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POP의 가치창출을 위한 기획사와 아티스트의 역량 요인: 아티스트와 해외 창작자와의 협업 조절효과와 함께

        김효정,백서윤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4

        본 연구는 KPOP으로 대변되는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성공 및 고부가가치 창출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음원차트 상위권 성적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획사 및 아티스트의 역량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음원산업의 스마일커브 상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창작/기획과 유통 단계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요구되는 동적역량과 창의적 역량의 관점을 적용하였다. 이에 연구 요인으로 기획사의 역량은 경영 역량과 음원유통 파트너 네트워크, 아티스트의 역량은 창작 역량과 국적 다양성으로 설정하였으며, KPOP의 글로벌 확장으로 빈번하게 관찰되는 아티스트와 해외 창작자와의 협업을 국제적 특성으로 파악하여 아티스트의 역량과 해외 창작자와의 협업의 상호작용이 음원차트 상위권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총 6개의 가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공인된 디지털 종합차트인 써클차트의 연간 100위권에 진입한 음원 중 외국곡과 팀 규모가 1인 아티스트곡을 제외한 543곡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파악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기획사의 역량인 경영 역량과 음원유통 파트너 네트워크는 모두 음원차트 상위권 성적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티스트의 국적 다양성 역시 음원차트 상위권 성적과 긍정적인 양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나 기획사와 아티스트의 동적역량 및 창의적 역량 보유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아티스트의 창작 역량은 가설과는 달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디지털 음원산업의 빠른 트렌드 변화주기와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아티스트의 내적 역량에만 기대는 창작 역량은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어렵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아티스트의 국적 다양성과 해외 창작자와의 협업의 상호작용 역시 가설과는 달리 음원차트 상위권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기존 다양성 문헌에서 연구된 바와 같이 다양성 수준의 과도한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커뮤니케이션 및 조정 비용이 발생함에 따라 가치창출의 가능성이 낮아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아티스트 창작 역량과의 상호작용은 음원차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일련의 분석결과는 KPOP 기획사와 아티스트가 경쟁력 있는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동적역량과 창의적 역량을 보유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해야 하며 급격하게 증가하는 해외와의 협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 및 조정비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불어 본 연구는 디지털 음원산업에서의 가치창출 연구에서 그동안 간과되었던 국제적 특성을 함께 반영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 다양한 장르의 창작활동과 협력수업을 통한 융합역량 발달탐색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강승연(Kang, SeungYeon),백성혜(Paik, Seoung-Hye)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9 융합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창작활동과 협력수업을 하면서 다양한 지식의 활용과 축적 및 이해, 추론, 통합, 창작이라는 과정을 통해 융합 역량을 발전시키고 예술적 감수성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창의적 사고의 발현과 융합 역량발달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융합역량의 발전과 탐색을 위한 총 10차시로 구성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학생들에게 발현되는 융합역량을 관찰하고 설문지와 융합역량 분석표를 통해 학생들에게 발현된 융합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역량 발달을 탐색하기 위해 활동에서 산출된 창작물인 각색 작품들을 융합영역별로 분석하여 작품을 통해 발현된 학습자들의 융합 역량들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각색 작품은 프로그램의 산출 결과물이기에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학습 과정안의 성격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전체를 통해 발현되는 융합역량은 설문지를 통한 리커트 척도를 통해서 분석하여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융합역량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융합역량이 발현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현직 교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와 발 맞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능력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우리 아이들을 지도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변화, 성장하는 많은 고민의 자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vergence capacity through the process of utilization and understanding, reasoning,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knowledge while conducting various creative activities and cooperative classes, and to explore the manifestation of creative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ability to lead future society based on correct personality as well as artistic sensibility. To carry out these stud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ed of a total of 10 times was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and exploration of convergence capabiliti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aptation works produced from the activities to explore convergence capacity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convergence area to obtain the convergence capabilities of the learners expressed through the work. Second, Because adapted works are the result of the program s output, the character of the teaching course was understoo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work.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at this program contains all of the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in particular, it emphasized creativity and content convergence. Third, Convergence capabilities expressed throughout the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the recursive scale by the questionnaire to obtain the results that the students in the class recognized the need for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that the convergence capabilities were expressed in the class. Through this study, I found out that teachers can get the desired results from learners according to what goals they were designing for. In response, the incumbent teacher in the field are required the need for a lot of constant research, change, and growing concern to guide their students so that they can foster the skills demanded by the ever-changing society and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전한성,민정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out the art instructors’ Professionalism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at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increase teaching competency of creative writing. That’s why we outlined the full content and the purpose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we said the Professionalism of art instructors afte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In this study, It derived arts instructor’s expertise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with selection criteria details of the art instructors for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creative class monitoring in 16 high schools, Video analysis of 16 class periods in 4 High Schools,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t is largely classified as 5 branches. First, its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related to the creative writing. Second, it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creative education. Third, its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s the emotional empathy. Finally, its the literacy education environment. To be deployed effectivel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classroom scene in the future, the Art instructors should be made with the training so that 5 professional factors of them can be strengthened. 이 연구의 목적은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으로 운영되었던 문학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밝혀 창작 교수 역량의 제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따라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그 취지와 내용을 전체 개괄하였다. 그리고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의 특징을 설명한 뒤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밝혀 보았다. 본고에서는 문학 창작 분야 예술강사의 선발 기준 세부 내용과 16개 고등학교 1차시 창작 수업 모니터링 및 4개 고등학교 16차시 영상 분석, 창작 수업 사전․사후 학생 인식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것은 크게 5가지 정도로 대별된다. 첫째, 창작과 관련된 자격 요건이다. 둘째, 창작 교육의 목적에 대한 이해 능력이다. 셋째, 창작 교수 능력이다. 넷째, 정서적 공감 능력이다. 다섯째, 교육 환경의 활용 능력이다.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수업이 현장의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기 위해서는 예술강사의 5가지 전문성 요인이 강화될 수 있도록 교사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예창작학과의 변화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안 -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를 중심으로

