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동요제 수상곡의 양상 분석 연구

        박영신,문현진,승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Looking back at the 100-year history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he ‘Children's Song Festival’ proves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ong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ll Children's Song Festival winning song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change.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ose winning songs published in music textbooks. Methods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s and research study methods, and analyzed Children's Song Festival winning songs in music textbooks. These songs were those that were included in 3~6 grad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fifth curriculum period (1987~1991) until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meaning all winning songs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since the first Children's Song Festival of 1983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n analysis on ‘Children's Creative Song Festival Winning Songs and Number of Songs’ shows that out of the total 96 winning songs, the majority of winning songs were from the MBC Children's Song Festival - a total of 69 songs (71.9%). Second, upon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Festival Winning Songs were Publish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increased as the curriculum changed and as textbooks went up to an older grade level. The textbook publisher ‘Genius Education’ had the most winning songs within their textbooks - a total of 43 times (15.8%) were winning songs published. Third, after analyzing the ‘Name and Number of Overlapping Winning Song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51 overlapping songs, the song that was published multiple times in music textbooks was <On a Train Ride> from the 1st KBS Children's Song Festival - a total of 13 times. The songs <Island Village> and <Walking in the Woods> were published 11 & 10 times respectively - both songs were from the 4th MBC Children's Song Festival. Songs that are continuously included in music textbooks are <On a Train Ride> and <Walking in the Woods>. Conclusions The act of singing creative children songs gives children hope, courage, the chance to dream, and holds an educational meaning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Thus, continuing discovery and supply of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of great significance. Since Children's Song Festivals, which has played a huge rol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no longer as common as before, a new developing method that fits current society criteria must be sought out. 목적 창작동요 1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볼 때, ‘창작동요제’는 창작동요의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그동안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창작동요제 수상곡들을 조사하여 교육과정기별로 음악교과서에실린 수상곡들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1983년 창작동요제가 시작된 이후 제5차 교육과정기(1987~ 1991)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동요제 수상곡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창작동요제 수상 악곡 명 및 악곡 수’ 분석 결과, 96곡의 수상곡 중에서 MBC 창작동요제의 수상곡이 69곡(71.9%)으로가장 많았고, 둘째, ‘창작동요제 수상곡 수록 횟수’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상곡 수록 횟수는 증가하였는데 이중 ‘천재교육’이 43회(15.8%)로 가장 많았다. 셋째, ‘중복 수록된 창작동요제 수상 곡명 및 횟수’ 분석 결과, 중복 수록곡은 51 악곡으로 KBS 창작동요대회 1회 수상곡인 <기차를 타고>가 13회로 가장 많았고, MBC 창작동요제 4회 수상곡인 <섬마을>이 11 회, <숲속을 걸어요>가 10회 순으로 나타났다. 5차례 교육과정기의 음악 교과서에 지속적으로 수록된 악곡은 <기차를 타고>와 <숲속을 걸어요>이다. 결론 창작동요를 부르는 노래 활동은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 용기를 심어주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는 교육적 가치를담고 있어 창작동요의 지속적인 발굴과 보급은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창작동요의 발전에 주요 역할을 했던 창작동요대회들은 이미많이 사라졌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는 이 시대에 적합한 방식으로 창작동요의 발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제재곡으로서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국악동요의 적합성 분석과 개선 방향

