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를 중심으로

        이명숙,원상봉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in an effort to map out an action plan for fostering entrepreneurship. Currently, entrepreneurship isn't prevailing in our country, and it's required to step up the recovery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s necessary for our country to become an advanced n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analyze the selected people's needs for curriculum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were implemen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Three different groups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who belonged to different clas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tart-up: founders, prospective founders and non- founder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needs and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As for 15 items about needs for entrepreneurship curriculu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Varimax, and then three factors were selected, which were respectively named strategic education, innovative education and management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s to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the founders and the would-be founders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T03(education for innovation, new products and new markets), and the non- founders gave the most weight to T02(education for new business and new venture business), Second, concerning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erm(curriculum), ANOVA was made to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among the founders, the prospective founders and the non-founder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in needs for the T07(education for the combination of new resources and production). Thir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three factors(strategy, innovation and management), ANOVA was made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founders, the prospective founders and the non-founder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f sustained research efforts ar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of authentic and profess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will serve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reative vocational education culture. Therefore it's very significant to make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현재 침체기에 있는 우리나라 기업가정신의 빠른 회복 및 선진국 진입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상황과 연계하여 기업가정신의 고양․확산을 위한 주요 실천 방안으로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연구주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창업유형(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을 중심으로 각 집단의 기업가정신교육 요구에 대한 커리큘럼과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교육요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이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 기업가정신교육의 새로운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창업유형에 따라 창업자, 예비창업자 그리고 비창업자로 구분하여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 교육커리큘럼 요구에 대한 15개 문항에 대하여 베리멕스(Varimax)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3개의 요인 각각에 대하여 ① 전략교육 ② 혁신교육 ③ 관리교육 등으로 이름을 부여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창업자와 예비창업자는 “혁신/새로운제품/새로운시장을 위한 교육(T03)”, 비창업자는 “새로운사업/새로운벤처를 위한 교육(T02)”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둘째, 교육 커리률럼에 대한 요구의 차이에 있어서는 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를 분산 분석한 결과 “새로운자원의결합/생산을 위한 교육(T07)” 항목이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인(전략/혁신/관리)에 대한 요구의 차이에 있어서는 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를 분산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와 같은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기울인다면, 이는 결국 기업가정신교육의 성장․발전뿐만 아니라 미래의 창조적 직업교육 문화와 연계될 것이므로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의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련 기업 근무경험이 '질 좋은 청년창업'에 미치는 영향 : K벤처스 투자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원미,최수영,Park, Wonmi,Choi, Suyoung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revious work experience on the long-lived venture firm called 'Good Quality startup'. The research explores entrepreneurs of 16 mobile application startups that were invested by the venture capital, 'K-ventures', through the resource-based view.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entrepreneurs had previous experiences of their business domain. They accumulated human resources such as technology capabilities, knowledge of domain, know-how, networking through learning-by-doing. Entrepreneur's human resources are the key factors for opportunity recognition and realisation process; and it is also on the ground that venture capital determines investment. Venture capital provides financial resources, management support and strong network for venture firm. Technology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know-how and networking are the core managerial resources to be a long-lived venture firm called 'Good Quality Startup'. This research is an exploratory case study based on previous experience and 'good quality entrepreneurship'. The empirical study hereafter is needed. 본 연구는 창업가의 관련 기업 근무경험이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생존율을 높이는 '질 좋은 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탐색적 사례 연구이다.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관련기업 경험을 통한 인적자본의 축적과 창업기회의 획득, 핵심경영자원의 확보를 '질 좋은 창업'의 요소로 보았으며, 벤처캐피탈인 'K벤처스'가 투자한 16개 모바일 게임/서비스 기업의 창업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6개 기업 27명의 기업가 모두가 창업 이전 관련 기업 근무경험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관련기업 근무경험을 통해 기술능력, 관리능력, 사업영역의 지식, 창업동기 등 창업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탐색, 기회인식, 기회추구 및 활용으로 창업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K벤처스'의 투자 기준과 사례는 창업가의 직장경험과 인적자본이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전의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심층연구를 수행 한 2개 기업의 사례는 관련기업 근무경험을 통해 축적한 창업가의 인적자본이 창업기회 획득과 벤처캐피탈 투자유치를 통한 핵심경영자원 확보를 촉진시켜 '질 좋은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넷/모바일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탐색적 사례연구이며, 향후 본 내용의 일반화를 위한 실증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술형 창업기업 투자타당성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박인선,지기철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8 No.-

