenosis and the considerable factor to decide the operation. Key Words: Lumbar spine, Spinal stenosis, Sedimentation sign, Value of sedimentation sig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확인된 신경근 침강 증후에 대해 진단적 가치 및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평가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신경근 침강 증후는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는 데 부가적인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자기 공명 영상 검사 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기간에 외래를방문하였던 환자 중 자기 공명 영상 촬영 후 척추관 협착증이 없었던 14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신경근 침강 증후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요추부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침강 증후 양성인 환자군(GroupⅠ)과 음성인 환자군(GroupⅡ)의 수술 전 증상들의 기간과 침범한 분절의 개수와의 연관성을분석하였다. 수술 전후 통증 지표와 일상 생활의 기능 장애의 변화를 Million Visual Analogue Score (MVAS)와 Korean Oswestry Diability Index (KODI)를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신경근 침강 증후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 중 265명(87.7%)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진단적 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신경근 침강 증후 양성 소견은 2분절 이상 침범되었을 때, 더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GroupⅠ에서 MVAS는 술전 62.6±5.8점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22.3±3.4점으로 64.5±4.6%만큼 향상되었고, KODI는 27.7±5.2점에서 10.1±2.6점으로 62.9±3.9%만큼 향상되었다. Group Ⅱ에서도 MVAS는 술전 52.4±3.1점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36.5±1.5점으로 34.6±2.3%만큼 향상되었고,KODI는 27.1±2.1점에서 17.5±1.5점으로 37.1±1.8%만큼 향상되었으나, Group Ⅱ보다 GroupⅠ에서의 증가폭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결론: 신경근 침강 증후는 요추부 척추 협착증의 진단적 도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수술 전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색인 단어: 요추, 척추관 협착증, 신경근 침강 증후약칭 제목: 신경근 침강 증후의 가치

      • KCI등재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척추관 면적에 따른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단기 추시 결과

        안영준,임세혁,박상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2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ymptom improvement and spinal canal dimens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lumbar spinal sten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When the canal size is relatively small, the pressure on the nerve root increases. Decompressive surgery relieves more pain in such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9 to March 2011, 141 patients receiv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1-level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in our hospital. We evaluated the patients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before the procedure and 1 hour, 1 month, and 3 months following the procedure. We measured the spinal canal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inal canal dimensions and the pre-procedure VAS.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3 groups using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atients’ spinal canal dimensions (<73.1 mm2, 73.1-172.5 mm2, >172.5 mm2) (p<0.01). One hour after the procedure, the VAS scores changed by 1.43±1.8, 1.62±1.7, and 1.53±1.5,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changes 1 month and 3 months following the procedure, with results of 2.39±1.7 and 1.39±1.5, 4.65±2.1 and 4.28±2.3, and 4.97±2.2 and 6.83±1.9 (p<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smaller the area of the spinal canal, the less likely symptoms were to improve after selective nerve root block.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edict the effect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in spinal stenosis patients.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으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증상 호전 정도와 척추관 면적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신경근 사이 압력이 증가되며 그러한 환자들에서 수술 후 방사통이 더 의미있게 호전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1년 3월까지 단분절 중심성 요추부 협착증으로 본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 받은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전, 시술 1시간 후, 시술 1개월과 3개월째 Visual Analog Scale (VAS) 값을 조사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척추관 면적을 측정하였다. 결과: 척추관의 면적과 시술 전 VAS 값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환자들의 척추관 면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73.1 mm2 이하, 73.1~172.5 mm2, 172.5 mm2 이상인 3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시술 1시간째의 VAS 변화값은 각각, 1.43(±1.8), 1.62(±1.7), 1.53(±1.5)으로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시술 1개월 및 3개월째에 VAS 변화값은 각각, 2.39(±1.7)/1.39(±1.5), 4.65(±2.1)/4.28(±2.3), 4.97(± 2.2)/6.83(±1.9)로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척추관 면적이 좁은 경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증상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적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 있어 선택적 신경근차단술을 고려하는 경우 그 효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약칭 제목: 척추관 면적에 따른 신경관 차단술의 효과

      • KCI등재

        요추부 추간공 협착증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관상형 견인기를 이용한최소 침습적 감압술의 유용성

