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xamine the patterns of change, and provide perspectives on the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implementing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llenges for creative education in Korean music as follows. First, with the addition of the creative domai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education, the task was set as ‘emphasiz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als for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In this context, two objectives were proposed: ‘cultivating musical thinking through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and ‘enhancing the capacity as composers capable of express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Korean music.’ Second, as Korean music elements were not explicitly sta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ead, comprehensive criteria related to musical elements were provid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task was set as ‘materializing Korean music creative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elements.’ Third, in light of the explicit inclusion of achievement standards pertaining to notation and the emphasis on notation education in the creative area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ystematizing notation education for Korean music creation’ was set as a task.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 challenges and perspective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n order to ensure that the value of Korean music as a source of creative inspiration continues to be utilized in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and that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ulfills its role in reaching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related discussions should be more advanced.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을 분석하여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국악 창작교육을 구현함에 있어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와 이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 분석에 근거하여 설정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창작 영역을 신설하여 창작교육의 의미를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교육의 목표 설정을 통한 교육적 의미 강조’를 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해 ‘국악 창작교육을 통한 음악적 사고력 함양’, ‘국악의 즉흥성을 표출할 수 있는 창작자로서의 역량 제고’의 두 가지 목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 관련 요소를 성취기준에 명시하지 않고 음악 요소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음악 요소와 관련된 국악 창작 활동의 구체화’를 과제로 제시하였다. 셋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에서 기보법에 관한 성취기준을 명시하고 기보법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을 위한 기보 교육의 체계화’를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앞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와 그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도 국악이 창작의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지속되고 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는 데 국악 창작교육이 그 역할을 다 해나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및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 모색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 연구를 실행하였다. 면담은 ‘국악 창작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국악 창작 수업의 내용 및 방법, 국악 창작 수업의 평가,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의 네 가지 범주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국악 창작 활동의 범주와 위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악 창작 지도의 접근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국악 창작 평가의 내실화를 위해 국악 창작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악 창작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국악 창작 수업 지원을 위한 매체 보급 및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국악 창작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국악 창작교육의 본질을 구현해 나갈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과 평가의 구체적 단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and, based on this, to seek ways to improve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n interview study was cond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necessity and goal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evaluation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y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s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were sought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ategories and hierarchies of Korean music creative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that can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creation instruction. Third,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in the evaluation of Korean music cre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tool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Korean music creation. Fourth, teach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revitalize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Fifth, media distribution and an environment to support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must be cre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losely analyzes how Korean music creative classes are conducted in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i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ltifaceted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pecific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o that the essence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can be realized.