        이혜원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3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as examined, and measures to improve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were sought. Since its name was changed to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in 2007, the Department of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at Korea University has pursued learner-centered educational ideology and curriculum. Therefore, it aim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with media convergence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of literary experts unique to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he demand for the curriculum and comparison program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recently conducted survey and advisors’ opinions to understand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is change of direction and seek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the curriculum,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lectures was high, while the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ajor subjects was relatively low. Most of the subjects that students wanted to establish were related to media convergence ability,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subjects was required. Most of the subjects that students wanted to establish were related to media convergence ability,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subjects was required. Through the graduates’ surveys, it was confirmed that while faithfully carrying out the basic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practical subjects that can be fused with a new media environment or related to employment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the irregular curriculum are important for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each learn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ality programs more systematically by referring to programs that are highly responsive to students or new programs requested by graduates. Through the advice of expert advisors conducted with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consistent educational goals that could be the center of creative education should be set and educational measures should be sought. It is important to open a course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but it was found that we should focus on our educational capabilities by keeping the essence of creative education rather than reacting too much with the times. 이 논문에서는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예창작학과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교육목표와 방법의 개선책을 모색해본다. 2007년 미디어문예창작학과로 명칭 변경한 것을 기점으로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념과 교과과정을 추구해왔다. 따라서 문예창작학과 고유의 문학 전문가 교육에 더해 미디어 융합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방향 전환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책을 모색하기 위해 최근 실시했던 설문조사와 자문위원 의견을 참조하여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본다.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과정과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전공교과목의 개설 수와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학생들이 신설을 원하는 교과목은 대부분 미디어 융합 능력과 관련되는 것이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의 개발이 요구된다. 졸업생들의 설문을 통해서는 문예창작학과의 기본 교육을 충실하게 수행하면서,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융합할 수 있는 교과나 취업과 연계되는 실용적인 교과를 개발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과정 외에 비교과과정 프로그램은 학습자 개개인의 자율적인 역량 개발을 위해 긴요하다. 재학생들의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이나 졸업생들이 요구한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참조하여 양질의 프로그램을 더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와 함께 실시한 전문가 자문위원들의 자문을 통해서는 창작교육의 구심점이 될 만한 일관성 있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목 개설도 중요하지만 지나치게 시류에 따라 반응하는 것보다는 창작교육의 본령을 지키며 교육 역량을 집중해나가야 한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와 요구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는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의 교육이념을 지켜가며 기본적인 창작교육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자의 창의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계속 개발해나가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예창작과의 현황과 대안 —단국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수웅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2

