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이우정,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에 창의적 체험 활동을 하는 과학 동아리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과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교수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과외 활동인 창의적 체험 활동 동아리의 중학교 3학년 학생 30명에게 두 학기 동안에 총 6개 주제를 경험하게 하였다. 그리고 한 주제는 3차시 분량으로 STEAM 지향적이고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충분히 경험하게 하면서 동시에 탐구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본 연구에서개발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지향 탐구 교수 전략을 총 18차시에 걸쳐서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 처치가 모두 끝난 후에, 정규 학교 과학 수업만 받은 비교 집단의 학생에 비해 일 년 동안에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지향 탐구 수업 전략을 경험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로는 유창성과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융통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그리고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문제 해결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로는 문제 인식 능력, 가설설정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이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design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reinforced and STEAM-oriented teaching strateg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e-thinking and critical-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This science teaching strategy was applied to 30 third yea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d on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during two semesters through an intervention study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p <.05);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sub-elements of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both fluency and original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 (p <.05). The experimental students, however,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flexibility (p >.05). In thei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did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inquiry thinking skills (p <.05). Finally, the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 (p <.05)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sub-elements of their inquiry thinking skills: recognition of problems, making hypothese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박성익(Seong Ik Park),유경훈(Kyoung Hoon Lew)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 아울러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해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군집분석을 통하여 4분법적 성취목표 동기구조 하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나타내는 6가지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4학년 73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창의적 사고력 및 그 하위요인들은 숙달접근동기와 독창성, 추상성, 창의적 사고력 평균과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인성은 수행접근 동기, 숙달접근 동기와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창의적 인성 평균과 그 하위요인인 독립심, 모험심과 수행회피, 숙달회피동기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동기유형은 숙달접근 동기유형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구성에 따른 6개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정교성이, 창의적 인성에 있어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TCT)`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738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4.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 (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 (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2)mastery -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3)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ity.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ity than any other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achievement goal motivation on enhanc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will be adapted by the various types of motivation.
가설설정에서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는 활동으로 화학 실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손아영,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일반 화학 실험에서 가설설정 하기를 그럴 듯 한점, 발전시킬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고 쓰게 하는 PPC 질문 기법으로 활동하는 한 학기용 실험 교수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 학기용 총 10개 주제의 실험들을 적용한 후에, 본 실험 교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탐구 기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다(p <.05)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그리고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측면인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또한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인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 <.05), 문제인식능력, 변인통제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변환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 >.05). 이는 대학교 실험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Positives-Possibilities-Concerns’ question activities about making hypothes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PPC’ question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Also,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p>.05). This result may become the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unking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초등 지리수업에서 사고기법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방안
홍기대(Hong Ki-D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창의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자가 제시한 개념을 조사 비교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고 적립하였다. 그리고, 창의력의 본질은 확산적 사고력이고 창의력은 지능과 다르며 창의력은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력은 신장 시킬 수 있다. 창의적 사고 기능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같은 유형이 있다. 창의적 사고력의 기법으로 사고력을 촉진하는 다양한 기법을 지리수업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으로 혼란 찾기, 자료 찾기, 문제 찾기, 아이디어 찾기, 해결책 찾기, 수용 찾기 등이 있는데 이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 모형에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안,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수업 사례,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발문수업 사례와 평가계획을 제시하였다. This model of research is for examining and comparing the concept suggested by the preceding researcher about creative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ity will be improved, based on the theory that creativity is essentially spreading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is far from intelligence and it can be developed. The function of creative thinking contain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so on. Diverse technique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will be utilized properly in elementary geography teaching. Treffinger’s creative model of problem solving, contains Mess Finding, Data Finding, Problem Finding, Idea Finding, Solution Finding, Acceptance Finding and so 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odel lessons which will train creative think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summary, I suggested the proposal of Instruction, the class examples to utilize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 and the class example of an epilogue to train thinking power.
