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의 근현대춤사에서 본 김진홍 창작춤의 가치

        김해성 ( Hea Soung K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3

        이 연구는 부산에서 60년 이상 춤활동을 펼치고 있는 김진홍의 창작춤 작품 경향을 분석하여 부산무용사에서 김진홍 창작춤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김진홍은 1955년에 무용학원을 개설한 후부터 1990년대까지 부산에서 창작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그동안 전통춤에 가려서 드러나지 않았던 김진홍의 창작춤에 대한 연구는 부산의 근현대 창작무용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김진홍의 창작춤 경향은 크게 기존의 민속춤을 극장식 무대에 맞게 창작한 작품(전통춤의 재창작), 신무용기 즉 민속춤의 현대화 시기(1920~ 1950)에 추어졌던 춤들을 재구성 한 작품과 신무용 형식인 남녀 간의 애정과 낭만적 정서를 소재로 한 작품(신무용), 무용에 줄거리를 부여하고 극적요소를 도입한 창작 작품(무용극), 이 밖에 전통적인 춤사위를 근간에 두고 작품주제에 맞는 표현기법을 시도한 작품(창작춤)으로 구분되어 진다. 김진홍 창작춤의 가치는 부산의 향토무용을 토대로 춤을 재창작하여 향토무용의 계승에 주력한 점, 부산에서 무용창작을 위한 다방면적인 방법론을 모색한 점, 부산의 무용극 영역을 확대한 점 등이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value of Kim Jinhong`s creative danc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dance in Busa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dance, which had been continuing in Busan for over 60 years. Kim had been active in his creative work from 1955 when he had opened a dance school to the 1990s. The study of his creative dance, which was hidden behind traditional dances, was a valuable historical data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creative dance in Busan. This study categorized his dances into these types: recreated traditional dances, which made traditional dances suitable for stage through recreation; new dances, the restructured dances of New Dance Period and the dances of New Dance Period style to love between men and women and express romantic atmosphere; dance dramas, which added stories to dance moves; and creative dances, which were created based on traditional dance moves. The value of his creative dance could be found in many aspects. He tried to inherit folk dance by recreating the dance of Busan and sought diverse methodologies to create dances. Furthermore, he expanded the field of dance drama in Busan.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안무적 특성에 따른 경향 분석

        최혜경,박미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유형의 특성과 안무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술적 토대의 정립과 교육적 활용, 한국문화예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한국창작무용의 사적 흐름과 시기별 창작무용의 경향과 특성을 10년 주기의 4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창작무용의 초기는 전통무용의 원형을 지키는특성이 부각되어, 1기와 2기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원형을 보존 및전승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3기를 기점으로 현대무용 및 세계화 추세의 영향으로4기는 현대적으로 수용, 변용된 한국창작무용이 주도하게 되었다. 안무적 특성으로, 1기는 한국무용의 특징인 곡선의 형태를 살린 춤 선이 많았으며, 2기와 3기는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시도로서 직선 형태의 춤 선, 4기는 전통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이 뒤섞인 혼합된 춤 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1기에서 4기까지 한국창작무용의경향은 전통무용의 특징을 살리면서 창작 요소를 가미한 형태의 춤 선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전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변용, 새로운 한국창작무용의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안무가는 보다 과감하게 시대적 변화를 수용, 접목하여자신의 개성에 맞게 심화, 발전시켜 가면서 그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에서 김천흥 무용극 「만파식적」이 갖는 의의

