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아동문화콘텐츠에 재현된 전통문화

        宋蓮玉(Song, Yun-Ok)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0 No.-

        현재 세계 최대의 아동도서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분야는 그림책이며, 그중에서도 전통문화 그림책은 글로컬리즘의 실천방식으로 가장 각광받으며 다양한 문화콘텐츠로도 변용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 정체성을 규정하며, 그 고유성을 구조화하고 있는지, 그것이 아동에게 어떻게 설득되며 어떠한 콘텐츠로 소비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의 특성을 재현성, 현재성, 소비성이라고 개념화하여,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전통문화 그림책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그림책의 텍스트와 파라텍스트를 통해 그림책에서 재현되고 있는 전통문화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무엇을 전통문화라고 보여주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전통문화 그림책 주인공의 욕망과 행동결과를 통해 전통의 이데올로기의 현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의 기대독자를 통해 전통의 소비성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의 서술자는 대부분 3인칭 성인 서술자였으며, 계몽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었다. 그림 서술자는 전통예술 형식을 차용하여 전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다양한 전통예술 형식을 활용한 파라텍스트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그림책에는 순종을 전제로 한 훈계, 혹은 검증된 지식을 전달하는데 유리한 수직적 서열이 존재했다. 둘째, 주인공의 욕망과 갈등을 고찰하여 전통이 누구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가, 지금 왜 전통이 필요한가를 통해 전통의 현재성을 고찰하였다. 그림책은 전통적인 윤리관과 처세를 강조하고,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했으며, 한족 중심의 농경문화를 민족의 정체성으로 삼았다. 문화유산 경쟁에서 24절기를 선점하려는 국가적 욕망도 있었다. 셋째, 기대독자와 문화콘텐츠 변용양상을 통해 전통의 소비성을 고찰한 결과 “게임⋅만들기+그림책” 형식의 명절선물 세트, 모래그림 쇼, 입체 북, 오디오 북, 유치원의 미니수업(微課), 초등 교과과정, 박물관의 문화강좌, 체험활동으로 변용되어 소비되고 있었다. 중국의 전통 이데올로기는 성인 중심의 계몽의도, 도시인을 위한 문화 마케팅, 톱다운 방식의 중국 문화정책을 의도하며, 다양하고 재미있는 아동문화 콘텐츠로 변용되어 소비되면서 아동에게 내재화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raditional Chinese ideologies being reproduced in picture books. The reason is that the most remarkable growth area in China, the world’s largest children’s book market, is picture books, and among them, traditional culture picture books are in the spotlight as a practice of glocalism, and are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the text narr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radition through paratext. The narra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picture books are mostly third-person adult narrators holding to an enlightening attitude. The pictorial narrators wanted to show tradition by borrowing traditional art forms. Paratexts use various traditional art forms very well. However, in the picture books, there are discipline for obedience or vertical hierarchy in favor of delivering proven knowledge. Second, the nowness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s of whose desire the tradition represents and why the tradition is needed now. The picture books emphasize traditional ethics and the trend, defend patriarchal order, and make the Han Chineses’ agrarian culture Chinese identity. There is also an attempt to preempt the 24 seasonal divisions in the cultural heritage competition. Third, the consumption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expected readers and cultural content transformations. There are various forms of cultural transformation: sand painting show, three-dimensional book, audio book, kindergarten mini clas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eum cultural lectures, hands-on activities, and holiday gift sets consisting of game, making kits and picture books. Chinese traditional ideologies in picture books are shown in the aspects of the enlightenment in the viewpoint of adults, cultural marketing for urbanites and top-down Chinese cultural policies, and are consumed in the various forms of interesting children’s cultural content.

      • KCI등재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 분석: B 출판사 북클럽 그림책을 중심으로