      • KCI등재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 분석

        박은경(Park Eun-G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의 음악시간에 이루어지는 창작교육을 점검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해 음악교과서에서 창작영역이 차지하는 비중, 장르구성, 창작활동 유형, 타 활동영역과의 연계 등을 조사하여 특징을 찾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결과 창작영역은 27.70%(독립제재 3.16%, 통합제재 23.53%)를 차지하였으며 각 교과서에서의 비율은 20~ 30%인 경우가 많았다. 장르는 국악이 47.65%, 서양음악이 48.99%였다. 활동유형은 노랫말과 관련된 활동이 39.60%, 타 활동영역과의 연계는 가창영역과 연계된 활동이 55.7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결론 개선점으로 창작영역 장르의 다양화, 가락 관련 활동 비율 높이기, 다양한 영역 활동과의 연계가 요구된다. 그리고 최근의 변화된 사회와 시대상을 반영한 적절한 매체의 활용 및 다른 교과와의 연계도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heck and find ways to improve music creating education by analyze the creating areas of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music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examined the proportion of creating areas in textbooks, genres, creating activities, and related to other areas of activity. Results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music textbook, the creating areas accounted for 27.70%(3.16% independent unit, 23.53% integrated unit), and the ratio in each textbook was usually 20~30%. In the genre, for Korean music was 47.65% and for Western music was 48.99%. There was many lyrical activities(39.60%), and related to singing areas activities(55.70%).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genres, increase the melodic activities, and related to activities in various areas. The use of appropriate media reflecting the recently society and times,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분석 연구: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현경실 ( Kyungsil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음악교육에서 창의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교육의 강화를 위하여 지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시기별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창작부분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에서 창작영역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조사함으로써 교과서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음악교과에서의 창작수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의 교과서가 나아갈 방향과 음악교육의 올바른 방향을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제 2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총 8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41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장르별 비중은 초기 교과과정에서 서양음악에 치중되어 있던 것이 현대로 오면서 국악, 다문화음악, 대중음악 등으로 그 비중이 늘어났다. 특히 10%이하이던 국악은 35.9%까지 늘어났다. 둘째, 가창위주였던 음악교과서가 가창 외에 감상, 기악, 창작, 이해 등의 영역이 꾸준히 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창작활동의 빈도와 그 다양성이 늘고 있다. 가락짓기 위주였던 창작활동이 여러 가지 창작활동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넷째, 우리나라 교과서의 창작활동 하나하나가 단계별로 자세히기술하는 추세이며 음악이외의 분야에서도 학생들이 좀 더 넓게 생각할 수 있도록 다른 과목과의 통합등으로 그 폭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아직 창작의 비중이 너무 적고, 문제의 발견이나 해결과정 등이 중요한 것을 감안하는 새로운 창작의 종류도 더 개발되어야 하는 등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점은 많다.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is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reation parts of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s which follow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present 2009 national curriculum. Then we investigate the desired directions for activities of creation and suggest guidelines for future music education and music textbooks. In this study we surveyed 41 textbooks according to the eight national curriculums from the second educational curriculum to the one revised in 2009.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re in the textbooks expands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popular music from western music in the early curriculums. Especially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from under 10 percent to 35.9 percent. Second, appreciation, instruments, creation, and understanding is continuously increased in addition to singing part. Third, frequency and diversity of the activities of creation is increased. It diversifies to various creational activity from the melody composition. Fourth, each activity of creation is explained in detail for each step. The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is also tried. But still the portion of creation is too small and there are need of new creation activities in which the students find new problems and solutions.

      • KCI등재

        위헌심사에 있어서 헌법 제22조 제2항의 규범적 의미

        서경미 헌법재판연구원 2019 헌법재판연구 Vol.6 No.2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es not have much research on its constitutional meaning,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actively apply it as a practical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even though the same provisions existed from the Founding Constitution. However,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has its own constitutional meaning to guarante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lso adopts a creator protection principle which basically requires that the right to creation be attributed to the creator. Depending on the specific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creator’s rights may be constituted exclusively or non-exclusively, but in order to provide creators with sufficient incentives, it is inevitable that the rights of exclusive property are set within a certain range. In addition, the creator’s right to creative work can be formed by variety of rights, such as property rights or personality rights,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The creativity required for the creation at the constitutional level is the minimum of creativity, which means originality that demands to be the result of one’s own creative activity, and the level of creativity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that the legislator decides according to the kind and nature of the creation. Above all,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s recognized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s, arts, culture and scienc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nsuring that excessiv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es not lead to the detriment of academic, artistic, scientific and cultural development. Since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basically recognizes the property rights, even if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 not exist, it can be fully guaranteed under the Article 23 property rights of the Constitu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is often ignored in judicial review. However, it contains the contents of independent norm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and creationism. Therefore, in the judicial review related to the formation or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헌법 제22조 제2항은 동일한 내용의 규정이 제헌헌법부터 존재하였음에도, 헌법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으며, 헌법재판실무에서도 지적재산 관련 법안의 헌법적 근거로만 언급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위헌심사기준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제헌헌법 제정 당시부터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규정으로 도입되었고, 9차례의 헌법개정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는바, 단순히 지적재산보호를 위한 국가의 목표규정이라 볼 수 없고,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독자적인 헌법적 의미가 있는 조항으로 보아야 한다.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규정으로, 원칙적으로 창작자에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귀속시킬 것을 요구하는 창작자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입법자의 구체적인 형성에 따라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배타적으로 또는 비배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창작자들에게 충분한 창작유인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배타적인 성질의 권리 설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창작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재산권적 성질이나 인격권적 성질 등 다양한 성질의 권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헌법적 차원에서 창작물에 대해 요구되는 창작성은 최소한의 창작성, 다른 사람의 창작활동의 결과가 아닌 자신의 창작활동의 결과일 것을 요구하는 독창성으로 보여지고,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창작성의 수준은 입법자가 창작물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결정할 입법정책의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지적재산제도는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을 위하여 인정된 것이므로, 그 형성에 있어 공중의 자유로운 이용 및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이라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상충적인 이익의 조화를 고려하여야 하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과잉한 보호로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이 저해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현행법상의 지적재산제도는 기본적으로 지적재산권의 재산권적 성질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 제22조 제2항이 없더라도 헌법 제23조 재산권 규정에 의하여 충분히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가 간과되기 쉬우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 보장, 창작자주의와 같은 독자적인 규범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지적재산권의 형성이나 범위 설정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를 인정하여 위헌심사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주 발간 창작영어시조집에 나타난 시조의 형식과 그 의미