        김경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3

        한국사회는 1920년대와 1930년대를 지나면서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예술 장르에서도 근대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무용도 예외는 아니어서 서양춤의 도입과 서구식 극장의 설립 등 문화시설의 확충은 근대창작무용인 신무용과 무용극이라는 새로운 형태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26년경에 이르러 최승희, 조택원 같은 소수의 선각자에 의해 서구적인 신무용이 시도되었으며, 1940년 조택원은 서구식 무용기법에 바탕을 두고 한국적 무용극을 최초로 시도한 「학」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외세의 강요에 의한 문호개방은 주체적인 근대문화의 수용을 가로막았으며, 우리 전통에 대한 철저한 반성의식에서 비롯된 수용도 아닌 상태에서 서양무용의 도입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졌던 것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전통적 기법보다는 서구적 방법을 받아들였으며 1973년에 가서야 국립무용단에 의해 서구의 발레무용극에서 탈피한 한국적 무용극을 모색하게 된다. 이처럼 조택원으로부터 1970년대 초까지의 무용극은 서양식 기법에 기반을 둔 작업이었으나 그 시기에 김천흥이 발표한 무용극인 1969년 「만파식적」은 전통에 근거한 창작세계의 면모를 보인 작품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삶과 몸짓 그 자체가 한국춤의 역사라고 할 만큼 전통춤에 근거한 창작, 무용극 창작, 궁중정재 복원 및 재현을 위해 일평생을 살았던 김천흥의 창작무용극 「만파식적」의 분석을 통해 한국무용창작에서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 현재까지 전해진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국악기로서 가장 우수한 악기인 대금을 소재로 한 「만파식적」의 설화를 5막의 무용극 대본으로 작성하였다. 둘째, 전해져 온 춤들을 정리하고 다듬고 간추리거나 전통춤을 취사선택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한 춤으로 사자의 춤, 선의 무, 선녀무, 음양의 조화를 표현한 2인무, 용무, 지친 무리의 춤, 무녀무, 신기의 무, 환희의 춤, 전승무 등이 있었다. 셋째, 궁중춤과 불교의식무용을 소재로 시간성과 형태를 다양화한 선유희와 나비춤, 바라춤, 타주, 목어, 법고춤 그리고 「처용무」, 「학무」, 「연화대무」, 「학처용연화대무」 등이 있었다. 넷째, 전통음악을 춤의 특성에 따라 재편성하고 시간성을 재조정하여 창작한 진양, 도드리, 중머리, 타령, 굿거리, 휘모리, 수제천, 향당, 세영산, 길군악 등의 음악을 사용하였으며, 국립국악원 아악사들이 실제 무용극 공연에서 대합주로 연주했다. 다섯째, 무대장치는 사실적으로 꾸미고 효과음을 사용하여 극적 분위기를 살림으로써 무용극의 내용이 잘 전달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만파식적」을 통해 본 김천흥의 창작방식이 신무용과 무용극으로 대표되는 근대무용사에서 유일하게 한국의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안무였던 점과 그의 안무과정에서 당시 무용가들은 음악을 먼저 작곡한 후에 음악에 맞춰 안무하는 것을 선호했으나 김천흥은 춤을 먼저 완성시킨 후에 작곡자에게 음악을 의뢰하였다는 것, 즉 작곡자에게 각 춤장면의 장단수, 변하는 대목, 속도, 그 춤들에 들어있는 사상과 정신, 내용까지를 자세히 설명하며 춤에 맞는 작곡이 되도록 의뢰함으로써 춤과 음악과의 완벽한 조화를 위해 새로운 작업방식을 선택하여 철저하게 창작에 임했다는 점에서 그 당시 여타의 창작무용극과 차별화 된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김천흥(1909~2007)은 이왕직아악부 시절 가무희를 섭렵했을 뿐만 아니라, 민속춤의 대가 한성준과 교분을 나누며 가르침을 받고 당시로서는 드물게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의 경계를 넘나들며 창작작업을 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안무가였다. 우리나라의 정서와 정신을 밑바탕에 두고 새로운 음악과 춤을 창작해야 깊이 있는 우리만의 예술로 승화될 수 있다는 예술적 신념을 실천한 김천흥의 창작무용극 「만파식적」은 오늘날 까지 전통춤의 재창조 또는 창작 한국춤이 나아갈 방향의 초석으로서 그 의미 또한 크다 하겠다. Korean society went through the procedure of modernization in 1920s and 30s and modern features also became remarkable in artistic genres. Dancing was no exception and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with introduction of Western dance and establishment of Western theater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new forms such as new dancing, the original modern dancing, and dance drama. By the year 1926, new Western dancing was attempted by a few pioneers including Choi Seung-hee and Jo Taek-won and Jo Taek-won presented the Crane in which Korean dance drama was first tried based on Western dancing techniques. However, the open door forced by foreign powers hindered autonomous acceptance of modern culture and the Western dancing was imperfectly introduced while the acceptance did not originate from thorough self-examination on our tradition. This stream of the times embraced Western means rather than traditional techniques and it was not until 1973 that National Dance Company came to seek Korean dance drama which broke from the Western ballet dance dramas. In this way, western techniques were foundations from the dance drama of Jo Taek-won to ones in early 1970s and the dance drama work Manpasikjeok presented by Kim Cheon-heung in 1969 is worth noticing in that it demonstrates the world of originality based on tradition.