        김아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contained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and to suggest the criteria for selecting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tha can be used as song materials and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meaning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put together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refer to music pieces composed using Korean musical grammar, including cadence, constituent notes, sigimsae, melodic progressions, jangdan, and forms, featuring lyrics that reflect Koreans’ universal emotions and contemporary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the ver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Seco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was analyz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Third, criteria for selecting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as song materials and examples of lea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song materials,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should, first, adhere to the rules of the ver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while addressing themes of both tradition and contemporary culture. Second, They should be composed in a variety of Korean musical grammar so that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can be naturally taught. Third, they should be created and organized in a standardized and accurate notation system. There are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facilitate a natural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al grammar: 1.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guide Korean music elements 2. learning activities that have made various attempts centered on Korean music grammar 3. learning activities that integrate music learning with everyday life experiences. By including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that meet the criteria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usic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play a pivotal role in enabling elementary students to enjoyably learn Korean music. Ultimately,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naturally and joyfully engage with Korean music. 본 연구는 현행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국악동요의 내용을 분석하고, 제재곡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작국악동요 선정기준과 학습 활동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창작국악동요의 의미와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창작국악동요는 우리 시가의 율격에 따라 우리의 보편적인 정서와 현대 문화를 반영한 노랫말에 종지, 구성음, 시김새, 가락 진행, 장단, 형식 등 우리 음악 어법으로 작곡한 곡을 의미한다. 둘째, 현행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국악동요를 앞서 정리한 창작국악동요의 특징에 따라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제재곡으로서 창작국악동요의 선정기준과 학습 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재곡으로서 창작국악동요는 첫째, 우리 시가의 율격에 맞게 전통과 현대 문화를 주제로 작사한 곡이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우리 음악 어법으로 창작하여 국악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지도할 수 있는 곡이어야 한다. 셋째, 표준화되고 정확한 기보 체제로 창작ㆍ정리된 곡이어야 한다. 우리 음악 어법을 자연스럽게 익히는 학습 활동에는 첫째, 국악 요소를 지도할 수 있는 학습 활동, 둘째, 국악 어법 중심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 학습 활동, 셋째, 생활 연계 학습 활동이 있다. 기준에 부합하는 창작국악동요가 2022 개정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됨으로써 초등학생들에게 국악을 즐겁게 익힐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국악을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입상곡 악곡분석

        정선영(Jung Sun-Young),김영연(Kim Young-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입상곡의 악곡을 분석하는 것이다. 창작동요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창작곡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시작되었으므로 창작동요제의 초기 입상곡은 대부분 가락이나 리듬이 유아동요에 비해 복잡했고 그로 인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도 그다지 활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부 창작동요제 입상곡이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애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활용의 이면을 보면 일부 유아교사들은 창작동요제 입상곡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아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선입견과 함께 유아동요에 비하여 반주가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 수업에서는 교사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유아의 음악성 발달이나 동요의 음악적 특징과는 무관하게 창작동요제 입상곡 자체가 유아의 노래 지도에 적합하지 않다는 편견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입상곡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악곡 분석 연구를 통하여 이 곡들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비추어 유아의 노래 지도에 활용 가능한 지를 알아보았다. 악곡 분석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일부 입상곡은 유아의 노래 부르기 지도에 활용 적합한 음악적 특징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songs from the children's song writers competition, which would be us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50 preschool teachers and 50 daycare teachers in B city, where they taught three to five years old children. They provided a list of children's songs which were utilized in the early childhood institutes. Top nineteen children's songs were selected as their favorites in the teaching settings of children, and then each song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like song length, complexity of tune, rhythm, piano accompaniment and theme of the song texts. From the data, it was found that eighteen out of nineteen songs are the major scale, seventeen of 4/4 meter, and eight of vocal range of c′ to d″, the typical song length was 24 measures of quasi fast tempo, and syncopation and triples are common. Ascending melodic line with sixth intervals are frequent while mp, mf, f are commonly shown dynamics with polka accompaniment. Major song topics are ‘Hope and dream’ and ‘Nature’ as well.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musical features but vocal range of the selected children's songs were recommendable for the future use of young children both in preschool and daycare cente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요의 운동적 의미와 장르적 특성 고찰

