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양예진,도현심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가자는 각기 다른 가정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로서, 척도개발과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각각 300명, 총 600명의 부모가 질문지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도구는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개발을 위한 척도와 결과타당도 검증을 위한 척도로 구성된다. 척도 개발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국내외 관련 연구 고찰, 면접 조사, 델파이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총 72문항으로 구성된 것이며, 결과타당도 검증용 척도는 부부갈등 척도(Grych, Seid & Fincham, 1992), 양육스트레스 척도(Abidin, 1990b), 양육행동 척도(이선희, 2012) 및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Merrell, 1994)를 포함한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지지(7문항), 침해(7문항), 갈등(5문항) 및 소통(5문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총 24문항으로 구성된다. 지지는 배우자의 양육 방법에 대한 지식, 배우자의 양육 참여 의지, 한 팀으로서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협력 및 배우자의 도움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침해는 어머니 혹은 아버지가 양육과 관련한 배우자의 책임감과 능력에 대해 믿지 못하고 배우자의 자녀 양육에 대해 부정적 감정 및 생각을 갖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갈등은 배우자에게 부정적인 말을 하거나 서로 말다툼을 하고 화를 내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소통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양육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대화를 나누는 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다음으로,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결과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검증에 의해 수행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결과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하위요인은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등 각 변인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결과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교차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척도 개발을 위한 부모와 유사한 사회인구학적 배경의 부모에게도 척도 개발에서 적합성이 확인된 모형이 적용되는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높은 적합도와 신뢰도 기준에 부합함으로써 교차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지, 침해, 갈등 및 소통을 부모공동양육의 구성요인으로 포함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네 가지 요인 중 지지, 침해 및 갈등은 일부 선행 연구에서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인이며, 소통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포함한 구성요인이다. 이는 국내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한 첫 시도이므로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국내 부모공동양육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으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추후에 다른 발달단계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는 데 유용한 초석이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등의 현장을 포함한 다양한 중재적 노력을 위하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반의사결정유형척도의 타당화

        김은주,김정일,남승규,노길광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and validate of scale for classification of decision making style. In first study that was exploratory study, 242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answer Korean version of general decision making style(GDMS) scale(Scott & Bruce, 1995) and scale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Nam, 2005). Each scale was consisted of Likert 5 points scale.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GDM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that 5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at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decision making style with factor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scale were high. Also,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well as reliability were accepted as recognized level. In second study that employed covariance structure model analysis as confirmatory study, 215 participants who include various ag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shortened Korean version of GDMS that consisted of 20 items. Results showed that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ened Korean version of GDMS were high. Though items were reduced, internal consistency was still high and fitness index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were high. Finally, in addition to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me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논문의 목적은 의사결정유형을 분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의사결정유형(general decision making style; GDMS) 척도를 국내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검토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보여주는 판단과 선택의 기초가 되는 의사결정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여러 나라들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밝혀진 GDMS 척도의 한국어판을 두 개의 연구를 통하여 검토하고 타당화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24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탐색적 연구로, 한국어판 GDMS 척도가 동일한 요인구조를 이루고 있는가를 알아보면서 구성 타당도를 검토하고, 의사결정역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GDMS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계수가 높았기 때문에 신뢰도가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들과 동일하게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의사결정역량 요인들과의 관련성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연구는 215명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분석을 사용한 확인적 연구로, 축약형 GDMS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20개의 문항으로 측정되는 5개의 요인을 상정한 축약형 의사결정유형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문항수를 줄였음에도 높은 내적일관성계수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도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축약형 의사결정유형척도의 적합도도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를 중심으로

        서동기,이순묵,김종남,최승원,채정민,정선호,조성경,김명기,Chad Ebesutani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집단 연구용으로 개발된 한국형 역기능우울(dysfunctional depression)척도 20문항을 이용하여 단축형 검사 5문항을 선별하고 타당화하였다.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단축형은 연구용 20문항 중 일부 문항(5문항)을 선별하여 제작된 것으로, 연구용 척도와 단축형 척도 모두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역기능우울척도는 역기능우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우울의 상태가 심화되었거나 경우에 따라 일상우울에서는 없는 증상들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학술연구에서 집단수준에서의 추론을 위해 개발되었고, 단축형 척도는 주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 우울 수준에 대한 신속한 진단을 위해 개발되었다. 즉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이론구축 및 관계구조 검증이 목적이 되고, 단축형 척도는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우울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척도의 내적 구조 분석과 기준점을 이용한 분류정확성과 분류일관성 지수에 의해 검정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KDDS) and introduce methods for validation of the short form.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by selecting five items from the original 20 items in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While the KDDS was developed to measure dysfunctional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group research,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for the practical use at individual levels. The scale for academic study was developed to infer the dysfunctional depression at the group level. So the short form can be widely used by practioners in industries, organizations, clinical/counselling settings for quick screening of potential patients suffering from dysfunctional depression. We demonstr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by analyzing internal structure of the scale and providing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onsistency.