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find significance in creation of Korean dancing through an analysis on Kim Cheon-heung’s original dance drama Manpasikjeok who devoted his life to creation of dance drama,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royal dancing and creation based on traditional dance in which life and movement itself is the very history of Korean dance.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story of Manpasikjeok with Daegeum being its material which is the best instrument that keeps history and tradition handed down up to date is written in the form of dance drama script with five acts. Second, dances handed down are organized and summarized or traditional dances are chosen and there are newly created dances based on the materials including dance of lion, dance of goodness, fairy dance, two-person dance to express harmony of Yin and Yang, dragon dance, dance of the exhausted, dance of shaman, dance of magic, dance of joy, transmitted dance, etc. Third, there are dances which diversify temporality and forms including game of lines, butterfly dance, bara dance, Taju (one form of Buddhist dance), Mokeo (wooden drum in the shape of a carp), dance of Beopgo (drum used in Buddhist rituals), Cheoyong dance, dance of crane, Yeonwhadaemu (one form of court dancing), crane-Cheoyong Yeonwhadaemu, etc. Fourth, music forms created by reorganizing traditional music depending on features of dances and readjusting the temporality e.g. Jinyang, Dodri, Jungmori,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Gutgeori, Hwimori, Sujecheon (one form of royal music), Hyangdang (music of Korea and Tang), Seryeongsan, Gilgunak (music played on a street) etc are used and those forms of music used are played by court musicians of National Gugak Center in the actual dance drama performances as grand ensemble. Fifth, the contents of dance drama are to be well delivered through setting the stage in a realistic manner and properly producing the dramatic atmosphere by using sound effect. As above, Kim Cheon-heung’s way of creation observed in Manpasikjeok is the only choreograph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history of modern dancing which is represented by new dancing and dance drama. In addition, Kim Cheon- heung commissioned music to a composer after completing the dance first in his procedure of choreographing while other dancers at that time preferred to choreograph to music already completed, which demonstrates that he commissioned music to fit into the dancing by explaining the number of beats in each dance scene, passage subject to change, speed, thoughts, spirits and contents within the dances in detail. This way, he created the work thoroughly by selecting a new way of work for the perfect harmony of dance and music, which displays its significance that the work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original dance dramas at that time. Kim Cheon-heung (1909~2007) was well-versed in the music and dance of Buddhist ritual practices while being in Iwangjik Aakbu and he was taught by Han Seong-jun, the master of traditional dance, within a good relationship with him and, at the same time, he was the only choreographer who could create works going over the border of royal and traditional dances. As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recreation of traditional dance or the future direction for original Korean dance, Kim Cheon- heung’s original dance drama 「Manpasikjeok」 where his artistic belief is fulfilled that music and dance newly created only on the basis of the country’s own emotions and spirits can be sublimated to art with depth of our own is evaluated as having a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 ( Ju Youn Lee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4 No.-