        ‘문예창작’은 인문과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적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이 학제(學制) 구분과 대학교의 조직 구성에서 구현되기 어렵다는 사실이 문제다. 이에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국 문예창작과가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연구·교육·행정 등의 세 부문에서 학과 운영 현황을 살피고,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교수 역할 변화와 연구업적 평가. 교수의 연구업적 평가에 문예창작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창작 실적에 대한 평가는 낮고, 의무적으로 학술 논문을 발표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전문 작가를 전임교수로 선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1) 지속적인 의견 개진과 협의를 통해 학문적 정체성이 반영된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2) 교수의 연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3) 학술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학문 후속 세대를 육성해야 한다. 아울러 여러 대학이 협력해서 공동 연구과제를 수주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둘째, 교육방법과 커리큘럼. 실기 중심 교육은 문예창작의 정체성이 분명하게 발현되는 분야다. 하지만 교육방법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다. 개별 과목 운영은 교수자의 개인적 역량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다. 교육 체계에 문예창작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고 커리큘럼에 반영하여 수용자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방안을 제시했다. 1) 융합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2) 비교과과정을 활용한 교류와 협력이 촉진되어야 한다. 3) 학회 차원에서 교육 분과 모임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과 운영과 입시제도. 대학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행정 업무가 늘어났다. 특히 취업률에 대한 부담이 크다. 이는 대학의 기능을 취업으로 한정하기도 하지만, 평가 기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입시 관련 정책이 자주 변경되면서, 그에 따른 운영상의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각종 특강과 관련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점차 세분화되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2) 문예창작과의 목표, 교육과정, 진로 등을 정확하게 안내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식을 개선하고 관심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지원율 향상을 도모한다.

      • KCI등재후보

        연극 공동창작 활동이 중학생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협력종합예술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화 ( Han Yanghwa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서울시교육청에서는 뮤지컬, 연극, 영화 등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하여 미래핵심역량을 강화하고자 협력종합 예술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연구자는 지난 3년간 협력종합예술활동의 예술강사로 활동하면서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의 연극 만들기가 학생들이 협력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겼고,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의 연극 공동창작 활동이 중학생의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그 요인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협력종합예술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서울 소재의 S중학교 1학년 24명을 대상으로 22차시의 ‘연극 공동창작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 공동창작 활동을 실행한 결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요소인 ‘역할 수행 능력’과 ‘갈등 및 문제 해결 능력’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둘째, 연극 공동창작 활동의 ‘모두가 참여하는 구조’,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공연이라는 명확한 목표’, ‘성찰의 과정’은 참여자의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 공동창작 활동’은 참여자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역할 수행을 하고 공동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의 장’을 제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연극 공동창작 활동’을 통해 자의식 개념을 ‘나라는 개인’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확장함으로써 공동체 안에서의 ‘나’를 새롭게 인식하였고, 이로 인해 삶의 태도가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연극 공동창작 활동이 중학생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핵심역량 함양과 연계된 다양한 연극 창작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emmed from the researcher’s inquiry while working as a teaching artist for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Coope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CIAA)’ initiative, which provide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s working for the initiative for the past 3 years, the researcher became curious: “Is Coope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theatre- making really helping students collaborate each other?" The inquiry l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effec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in CIAA on community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ised and implemented 22 sessions of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program for 24 first graders of S middle schoo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mplementation was analyzed and described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mplementing the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f the students acros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in terms of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the ‘Conflic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ommunity competency. Second, four major factors were found such as, “a structure that everyone has to participate in”, “free and receptive atmosphere”, “performance as a clear goal”, and “process of reflection”. These factors proved to be crucial for the participants’ improved community compet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provided ‘a space for genuine experience’ where the participants take part in and deal with their conflicts and problems as a community, whereas they remained passive and reluctant at the beginning. Second, through the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and their self-consciousness from ‘I’ to ‘we the member of community’, which affected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s their l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how collaborative creation of theatre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ty competency through the case of CIAA initiative. It is my hope that more various approaches of theatre creation program to be developed in the field to foster students’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루브릭’을 활용한 역량 중심 수업 구현의 방향 -서사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박은진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7 No.-

