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은현,J. C. Kaufman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measur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various domains of creativity according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measuring both psychological support and creative/intellectual stimulus) and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were administered to 463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about both their current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what they believed to be an important creative home environment.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current home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t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in the high creative home environ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students in the low creative home environment group in the domains of Everyday, Scholarly, Writing and Music, and Artistic creativity. Valuing creative achievement at home was needed to promot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Finally, we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제작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에 따라 영역별 창의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창의적 가정 환경 조성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경남 지역의 4년제 대학교 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와 영역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실시할 때 각 문항에 대한 현재 가정환경의 일치 정도를 묻는 질문 뿐 아니라 응답자가 생각하는 중요성 정도에 대해서도 평가하도록 하여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현재정도와 중요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지지와 창의적/지적 자극 요인을 측정하는 9문항으로 구성된 간편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둘째, 높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가진 학생이 낮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가진 학생보다 일상생활에서의 창의성, 학문적 창의성, 음악/문학에서의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가정에서 자녀의 창의적 성취에 가치를 두는 것이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점들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환경수준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유경훈,강순미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을 포함하는 창의적 환경수준에 따라서 창의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대학의 15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검사와 함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학교환경 검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은 창의적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과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 수준에 따라 창의성의 몇몇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적 학교수준에 따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창의적 가정환경 및 창의적 학교 수준에 따른 차이에 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적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고자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ould exist som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due to external factors(environmental factors) on the basis of undergraduates’ creative home environment including their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he 15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univers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whom some tests for three areas were carried out;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undergraduate creativ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has relevance to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Second, creative home environment has relevance to both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bu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nvironments they are involved in. Fin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ve thinking,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reative personalit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he findings proved there were important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environment and undergraduates’ creativity, and there were also needs for programs to support creative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아동의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

        김경민,임정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integrates perspectives from published literature of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s and implicit theori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nd 40 parents living Seoul. Seventy three children and thirty five parent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five children and five par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bout creativity,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environments and a survey on implicit theories o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it was propos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ould conceptualized with the following general areas: space and time for creative performance, creative activity tools, creative role model, variety of experience, respect and acceptance, encouragement and absence of excessive press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perception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을 통해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과 저해하는 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서울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73명과 부모 35명이 질문조사에 답하였고, 아동 5명과 부모 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은 연구자가 유사한 응답끼리 범주로 묶은 뒤 해당 범주의 응답 빈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 및 선행 연구결과들과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창의적 활동공간 및 시간, 창의적 활동도구, 창의적 롤 모델, 다양한 경험, 존중 및 수용, 다양한 사고 격려, 과도한 억압 부재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라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알려주며, 향후 창의적 가정환경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리더십 간의 상관 연구

        유경훈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among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Total 13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SPSS statistics programs were used in dealing with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e leadership test and creative environment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of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leadership were significant in some sub factors. Secondly, among the variabl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e leadership.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리더십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의 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및 창의적 학교환경 검사, 창의적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 리더십 및 하위요인인 개인리더십, 사회리더십, 문제해결 리더십과도 상관이 있었으며 창의적 학교환경은 사회리더십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 리더십 및 하위요인인 개인리더십, 사회리더십, 문제해결 리더십을 의미있게 설명해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학교환경은 사회리더십을 의미있게 설명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을 위하여 창의적 환경이 의미있는 변인임을 밝혀주었으며 창의적인 환경요인의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신명주,김종우,이상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evaluation of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nd a field test.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portfolio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design model was based on a theory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hich uses creative activities. Second, the post-test was more effective in prompting a pro-environmental attitude compared to the pre-test. Third, the students were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learning, and they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s and participation toward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creative activities for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dicated an ability to promote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and various positive actions. In conclusion,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therefore suggested, as a follow-up activities, that more intensive research related this study be conducted, linking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2학년 1개 학급 28명을 대상으로 20차시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참여 관찰,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및 면담을 통해 정성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발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과정 모형은 1차원을 교육과정 유형, 2차원을 교육과정 접근, 3차원을 교육과정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주제선정 및 교수·학습 지도안 및 활동지를 개발하여 현장교사에 대한 조사 연구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후, 학생들은 정의적 및 행동적 요소를 포함한 환경친화적 태도에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삶과 주변 환경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인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환경친화적 태도를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 할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용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창의적 산출물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ㆍ정의ㆍ환경적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연구

        유경훈(由京薰)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창의적 산출물,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인성과 인지, 정의, 환경적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창의성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을 규명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33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지능, 학업성취, 성취목표동기, 가정환경, 교실환경 검사와 창의적 사고력검사, 창의적 인성검사, 창의적 산출물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 간의 상관은 낮은 편이었으며, 다중지능, 학업성취, 성취목표동기, 가정환경, 교실환경은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검증 결과, 인지, 정의, 환경적 변인들은 창의적 산출물이 나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히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ple-intelligence, knowledge, Goal-oriented motivation and home,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roduct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fluence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8 4th graders, selected for a class of uni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In this study, for children"s creativity,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Kim, 2005), Creative Personality Scale(CPS: Ha, 2001), Essay by subjective assessment(Hennessey & Amabile, 1999) for creative product were used. And for relational variables written instrument collected measures of selected variables including cognitive (Multiple -Intelligence, Academic Achievement), affective (Achievement Goals Motivation) and environmental(home support, classroom environment)variables was also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 14.0 and AMOS 7.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multiple-intelligence, academic-achievement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cond, environmental variable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e product. Third,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directly affect children"s creative product. Fourth, multiple-intelligence, academic-achievement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e product.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창의적 수업환경과 창의성