      • KCI등재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해익(Haeik Hwang),신현정(Hyunjeong Shin),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행복한 상태를 알게 되는 메타인지의 원리를 반영한 교사용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예비검사용 척도 44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도출된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2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04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의 2가지 하위 요인으로 10문항씩 총 20문항이 도출되었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문항내적합치도, 구성타당도, 모형적합도는 적절하였다. 결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개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강점리터러시를 일관되게 평가하는 안정된 도구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2개의 영역 중 강점인식이 강점활용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활용적 측면에서는 본 척도의 개발이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에서 관찰 가능한 유아의 강점리터러시를 확인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자신의 대표강점을 인식하고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ng the metacognitive principle in which children know happiness by recognizing and using their strength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44 items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lated to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e final preliminary draft of scale was corr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children aged 5.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wo elements were strengths-recognition and strength-utilization, with a total of 20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item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and model fit were satisfactory. Conclusions: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tool for consistently evaluating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is study will help children recognize and actively utilize their representative strengths.

      • 영유아교사 다문화태도척도(MASQUE) 타당화 연구

        가신현,김현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다문화태도를 진단하는 척도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온 기존의 다문화태도 척도들은 주로 인종.민족에 초점을 둔 협의의 다문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당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종.민족은 물론 종교, 성, 사회경제적 계층 등 광의의 다문화 개념을 포함하며, 인지(know), 감정(care), 행동(act)의 태도 요인을 포괄하는 다문화태도척도(Munroe M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타당화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태도 척도의 구성요인, 다문화태도 척도의 타당도, 다문화태도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연구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Munroe와 Rearson(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18문항에 국내 다문화태도 척도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검토된 7문항을 추가해 최종적으로 25문항을 선정했다. 하위 영역별로는 인지요인 9문항, 감정요인 8문항, 행동요인 8문항이다. 이들 각 문항은 유아교육 및 교육학 전문가 4인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했고, 영유아교사 25명 대상의 예비검사를 거쳐 수정.보완했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도, 강원도의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했으며, 보육교사 435명과 유치원 교사 35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α와 Spearman- Brown)을 적용했다. 분석결과는 다문화태도척도의 타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행복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남승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stimating scale that measures a newly noted concept called consumer happiness. In this study, consumer happiness is defined as “experiencing happiness through consuming activity,” and a conceptually founded scale that measures consumer happiness was examined and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study and confirmatory study. Data was taken from 526 adults living in Seoul and 6 other major cities in Korea with the conceptually founded consumer happiness scale. Half of the data, then, was used to perform exploratory study and other half of the data for confirmatory study. Results of exploratory study show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umer happiness scal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showed high score of ,8953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study, “problem-solving happiness factor”, “person relevant happiness factor” and “shopping contingent happiness factor,”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s the three main factors. Confirmatory study, using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produced a model that confirms the three main factors of consumer happiness and verifies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Since the fitness index of the produced consumer happiness scale has exceeded the minimum requirements, the validity of consumer happiness scale(CHS) was confirm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이 논문의 목적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소비자행복(consumer happiness)이란 개념을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행복을 “소비생활을 통한 행복체험”으로 정의하고, 개념적으로 정립된 소비자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탐색 연구와 확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개념적으로 정립된 소비자행복척도를 사용하여 서울특별시와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5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다음에, 그 절반의 자료를 갖고 탐색 연구를 실시하고, 나머지 절반의 자료를 갖고 확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탐색 연구 결과는 소비자행복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계수가 .8953으로 높게 나타났고 개념연구와 동일하게 3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문제해결적 행복요인”, “개인적합적 행복요인”, 및 “쇼핑연계적 행복요인”으로 명명하였다. 확인 연구는 공분산구조모형분석을 사용하여 탐색 연구에서 확인된 소비자행복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의 적합도를 검토하였다. 설정된 소비자행복척도에 대한 적합도의 전반적 지수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소비자행복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퍼빙 척도(PS-K)의 타당화