        창업기업은 생존 내지 발전을 위해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을 추구해야 하는 경영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내에서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타당성 평가는 일반기업에 비해 예외적이고 복잡하며 타당성을 확보하기 또한 상대적으로 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창업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신기술 개발 또는 새로운 영업기법 등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미래 수익성 및 장래성에 근거한 기업의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투자액에 비해 현재의 이익이 미미하고 무형자산 비중이 높은 창업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투자 타당성을 사전에 검증 할 수 있는 재무적/비재무적 평가지표 중에서 비재무적 평가지표 개발에 초점을 두어 한국적 실정에 적합한 창업기업 평가지표를 합리적으로 도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창업기업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대외경쟁력(기술의 진부화 속도, 지적재산권의 기술방어, 높은 가격경쟁력, 핵심기술 인력의 경력), 경영진의 경영방침(투명경영시스템 구여부, 회사의 목적 및 비전 이해)이 투자를 위한 평가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고객관리, 외부시장 환경 및 제품자동화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창업을 하고자하는 창업가에게 투자관계자와 기관 등이 평가하는 투자지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창업을 수행하기 위함과 창업기업 투자관계자가 국내 창업기업의 기업가치 평가 시 크게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가치를 균형 있게 반영하여 평가함으로써 창업기업투자타당성 평가 시 판단 오류를 최대한 줄이는 데 있다. The Venture Enterprises in Korea are in their transition period in terms of investment or management. Venture enterprise should achieve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s and management innovations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s and management innovations are the critical properties of venture enterprises. Furthermore, the investment or management of venture enterprises could have more risk in the vulnerable venture business environment like Korea. From this point of view, Investment Validity Evaluation for domestic venture enterprises is more exceptional, complex and difficult to get the validity than ordinary enterprises. Because venture enterprises generall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unprecedented technologies or new managerial skills, the enterprise should be evaluated in the basis of the profitability and promise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his study to being a help to investment organizations. As non-financial values are reflected to the investment validity evaluation, investment organizations could reduce errors in their investment decision. In the future, it should be done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is study. In addition, investment specialists should systemize non-financial evaluation standards. Each recognized variables in this study should be inspected through more profound studies and inspections. Thought these effort and study the model of venture enterprises evaluation should be built. Evaluation Measure, Business valuation, Investment validity, Investment valuation basis, venture industry