        성미영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유아용 그림책 출판사인 B 출판사의 북클럽 프로그램에 포함된 그림책 총 171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171권 중 다문화에 관한 주제를 다루고 있거나 등장인물이 다인종인 그림책 11권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분석 대상 그림책 171권 중에서 11권, 단지 6.4%의 그림책만이 다문화에 관한 내용을 주제나 등장인물의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 11권에서 이야기 진행자는 작가 또는 주인공 아동의 시각에 의한 경우로 구분되었다. 작가가 그 문화와 언어에 친숙한 내부인인 경우와 친숙하지 않은 외부인인 경우로도 구분되었다. 특정 문화가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는지에 관한 분석 기준에 따라 내용 분석 대상 11권의 그림책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특정 문화에 관한 내용이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부 그림책의 경우 세부적인 묘사가 풍부하게 제시되지 않았거나, 서로 다른 문화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주인공이나 등장인물만이 특정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유아용 그림책을 가정에서 배송받거나 온라인으로 이용하는 북클럽 프로그램이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a total of 171 picture books included in the early childhood book club program of B Publishing Co., a domestic picture book publisher, were select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statu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e book club program. In addition, among the 171 books, 11 picture books with multicultural themes or characters were furt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11 out of 171 picture books subject to analysis, and only 6.4 percent of them contained content on multiculturalism directly in terms of subjects and characters. Next, in the 11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cultural content, the story moderator was divided into cas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 or the main character child. The author was also distinguished between an insider familiar with the culture and language and an outsider unfamiliar with it.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on whether a particular culture is realistic and accurately represented, 11 picture books of content analysis were accurately described in general. However, in some picture books, detailed descriptions were not given in abundance, different cultures were not portrayed positively, and only the main character or character was found to be related to a particular cul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analyzed the statu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e early childhood book club program at a time when the book club program, which receives picture books from home or uses them online, is rapidly growing.