        강혜인 한국음악사학회 2007 한국음악사학보 Vol.39 No.-

        Any study on original children’s songs must be based on understanding its early development with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original children’s songs, its early founders including Pang Chŏng-hwan 方定煥 and Yun Kŭg-yŏng 尹克榮, have attempted to nurture the hearts of ‘children,’ understood as a modern and precious concept in the Korean society. Since a song for children tends to be simple in terms of words and melodies, it can deliver a message very clearly and effectively. Su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have made it a very useful tool for carrying messages of ethnic liberation and public enlightenment. Children’s song m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ing influenced by a variety of contemporary discourses centering on the issue of children, have been continuously created and transmitted along various social networks. Therefore, composing a children’s song was more than just for ‘singing,’ but took the role of expanding the song into a ‘song movement.’ Within such historical background, original children’s songs have continuously shap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of Korea and have formed the basis for today’s original children’s songs seen as a musical genre. However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unique to most original children’s songs. Since producers of the songs, as creative subjects, are adults, communication is one-sided and the musical idiom and form are stylized, using the basic lyrical form of Western music. In other words, attempts to compose music more freely, using a variety of musical expressions which reflect the words and meaning of the text as well as children’s bodily movements, have not yet been made. The scope of present paper is limited to originally created children’s songs. However, more researches and a change of perspective on children’s songs and children in general are needed for teaching and composting future children’s songs in Korea. 창작동요에 대한 이해는 초기의 발생과정을 역사, 문화적 상황 속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초창기 동요운동을 일으킨 방정환과 윤극영 등은 동요를 통하여 근대에 새롭게 발견된 소중한 존재인 ‘어린이’의 동심을 지키고 키우고자 하였다. 동요는 가사와 선율이 단순하고 명료하기 때문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강렬하고도 선명히 전해 준다. 동요의 이러한 특성은 민족해방과 계몽운동에서 요긴하게 활용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요운동은 아동이라는 존재를 중심으로 그 시대의 다양한 담론의 영향을 받으면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전파된 것이다. 따라서 창작동요는 당연히 ‘부르기’의 차원이 아닌 ‘동요운동’으로 운동적 차원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 창작동요는 한국 동요의 성격을 지속적으로 규정하여 오늘날 창작동요의 장르적 특성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몇 가지 창작동요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동요 생산자인 창작 주체가 성인으로 고착되고, 소통에 있어서 일방성이 있으며, 음악어법에 있어서도 일찍이 서양의 기본적 가요형식에 고착되어 아동 신체의 움직임과 밀착된, 노랫말의 언어와 표현에 충실한 다양한 음악적 표현방식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작업들이 시도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것은 창작동요에 한정된 것이며, 미래의 한국 동요교육과 동요창작을 위해서는 동요 및 아동성에 대한 보다 다양한 인식의 변화와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창작동요와 전래동요의 영향관계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박혜숙(Park, Hye-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근ㆍ현대 아동문학사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창작동요와 전래동요의 영향관계를 밝혀 1920년대 창작동요에 나타난 전통 수용 양상을 밝히는 데 그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성인문단에서 민요의 영향을 받아 민요시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것처럼 창작동요 또한 1920년대 초 발생 당시 전래동요의 형식 및 내용을 적극 수용한다. 전래동요가 갖고 있는 집단성과 구전성에서 창작동요는 개인의 서정을 노래하며 본격적인 기록문학으로 성장하게 된다. 당시 신문이나 잡지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민요 및 전래동요를 모집한다. 특히나 《동아일보》의 경우 1923년 8월부터 당해 12월까지 ‘지방동요란’과 ‘소년소녀란’을 통해 전래동요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1923년에 창간한 《어린이》와 《신소년》 또한 초창기 문학적 기반이 취약했던 상황 속에서 전래동요를 통해 동요에 대한 정의 및 기법 등을 소개하며 소년문예사들로 하여금 잡지의 참여 주체로 부상시킨다. 그리고 잡지별 차이는 보이지만, 가령 7ㆍ5조가 주가 되었던 《어린이》와 전통 가락인 4ㆍ4조의 리듬을 중시했던 《신소년》은 나름 전래동요의 양식을 수용한다. 1925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전래동요와 창작동요가 형식이나 내용상 혼란을 보이지만 이후 다양한 동요 작법 소개와 기성문단 및 소년문예사들의 참여로 본격적인 아동의 예술성을 노래하는 창작동요로서 자리를 잡아간다. 한편 창작동요는 전래동요의 형식, 수사, 내용 등 다양한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먼저 형식상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순아순아 가막순아”처럼 4ㆍ4조의 음수율과 2음보의 형태이다. 그리고 전래동요의 반복과 병렬구조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 중 “바람바람 겨울바람”처럼 ‘AAXA’ 형태를 가장 많이 취하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술래잡기, 달맞이, 별따기, 그네타기 등 놀이요가 많았다. 그리고 주술동요와 자장요도 있었다. 기타 새쫓기요, 수요數謠, 감상요感傷謠 등 전래동요에서 볼 수 있었던 다양한 내용들이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1920년대 창작동요는 우리의 전통의식을 바탕으로 탄생했으며, 이는 당시 나라 잃은 시기 글쓰기 주체로 부상하여 살아가던 아동들에게 시대의 아픔을 끌어안는 문학으로서의 기능 외 민족의식을 자각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veil tradition acceptance patterns in creative children’s songs during the 1920s by unveiling the influence of creative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hich haven’t been able to draw much attention in studies on modern contemporary and modern children’s literature. As the Renaissance of ballad poems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folk songs in adult literary world, creative children’s songs also aggressively adopted the form and content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early 1920s. In terms of the collectivism and oral trad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children’s songs sang personal emotions and grew into documentary literature. At that time,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ers collected folk songs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cattered across the nation in order to inherit traditional culture. In particular, 《DongaIlbo》 intensively cover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rough ‘Local Children’s Song’ and ‘Boys & Girls’ columns from August to December, 1923. In addition, 《Eorini》 and 《Sinsonyeon》 which were first published in 1923 introduced the definition and techniques of children’s song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despite poor literary infrastructure and made juvenile writers play a leading role in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magazine, 《Eorini》 with 7ㆍ5 rhyme and 《Sinsonyeon》 with traditional 4ㆍ4 rhyme accepted the pattern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re was some confusion in the form or contents in both creative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ntil the mid 1925. With the introduction of diverse children’s song composition methods and participation of existing literary circles and juvenile writers, however, it evolved into creative children’s songs which sing children’s artistic values. Creative children’s songs actively accepted the diverse pattern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uch as form, figure of speech and contents. In particular, they revealed a 4ㆍ4 syllabic meter and 2 feet just like ‘Suna-Suna, Gamak-Suna.’ Among the diverse patterns which are found in the repetition and parallel structur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 ‘AAXA’ form just like ‘Baram-Baram, Gyeoul-Baram’ was most common. In terms of contents, there were many play songs such as Sullaejapgi (hide-and-seek), Dalmaji (greeting the moon), Byeolttagi and Geunetagi (swing riding). In addition, ritual children’s songs and nursery songs were found. Furthermore, many other contents from traditional children’s songs (ex : Scarecrow Song, Numeral Song, Sentimental Song, etc.) were accepted. As described above, creative children’s songs in the 1920s were born based on traditional consciousness. They functioned as literature which eased the sorrow and pain of the time for children who emerged as leading writers during the tragic period and were used as a tool to recognize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제주어 창작동요의 노랫말 분석과 제주어 보존