        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3

        본 연구는 창의적 수업환경과 영역별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한국과 미국의 창의적 수업환경을 비교하고 보완할 점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경남 지역의 4년제 대학교 학생 1174명과 미국의 주립대학교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와 영역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적 환경과 영역별 창의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높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이 낮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보다 모든 영역의 창의성(일상생활에서의 창의성, 학문적 창의성, 음악/문학에서의 창의성, 기계/과학 창의성, 예술적 창의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미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좋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미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영역별 창의성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한국에서 수업환경에 대한 요구는 “일반적이지 않은 질문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해주는 선생님이 있는”과 같은 교수의 태도 및 심리적인 요구가 높았으나 미국에서는 이에 대한 요구는 후순위였고 그보다 “수업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과 ,“토론 위주로 수업하는” 등 실생활적인 요구가 한국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이 창의적 수업환경 조성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 할 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ors attitude & psychological factor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related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and domain specific creativity; to compare creative class environment in Korea and U.S.A.,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measures following the research.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surveyed 1174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city, Gyeongi, Chungnam and Gyeongnam provinces in Korea and 551 state university students in California, the United States. We asked the questionnaires about creative class environment and ran the domain specific creativity test.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environment and domain specific creativity. Second, the students with high creative class environment displayed higher scores at all areas of the domain-specific creativity (Self/Everyday, Scholarly, Writing/Music Performance, Mechanical/Scientific and Artistic) than the students with low creative class environment. Third, American students had a better creative class environment compared to the Korean students. Fourth, American students demonstrated superior ability in domain-specific creativity compared with the Korean students. Fifth, the need for the class environment in Korea is high on professors attitude & psychological needs ( having a professor who gives positive response even when a student asks uncommon questions ); while the need for it was low in the U.S.. Instead, the high priority rested on real practical needs ( a class that gives practical help in everyday life and a class that focuses on discussion ) in the U.S. than Korea. With these results in mind, this research discuses how to develop creative class environment i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에 기반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주,김효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ological art classes designed according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P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cusing on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lement this, ecological art classes are designed based on CPS Model and proposed as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ecological art classes delivered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 'To express your future residence based on your imagination' was newly devised to verify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ecological art classes. Extensive lecture notes and detailed guidance are designed lecture by lecture, and overall purpose and evaluation schemes are also outlined. Third, this scheme was implemented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or fourteen 2nd-grade students throughout six classes. Also,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examination developed by the MI research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rth,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through the use of a statistics program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and conducted the t-test to see the relevance between ecological art class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fter the class treat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alyzed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rt classes, the study was wrapped up with discussion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conclusion,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overall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nd its sub-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PS model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ecological art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을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계획 단계에서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CPS) 모형 및 초등학교 환경 미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생태적 환경 미술 수업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를 검증할 ‘미래의 거주지 상상하여 표현해보기’ 수업을 개발한다. 총괄 교수학습 지도안과 세부지도안을 차시별로 작성하며, 학습 목표,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한다. 셋째, 연구의 실행 단계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2학년 14명을 대상으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 6차시를 실행한 후 서울대 심리연구실 MI연구팀이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다. 넷째, 연구의 분석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WIN 통계 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고 본 수업의 유의미성을 파악한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다섯째, 연구의 결론 단계는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의 수업 결과를 토대 로 논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창의적 문제해결 (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태적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전체 영역과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창의적 가정환경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압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아름,김소연,정정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19 사고개발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pressure in relation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o creative personality. 314 elementary school students(4th, 5th and 6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using SPSS 23.0, we performed a series of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and sixth graders had significant higher peer pressure than the other groups. Creative home environment, creative personality, and peer pressure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peer pressur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slope tests showed peer pressure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is means that even if the conditions for a creative home environment are similar, the creative personality can be higher in a group with less peer press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not only would the home environment be creatively prepared for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but also t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reduce peer pressure.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창의적 가정환경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압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31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인성, 또래압력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학생과 6학년의 또래압력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인성, 또래압력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래압력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적 인성에서 모두 부적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조절회귀분석의 결과 또래압력은 창의적 가정환경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의 단순기울기 검증결과 또래압력의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적 가정환경이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것은 창의적 가정환경의 조건이 비슷하더라도 또래압력이 적은 집단에서 창의적 인성이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위해 가정환경을 창의적으로 마련할 뿐만 아니라, 또래압력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내 창의적 교육환경 연구 동향 분석

        박가영(Park, Ga Young),이정민(Lee, Jeongmi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진행된 초중고 대상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데이터베이스(RISS)를 대상으로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대상 ‘초중고’, ‘창의적인 교육환경’을 중심어로 1차 검색을 하고, 창의적인 교육환경과 관련된 논문 중 학위 논문, 특정 교과와 관련된 논문을 제외하여 2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최종 선정된 42개의 논문을 연도별, 학술지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 측정변인별, 측정도구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는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이 모두 연구되었으나, 또래환경이나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 학교급별로는 초등, 중등, 고등 순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측정변인 분석에서 독립변인으로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적 학교환경’이 가장 많이 분석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창의성’이 가장 많았다. 측정도구는 특정한 동향이 보이지 않고, 연구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고 대상 국내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 및 환경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f the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all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The primary 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reative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the dissertation and articles with the specific subject were exclu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2015. Both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have been studied, bu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about peer and physical environments.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ost frequently in elementary school followed b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respective order. Thir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t most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were chosen most frequentl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was chosen most frequently as the dependent variable. Fourth, no specific measurement tool trends were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