      • KCI등재

        아시아권 다문화가족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그림책 실태

        전효훈,오지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lingual picture books for inf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view point of year and publisher, language, genre, and theme. A Total of 255 picture books (633 book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multicultural librar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ilingual picture books began to be published mainly by public compan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private companies, but it was not continuous, and since 2010 it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mainly by publishers. Second, the written languages were Vietnamese, Chinese, Thai, and Mongolian, with their ratios being similar to the nationality ratio of domestic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itially were mainly Vietnamese, but gradually adopted various national languages. Third, the genre with the largest number of picture books was folk tales, followed by information picture books, fantasy picture books, nursery rhymes, and poems. At first, Korean folk tales accounted for the most, but the number of folk tales from various countries gradually increased. Fourth, the theme of the picture books were poetic justice, traditional culture, knowledge and concept, human love, humor and play, adventure, diversity and cultural comparison, ritualism, and nature preservation, and despite being bilingual picture books, there were few books on diversity and cultural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bilingual picture books for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also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ublish picture books in which themes and languages include the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picture books composed of short and repetitive words to enable word play.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그림책을 발행연도 및 주체, 병기 언어, 장르 및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해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 교육에 필요한 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다문화도서관에 비치된, 아시아 국가의 언어와 한국어를 병기한 그림책 255권(633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그림책은 초기에는 민간기업 내 공공사업단, 비정부기구를 중심으로 발행되기 시작했으나 연속적이지는 않았고, 2010년부터는 출판사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되고 있었다. 둘째, 병기된 언어는 국내 거주 결혼이민여성의 국적 비율과 유사하게 베트남어, 중국어, 태국어, 몽골어 순이었는데, 초기에는 주로 베트남어 중심으로 발행되다가 점차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병기하는 양상이었다. 셋째, 그림책의 장르는 옛이야기가 가장 많고, 정보그림책, 환상그림책, 동요․동시 순이었는데, 초기에는 한국의 옛이야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점차 여러 국가의 옛이야기 수가 증가하였다. 넷째, 그림책의 주제는 정의(권선징악), 전통문화, 지식․개념, 인간사랑, 유머․놀이, 모험, 다양성․문화비교, 의식주, 자연사랑 순이었으며, 이중언어 그림책임에도 다양성․문화비교를 주제로 한 책이 적은 양상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교육을 위해서 이중언어 그림책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포함한 주제와 언어로 발행되어야 하고, 짧고 반복되는 단어로 구성되어 말놀이가 가능한 그림책이 출판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욱,정수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조직성과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Quinn & McGrath(1985)의 4가지 조직문화의 유형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표본은 중국 하북성, 산동성, 북경 지역 소재 16개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258부 서문지를 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가운데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경제적 책임, 법적 및 윤리적 책임은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합의문화에,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발전문화에,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위계문화에,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합리문화에 따라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조절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합의 및 합리 문화에,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발전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위계문화에 대한 조절효과는 인정되지 않고 있어 설정된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경영자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과 더불어 이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합리적인 조직문화의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China enterprises influenc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ct as elements in the situation.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Quinn and McGrath (1985). Investigation object is 258 form of the hebei province, shandong province, and the Beijing area of enterprise workers. As a resul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the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have the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lega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in the consensual culture,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in the development culture, the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in the rational culture have the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part of hypothesis is certifi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decisions related with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managers, it deemed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비교 연구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책문화란 책이 생산(출판)되고 축적(도서관)되며 소비되는(독서) 다양한 활동들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주며, 결국 한 국가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 특히 책문화의 주체, 정책, 사회 분위기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책문화가 성장하거나 정체하거나 소멸한다. 따라서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출판정책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건강한 책문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책문화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관점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관련 정책환경으로 좁혀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기초 비교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지속적인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은 모두 책문화를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책이 생산되고(출판), 축적되며(도서관), 소비되는(독서) 점에서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관계성을 가지고 있기때문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비교 연구’이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수립 기반이 된 법률 제정 시기와 특징, 각 정책의 장기정책인 5개년 계획의 내용과 특징, 각 정책 소관 부처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와 각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상생 방안 제언이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는 1990년 문화부가 신설된 이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법률 제정 시기와 5년마다 수립하는 장기정책의 수립 시점과 추진 일정도 달랐다. 또한 출판 ‧ 도서관 ‧ 독서정책을 통합 추진하는 조직 기능이 없기 때문에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유기적인 연결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정책 수립 초기부터 책문화 정책협력시스템 구축해야 한다. 둘째, 정책추진 과정 시 장단기 상호보완평가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이 통합적으로 수립 ‧ 조율 ‧ 시행하는 책문화정책콘트롤 타워 조직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정부가 책문화를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어시스트하는 ‘지역주도 ‧ 중앙지원’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책문화 정책들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분석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가실현되기를 바란다. Book culture is the process by which books are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and various activities influence and enhanc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values. Especiall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key stakeholders, policy, and social atmosphere of book culture influence each other and the book culture grows, stagnates or disappears. Therefore, library policy, reading policy, and publishing policy should be linked closely and a healthy book culture should continue to grow. In order to make the book culture ecosystem healthier,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However, this study narrows down to the related policy environment and suggests continuous development of policy by comparing basics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from the viewpoint of book culture ecosystem. There is a commonality that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all based on book culture,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should be a relationship in the policies that the book is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tudying on publishing, library, reading policies analysis in book cultural ecosystem’.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ve-year plan, the long-term plan of each policy,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olicy department a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heoretical review was made from the viewpoint of the book culture ecosystem, and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focuses were; First, what i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book culture ecosystem, it is a suggestion for win-win system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s a resul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in 1990, and the timing related laws and the timing of establishing the long-term policy to be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we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organic connectivity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cause there is no organization function to review and integrate these three policies togeth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ree suggestions are formulated. First, we need to build a system to cooperate with book culture policies from the beginning of policy mak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of mutually complementary evaluation for short and long term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book culture policy control tower in which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integrally established, coordinated, and implemented. Fourth, local governments should lead the book culture, a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that support ‘regional leadership and central assistance’. From this study, we hope to realize a sustainable book culture ecosystem through diverse and in-depth analysis of book culture policies.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 변화에 관한 실행연구

        전윤미,이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1

        Us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explores changes in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rough story sharing activities. After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implementing story sharing activities with seven four-year-old children, we found the following. Firs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elped the children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who were different from them. The children showed a decrease in prejudice toward other cultures after reading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econd, in the early stage of book reading and sharing, the children showed ethnocentric cultural attitude, being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culture and others' with defensive mechanism against differences. Third, as the activities progressed, the children came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s a culture like their own, and reached to the stage of accepting differences. They also showed the stage of adaptation to differe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seeing events from perspectives of different cultures. Toward the end of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the children showed the integration of difference, being able to incorporate themselves and others together into a world of coexistence. Therefore, the multicultural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ed by Bennett and Bennett (2004). 본 연구는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만 4세 유아 7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그림책은 유아들에게 나와 다른 사람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매체였다. 유아들은 다문화그림책을 읽음으로 인해 기존에 다른 문화에 가졌던 편견이 자연스럽게 감소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초기에는 문화를 보는 관점이 자문화 중심적이었으며, 타문화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는 인식할 수 있지만 타문화에 대해 방어 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타문화도 자신의 문화와 같은 맥락의 문화이고 자문화 역시 여러 문화들 중에 하나라는 것을 인정하는 수용의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 후 감정이입을 통해 타문화를 이해하고 타문화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적응의 단계도 보였다.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활동이 끝날 무렵에는 자신을 포함한 타인도 세계 안에 속한 ‘나’이자 ‘우리’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통합의 단계까지 도달함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Bennett와 Bennett(2004)가 제시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른 그림책 분석