        본 연구는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된 창작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노인에게적합한 창작무용프로그램을 길버트(Gilbert)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둘째, 개발된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의 참여가 즐거움의 5가지 하위영역(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사회성,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양적, 질적부분으로 나누어 규명하였다.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참여 전후간의 차이는 Pairedt-test(twotailed)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창작무용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규명을위해 전체 피험자 20명 중 5명을 무선표집(random sampling)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t19=-7.75, p =.001)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 재미는 통계적으로 유의(t19=-5.68, p =.001)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은 통계적으로 유의(t19=-6.33, p =.001)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t19=-4.77, p =.001)하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t19=-6.63, p =.001)하게 향상되었다. 종합적으로 창작무용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즐거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켜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론은 질적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으며 질적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창작무용의 참여 경험을 통하여 신체적으로 건강해진 느낌을 체험하였으며, 특히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느낌으로 인해심리적으로 창작무용의 매력, 흥미, 기쁨, 호기심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중의 창의적 표현, 상상, 즉흥, 발표로 이어지면서 자신들의 모습에 만족스러운 성취감을 경험하고 자신감을 얻었으며, 특히 사회성에 있어서는 소극적이었던 노인들도 타인과의 신체 접촉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과 대인관계 향상으로 긍정적 결과를 볼 수있었다. 결론적으로 양적, 질적방법을 통합하여 연구한 결과 창작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자신감, 재미, 건강증진 및 미적체험, 사회성,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표집 방법과 참여자수를 늘리고 연령대별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연구된다면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looks at the creative dance programs appropriately developed for the elderly, and its effects on the enjoyment of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first of all the creative dance programs which were suitable for the elderly were developed and used as a foundation. Secondly, the developed 6-week long creative dance program was looked at in terms of relation to 5 subordinate factors (confidence, interest, maintenance of health and aesthetical experience, sociality and creativity) and what kind of effects it ha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of the 6-week program were examined through the use of Paired t-test(twotail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creative dance were looked at in terms of concrete cause examin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5 out of 20 subjects underwent random sampling and thorough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firstly that before and after the 6-week duration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the statistics for confidence among the elderly increased by (t19 = -7.75, p =.001). Secondly, before and after the 6-week duration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the statistics for interest showed an increase of (t19 = -5.68, p =.001). Thirdly, before and after the 6-week duration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the statistics for maintenance of health and aesthetical experience showed an increase of (t19 = -6.33, p =.001). Fourth, before and after the 6-week duration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the statistics for sociality showed an increase of (t19 = -4.77, p =.001). Fifth, before and after the 6-week duration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the statistics for creativity showed an increase of (t19 = -6.63, p =.001). Overall, the 6-week creative danc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joyment of the elderly. Such a positive conclusion could be confirm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ults from such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creative dancing, participants of the study could experience a feeling of becoming physically healthier. In particular due to the fact that it provided the feeling of reduced stress levels, the attraction, interest, happiness and curiosity in relation to creative dance could be experienced psychologically.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imagination and improvising could be presented in class, providing a sense of achievement regarding their own reflections, at the same time creating confidence. In particular the elderly who were more passive in terms of sociality could experience physical contact with others, achiev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n improvement in people skills. As a conclusion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t was found that creative dance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of the elderly, (with confidence, interest, maintenance of health and aesthetical experience, sociality and creativity included as subordinate factors of enjoyment). In succeeding research study the effects of creative dance programs will be looked at in relation to various age ranges and gender and the amount of participants will be increased, creating standardization for focus.