        김민범,최재광,송원영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General Scale of Pubbing and General Scale of being Phubbed developed by Chotpitayasunondh and Douglas(2018). Phubbing behavior is ignoring other people using the smartphone during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first study, data from 136 adults in their 20s to 40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adapted. In the second study, 301 data were used to analyze confirmatory factors and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GSP consisted of a total of 15 items, 4-factors structure(nomophobia, interpersonal conflict, self-isolation, and problem recognition). and KGSBP consisted of a total of 21 items, 3-factor structure(norm recognition, ignored mood, interpersonal conflict). In additi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KGSP and KGSBP was good (KGSP full Scale ჲ = .92, The sub-factor ჲ =.80, KGSBP full scale ჲ= .95, sub-factor ჲ=.91~.97 ).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KGS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artner phubbing scale, Smartphone Addiction Scale-Short version (SAS-SV), and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in addition, KGSB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s and Paranoid scal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GSP score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age tim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GSBP score according to smartphone usage age. in conclusion, KGSP and KGSBP can be used reliably and reasonably in measuring phubbing behavior, which is an interpersonal problem caused by a smartphone. In addition, the valid scale will be used as a measure of new social phenomena and contribute to the study of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smartphones. 이 연구는 스마트폰으로 인해 나타나는 역기능 문제인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중 스마트폰을사용하여 상대방을 무시하는 퍼빙(phubbing) 행동을 측정하고자 Chotpitayasunondh와 Douglas 의 Generic Scale of Phubbing와 Generic Scale of Being Phubbed를 퍼빙행동 척도와 퍼빙경험 척도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척도를 번역하고, 성인 13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 301명의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진행 하였다. 분석 결과, 퍼빙행동 척도는 4가지 하위요인(노모포비아, 대인관계 충돌, 자기고립, 문제인식),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퍼빙경험 척도는 3가지 하위요인(규범인식, 무시당하는 기분, 대인관계 충돌), 총 21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내적합치도는 퍼빙행동 척도는 전체 문항 α=.92, 하위요인은 α=.80~.92 범위로 나타났으며, 퍼빙경험 척도는 α=.95, 하위요인은 α=.91~.97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양호하였다. 퍼빙행동 척도는 파트너 퍼빙 척도, 단축형 스마트폰 중독척도(SAS-SV), 그리고 분열형성격장애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퍼빙경험 척도는 사회성 유대감척도와 편집성 척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적절한 수렴타당도를 보였다. 퍼빙행동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퍼빙경험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퍼빙 척도가 스마트폰과 관련된 대인관계 상호작용의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향후 이 척도는 새로운 사회현상을측정하는 척도로서 스마트폰 사용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있다.

      • KCI등재

        모더니즘 소명 척도 타당화 연구: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최진수(Jinsoo Choi),박용욱(Yonguk Park),이혜주(Hyejoo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소명연구 분야에서 소개되지 않았던 모더니즘 관점의 Dobrow와 Tosti-Kharas의 소명척도를 한국인을 대상으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번역 및 역 번역의 과정을 거쳤으며, 총 311명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소명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결과,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단일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 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존 소명 척도인 CVQ-K와 MCM-K, 그리고 내재적 동기-즐김, 내재적 동기-도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외재적 동기-보상, 외재적 동기-외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증분 타당도 검증을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모더니즘 소명 척도는 CVQ-K, MCM-K, 그리고 내재적 동기-즐김, 내재적 동기-도전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새로운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모더니즘 소명척도는 외재적 동기-보상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외재적 동기-외부와는 약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새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증분 타당도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척도가 CVQ-K와 MCM-K를 통제한 후에도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증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인의 종교성이 신고전주의 소명과 모더니즘 소명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신고전주의적 관점의 소명 척도들과 마찬가지로 Dobrow와 Tosti-Kharas의 모더니즘 소명 척도가 한국인들의 소명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척도이며 다면적인 소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교육학 관점에서의 본연구가 지닌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Korean version of Dobrow and Tosti-Kharas’ modernism perspective calling scale. Korean version of modernism calling scale and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95 self-employed business peopl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one-factor structure was the most suitable model. In order to test convergent validity, internal motivation and existing calling scales such as CVQ-K, and MCM-K were used and external motivation was also used to confirm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incremental validity. Result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s, Dobrow and Tosti-Kharas’ Calling sca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isting calling scales and internal value (pleasure and challenge) but it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insic motivation-reward and show significant but weak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trinsic motivation-outside. Results of incremental validity test, i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variables, including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existing calling scales such as CVQ-K and MCM-K. Lastly, by using cluster analysis, we found that individuals’ religion level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tinguishing neo-classical calling and modernism calling. Such results imply that Korean version of modernism calling scale which consisted of one-factor is valid tool for studying calling-related research within Korean society and understanding multifaceted features of calling.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병사용 조망수용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성한(Jeong, Sung Han)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4 No.2