        정지현(Jung Ji-Hyun),박선미(Park Sun-M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No.1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그림책의 교육적 효과(태도의 변화 및 편견의 감소)를 탐구하는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연구에 활용된 다문화 그림책의 선정 기준에 대한 언급만이 나타날 뿐, 개별 다문화 그림책의 내용적 요소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아 다문화 교육의 접근 수준과 목표에 따른 그림책의 질적 요소를 논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더욱이 관광객적 접근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 속에서 이러한 접근 수준을 벗어나기 위한 방법의 모색으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매체인 다문화 그림책을 그 접근 수준에 따라 분석하여 관광객적 수준을 벗어날 수 있는 실질적 요소에 대한 이해와 논의를 가능케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각종 학회와 협회의 추천 도서 목록들과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28권의 다문화 그림책을 선정하여 Banks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념적, 부가적 접근 수준의 다문화 그림책의 질적 요소는 내부자적 관점으로 주류 문화와 인종의 지배적인 관점으로 세계와 타 인종 및 문화를 그려내고 있었고, 역사적 맥락을 결여하고 있었다. 반면에 변혁적 수준 이상의 다문화 그림책에서는 외부자적 관점을 통해 이질적인 문화와 인종 간의 차별과 갈등의 동기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역사적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지배적인 관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좋은 그림책’을 결정하는 담론이 유아나 아동으로 하여금 문제 인식과 비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A strand of research on use of multicultural picturebook for young children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picturebook in changing children's attitude toward heterogeneous races and cultural features. Although researchers adopted and demonstrated an explicit standard in collecting suitable pictureboo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ose quality factors that compose suitable multicultural picturebook embedded in each picturebook were not identified Regarding the enduring criticism toward tourist approach, it is important that what quality factors could make the picturebook as being most suitable for implementing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ractice with transformational approach. For the analysis, 28 picturebook were collected based upon those lists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of child literature and the recommendation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criteria used for analysis was drawn from James Banks'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findings, those picturebooks categorized as being suitable for contribution and additive approach contained insider perspective that mainly reflects the governing perspective of dominant race or cultural group. On the contrary, those picturebooks categorized as being suitable for transformational approach and beyond contained outsider perspective that attempts to demonstrate vividly about tension and conflict observed between people having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in real life situation. With providing historical contexts, those picturebooks open up the conversation with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what cause inappropriate attitude and uncomfortable emotion toward different cultural entity. In discussion, traditional criteria for 'good picturebook' was challenge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course of the traditional criteria need to be converted for making a room for children's problem-posing and critical thinking about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 KCI등재

        문화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캐릭터의 비중 -국내외 유아 그림책 비교를 중심으로-

        고원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8

        이민족 사회를 일찍이 이룬 미국에서는 이러한 다문화에 관한 인식이 많이 발달해 있었다. 실제로도 학교나 직장 등 많은 여러 집단에서 이미 다양한 인종을 이루어 살고 있다. 자연히 다문화에 관한 법률 및 문화 등이 발달하게 되었다. 한국은 1950년대의 빈곤국에서 21세기 글로벌화 시대의 주역의 국가가 되었다. 한민족이라는 단일 민족으로 구성되었던 한국은 이제 많은 나라에서 이주해와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어느새 다가온 다문화 시대에 아직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현재 우리 부모와 아이들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과의 접촉이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그림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선정된 한국 작가와 서양 작가에 의해 작업 된 그림책을 비교분석 하였다. 해외의 그림책은 한국 그림책에 비해 해외 각 인종의 특성을 개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종에 따른 머리카락 색깔, 눈의 형태, 피부색 등을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통해 다양한 인종이 섞여 있는 국가는 캐릭터에 흑인과 백인, 황인종, 다문화 인종 등이 그림책부터 골고루 표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은 영유아기 아이들의 가치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그림책에 우리 민족 외에 다른 민족이 들어갈 여유가 부족하였다. 그림책은 아이들이 인생에서 가장 처음 접하는 매체이므로 점점 다문화 인종이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다양한 인종이 표현됨으로써 다문화, 다양성, 다인종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어렸을 때부터 나와 다른 색을 가진 친구들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한 아이들이 다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한국은 우리 민족 외에 다른 인종 등에 시야를 넓힐 여유가 없었지만 세계 경제 10위 선진국 대열에 접어든 한국은 지금부터 다문화에도 관심을 두어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문화적인 선진국이 될 필요가 있다. 문화 선진국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아이들 그림책에서부터 다문화를 특정한 기획 주제가 아닌 일상적인 주제에서도 다양한 인종이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다문화가정어머니의 인식 연구