      • KCI등재

        정책연구 :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에 관한 실증 연구

        전인오 ( In Oh Je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中小企業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을 받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디어를 기술개발을 통해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제반 능력들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 지 파악하고, 또 CEO 및 기업 특성에 따라 이러한 기업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이 기술사업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부딪히는 제반 애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했거나 입주 예정인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89개의 유효한 설문을 회수하였다.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 및 사업화 능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연구개발 능력과 기술축적 능력이 기술혁신능력, 제품화 능력, 생산화 능력, 마케팅능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취약한 능력을 보강하는데 더 노력이 집중 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마케팅 능력, 생산화 능력, 제품화 능력 등의 구축에 더 정책 지원의 비중이 주어져야 한다. 둘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CEO의 연령과 학력에 따른 기업능력의 정도를 검증한 결과, CEO의 연령이 40세 이상인 기업에서 사업화 관련 역량에서 조금 더 높았고, CEO의 학력별 기업능력의 차이 분석에서는 CEO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으로 높은 기업에서 연구개발 및 생산화 능력이 우월하고 CEO의 학력이 대졸이하 인 기업에서는 기술축적, 기술개발, 제품화 및 마케팅에서 우월한 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사업 경과연수에 따른 기업능력의 정도를 검증한 결과, 사업경력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한 기업능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3년 이내 업력을 가진 기업에서 기술축적과 개발능력이 우수하고, 다른 능력에서는 3년 이상 경력 기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넷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하는데 기업자신의 보유능력과 비교하여 애로점이 많은 분야로는"자금조달 관리업무" "마케팅 업무", "조직구성 및 운영업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는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이 자신의 보유하고 있는 능력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다섯째, 사업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영역별 능력을 ① 기술개발 및 관리, ② 기술기획 및 전략기획, ③ R&D 프로젝트 관리, ④ 핵심기술 분석, ⑤ 사업계획 수립, ⑥ 자금조달능력, ⑦ 마케팅 능력, ⑧ 조직운영능력의 8개 분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의 세부업무 수행능력에 대하여 `중요도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기술개발 및 관리〉 분야가 모든 단위 변수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아울러 〈기술/ 전략 기획〉 분야의 "경영/기술전략 수립"과 〈자금조달능력〉 분야의 "재무 및 투자계획", <R&D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R&D 기획", 그리고 사업계획 수립이나 핵심기술 분석도 중요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직접적인 변수로 기업의 마케팅과 조직운영 변수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사업화 과정에서 자체 해결이 어려운 이슈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는데, "투자 유치"가 가장 어렵다 고 답했고, 다음으로 "기술 사업화", "경영/기술 전략 수립", "리스크 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려 "시장 조사", "마케팅 전략/계획"도 어려운 업무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기술기획이나 지적재산권 관리 등은 해결의 난이도가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사업화 애로점을 해소하려면 경영 및 사업화 능력 확충을 위한 교육과 정보 제공, 협력을 통한 연계 주선 및 지원체계의 강화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과 제반 정책 지원을 통한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능력 강화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 Business incubator (BI) is recognized as an efficient mechanism to promote new venture cre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job creation. To become successful, tenant firms of BIs should have attractive business opportunities and required capabil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business incubation project, and deals with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es of incubated SMEs those own ideas for new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MEs` capabilities and difficulti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o propose government policies to effectively promote SMEs` commercializati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framework. Data were collected from 89 SMEs, located or to be located in business incubators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ie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tains several items such as i) general company information (industry, location. CEO`s age and education, and years of business oper-ation), ii) SME`s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ies (R&D capability,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ill) SME`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product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cess/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iv) difficult business processes or areas faced dur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company formation proced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business planning, fund raising and finance, technology market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and v) recognized importance of each business activity or capability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mpirical results obtained from statistical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Es showed high-er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a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Especially, R&D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ies were very high compared to product commercialization, process technol-ogy produc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Therefore government support to strength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should be highlighted. Second, companies with an older CEO (40 years old and more) showed higher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ose with a younger CEO. Firms`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EO`s education level. Third, years of business operation of incubated SMEs did not affect firms`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lthough younger firms showed slightly higher capabilities in technology de-velopment compared to older firms. Fourth, SMEs pointed "fund raising and finance" as the most difficult business area and bottleneck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market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were also very lacking areas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SMEs replied that these three areas are main bottlenecks and can-not be overcome without strong support from outside (including the government). Fif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equires the integrated efforts of several business activities such as in-novation, business and technology planning, marketing, financ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commercialization-related activities or cap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such as i)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ii)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iii) R&D project management, iv) core tech-nology development, v) preparing a business plan, vi) financing, vii) marketing, and viii) organization management.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SMEs recogniz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uch as corporate technology plann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core technology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capability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Furthermore, financial requirement analysis and investment planning, strategy formulation, R&D project planning, and business planning were also appeared as important activities and capabilities for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and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financing was the key obstacl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refore, securing several funding sources should be the priority policy measure.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s, the private sec-tor should take more active roles in early stage financing for SMEs through angels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s.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for deregulation in the financial sector Second, the lack of planning and marketing capabilities can be ascribed to poor manpower. Government should support manpower training and recruiting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subsidies for new hires. Long-term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lanning should reflect the changing job market and emerging demands for new talents. Third, the roles of BIs should be strengthened from rent businesses (providing spaces) to integrated service providers. BIs should serve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latforms and make active networks with outside specialists. Especially, BI managers should have pivotal rol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new ven-ture growth and more incentives should be given to the specialists or businessmen with real business experi-ences to become BI managers. Fourth, this study showed that lacks in management capabilities (rather than technology capabilities) were more critical bottleneck in commercialization. Therefore executive management programs for small business CEOs should be promoted. In addition,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should have more chances to study management as recommended courses. Finally, integrated and flexible support mechanism should be devised to actively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rom start-up and business planning to financing and marketing. Cooperation among several policy-implementing agencies is also needed. This study analyzes limited samples of SMEs and the finding cannot be necessarily generalized into different situations.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from catch-up imitators to front runners, however, innovative SM& in Korea really need planning and 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prosperous future, and this study signal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knowledge, skills, and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 CEOs.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의 성장 허들 및 외부 투자자금의 영향 : 실험실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권지훈(Jihun Kwon),봉강호(Kang Ho Bong),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3

        최근 정부에서는 대학•출연(연)이 연구논문 또는 특허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을 ‘실험실창업’으로 명명하고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실험실창업기업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들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창업자가 산업체 경력을 보유한 기업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으며, 이는 창업자가 실험실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 지향하는 산업과 필요한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과거의 성과는 당해년도 시점의 성과 발생 및 성과의 수준에 공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당해년의 연구개발비 및 투자유치규모의 경우에는 성과의 수준에 대해서만 유의하였다. 특히, 투자유치규모는 역 U자의 관계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즉, 실험실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초기단계에는 일정규모의 자금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정한 성장단계 이후에는 추가적인 자금지원만으로 지속성장을 담보할 수 없음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성장단계에 맞추어 단계별로 취약분야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factors that driv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Lab-based start-up companies. First, we found that the founder’s expertise in the industrial field was highly related with the financial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the deep insight and discerning knowledge as well are the prerequisite for the start-up’s success. Second, while past achieve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t the time of the year, only the level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R&D expenditures and the scale of investment attraction in the year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nvestment attraction was observed to affect the relationship of reverse U-shape, which implies that a certain amount of funding was necessary in the early stages for the growth of Lab-based start-ups, and that additional funding after a certain stage of growth could not guarantee sustainable growth on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 to consider the bespoke policy mix such as ‘stage-by-stage’ approach for the achievement of the sustainable growth in the start-up market.