        강스텔라(Kang Stell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UNESCO에서 제기하고 있는 소멸 하는 언어의 보존을 위해 제주어 창작동요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114곡의 창작동요를 통해, 제주어 창작동요를 확인하고, 주제별로 분류하고,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고, 제주어 창작동요의 한 면인 국악 창작동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결과 첫째, 총 114곡의 제주어 창작동요를 추출하였고, 제목이 제주어인 창작동요는 96곡이다. 둘째, 주제별로 보면, 자연환경 관련이 38곡, 제주 문화와 생활양식 관련은 각 21곡, 19곡이다. 놀이와 관련된 곡은 14곡, 학교와 관련하여 7곡, 제주어 관련은 10곡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빈도 단어로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할머니이다. 자연과 동요의 밝음과 어울림을 표현하는 단어, 놀이와 관련한 표현이 있다. 넷째, 제주어 창작동요 작사가는 총 52명이고, 국악 창작동요는 16곡이 제시되었다.결론 다양한 제주어가 창작동요를 통해 불리며, 초등 음악교육을 통한 제주어 보존의 긍정성을 확인하고, 제주어 사용의 다양성을 위한 제주어 창작 동요의 보급 및 활용으로, 향후 제주어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to preserve the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proposed by UNESCO Methods Through a total of 114 Creative Children s song, We identified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categorized by subject, analyzed frequent words, and investigated and One aspect of Jeju Creative Children s songs, investigated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ongs. Results In conclusion, first, a total of 114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were extracted, and the Jeju-language titled Children s songs were 96. Second, by them, there are 38 thematic song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21 songs and 19 songs for Jeju culture and lifestyle, respectively. It was classified into 14 songs related to play, 7 songs related to school, and 10 songs related to Jeju language. Third, mother were the most frequent words, followed bt grandmother, words that express the brightness and harmony of nature and nursery rhymes, and expression related to play. Fourth, a total of 52 lyricists for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and 16 song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lusions As a suggestion, various Jeju-language are sung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s, confirming the affirmation of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through elementary music education, and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nservation of Jeju-language in the future by disseminating and utilizing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for diversity in the use of Jeju-language, I think it will do.