대학 일반 화학 실험의 가설 설정 과정에서 변인 교체와 변인 조합 활동을 강조한 교수 전략의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에서 필요한 잠정적인 가설 설정 활동에 변인을 교체 하거나 변인을 조합하는 활동인 CQ-MHi-SV1-SV2-CV-MHf 모형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합당한 가설을 설정하게 유도하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는 것이다. 개발한한 학기용 총10개의 교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능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p<.05). 그러나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의미하게 향상 되지않은 것으로나타났다(p>.05). 오직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나타났다(p<.05). 그러나 문제 인식 능력, 변인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개발한 가설 설정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teaching strategy of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making hypotheses with the CQ-MHi-SV1-SV2-CV-MHf model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e CQ-MHi-SV1-SV2-CV-MHf model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may become the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thinking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과학적 용어를 나열하고 교체 또는 추가 하는 기법으로 가설 설정 과정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 과정의 가설 설정 활동에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설들을 정교하게 만드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 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았다. 개발한 한 학기용 총 10개의 교 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기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 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 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문제 인식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에 대한 비판 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결론 도출 및 일반화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 개발 한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으로 가설 설정 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 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seeking and substituting or adding scientific terms for developing hypothese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and whether the strategy enhances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is method were presented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p<.05).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s with respect to inquiry thinking skills(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and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forms the basis for the futur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이신동(Lee Shin-Dong),주소영(Joo So-You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를 조사하려는 것이다. 청소년기 이후 학생들의 경우,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간의 관계는 비교적 낮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유아들의 경우, 이런 관계가 성별, 나이, 그리고 검사 타당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그래서 연구자는 만일 피험자들이 아주 어린 유아로 구성되고,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을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타당하게 개발된다면, 이런 사전 연구결과들은 바뀔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연구자는 우선 통합창의성검사(ICT)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이 검사문항은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 영역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4, 5세 유아 1,000명이 전국에서 유층적으로 표집되었고, 이 피험자들에게 통합창의성검사가 실시되었다.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가 전체점수와 각 요인 별 점수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이 연구의 결과가 영재 유아를 판별하기 위한 중요한 몇 가지 함의를 주었으며, 유아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초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choolers. There were research results that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over-teenagers was very low (Hah, 1999). We assumed, however, that this relation for preschoolers would be influenced by sex and age variable and the validation of test. We supposed these prior results would change if subjects were sampled from a much younger stage and testing instruments to measure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We first developed and validated “Integrated Creativity Test (ICT) items” which consisted of two parts -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About 1,000 preschoolers who were 4 to 5 years old, were sampled nationwid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n ICT was administered.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otal scores and each factor.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and age. We believe our results will give some implications to identify gifted children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gifted /talented children.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박정환,유경훈,양수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According to the former studies, there were some studies that showed relationship among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school but the did not draw a consisten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esting the constructive model between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product. For this study, Korea-Integrative Creativity Test (K-ICT) was conducted by 304 sixth graders in 4 elementary schools in Jeju-si, Jeju-do. First,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tested and then an essay on creative products was written and graded. After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s were collected and the constructive model between the variables was verified. As a result, creative thin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person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creative personality did not have any effect on creative product and creative product neither had any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과 학교에서의 학업성적이 어느 정도 상관을 나타내는 연구들도 있으나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에 따른 학업성적 간의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창의적 산물과 학업성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초등학교 남녀 6학년 아동 304명을 대상으로 통합창의성검사(Korea-Integrative Creativity Test)를 실시하여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한 뒤 창의적 산출물로 에세이작성을 실시한 뒤 채점하였으며 학교의 학업성적을 수집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창의적 사고는 창의적 산출물과 학업성적에 정적효과를 보였고, 창의적 인성은 학업성적에 정적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의적 인성이 창의적 산출물에, 창의적 산출물이 학업성적에 의미있는 설명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박미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deep review of the creative thought within the text of th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To accomplish this subject, creative thought, creative thinking proc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basic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and creative problem solve mechanism is reviewed. Regarding the Cognitive psychology,from the associationism, Gestalt psychology, cognitive to the recent studies emphasizing the metaphors, analogies, developmental approaches to creative thought, creative process are studied. In the chapte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theoretical base why creative process is the one method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definition of the scholars for “the problem”itself, recent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process are defined as , first, in art, the problem is the one which is created due to the needs of the creativity but not originally existed, second,it is the circling mechanism to lead to the new creativity from expressing the need and satisfy the conflict of creativeness. And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of art is that the reviewing and criticizing process of art is combination between the simple acceptance mechanism and emotional factor and also with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본 연구는 미술이라는 영역에서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과정,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관련된 이론적 토대로서 인지심리학과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인지심리학에서는 연합이론, 게슈탈트 심리학을 중심으로 은유, 유추 등을 강조하는최근의 인지에 관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의적 사고, 사고과정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에서는 창의적 사고 과정을 창의적 문제 해결 관점으로 보는 이론적 토대와 ‘문제’ 자체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립, 그리고 최근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모델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이라는 영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성을 첫째, 문제 자체의 차이로서 미술에서는 이미기존에 존재하던 문제가 아닌 창조의 욕구라는 필요에 의해 창조된 문제를 다룬다는것과 둘째, 문제 해결의 과정 역시 창조의 갈등을 충족시킴으로써 새로운 창조적 욕구를 이끌어가기 위한 탐색의 과정으로 순환하는 체제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미술에서의창조물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과정은 정서적 측면과 함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이라는 인지적 측면이 함께 작용한다는 점에서 미술 영역의 특수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