        신헌규,최재열,정화재,김유진,박세진,이승희,서동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usefulness of lumbar posterior foraminotomy and central decompression usingtubular retractor with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erior decompression and arthrodesis for the 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with foraminalstenosis is a classical surgical method. It is inappropriate for patients who have rejection to arthrodesis or medical problems, because itmay have several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from 12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foraminotomy and centraldecompression from January 2009 to April 2011 and were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theProlo outcome scale. Results: Six Of 12 patients showed immediate relief of radiculopathy. Postoperative posterior lumbar pain and spasm were negligible,and no surgically related complication was not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decreased from24.25±2.89(pre-op) to 19.33±3.02(Last F/U)(p=0.28, paired t-test) in 8 of 12 patients. Conclusions: A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foraminotomy and central decompression could be an alternative surgical option for the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with foraminal stenosis, especially in subjects with old age, having medical problems and refusal ofarthrodesis. 연구계획: 최소 침습적 후방 추간공 확장술을 시행한 12명의 요추부 추간공부 협착증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임상 및 수술 결과에 대해 후향적분석을 시행하였다. 목적: 요추부의 추간공 협착증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 요추부 후방 추간공 확장술 및 척추관 감압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의 추간공 협착증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술법은 고식적인 후방 감압술 및 유합술이다. 이는 수술시간이 길고, 오랜 입원기간, 술 후 요추부 통증, 유합술로 인한 인접 척추분절 장애 등이 남을 수 있어 고령의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에서는 위험할 수 있고, 큰 수술을 원치 않는 환자군에서는 적절치 못한 수술법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후방 추간공 확장술 및 척추관 감압술을 시행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증 정도는 VASscore를 이용하였다. 술 후 예후는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와 Prolo Outcome Scale (POS)로 평가하였다. 결과: 12명 중 6명에서 수술 후 하지 방사통의 즉각적인 호전이 관찰되었다. 수술 후 요추부 통증은 미미한 정도였으며,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관찰기간 동안 8명에서 ODI는 수술 전 평균 24.25±2.89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 결과 평균 19.33±3.02으로 감소하였다(p=0.28, pairedt-test). 결론: 최소 침습적 후방 추간공 확장술은 고령의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나 유합술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 대안적 수술법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초음파를 이용한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결과 비교 -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

        김영태,조규정,안치훈,Kim, Young-Tae,Cho, Kyu-Jung,Ahn, Chi-Hoo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효과적으로 외래환자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시술되어도 25%의 실패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유효성을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를 복와위 자세로 눕힌 후 방사형 탐지자(round probe)를 이용하여 22게이지 바늘이 천-미추막을 통과한 것을 확인 후 약물을 투여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은 31명이었으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은 24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시행 전, 시행 후, 시행 2주 후, 시행 4주 후 전화 인터뷰와 외래 방문 시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55예 중 53예에서 바늘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어 9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는 추간판 탈출증군에서 $42.3{\pm}10.8$세로 척추관 협착증군의 $62.8{\pm}15.1$세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각통증척도는 추간판 탈출증 군에서 시행 전 6.8, 시행 후 3.1, 시행 2주 후 1.8, 시행 4주 후 1.77로 나타났으며, 척추관 협착증 군에서 시행 전6.9, 시행 후 3.6, 시행 2주 후 4.3, 시행 4주 후 4.9로 나타났다.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시각통증척도는 양 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나이를 보정한 후의 결과, 시간에 따라 양 군간 시각통증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 비해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Ultrasound-guided epidural caudal block for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is often performed in the treatment of outpatients. However, this procedure has a failure rate of up to 25% even when it performed by an experienced physician. The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epidural caudal block in patients related to disc herniation or sp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was performed in 55 outpatients with LBP and radiating pain. Patient was placed in the prone position and sonographic image of sacral hiatus was obtained using linear probe. A 22-gauge needle was advanced into the sacrococcygeal membrane under ultrasound guidance and then medication was injected into the caudal epidural space. There were 31 cases of disc herniation, and 24 cases of spinal stenosis. Patients were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pain score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2 weeks and 4 weeks by telephone interviews. Results: 53 of the 55 cases (96.4%) of needle insertion into the sacral canal under ultrasound guidance were successful. Gen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sc herniation group and spinal stenosis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age difference between disc herniation group ($42.3{\pm}10.8$), and spinal stenosis group ($62.8{\pm}15.1$) [p<0.001]. The VAS score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2 weeks, 4 weeks in disc group were 6.84, 3.1, 1.8 & 1.77. The VAS score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2 weeks, 4 weeks in spinal stenosis group were 6.88, 3.58, 4.33 & 4.88. The VAS score in both group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cedure (p<0.001). Over time,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score after adjusting for age (p<0.001). Conclusion: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seems to provide a high success rate and a significantly better response in disc group than spinal stenosis group.