      • KCI등재

        소통 중심의 전래동요 교육 방법 모색 : 재창작(再創作)을 통한 현재적 전승

        임성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아동문학의 한 갈래인 전래동요는 척박한 연구 풍토에 터하고 있다. 고전시가이면서 구비문학의 한 갈래인 민요와의 연결망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어국문학에서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보아 등한시하고, 국어교육학에서는 초등 문학교육의 자장(磁場)에 편입되기는 하나 정치한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업적인 저질 문화나 외래문화 일색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금 여기의 아동문학 문화, 아동 대중문화의 현상에서 판단해 볼 때, 전래동요 교육의 필요성은 적극 부각되어야 할 의무와 책임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전통 문화의 창조와 재창조 및 올바른 전승, 서민적이고 대중적인 자질의 내함(內含) 그리고 아동의 놀이 문화와의 합일점을 고려할 때 전래동요의 문학 교육적 함의는 충분히 고구되어야 할 성질에 해당한다. 연행과 구연을 통해 변주된 텍스트들을 생산하는 전래동요의 특장(特長)을 상기한다면, 재창작의 새로운 길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명맥이 단절되고 있는 전래동요를 건사해 내고 계속해서 전승해 나가고자 하는 목표는 시급히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저와 야우스로 대변되는 독일 수용미학과 연관을 맺고 있는 문학 소통 이론을 참조할 때, 전래동요 창작 교수-학습은 새로운 각편 생산의 의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놀이 문화와 일상적 삶에 일치하는 문학 교육적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동문학 교육의 시각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민속학이 결부되는 간학문적 결합을 통해 점점 고형화되어 가고 있는 전래동요라는 화석을 현동화하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effective method of folk song for children. Actually, literary text have to interaction with reader and listener. Folk song for children must sing in cultural real life and it must be recreated with dynamic shape. Accordingly, combination of old children's song education and literary understanding theory can bring life to old children's song. In these context, this study discuss literary creation education and recent transmission old children's song. And, actual education method display with real case of literary instruction. Actual operative power of old children's song enjoyment can recall to life by new traditional creation. Educational reception of it contact with accession and extension of national spirit. It enable of breaking through difficulty of elementary poetic education. Continuously transformation of children's song meet student's reception text production. New reinvention and performance of old children's song have to play in playing space at the literary classroom and children's play. Lastly, we have to crafted analysis of textbook folk song and principle of material 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동요에 바친 한 인생, 정순철 연구