      • KCI등재

        신무용과 한국창착무용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분석과 가치인식

        김용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한국춤은 심미적인 극적상황의 춤사위를 바탕으로 흥과 멋이 어우러진 우리 본연의 그 다양성과 창작성의 바탕이 세계 어느 나라 전통무용보다도 넓고 깊기 때문에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지금 우리춤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춤들의 특성과 춤사위를 연구하여야 하며 동시에 현 시대에 요구되어지는 변형적 발전도 도모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또한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작되었고, 한국춤의 신무용과 한국창작무용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분석과 가치인식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춤은 그동안 넓은 틀로 보아 전통춤의 무대화, 신무용의 극화, 한국창작무용의 이미지화라는 양식적 변화를 거쳐 왔으며, 우리의 신무용은 전통춤과 공존하거나 현대무용과의 접목을 통해 점차 무용극화, 혹은 이미지화된 한국창작무용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 일례로 본 연구에서는 배명균 안무의 `혼령`과 배정혜의 `떠도는 혼`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배명균의 `혼령`은 신무용에서 한국창작무용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작품으로 음악의 현대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단순한 춤동작의 재현이 아닌 극장무대화 과정에서 춤어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둘째, 배정혜의 `떠도는 혼`은 세계무대로 진출하기 위한 한국창작무용 개발에 역점을 두고 창작되어진 춤으로 설화나 신화를 바탕으로 한 전래적 소재에서 벗어나 이미지화 된 현대적 주제를 예술춤으로서의 언어화와 문법화를 구축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우리춤은 그동안 우리의 문화유산인 그 시대의 춤을 현대라는 시각으로 초점을 맞추어 이 시대로 환원시키는 작업을 끊임없이 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춤이 이 땅에서 자생되어 오래 동안 전래되어 온 한 무리의 한국춤이라면 한국창작무용은 근, 현대사에 있어서 시대적 사명감을 띠고 창출되어진 또 한 무리의 한국춤이라는 사실도 인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의 변형이 모두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무분별한 시대의 조류를 좇은 오류에 빠질 가능성은 없는지 아직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적어도 본 논자는 우리춤의 원형과 변형적 발전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지금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춤의 신무용과 한국창작무용의 변화에 따라 구조적 분석과 가치인식에 관한 본 연구는 향후 우리의 춤이 세계를 향해 펼쳐나갈 때 변모하고 있는 세계기류에 동승 할 수 있는 든든한 토대의 한 축을 마련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Based on the dance movement of the aesthetic dramatic situation, our original Korean dance harmonizing excitement and elegance is broader and deeper in the foundation for diversity and creativity than the traditional dance of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and has the possibility of infinite develop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ssence of our Korean dance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of those dances. At the same time, we have the obligation to attempt the transformative development required at the current ti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et this demand of the time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Korean dance has gone through the stylistic change such as the dramatization of traditional dance, the dramatization of new dance, the imaging of creative dance from a broad framework for the years. Our new dance has gradually come to develop into the dramatized and imaged creative dance through its coexistence with traditional dance and its combination with contemporary dance.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l' choreographed by Bae Myeong-kyun and the 'Wandering Soul' of Bae Jeong-hye as one example, this study coul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Bae Myeong-kyun's 'Soul' is pursuing the modernity of music as the work of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ransforming from new dance to creative dance. It i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the dance expression of the dancer in the process of dramatization at the theatre, not the reproduction of simple dance motions. But in contrast, the 'Floating Soul' is the dance created with an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to make inroads into the world arena. It succeeds in sloughing off the traditional material based on fables and myths and wording and grammaticizing the imaged contemporary subject into artistic dance. It could be found from the above findings that Korean dance had continued to engage in the work of reducing the dance of the times, our traditional legacy, into the dance of this times by focusing dance on the vision of contemporary times. And if our traditional dance is one group of Korean dances spontaneously generated an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a long time, creative dance is one group of Korean dance created with the mission of the tim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But it would be premature to judge whether the transformation of this original form is made in a right direction or has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error of pursuing the drift of the indiscriminate times. But this study could investigate through what process the transformative development of the original form of our dance was done or in what form it existed at present. This kind of study is believed to lay the firm foundation for meeting with the transforming drift of the world when our dance advances towards the world.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작무용수업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참여도와 창작표현욕구에 미치는 영향

