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이우정,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에 창의적 체험 활동을 하는 과학 동아리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과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교수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과외 활동인 창의적 체험 활동 동아리의 중학교 3학년 학생 30명에게 두 학기 동안에 총 6개 주제를 경험하게 하였다. 그리고 한 주제는 3차시 분량으로 STEAM 지향적이고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충분히 경험하게 하면서 동시에 탐구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본 연구에서개발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지향 탐구 교수 전략을 총 18차시에 걸쳐서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 처치가 모두 끝난 후에, 정규 학교 과학 수업만 받은 비교 집단의 학생에 비해 일 년 동안에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그리고 STEAM 지향 탐구 수업 전략을 경험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로는 유창성과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융통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그리고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문제 해결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로는 문제 인식 능력, 가설설정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이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design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reinforced and STEAM-oriented teaching strateg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e-thinking and critical-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This science teaching strategy was applied to 30 third yea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d on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during two semesters through an intervention study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p <.05);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sub-elements of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both fluency and original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 (p <.05). The experimental students, however,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flexibility (p >.05). In thei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did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inquiry thinking skills (p <.05). Finally, the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 (p <.05)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sub-elements of their inquiry thinking skills: recognition of problems, making hypothese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박성익(Seong Ik Park),유경훈(Kyoung Hoon Lew)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 아울러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해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군집분석을 통하여 4분법적 성취목표 동기구조 하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나타내는 6가지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4학년 73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창의적 사고력 및 그 하위요인들은 숙달접근동기와 독창성, 추상성, 창의적 사고력 평균과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인성은 수행접근 동기, 숙달접근 동기와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창의적 인성 평균과 그 하위요인인 독립심, 모험심과 수행회피, 숙달회피동기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동기유형은 숙달접근 동기유형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구성에 따른 6개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정교성이, 창의적 인성에 있어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TCT)`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738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4.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 (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 (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2)mastery -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3)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ity.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ity than any other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achievement goal motivation on enhanc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will be adapted by the various types of motivation.

      • KCI등재

        중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른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김청자 ( Chung Ja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중등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취목표 동기유형별로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또한 4분법적인 성취목표 동기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반응이 가장 많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생 492명에게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상관관계, 중다 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성취목표 동기와 창의적 사고력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없었다. 한편 창의적 인성하위요인에서 "유머"만 제외하고 나머지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 합계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숙달 회피 동기는 호기심, 개방성과 상관이 있고, 수행접근 동기는 호기심, 자기 확신, 인내, 유머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수행회피는 부적으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 동기는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 독창성만을 유일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하위요인 유머를 제외하고.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합계를 설명해 주는 요인은 숙달접근 동기로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높은 동기 유형이었다. 수행회피는 자기 확신, 유머, 모험심, 창의적 인성 합계를 부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었으며, 수행 접근 동기는 독립심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성취목표 동기를 6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 점수와 합계 점수는 의미 없는 점수를 나타냈다. 6가지 동기 집단 간의 창의적 인성 합계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점수에서는 상상력과 유머를 제외하고 나머지 6개의 하위인성 점수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TTCT)``,``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492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7.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second, mastery-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third, 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가설설정에서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는 활동으로 화학 실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손아영,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일반 화학 실험에서 가설설정 하기를 그럴 듯 한점, 발전시킬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고 쓰게 하는 PPC 질문 기법으로 활동하는 한 학기용 실험 교수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 학기용 총 10개 주제의 실험들을 적용한 후에, 본 실험 교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탐구 기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다(p <.05)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그리고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측면인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05). 또한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인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 <.05), 문제인식능력, 변인통제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변환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 >.05). 이는 대학교 실험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Positives-Possibilities-Concerns’ question activities about making hypothes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PPC’ question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Also,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p>.05). This result may become the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unking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 KCI등재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I보)

        방담이,박지은,송주연,강순희,Bang, Dam-I,Park, Ji-Eun,Song, Ju-Yeo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2

        발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 신장 모형을 만들고 난 후에 현행 과학 탐구 교수 전략에 함께 사용한 새로운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발산적 사고력이다. 그리고 과학과에서의 문제 해결력은 탐구 능력이며 수렴적 사고인 비판적 사고력이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의한 수업 전략을 사범 대학 학생들에게 1학기 동안 적용하여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인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를 인식하는 기능,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에 있어서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두 번째,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인 탐구 능력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 결론을 도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비판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도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구체적으로 변인 통제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탐구 능력에서 모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유의미하게 신장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actical model on the enhancement of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In this study, the creative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di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narrow sense. In the science field,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is just same as the inquiry thinking skill. Also,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con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new instruction had been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in the class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for the one semester. The first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di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recognition of problems,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and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econ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the skills of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hir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the creative and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rest of all skills exception the skill of control variables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 KCI등재

        초등 지리수업에서 사고기법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방안

        홍기대(Hong Ki-D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창의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자가 제시한 개념을 조사 비교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고 적립하였다. 그리고, 창의력의 본질은 확산적 사고력이고 창의력은 지능과 다르며 창의력은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력은 신장 시킬 수 있다. 창의적 사고 기능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같은 유형이 있다. 창의적 사고력의 기법으로 사고력을 촉진하는 다양한 기법을 지리수업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으로 혼란 찾기, 자료 찾기, 문제 찾기, 아이디어 찾기, 해결책 찾기, 수용 찾기 등이 있는데 이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 모형에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안,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수업 사례,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발문수업 사례와 평가계획을 제시하였다. This model of research is for examining and comparing the concept suggested by the preceding researcher about creative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ity will be improved, based on the theory that creativity is essentially spreading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is far from intelligence and it can be developed. The function of creative thinking contain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so on. Diverse technique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will be utilized properly in elementary geography teaching. Treffinger’s creative model of problem solving, contains Mess Finding, Data Finding, Problem Finding, Idea Finding, Solution Finding, Acceptance Finding and so 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odel lessons which will train creative think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summary, I suggested the proposal of Instruction, the class examples to utilize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 and the class example of an epilogue to train thinking power.

