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대학 기능유형별 차이:교수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오승은,유지현,박주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2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비해,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핵심적 이해관계자인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책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통하여 우리나라 교수들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별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개념 및 책무성 확보기제의 적절성, 그리고 고등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 정책의 유효성에 대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영향의 유효성 정도는 직업교육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 연구중심대학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유형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는 이슈들에대해서는 자율적으로 합의 형성을 위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즉,본 연구가 제시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차이 조율은 고등교육 책무성을 제고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정교한 정책적 판단을 내리거나, 향후 조화롭고 균형적인 방향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has been increasing with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Nevertheless,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faculty members who are in a critical position of the stakeholders in relation to higher education policy perceiv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what kind of factors affect their perceptions.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faculty members’perceptions o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re different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ositive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higher educ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ir accountability. The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of the faculty members o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need to have an openly debating opportunity as well as an official rule leading to a consensus. Namely,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prior coordinating and tun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takeholders will be helpful for building an accurate and concrete discussion making needed to strengthe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for driving the balanced futur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