        박미영(Park Mi-Young)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창작 영어시조집 E. St. Jacques의 『Around the Tree of Light』, Kim Unsong의 『Modern Sijo』, D. McCann의 『Urban Temple』을 중심으로 각 시조집의 서문과 대표적인 작품에 나타난 형식과 그 논의를 살펴 이들의 시조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1990년대 초 영어로 창작하는 시조가 등장하여 최근 미국내에서의 창작시 공모전 및 인터넷에서의 동호회 활동 등으로 시조를 중심으로 한, 또다른 한류가 형성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조 관련 인터넷 싸이트에서 위 세 작가의 시조 형식논의와 창작 영어시조를 소개하고 있으므로 세 작가의 창작 영어시조집을 중심으로 이들이 제시하고 있는 시조의 형식을 논의한다. 이들이 제시하는 시조의 기본 구조는 “1행 4음보 3행시이며 45자 내외”라는 시조의 기본 형식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한국에서와 달리 강조되는 것은 1행이 15음절 내외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정의에서 음보 및 음절에 대한 관점은 우리말과 영어의 근본적인 차이와 영시 작시법에서의 구실과 각 단위의 크기가 상이한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각운의 사용 문제는 조선시대 한시번역에서 고민했던 “장단기구”(長短其句)와 “산압기운”(散押其韻)이라는 두 가지 원리의 선택문제를 다시 제기한다. 기사형식에서는 3행 형식을 기본형으로 제시할 것인가, 3장 6구 형식이 전제된 6행 형식을 기본형으로 제시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또한 종장의 의미적?율격적 특성을 전환, “twist”로 정의한다. 그러나 정작 창작모델로서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우리 시조가 지니는 종장의 특성을 그대로 영어시조에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영시 작시법상의 어떤 기법으로 대체할 것인가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이런 모든 문제는 궁극적으로 시조의 정형성에 대한 의문이다. 한국에서 시조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다시금 시조의 정형성과 운율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그래야 영어시조 작시법에서의 규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s and significance of English Sijo written in English focusing on three original collections of English Sijo published in Americ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three books: 『Around the Tree of Light-A Collection of Korean Sijo』 by Elizabeth St. Jacques, a Canadian poet, published in 1995, 『Modern Sijo』by Unsong Kim published in 1995, and 『Urban Temple-sijo, twisted & straight』by David McCann, professor of Harvard University, published in 2008. They wrote Sijo in English modeling after Korean Sijo translated in English. D. McCann termed this “English Sijo” and is used as such in the internet and in Korea. The form of Sijo they adopted is as follows: The three characteristics elements that make sijo unique: basic structure, musical/rhythmic elements, and the ‘twist’. The basic structure is summarized as below. The sijo is a 3-line poem consisting of between 44 to 46 syllables. Each line has 14 to 15 syllables. Line 1 presents a problem or theme, line 2 develops or ‘turns’ the thought, and line 3 resolves the problem or concludes the theme. The first half of the final line employs a ‘twist’ by means of a surprise in meaning, sound, tone or other device. The sijo often appears as a six-line poem ? that is, each of the three lines is broken in half, with each couplet separated by a blank line to emphasize distinctiveness. However, the following serious problems are found in their analysis. First, how can we capture and express the proper meaning structure and metr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Sijo in the writing of English Sijo? Second, how can we provide distinctive prosody of English Sijo, comparing with English Haiku which was introduced earlier than Sijo in America? In conclus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s above is the share of Korean schola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흥행영화 요소 분석