      • KCI등재

        대학 일반 화학 실험의 가설 설정 과정에서 변인 교체와 변인 조합 활동을 강조한 교수 전략의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에서 필요한 잠정적인 가설 설정 활동에 변인을 교체 하거나 변인을 조합하는 활동인 CQ-MHi-SV1-SV2-CV-MHf 모형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합당한 가설을 설정하게 유도하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는 것이다. 개발한한 학기용 총10개의 교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능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p<.05). 그러나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의미하게 향상 되지않은 것으로나타났다(p>.05). 오직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나타났다(p<.05). 그러나 문제 인식 능력, 변인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개발한 가설 설정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teaching strategy of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making hypotheses with the CQ-MHi-SV1-SV2-CV-MHf model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e CQ-MHi-SV1-SV2-CV-MHf model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may become the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thinking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차이

        심명보(Shim MyungBo),이신동(Lee ShinDo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가정환경, 메타인지, 창의적 사고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생 105명과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학생 111명 총 216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검사, 메타인지 검사, TTCT 검사(언어, 도형)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가정환경에서는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에서,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과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가정환경에서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정환경의 모든 하위요인들, 메타인지에서는 영재학생의 학습관리와 도형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이 모든 창의적 사고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가정환경과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하위요인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하위요인은 인지전략 수준과 메타인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고, 가정환경 및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변인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과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e abilities i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It also reveal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on the creative abilities. Subjects included the total 216 students, who are 105 gifted students from the institute of gifted education and 1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asked to take a family background checkup, metacognition test and TTCT test(language and fig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the subfactors in the field of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abilities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showed that all the family background factor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creative abilities.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metaconition and creativity also showed that all the metacognitive factors are meaningfully related to creative abilities except for learning management and figure creativity in the gifted students. Third,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both influence creative abilities. When students’ creativities are influenced by the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s,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 case of metacognition,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cognitive straetegies and, metacognition levels.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ulted by the investigations and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 with subfactor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thinking skills with new program development related with them.

      • KCI등재

        과학적 용어를 나열하고 교체 또는 추가 하는 기법으로 가설 설정 과정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 과정의 가설 설정 활동에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설들을 정교하게 만드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 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았다. 개발한 한 학기용 총 10개의 교 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기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 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 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문제 인식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에 대한 비판 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결론 도출 및 일반화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 개발 한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으로 가설 설정 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 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seeking and substituting or adding scientific terms for developing hypothese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and whether the strategy enhances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is method were presented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p<.05).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s with respect to inquiry thinking skills(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and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forms the basis for the futur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 KCI등재

        문학의 속성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의 교육 방안 연구 : '낯설게하기(defamiliarization)'를 중심으로

        조하연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변화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교육현장에서도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최근의 교육과정은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느냐를 가지고 학생을 평가하던 이전의 틀에서 벗어나 학생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를 얼마나 발달시키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발현시킬 것인가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학습자 중심, 창의적 사고의 신장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사정은 분명히 드러난다. 이에 따르면, 국어과에서는 국어 사용 양상과 내용에 대해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창의적 사고가 무엇인지,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국어교육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라는 영역이 현실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는 것과 달리 그 구체적인 의미를 아직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문학의 속성과 사고력의 문제를 접목하려 했던 최근의 연구물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세계에 대한 주체적 관찰과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학적 활동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력의 과정을 보여줄 뿐 아니라, 그 결과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학의 속성에 기댄 사고력의 계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된 논지로 하고 있다. 이 글 역시 이러한 전제에서 언어활동을 통한 사고력의 증진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렇게 증진된 사고력을 통해 인간의 언어활동을 어떻게 고양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과정의 교육적 설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문학의 속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문학의 익숙한 원리 중의 하나인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동화된 일상으로부터 탈피하여 세계의 이면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일상의 의미를 바탕으로 대상이 가질 수 있는 다른 측면을 발견하는 데 창의적 사고의 핵심이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해 '낯설게 하기'의 형식적 기제들의 활용을 통해 창의적 사고에 도달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엉뚱함'과 '창의성'의 구별이 필요해 지는데, 이는 사회 구성체에 의한 용인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조회가 필요하다는 점을 아울러 지적하였다. Today requires more creativity to the people than the past. In this reason raising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 is very important t o the education today. For example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ability of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the various aspect of the creative thinking. We know that creative thinking is important for current student but we didn't answer the method of teaching. I gave attention to the former studies based on the attribute of literatur : literariness. We know that literature is creative activity of human beings. Because it always requires new inspection of the world with new viewpoint. I aimed at this literariness and thought this creative attribute can be used in the class. In particular I concentrated on the familiar principle of Literature - defamiliarization. I argue that defamiliarization can give student a chance to breaking the automized world and exploring the other side of the object. In doing so, I tried t o reconstruct the meaning of creative thinking and present a new model of creative thinking. But I am afraid this essay is not enough to be used in the class directly. To be used in the class room, this idea need more data for verification. In the followings I will try to give a more elaborat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