      • 주요국의 창업동향분석을 통한 소상공 창업동향과 기업가의 의식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성옥석 ( Ok Suk Su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2 유통정보학회지 Vol.15 No.1

        전 세계적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및 마인드개선이라는 말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내용으로 많은 연구와 자료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글로벌시장체제와 무한경쟁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개념의 창업 및 창업자 정신과 경영마인드개선에 관한 부분을 점검할 필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의 기업가정신을 기업가의 의식구조로 보고 이를 세분화하여 마인드개선, 기업가의 활동, 기업가정신으로 구별하였다. 특히 세계화와 정보화에 맞는 새로운 이미지 제고와 아울러 주요 선진국의 창업동향에 맞는 정보화, 세계화의 방향으로 통합 및 표준화 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러므로 기업가정신은 곧 기업가의 의식구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기업가의 이러한 의식은 곧 바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의 제고를 위한 정책과 질적 수준의 다양한 성과를 통한 효율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주요국의 창업동향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상공인 창업자가 갖춰야 할 기업가 의식구조의 개선효과를 제시함으로써 혁신성을 높여 창업자들에게 성공창업에 이르게 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무적인 차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창업 중이거나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창업자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가의 의식구조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더하였다. 연구결과 경영마인드개선을 통한 역량제고와 체질개선 및 기업가정신의 창의성, 혁신성을 바탕으로 시장지향, 업무지향의 효과를 얻어 경쟁우위확보와 가치성장을 위한 기업가의 의식구조개선의 성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업가의 의식구조 개선은 창업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아이템 적용 및 경쟁우위 확보에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창업자정신 함양과 위험환경 대처능력을 갖춤으로써 미래 불확실성 극복과 창업성공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major countries through foundation and entrepreneurial trends Small Business found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sense of empirical studies for success is foundation. In particular, the entrepreneur, founder of entrepreneurship comes from his mind, improve manage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entrepreneurs with successful is a study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consciousness of corporate restructuring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existence and succes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by providing empirical analysis raised the concern for the founders. Measuring items foundation trend factor controlling the location, need for achievement, financial performance and policy support, effective, and business activities through entrepreneurship, such a relationship with respectively. As result of study build capac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mind and constitution of the improvement and creativity of entrepreneurship, innovation based on market-oriented, business-oriented showed the effects of competitive advantage has led to improvement of growth and valu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entrepreneurial way of thinking through the improvement and the risk environment, coping skills and could bring uncertainty to overcome various issues.

      • 한국의 기업가정신 활동: 2009년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일반성인조사(APS)를 중심으로