        최현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ycl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s with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picture books to read see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status of the mother's picture books reading cycle in multicultural family?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to read for the evaluation of th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Picture books for reading survey was conducted based infa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 As a result, the number of picture books to rea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highest of the mother as 2 to 3 days once. Time to read a picture book was highest between 10 to 30 minutes. Reading a book for children, when you want to read most. Second, the mother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aware that Korean picture books and picture books to read. Korean picture books to read, the difficulty of giving points were the most difficult to pronounce. Picture books mad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tent of the recognition for the duration of the read. Based on this multicultural picture book reading in the home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find way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현황을 이해하고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과 활용 정도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 국가별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횟수는‘2~3일에 한번’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림책을 읽어주는 시간은‘10~3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책을 읽어주는 시간대는‘자녀가 원할 때’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한국어 그림책과 모국어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어 그림책 읽어주기의 어려움으로‘발음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국어 그림책 읽어주기의 어려움은‘책을 구하기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여 그 어려움을 이해함으로써 다문화가정에서 그림책 읽어주기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다문화 그림책 탐색 - 상호문화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이혜진 ( Lee Hye-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외국어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교육 이전에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언어 교수자는 상호 문화주의적인 태도에서 출발해야 하며 언어 학습자 역시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리터러시까지 나아가야 한다. 본고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외국문화로서의 한국 문화교육이 다른 문화 간의 조우를 전제로 하기에 상호문화주의교육으로 나아가는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갈 한국어 교육에서의 다문화 그림책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상호문화주의, 비판적 리터러시를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고찰할 만한 다섯 권의 다문화 그림책을 선정한 뒤 본고는 ‘다문화주의의 실천적 활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프랑스 상호문화교육 이론과 미국의 사회 교육학자인 뱅크스(Banks)의 다문화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을 분석 준거로 삼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문자로 이해하는 바를 넘어 그림을 통해서도 언어적인 이해를 보강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해당 텍스트가 가진 바람직한 다문화적 요소와 더불어 부정적이고 극복해야 할 다문화적 요소까지도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셋째, 본고에서 선정한 다섯 권의 그림책은 점진적으로 상호문화적인 교육의 방향을 발전시키면서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 가운데 세 번째, 네 번째의 사회적 실천에 부합하는 방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에서 선정한 다문화 그림책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인식론을 정비하고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은 타 문화가 만나는 외국어 교육의 하나로서 구별짓기, 차별, 배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구성되어 나가는 상호교차적이고 건설적인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가야 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다문화 그림책의 잠재성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e-establishing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befor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instructors should start with an interculturalist attitude, and language learners should also move from learning languages to critical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will lead to critical literacy toward interculturalist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esuppose encounters between different cultures. First, this paper examinined interculturalism and critical literac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ected fiv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at can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from various angles. And then this paper tried to study five piture books according to theory of French intercultural education and American social pedagogical scholar Banks’s four approaches that has the common point of ‘practical activities of multiculturalism’ as criteria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can reinforce linguistic understanding through paintings, beyond what is understood in text. Second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have the value of applying critical literacy to negative and multicultural elements that must be overcome as well as desirabl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text. Thirdly, the five picture books in this paper gradually developed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howed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third and fourth social practices among the four approaches of Banks's multicultur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is paper have the value to improve epistemology and apply critic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is thesis aims to prove the potential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ch should move toward a dynamic and constructive, interdisciplinary and constructive critical literacy, rather than differentiate, discriminate, and exclude in the situation of cultural encou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