      • KCI등재

        수술이 필요한 단분절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 효과와 연관된 인자

        안영준,임세혁,장석인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f date collected prospectively. Objectives: To report analytic results about association factors related to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surgically indicated single level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have been various reports about clinical outcomes and relative factor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about factors related to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surgically indicated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 Materials and Methods: We based on 40 patients who had visited our hospital from May 2010 to April 2016 who were traceable for at least three years. We analysed 20 patients who improved symptom and who didn’t improved symptom then investigated association factors related to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Clinical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and spinal canal’s area and muscle amount were measured in the MRI. Results: Average of the spinal canal of not-improved group is 91.29(±34.26) mm2, improved group is 130.70 (±32.18) mm2 and impoved group is wider (p=0.001). Muscle mass of improved group is 91.47(±9.43) cm2, not-improved group is 79.26 (±14.35) cm2, and improved group is wider (p=0.003). Repetitive strain and traffic accident were related in not-improved group (p=0.028). However, practiced stretching continuously were related to symptom improvement (p=0.022). Conclusions: Association factors related to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are cases of wide spinal canal, wide muscle amount, repetitive sprain, traffic accident and stretching. A small muscle amount can be considered as a key factor related to surgical conversion. Key words: Lumbosacral region, Spinal stenosis, Paraspinal muscle 연구 계획: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의 후향적 연구. 목적: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단분절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에서 보존적 치료에 의한 증상 호전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결과와 연관 인자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었지만, 보존적 치료에 의한 증상 호전 인자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보고는 드물었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단분절 척추관 협착증 환자 중 본원에서 보존적 치료 후 최소 3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된 20예와 증상이 지속 혹은 악화된 20 예를 분석하여 증상 호전과 연관된 인자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증상은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고, 자기 공명 영상에서 척추관 면적과 요추부 근육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을 사용하여 측정한 환자들의 척추관 면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 증상 지속군은91.29±34.26 mm2, 증상 호전군은 130.70±32.18 mm2로 증상 호전 군에서 유의하게 넓었다(p=0.001). 요추부 근육량은 증상 지속 군은79.26±14.35 cm2, 증상 호전 군은 91.47±9.43 cm2로 증상 호전 군에서 유의하게 근육량이 많았다(p=0.003). 설문지 항목 중 외상에 의한 반복적인 염좌가 증상 지속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28), 교통사고 기왕력 역시 증상 지속 군에서 유의미 하게 많았다(p=0.035). 요추부 스트레칭을 시행한 경우가 증상 호전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22). 결론: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사람들 중 보존적 치료로 증상 호전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인자로 넓은 척추관 면적과 요추부 근육량, 외상에 의한 반복적인 요추부 염좌의 기왕력과 교통사고 기왕력이 없는 경우가 있었으며, 규칙적인 요추부 스트레칭 또한 증상 호전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약칭 제목: 요추관 협착증에서 보존적 치료 효과와의 연관 인자

      • KCI등재

        단분절에 국한된 요추 척추관 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치료 효과 비교

        김태균,김창수,최영채,심대무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performed for single-segment spinal stenosis and disc herni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useful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but those results were aggregated across many diseases, making it difficult to estimate its effectiveness for each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anuary 2013, amo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lective nerve root block, those who were diagnosed with single-segment spinal stenosis or disc herni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a total of 103 patients, 47 spinal stenosis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oup 1, and 56 disc herniation patients as group 2.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and Kim’s criteria were used to compare the reductions in radiating pain in each group. Results: In group 1, the VAS scores improved from 7.6 before the procedure to 2.6 and 3.3 at 1-month and 6-month follow-up visits, respectively. Kim’s criteria also improved from a mean of 1.6 before the procedure to 2.9 at the 6-month follow-up. In group 2, the VAS scores improved from 7.8 before the procedure to 2.1 and 2.7 at 1-month and 6-month follow-up visits, respectively. Kim’s criteria also improved from a mean of 1.8 before the procedure to 3.2 at the 6-month follow-up. Conclusions: Radiating pain in the lower limb due to spinal stenosis or disc herniation limited to a single segment was effectively controlled by selective nerve root block. 연구 계획: 후향적 임상 연구목적: 단분절에 국한된 척추관 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시행 후 질환 및 분류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문헌의 요약: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그 유용성이 보고되었으나 다양한 질환군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질환에대하여 어느정도의 효과를 보이는 지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5년 동안 본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받았던 환자중 단분절 척추관 협착증 및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척추관 협착증 환자 47명을 1군, 추간판 탈출증 환자 56명을 2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하지 방사통의 감소 정도에 대해 VAS score와 Kim’s criteria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군의 경우 시술 전 VAS 평균 7.6점 에서 추시 1개월 2.6점, 6개월 3.3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시술 전 Kim’s criteria 평균 1.6점에서 추시 6개월 2.9로호전 되었다. 2군의 경우 시술 전 VAS 평균 7.8점에서 추시 1개월 2.1점, 추시 6개월 2.7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시술 전 Kim’s criteria는 평균 1.8점에서 추시 6개월 3.2점으로 호전 되었다. 결론: 단분절에 국한된 척추관 협착증 또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해 발생한 하지 방사통은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척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약칭 제목: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효과 비교