        정희자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작무용교수방법이 예비교사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창작표현의 욕구, 자신감 그리고 공동문제 대응 등에 변화를 주는지를 알아보고, 나아가서 다양한 창작무용프로그램에 적용방안을 찾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도 G광역시 G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3개 학과 90명을 무선표집(sample random sampling)방법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스토리텔링을 통한 창작무용수업 프로그램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의 무용수업 참여도 변화, 창작표현의 욕구 변화, 자신감 변화, 공동문제 대응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창작무용수업 참여 후 창작표현의 욕구 및 자신감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참여도와 공동대응문제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초등 무용창작수업 과정 연구- 미국 뉴욕의 초등무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임 ( Jae Im Chu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아동의 창의성 계발에 관한 관심과 교육적 접근은 다양한 학술 및 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경험으로서의 교육, 즉 전공자 위주의 교육이 아닌 비전공자가 움직임을 만들고 이를 공연으로 올리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무용분야에서도 아동의 창의력과 상상력 발달을 위해서 무용창작수업을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현재 무용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성과 관련한 무용수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무용창작수업의 절차, 교수전략 및 동기부여 등 아동의 무용창작수업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 뉴욕시의 한 초등학교 5학년 무용창작수업을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선행연구, 수업 계획서, 수업참관, 그리고 교사와의 인터뷰를 분석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본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무용창작수업에 사용되는 정형화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무용창작 수업의 내용이 공연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수업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무용창작수업이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국의 무용창작수업 사례를 통해 무용창작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다양한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실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dance programs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e capacity have been increas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about a creative dance curriculum, a teacher`s perception or an efficacy of creative dance, etc. For example, von Rossberg-Gempton, Irene Elisabeth`s dissertation(1998) which is creative dance: potentiality for enhancing psychomotor, cognitive, and social-affective functioning in seniors and young children showed that creative dance can enhanc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growth in children and frail adults. Moreover, Senft Miller, Erick Dietlinde(1999) explored children`s creative dance through the lens of play. This study contributed to reveal the inside view of how teachers understood and negotiated their roles in building and guiding the creative dance class experience. This study identifies how creative dance classes are taught and what teaching procedures are used in creative danc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also focuses on how a dance performance is created by children and how to introduce creative processes to children in their local commun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reative dance, this study presents the format of a creative dance class and the structure of outreach dance programs by in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reative dance teachers teach children in a formalized format using creative dance activities, and lead children in creating a dance performance. Moreover, to enhance creative processes, outreach dance programs can be execut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김천흥 창작무용극《처용랑》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사료분석