        박영기(Park, Youngg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9

        창가는 일본에서 수입된 일본식 창가에서 비롯되어 1910년대 최남선의 순우리말 창가를 거치면서 창작동요로 변신할 준비를 하였다. 그러다 1920년대에 들어서면 창작동요운동이 펼쳐지고 여러 동요시인들이 창작 동요를 다수 쏟아내면서 동요의 황금시대가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동요의 황금기에서 시급하게 요청되는 것이 창작동요의 가사에 붙일 ‘곡조’를 작곡하는 일이었다. 새로운 곡조가 없다면 완전한 근대식 동요가 탄생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이 때 몇몇 동요 작곡가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곡조’들이 탄생할 수 있었고 동요운동과 동요교육이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었다. 그 중에 활발한 활동을 보였던 인물이 작곡가 정순철이다. 정순철은 천도교 계열의 인맥을 갖고 있던 인사로서 주로「어린이」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작곡뿐만 아니라 동요교육자로서도 활동하였다. 정순철은 천도교 계열의 동덕여학교 음악담당교사로 일하면서 언제나 소파를 도왔다. 소파가 지방으로 구연동화대회를 하러갈 때 동행하기도 하고 개벽사와「어린이」사의 행사 등에 음악을 담당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1929년 개벽사에서 그의 동요곡집「갈닙피리」가 나오면서 이른바 정순철의 전성기가 펼쳐진다. 해방 후에는 윤석중의 가사에 노래를 붙인 졸업식 노래를 작곡하여 크게 이름을 날렸다. 정순철의 작곡으로 우리귀에 익숙한 노래는 윤석중 요「어린이 노래」가 있다. 그리고 그의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졸업식 노래」가 있다. 1920년 동요운동에 뛰어들어서 한국전쟁이 터진 1950년까지 근 30년동안 동요를 위해 한평생을 보냈던 정순철은 전쟁 중에 납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도교의 깊은 영향을 받아서 고결하고 깨끗한 종교적 신념을 가지고 일제 강점기라는 험난한 시기를 살아내었던 정순철은 좋은 우리말 동요에 고운 곡을 붙이는 작업을 통해서 고통의 시간들을 극복해 냈으며, 동요운동 문화운동가로서 치열하게 살았던 인물이었다. During the 1920s, several poets published many children’s song and 1920s became the golden age of children’s song. Therefore, composing melody for these new children’s song became urgent issue. If there were no new melodies, the birth of complete children’s song might be very difficult. Jeong Sun cheol was one of the most active composer of that times He has personal connections with people who believe Cheondogyo and while he was working with Journal “eolini”, he also worked as educator for children’s song. Jeong’s golden age stared after he published “Galipiri”which is his melody for children’s song on “Gaebeoksa” in 1929.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he became famous by composing a melody for the song ‘gradation’ which was written by Yoon Seok Jung. Jeong Sun cheol devoted his life for children’s song for 30 years from 1920 to 1950. And he might be kidnapp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He could endure the hard time of Japanese imperialism by composing melodies of children’s song with his religious persuasion on Cheondogyo. He was one of the most active composer and cultural activist for the children’s song.

      • KCI등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 제재곡 분석

        김은주(Kim E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 제재곡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육에서 창작동요의 가치를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34권에 수록되어 있는 창작동요 제재곡을 추출하여 수집하였다. 먼저 노래의 제목과 노랫말의 내용에 나타난 주제를 분석하여 관점별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교육과정에 따라 창작동요 제재곡의 음악적 특징을 음악 개념과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는 동심 발현의 관점에서 자연친화적 세계관에 해당하는 내용이 많았으며 음악 개념과 요소 분석에서도 각각 창작동요 제재곡의 특징과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향후 음악 교과 교육에서 창작동요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ue of children’s songs in music education and seek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ildren’s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For this purpose, children’s songs in thirty four primary music textbooks of the 2015 ri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collected. First of all, an analysis was made of the themes in the title and lyrics of the songs and arranged them by viewpoint. Nex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in textbooks were analyzed by each music concepts and ele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Many children’s songs in music textbooks corresponded to the nature-friendly worldview in viewpoint of childhood innocence revelation. Also, in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music,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of children’s songs in the music textbooks derived.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reflec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children’s songs i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전환기 윤극영의 창작 동요 연구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5

        본고는 한국 최초의 동요곡집인 『반달』을 소개하고, 작곡집에 수록된 10편의 동요가 지 니고 있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음악적인 측면, 문학적인 측면, 그리고 창작 의도 등을 고려하여 동요 속에서 전통의 단절과 계승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서양식 음악 어법을 따랐음을 알았다. 반면에 창작 의도 와 노랫말을 보면, 전통적인 요소를 계승하는 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단순하 고 소박한 동요의 경우 새로운 것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기존의 것을 계승하는 측면이 더 많았다. 그리고 이를 <반달>, <설날>, <꼬부랑 할머니>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어서 본고에서는 『반달』에 수록된 동요들이 이후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양상을 제시 하였다. 다른 곡들이 대부분 원곡과 동일한 것에 반해 <반달>은 이후 원곡과 달라진 부분 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는 많은 이들이 <반달>을 향유하는 과정에서 좀 더 편하게 자 연스럽게 부를 수 있는 방법으로 변화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동요곡집 『반달』 의 전모가 드러남으로써 우리나라 초창기 창작동요의 위상과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이 본 논문의 성과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