      • KCI등재

        퇴행성 척추 측만증과 척추관 협착증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3 발현의 차이

        김영훈(Young-Hoon Kim),하기용(Kee-Yong Ha),길경민(Gyung-Min Kil),최광영(Kwang-Young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추간판의 기질의 파괴와 퇴행성 변화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외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3(MMP-3; stromelysin)을 이용하여 퇴행성 측만증과 측만증이 동반되지 않은 단순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추간판에서의 MMP-3의 발현의 정도를 western blotting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 분석하여 추간판 기질의 파괴가 퇴행성 요추 측만증의 병인에 있어서 관련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및 퇴행성 요추 측만증 환자에서 수술 중 제거한 추간판의 조직을 이용하였다. 모든 조직의 채취는 후방 도달법에 의한 추간판 제거술로 시행되었으며, 채취된 조직은 즉시 액화 질소에 의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채취된 조직 중 추간판 탈출증 2예를 대조군으로, 척추관 협착증 8예 및 퇴행성 요추 측만증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Antihuman MMP-3를 이용하여 추간판의 면역화학적 염색과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MMP-3의 발현에 있어서 퇴행성 요추 측만증의 추간판에서 측만증이 동반되지 않은 척추관 협착증의 추간판보다 상당히 많은 양성 염색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ting 의 정량적 분석에 있어서도 퇴행성 요추 측만증(평균 optical density: 20.68±8.4)에서 척추관 협칙증 (평균 optical density: 6.24±3.6)보다 유의하게 많은 발현을 보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측만증에 있어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와 관계가 깊은 MMP-3의 발현은 단순 척추관 협착증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발현을 보였다. 따라서 퇴행생 요추 측만증의 병인에 있어서 MMP-3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experimental study hypothesize that "rapid degener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over the ability of auto-stabilization by osteophytes bridging to adjacent segments might be the pathomechanism of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DLS)." An effort to prove this hypothesis was attempted by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in DLS and pure sp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intervertebral disc materials obtained during a discectomy through a posterior approach, were includ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Two protruded herniated nucleus pulposus were included for the control group. Eight spinal stenosis and seven DLS were included as experimental groups 1 and 2,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MMP-3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using anti human MMP-3 antibody. Results: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sparse staining was noted in the control group. More staining, however, mainly extracelluar, was noted in the discs of DLS compared with those of the spinal stenosis group. In western blotting, greater MMP-3 expression was noted in the discs of DLS (mean optical density: 20.68) than in those of the spinal stenosis group (mean optical density: 6.24)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Rapid degener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athogenesis of DLS. MMP-3 could be one of the key enzymes for the rapid degener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s especially in DLS.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과 임상증상이 일치하지 않는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심대무,백종석,양제헌,권병택 대한척추외과학회 202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7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ful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in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who show inconsistencies betwe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clinical findings (e.g., dermatom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RI is known to be highly accurate for diagnosing spinal stenosis, but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for spinal canal stenosis. In addition, the most suitabl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consistent clinical and MRI findings has not been established. Methods: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among 93 patients treated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8, who underwent at least two SNRBs for single-level spinal stenosis on MRI with clinical discrepancies. Seventee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other causes of pain (e.g., spondylolisthesis,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lower leg arterial occlusion) were excluded. The first SNRB targeted the lesion found on MRI. One week later,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a second procedure was performed on the dermatome-indicated level if there was no improvement. VAS scores were also obtained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In total, 45 patients had central stenosis and 31 patients had foraminal stenosis. The average VAS score before the SNRB was 7.4±1.4. After the first procedure, the average VAS score was 5.2±2.6. After the second procedure, the average VAS score was 2.4±1.3, and after 3 months, it was 3.6±1.9. Of the patients with foraminal stenosis, 77.4% did not respond to the first block (based on MRI), but responded well to the second procedure (based on clinical symptoms) (p<0.05). Conclusions: SNRB targeting the level corresponding to clinical symptoms may be useful for locating the symptomatic nerve root and providing pain relief in patients with foraminal stenosis on MRI with discordant clinical findings. 연구 계획: 후향적 분석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임상증상의 불일치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MRI는 높은 진단적 정확성으로 척추관 협착증의 진단에 널리 쓰이는 검사이나,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진단적 정확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임상증상과 MRI 영상이 불일치하는 환자의 치료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입원하여 요추의 단일 분절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단받고 선택적 척추신경근 차단술을최소 2회 이상 시행 받은 환자 중, 임상증상과 자기공명영상에 일치하지 않았던 환자 총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 (척추전방 전위증, 천장관절 증후군, 하지의 혈관질환 등)이 진단되었던 17명은 제외되었다. 첫번째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MRI에서 발견된 병변에 시행하였고, 1주 후 VAS를 측정하여 통증의 호전이 없는 경우 피부 분절을 통해 특정한 병변에 두번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후 및 3개월 후 VAS를 측정하여 치료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중심부 협착증 환자는 45명, 추간공 협착증 환자는 31명이었으며, 차단술 시행 전 평균 VAS는 7.4(±1.4)이었고, 첫번째 차단술 후 VAS는 평균5.2(±2.6)이었다. 두번째 차단술 후 평균 VAS는 2.4(±1.3)이었으며 3개월 후 외래에서 시행한 평균 VAS는 3.6(±1.9) 이었다.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77.4%의 환자가 MRI상 병변에 시행한 차단술에 반응이 없었고, 임상증상으로 추론한 병변에 시행한 두번째 차단술에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p<0.05). 결론: 영상과 증상의 불일치성을 보이는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임상증상으로 특정한 분절에 시행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에 양호한 통증 완화 효과를보여, 증상을 유발하는 신경근을 찾고 통증 완화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시 이상인산칼슘 및 국소 자가골 혼합 이식술