        신상미 ( Sang Mi Shin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1909∼2007) 선생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사료를 분석함으로써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처용랑》에 관련된 사료분석을 시도했으며, 분석대상은 국립예술자료원, 국립국악원, 한국춤문화자료원 등에 분류되어 소장되어 있는 문헌자료, 프로그램, 무보 및 대본, 포스터 및 전단, 신문 및 잡지기사, 영상 및 음악, 의상 및 소품, 사진, 서신 등이며, 구술사료는 국립예술자료원의 채록관과 국악음반박물관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는 김천흥 선생의 구술자료와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학연화대무> 보유자인 이흥구 선생의 구술자료를 활용했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처용랑》은 극적인 줄거리, 춤, 음악, 창사 등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담은 무용극의 조건을 갖추었다. 춤은 한국의 전통 설화, 궁중정재, 민속무용 등 전통에 근거해 새롭게 창작 되었으며, 음악은 춤의 종류와 무대구성 그리고 춤의 전개에 맞게 창작되었다. 또한 처용의 애타는 마음을 담은 창사를 읊는 부분이 삽입되었다. 둘째, 무용극의 줄거리는 등장인물의 배역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되었으며, 각 배역은 처용설화의 내용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헌강왕은 망해사를 지어 불공을 드리며 동해 바다에 사는 용왕의 화를 달래고 나라의 태평성대를 표현했다. 용과 용자들은 기뻐 춤을 추고, 신라에 남은 처용은 역신과 아내의 간통을 용서하며 대인임을 표현했다. 셋째, 배역에 따른 여러 종류의 춤과 무대의 구성을 새롭게 창작했다. 궁중정재 <무애무> 재현을 비롯해 <용의 춤>, <용자의 춤>, <역신의 춤>, <처용처의 춤>, <처용의 춤>을 창작했으며, 불교작법의 전통적 요소를 무용극에 도입했다. 넷째, 음악은 새롭게 창작되었으며, 30여명의 아악사들이 실제 무용극 공연에서 삼현육각의 대합주로 연주했다. 다섯째, 무대장치와 조명은 사실적으로 꾸며 무용극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여섯째, 의상과 소품은 신라시대의 의복을 근거로 새롭게 제작했으며, 전통적인 소도구를 사용해 배역의 특징과 무대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김천흥 선생 타계 후 그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사료분석으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김천흥 선생이 가진 조선의 예악사상과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보여준 것으로서, 그의 춤 경험과 신무용의 붐에서 비롯된 창작현상 및 전통춤의 대중화를 위한 창작 정신을 보여준 데에 의미가 있다. 이는 전통에 근거 한 창작세계의 면모와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미래 한국춤 창작의 한 틀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istorical data and to lay a foundation for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reative dance drama Cheoyongrang created by Kim Chun Heung, one of the Korean human cultural assets. Historical data reviewed including books, programs, dance notations, scripts, posters, flyers, newspapers, magazines, videos, music, costumes, props, pictures, letters and oral statements made by Kim Chun Heung and his assistant Lee Hung Ku, also a Korean human cultural asse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heoyongrang satisfies all the factors of total theatre art assimilating art, dance, music, lyrics and dramatic story. Second, the story appropriately expresses the role of the characters and each part succeeds in theatrically embodying the Choyong fable. Third, the work has many different original dance routines and stage compositions highlighting each role. Fourth, it contains original music scores performed live during the performance with a live ensemble of 30 musicians. Fifth, realistic stage settings and lightings effectively illustrate the story of the dance drama. Sixth, based on the attire during the Shila era new stage costumes and props were created, using traditional props that adequately exhibit the role`s personality and stage scene.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Cheoyongrang, Kim Chun Heung`s first original dance drama and to provide historical data for futur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efforts since his demise. Also Cheoyongrang is reflective of Chosun`s Ye-ak Thought, characteristics of total theatre art that include dance, music, lyrics and dramatic story. The work`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embodies not only his dancing experience, but also the phenomenon that came about along with the boom of New Dance, coupled with the spirit of creative work materialized through his efforts for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dance. Such efforts will provide a basi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reation of works based on traditional sources and also a foundation for future original dance productions in Korea.