        본 연구는 병사의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토의와 병사대상 설문을 거쳐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이 문항들에 대해 1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최종 척도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육군병사 302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병사의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는 3개요인(타인사고 이해, 탈중심화, 군 조직 이해),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척도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조망수용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육군병사 45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척도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들은 서로 유의미하게 정적상관을 나타내면서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는 구성요소들임을 보여주었다. 척도의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공감 척도, 탈중심화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감 척도, 탈중심화 척도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공격성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격성 척도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주 후에 동일병사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양호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perspective-taking for soldiers. For this purpose, following the review of the definition of perspective-taking and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first preliminary questionnaire for soldiers were produc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a questionnaire by soldiers. And there was conducted content validity test on these questions with 15 experts to develop a second preliminary scale of 60 items. In order to get the final scale item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with 302 military personnel, and a item analysis an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inal scale of the three factors (understanding other people s thoughts, decentering, understanding military organization), and a total of 14 questions were derived. Next, 454 Army soldiers were surveyed in order to validate the developed perspective-taking scale. The goodness of fit for the scale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t was a useful mod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cale, the sub-factors, it was shown tha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components that measure perspective-taking a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the sympathy scale and the decentering scale for verifying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ympathy scale and the decentering sca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the aggression scale for verifying the discriminate valid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ggression scale. Finally, 4 weeks later, the same 124 soldiers were interviewed to confirm the reliable test-retest results. This scale was developed for soldiers and constituted sub-factor that were not presented by existing scales. Thus, it can be a concrete meas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factors and the sub-factors in the study of soldier subjects. It also reflect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oldiers, including the subconscious concept of understanding military organization under which the soldiers were working. Use the scale to measure the ability of soldiers who are experiencing conflicts with the uni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superior and subordinate, who are experiencing incompatibility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consultative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ability will help accommodate soldiers military life.

      • KCI등재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 타당화

        노혜선,공정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출소자의 낙인인식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Philips (2016)가 범죄자의 낙인인식 수준을 여러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고자 제작한 범죄자 낙인인식 척도(Stigma Perceptions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국내 출소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원척도에서 제시한 낙인인식의 영역은 대중낙인인식(perceived public stigma), 대인낙인인식(perceived personal stigma), 자기낙인(self-stigma)으로, 이 3요인 구조가 국내 출소자에게 적합한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원척도 문항에 대해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쳤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아 문항 내용을 수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출소자 4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에서 제시한 요인 구성과 동일한 3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원척도에서 제시한 하위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대중낙인인식, 대인낙인인식, 자기낙인으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3문항(대중낙인인식 11문항, 대인낙인인식 11문항, 자기낙인 11문항)의 내적 일치도와, 각 하위 척도의 문항-총점 간 상관이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분석한 결과,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 및 회복탄력성 척도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에 있어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제약-비제약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가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고, 낙인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 또한 각각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척도임이 나타나 낙인척도의 변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가 국내 출소자의 낙인인식 수준을 측정함에 있어서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Released Convicts’ Stigma Scale (K-RCSS) developed by Philips(2016). To verify the scal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igma scale translated into Korean for 402 released convic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hilips’ has the three-factor structures: perceived public stigma,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self-stigma. To validate thi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RCSS was confirmed an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were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RCSS consisted of three-factor structures same as the original scale which were self-stigma,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perceived public stigma. Second,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33 items(11 items of self-stigma, 11 items of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11 items of perceived public stigma) and item-total correlation were demonstrated to be significantly high. Last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and the Resilience Scale were applied to verify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K-RCSS was confirmed as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ree scales. The Result showed the K-RCSS correlated with each two scales negatively. In addition,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was attested by comparing nested models with non-nested models with each 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el fits of non-nested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both results. These demonstrate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e K-RCS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the stigma perception level of the released convic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