        허정욱,고영철,정철용,은일수,박만준,김민우,황금민,박숙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3

        Study Design: Retro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and local autobone mixed graft in cases of spinal stenosis andspondylolisthesis in posterolateral fusion by examining radiologic union rates and clinical outcom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t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use of tricalcium phosphate in hydroxyapatite as a graft aidsince using hydroxyapatite mixture in lumbar spine fusion has been reported to lead to a high rate of bone un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11 to February 2013, we followed up 107 patients who had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usingbiphasic calcium phosphate composed of HA/TCP (60:40) and local autobone mixed graft. Of these patients, 64 had spinal stenosis and43 had spondylolisthesis. The bone fusion rate was determined using Lenke’s criteria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Kim’smethod. Results: In spinal stenosis, bone union was presented in 53 patients (of 64; 82.8%) and in spondylolisthesis, 35 patients (of 43;81.4%). In spinal stenosis, the clinical outcomes resulted in 20 excellent, 34 good, 9 fair and 1 poor. (84.4%, excellent or good) Inspondylolisthesis, the clinical outcomes resulted in 10 excellent, 25 good, 7 fair and 1 poor. (81.4%, excellent or good)Conclusion: Posterolateral fusion using biphasic calcium phosphate and local autobone mixed graft showed high rates of bone unionand acceptable clinical outcomes, and is considered a satisfactory bone graft aid. Key Words: Spinal stenosis, Spondylolisthesis, Biphasic calcium phosphate, Posterolateral fu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 적: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시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전방전위증에서 이상인산칼슘(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및 국소 자가골 혼합 이식술을시행한 방사선학적 골유합율과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 척추 유합술에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HA) 혼합물을 사용하여 높은 골유합율을 보고되어 수산화인회석에 삼인산칼슘(tricalcium phosphate, TCP)을 이식 보조물로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수산화인회석(HA)과 삼인산칼슘(TCP)이 60:40의 비율로 이루어진 이상인산칼슘 및 국소 자가골 혼합이식술을 통하여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한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척추관 협착증은 64예, 척추전방전위증은 43예이다. Lenke 등의 분류를 토대로 골유합 상태를 파악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김 등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64예 중 53예(82.8%)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 43예 중 35예(81.4%)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임상 결과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우수 20예, 양호 34예 및 보통 9예, 불량 1예로 54예(84.4%)에서 양호 이상의 경과를 나타내었고,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 우수 10예, 양호 25예 및 보통 7예, 불량 1예로 35예(81.4%)에서 양호 이상의 임상적 경과를 보였다. 결론: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전방전위증의 후측방 유합술에서 저자들이 시행한 이상인산칼슘 및 국소 자가골 혼합 이식술은 높은 유합률과 만족스런임상결과를 보였기에 이상인산칼슘은 후측방 유합술시 좋은 골이식 확장제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척추관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이상인산칼슘, 후측방 유합술약칭 제목: 이상인산칼슘을 이용한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