      • KCI등재

        무속모티프를 활용한 무용시극(詩劇) 창작방법 시론(試論)

        임수경 ( Lim Sukyung ),김선정 ( Kim Sunj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9 No.-

        본 연구는 시와 무용의 융합형태로 무용시극의 창작과정 및 실재를 분석·정리하여 융합예술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융합적 사고가 활발한 21세기 현대사회에서 기존의 예술장르는 새로운 형태로의 융합 및 발전을 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현대예술은 디지털매체와 접목되면서 탈장르화와 함께 대중문화로의 확대를 통해 기존 예술 향유계층의 확장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때 예술장르간의 `소통과 통합`은 융합과 재창조를 이끌어내면서 영역의 확장을 도모할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의 세계화를 위한 한국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창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무속모티프를 활용한 무용시극에 집중했다. 2장에서는 무속모티프가 가지고 있는 원형과 제의의 통합적 논의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3장에서는 융합예술의 한 장르인 전통극 `꼭두각시놀음`의 상징이미지와 민간제의인 `씻김굿`의 스토리 구조, 그리고 현대시를 통해 유형화한 진혼의 인물을 도출해 냈다. 제시한 융합창작방법의 시론을 검증하기 위해 4장에서는 창작무용시극인 <꼭두각시놀음> 실재를 분석했다. 기존에 무용시 혹은 시무용에서 시(text)가 무용대본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본 무용시극에서의 시(text)는 에필로그의 독무(獨舞)와 함께 무대배경에 상영되면서 대본[text]만의 한계에서 벗어났다는 연구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무용시극이 가지는 장르적 한계를 넘어서는 시도 또는 무용(안무)가와 시인과의 타협점에 대한 재정립, 시와 안무의 선후문제 등이 융합창작에 대한 이론을 정립함에 있어서 함께 고려된다면, 무용시극이 갖는 융합예술의 추상적인 연계성에 보다 체계적인 논리성이 첨부되리라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시무용` 혹은 `무용시`라는 용어가 `무용시극`처럼 창작자들의 소통과 융합에 초점을 맞춘 융합창작의 장르화로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처럼 융합예술장르에 대한 예술가(창작자)들의 적극적인 시도와 창작과정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궁극적으로는 현대예술영역의 확장을 이루어내는 데 본 연구가 교량적 위치를 담당하길 바란다. Traditional art genres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as new types in a 21st century that is already accustomed to diversity. In particular, modern art was grafted to digital media to escape the negativ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class to enjoy something through an expansion into popular culture with de genre. As a result, the art world was able to determine how to promote this expansion, leading to a fusion and reinven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genres. Recently, the attempt to develop a research-intensive genre has been progressing by grafting arts genres, differentiated under a paradigm called “The same starting point,”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graf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to dance creation and performance in a fusion of literature and dance. This fus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the two genres. One is poetic dance, with the poetry-dance concept expressing poetic nature through dance, while the other is the dance scenario poem, with the dance-poem concept focusing on performing arts. Though the two concepts are not independent art genres, from the viewpoint of fusion and re-creation, they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how they individualize dance`s deep poetic soul and poetry`s dynamic sym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reative methods for poetic dance drama, with the essay focusing on creative process methods for three dance poems using a typed person with repose of souls through the symbolic images of Kokdugaksi Norum, which is a traditional drama, in convergence with the plot of ssitgimguk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a dead person`s soul), which is a folk ritual of sacrifice, and modern poetry. In Chapter 1, for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poetic dance drama, the prior research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dance will ber reviewed, while Chapter 2 will premise the creation of poetic dance drama, analyzing the story and character structure of “Lemuralia” in order to apply in earn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 ritual of sacrifice and original art to creative activities. In Chapter 3, the essay will explore creative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poetic dance drama. It aims to expand the arts in modern society by encompassing an emotional re-convergence with different arts genres from traditional society. In order to complete the poetic dance drama, Kokdugaksi Norum, conduct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summarizes the creative methods of poetic dance drama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is a mix between arts genres that borrow from Korean culture. The second coordinates poetic creation and the language arts within a process for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symbolic and dynamic movements of dance, body arts in terms of recognizing performing arts. The third fuses poetry with dance in combination with dynamic images to recognize the poetic soul and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inherent in communication, individuality, and the convergence of arts genres in terms of creating community awareness that can be interpreted as an object of symbolic meaning.

      • KCI등재

        초등무용교육을 위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모티프이론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미현 ( Mi Hyun Chun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초등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무용창작 방법론인 모티프이론을 적용, 초등무용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문적인 무용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A교육대학교의 2학년에 재학중인 34명의 학생들(수학교육과 30명, 과학교육과 4명/ 남자 9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7차시(1차시 110분)의 모티프이론을 활용한 창작무용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내용은 움직임 개념들을 탐색하는 5차시의 이론 및 실기수업과 자유창작발표, 주어진 모티프무보를 바탕으로 한 창작발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저널, 작품발표 및 프로그램, 그리고 설문지를 바탕으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용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던 수학교육과나 과학교육과 학생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티프이론을 통한 무용창작에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었다. 둘째, 교대생들에게 액션과 정지로 구성된 모티프 무보는 무용실행을 위한 기본적인 리듬감과 박자감각을 키울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대학생들은 모티프이론을 통해 움직임을 기록하고 분석하며, 동일한 무보에서 다양한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모티프 이론을 통한 창작 수업은 학생들에게 합의된 용어들, 예를 들어, 돌기, 붙기, 들기 등의 움직임 개념들을 가지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 상호간의 유대감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모티프이론은 움직임 혹은 무용에 대한 편견 또는 관심이 없었던 교대학생들에게 움직임에 대한 흥미, 자신감, 성취감 등을 키워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티프 이론은 교대학생들에게 무용창작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인 무용창작 방법론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래의 초등학교 교사들인 교대학생들에게 무용창작 및 무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차후 초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무용창작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무용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티프이론이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정 중 정규 수업내용의 하나로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otif Theory for movement expression. The researcher introduced Motif Theory to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analyzed the students` journals, performance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In this research, we find that Motif Theory is very helpful for students to observe various movements, such as turning, touching, and jumping. Moreover, it turns out that Motif Theory is very effective in providing communications for creative choregrap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if Theory is a good candidate for a regular subject in the university of element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