        This study seeks ways to implement competency-centered classes, focusing on the design and use of ‘Rubric’. Noting that ‘Rubric’, which has been used only as a simple performance evaluation tool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contribute in various ways to realizing the reality of competency-centered classes, we sought ways to implement competency-centered classes. Seeing that the entire process of designing and utilizing the ‘Rubric’ can contribute to structuring classes centered on learners' capabilities, materializing the possibility as a class model, and applying it to actual university narrative creation classes at J University, The possibilities were practically examin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signed class model to the narrative creation class,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learners was much higher than in the previous semester, and the class in which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interested in the achievement of competency, class structured and focused on competency, and learner's I was able to conduct classes that objectively evaluate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provide feedback, as well as classes that actively improve and provide feedback.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will be able to give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classes dealing with educational contents in which activities and performance in the area of language and literature are the main focus, such as narrative creation classes. 이 연구는 ‘루브릭’의 설계와 활용을 중심으로 역량 중심 수업의 구현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교육학 영역에서 단순한 수행평가 도구로만 활용되어온 ‘루브릭’이 역량 중심 수업의 실제를 구현하는 데 다각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 이를 중심으로 역량 중심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루브릭’의 효용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기존 연구와 달리, ‘루브릭’을 설계하고 활용하는 전 과정이 학습자 역량을 중심으로 수업을 구조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그 가능성을 수업 모형으로 구체화하는 한편, 이를 J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실제 서사 창작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설계한 수업 모형을 서사 창작 수업에 적용해본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역량의 성취에 관심을 갖는 수업, 역량을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초점화 된 수업, 학습자의 성취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피드백해 줄 수 있는 수업, 적극적인 수업 개선과 환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을 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의 성취수준이 이전 학기에 비해 상승하였다. 또한 수업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역량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상의 ‘루브릭’을 개발하고 수업에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과 연구 결과는 서사 창작 수업과 같이 ‘언어와 문학’ 영역에서 활동과 수행이 주가 되는 교육내용을 다루는 수업의 현장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안무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정 ( Yeon Jung K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2000년대 이후 국내의 여러 문화예술 기관들이 창작자의 역량을 지원하기 위해 창작기금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 중 2000년대 중반부터 창작자를 발굴하고 중장기적으로 창작 역량을 지원하는``예술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 국내에 도입되었다. 본 논문은 신진 안무가를 발굴하여 단계별 교육 및 멘토링 과정을 제공하는 안무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국내외 안무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중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그 성과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체계와 운영방안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무가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창작 역량을 강화하기 보다는 안무가의 창작 작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하여 창작자로서의 연구와 작업 기반을 스스로 마련케 함으로써 창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확고한 사업 철학을 세우고 이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무가의 작업에 대한 멘토링은 상하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작업의 조력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선해야 한다. Many cultural arts organizations have been implementing diverse supporting program for the creators since 2000s. Among them was the ``Artist Incubating Program`` introduced during the mid 2000s. The ``Artist Incubating Program`` is designed to discover promising creators and supports their abilities on a long term ba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Incubating Program for Choreographers``, which provides systematic education and mentoring to the emerging choreographers.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program implemented by Arts Council of Korea (ARKO) and presents several suggestions on how to make the system more effici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rogram, rather than educating the choreographers, should support the choreographic process by providing the necessary education or mentoring to enable them to research on their own and thus strengthen their creating ability more efficiently. Also,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accord with the clear vision of the program. Lastly, the mentoring for the choreographers should be supportive to the choreographers rather than patronizing them.

      • KCI등재

        비판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소설창작 교수법— 주제별 읽기와 쓰기 연계를 통한 인문 사회적 통찰 능력의 강화

        주지영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2

        본고에서는 읽기와 쓰기의 연계 교육을 통해 소설창작의 비판적 역량을 키워나가는 교수 활동안을 제안하였다. 읽기와 쓰기로 수업 과정을 나누고, 읽기의 과정은 ‘주제별 작품 읽기/해당 작품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해당 주제와 관련된 2020년대 소설작품 창작과 사회문제 사유’의 세 단계로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주안점을 둔 부분은 쓰기의 과정에 관한 교수법이다. 쓰기의 과정에서는 ‘주제별 작품 읽기 점검/키워드 수집하기/기사 찾기/현실 사회의 문제점 찾아 질문 만들기/원인 탐색하기/해결 방안 탐구하기’ 등의 여섯 단계로 이루어진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수 방안은 주제 설정의 측면이나, 학습 효율적인 측면에서 여전히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 이 점은 향후 수정과 보완을 거듭해나가면서 갱신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a proposal for teaching activities to develop critical capabilities in novel creation through linked educ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was proposed. The class process was divided into reading and writing, and the process of reading was briefly presented in three stages: “Reading works by topic / Organiz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orks / Creating novels and social problems in the 2020s related to the subject.” The main part of this paper is the teaching method of the process of writ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a six-step class model was presented, such as “checking reading works by subject/collecting keywords/finding articles(news paper etc.)/making questions/exploring causes/exploring solutions by finding problems in real society.”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창작무용 수업을 통한 Kolb학습유형이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 및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주영,권용철,조건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olb’s learning style in the creative dance classes of dance major students on creative growth mindset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For this purpose, 286 out of 300 art high school dance students who took creative dance classes in Busan, Gwangju, Gangwon-do, Jeollanam-do,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participated as valid samp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growth mindset depending on the learning type in the creative dance class, and in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Second, the creative growth mindset of dance student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fference by the style of Kolb learning was identified in the creative dance class in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nd it will be meaningful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expansion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본 연구는 창작무용 수업에서 무용전공 학생의 Kolb학습유형이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 및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강원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소재 창작무용 수업을 받은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 300명 중 286명을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무용 수업에서의 학습유형에 따른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융합역량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학생의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은 창의융합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있어 창작무용 수업에서의 Kolb학습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적 확대 방향성에 대해 재고해 볼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