        강선주(Sun-Ju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영화가 흥행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그것이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16년 개봉 상업 영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화는 대표적인 경험재로 영화가 개봉하기 전까지 흥행여부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많은 외국의 학자들이 그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런 연구들이 국내의 영화 흥행을 예측하는데 유의미한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위권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작품이 액션, 드라마 장르였으며, 스타캐스팅은 필요 요소이긴 하지만 필수 요소는 아니었다. 영화 등급은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을 가장 선호하였고, 통신 매체의 변화로 관객 입소문이 영화흥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실히 성수기는 영화 흥행에 도움이 되었지만 성수기를 노려 높은 예산에 완성도 높은 작품들을 내놓아 더 큰 수익을 내려고 하는 산업적 전략이 숨어 있었다. 본 연구는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요소들을 인식하고 영화가 기획 되어 좀 더 영화 산업이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취지로 작성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commercial movies released in 2016 to determine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success of motion pictures, and whether those factors haven effect. The movie is a representative experiential product, and it is not easy to predict a success before the release. However, many foreign scholars have done much research to predict the succes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such studies are valid in predicting a succes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As a result, most of the top-ranking films are action and drama genres, and star casting is a necessary but not an essential element. Moreover, 15 rating film is most preferred, and it is confirmed that word-of-mouth reviews from viewers have a large influence on the film’s success with a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he peak season is certainly helped with a success of the box office, but the industrial strategy, to make a big profit by releasing the films with high budget and high quality, is laid beh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 movie box office, to recognize these factors, and to promote the film industry.

      • [특별기고] 2010년 디자인보호법 개정법률안 주요내용

        박주연(Park, Joo Yun) 세창출판사 2010 창작과 권리 Vol.- No.60

        The Design Protection Act has developed into what it is today since 1961 when Korea legislated it, going through several revisions by reflecting the change of surroundings in design and the needs of consumers under the law. As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increased steadily in recent years, the business and the academic world has presented the civil petitions and opin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design system to KIPO continuously. To sum up, it may be helpful in creating the right of design, and it is deemed a demand for change into design system in order to react swiftly to the changing market. KIPO collected the change of surroundings in design and the needs of consumers, then it has already implemented since early 2009 when it established 3-STEP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the law, system, and infra for design. And it is said that this revision of Design Protection Act (2010) is the key-point of 2-STEP strategy, following 1-STEP strategy including the world's first submission of 3-D drawing, being already implemented from this year. This revision aims at KIPO as 'supporter of creative industry' which meets the demands of consumers actively and responds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 in design positively. Also this revision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biggest improvement of the system since 1961. Accordingly, it is sure that the competitiveness of our design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this revision. It is known that major revised contents is expanding the area for object of design, setting up the range of protection for the registered design concretely, establishing the related-design system, extending the period of the design right, and improving the system for multiple designs.

      • KCI등재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양소연 헌법재판연구원 2021 헌법재판연구 Vol.8 No.2

        헌법 제22조 제1항은 예술의 자유를 독립된 기본권으로 명시하여 보장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표현의 자유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않다. 예술의 자유의 보호영역과 관련하여, 보호되는 행위 유형은 규명되어 있지만 예술의 개념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예술의 자유의 사상적 배경으로서 선사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사회에서 예술이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예술 개념 및 우리 헌법재판소의 예술의 자유 관련 결정들을 분석해본다. 그리고 예술 본연의 유연한 특성과 법적 안정성의 요청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기성장르 구별에 따라 형식적인 판단을 하되, 추가로 실정법과 미학이론에서 도출한 예술의 개념표지를 갖춘새로운 양식의 작품도 보호영역에 포함하는 2단계의 심사방법을 제안한다. ‘Freedom of Art’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enumer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While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Freedom of Expression’ articulated in a separate cl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s yet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guide to an effective legal definition of ‘art,’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the coverage of the Freedom of Art. It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unction of art, discusses the limits in the existing constitutional definition of art, then suggests a 2-tiered test to identify whether a specific case is within the coverage of the Freedom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