        반성식,김상표,송경모,조동환,박종해,차민석 한국창업학회 2010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0 No.-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의 목적은 창업기업가들의 태도, 활동 및 열망에 대한 국제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창업에 대한 보다 많은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정부, 기업가, 교육자 등이 정책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창업을 꿈꾸는 개인들이 글로벌비즈니 스 환경 하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GEM 연구에 참여한 각국의 연구진은 참여국가 별로 18세에서 64세 사이의 최소한 2,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일반성인조사(APS; Adult Population Survey)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20개의 고소득 혁신주도형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다. 한국은 20개의 혁신주도형 경제 국가들 내에서 8번째로 높은 초기창업활동(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y: TEA) 수준 (7.0%)을 보이고 있다. TEA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들은 아랍에미리트와 아이슬란드, 그리스 등인데, 이들 국가는 최근에 금융위기로 국가부도 사태를 겪거나 위험 징후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이다. 따라서 단순히 TEA 비율이 높다는 것이 국가의 경제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혁신주도형 경제 내에서 동일한 아시아권인 일본은 반면에 제일 낮은 TEA 수준(3.3%)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기업가정신조사에 의하면, 창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세 그룹의 구조적 여건들 (framework conditions)은 경제활동을 위한 기본적 요건, 효율성 강화제도, 창업활동 및 혁신 요소등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여건들은 각국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조사는 국제적 신용위기의 주요 영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이전인 2009년 5월에 시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조사에서 이미 경기침체의 하락 신호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침체의 실제 영향에 대해서도 2008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2009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상당 부분 파악 할 수 있다. 창업활동에 대한 태도 분야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향후 6개월 이내에 사업을 시작할 좋은기회로 보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사업을 시작할 능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동시에 한국인들은 다른 혁신주도형 국가들에비해 창업활동을 매력적인 것으로 보고 있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향후 3년간 사업 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활동을 측정함에 있어 창업활동의 단계를 ①잠재적인 예비단계(potential), ②태동기(nascent), ③초창기(new), ④기업설립 후 안정기(established) 창업단계의 네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네 단계중에서도 우선 초기창업활동비율(TEA)을 구성하는 태동기의 창업활동과 초창기 창업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2008년 이 비율이 성인인구의 10%에 달하였으나 2009년의 7.0%로 낮아졌으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였을 때 여성에 비해남성의 초기단계 창업활동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생계형 창업활동과 기회포착형창업활동 모두 감소하였으나, 생계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에는 4.0%, 2009년에는 3.1%)보다 기회포착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의 5.8%에서 2009년에 3.7%로 감소)이 상 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사업중단(폐업)비율(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역시 다른혁신주도형 국가들에 비해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창업활동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창업활동에 있어서의 남녀 비율이었다. 이비율은 전체 표본 국가들 간에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혁신주도형 국가들의 경우 일반적으 로 여성 대비 남성의 창업활동비율이 2배로 나타났고, 미국과 독일의 경우는 이 보다 다소낮게 나타났으나 한국은 3배에 달했다. TEA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남성(10.4%)과 여성(3.5%)의 상대적 비율은 사회적 창업활동에서도 같이 나타났다(남자 0.6%, 여자 0.2%).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한국의 창업기업가들의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학력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열망(aspiration)의 측면에서는 다른 일부 국가와 마찬가지로 창업기업가들이 그들의 사업에서 높은 수준의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제품, 새로운 시장과 같은 높은 수준의 혁신을 통한 생산은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국제화 정도는 중간 수준에 그쳤다. 이 보고서에서는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GEI: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도 소개하고있는데, 이는 특정 국가에서 창업활동을 위한 환경을 평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 지수에 따르면, 한국에서 창업 활동과 그 열망은 비교적 건강하게 나타났으나, 창업기업가의 태도는 그보다는 덜 건강한 것 The purpose of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ctivity, and aspiration in the globally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profound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to the government officers, entrepreneurs, and scholars. International research consortium has been built to execute annual global survey, called Adult Population Survey(APS) that has more than 2,000 people from 18-64 years old. Last year participatory countries are 54 including Korea. Approximately 7.0 % of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has engaged in early-stage entrepreneurship activity (TEA) in 2009. Among the countries with highest level of TEA, Arab Emirate, Iceland, and Green are those that have unstable economic conditions. So the adequate level of entrepreneurship of those countries are questionable.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he lowest level of TEA(3.3%) within a group of innovation-driven countries. A saturated economy might not have active entrepreneurship. Male entrepreneurial initiatives represent 10.4% of the adult population, and 3.5% females started a business. Looking at the motiva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ratio of opportunity-driven start-up decreased from 5.8% in 2008 to 3.7% in 2009. Moreover, 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is highest among innovation-driven countries. Entrepreneurial aspiration was not high in new technology adop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ough firms try to achieve higher growth. The 2009 GEM survey shows that the entrepreneurship sector is healthy but has been affected by global crisis with a medium level of opportunity-based motives and growth aspiratio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m, investors and entrepreneurs are not willing to take a risk to pursue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clining economic situation and more uncertainty. While the private sectors are shrinking after the crisis, the role of government has become crucial to balance the shortage of credits and opportunity. We need more proactive and diverse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execution to overcome the current challenges in the economy.

      • KCI등재

        한국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방향

        이성봉 ( Seong Bong Lee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경제가 최근 수년 동안 경험하고 있는 활력 저하 및 저성장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국의 기업가정신을 본질적인 면에서 강화하고 창업활동의 실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어떠한 정책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업가 정신이 정체되어 있다는 점을 기존 연구에 대한 종합분석을 통해서 확인했으며, 창업지원정책도 본질 적인 문제를 다루지 못하는 백화점식 열거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의 제고와 지속가능한 창업 활성화를 위한 3가지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육시스템을 획기적으로 혁신할 필요가 있다. 창업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창업자가 창업에 필요한 핵심 역량인 비판적 사고(창의성 발현의 원천), 강인한 체력, 리더십 그리고 글로벌 마인드를 제고할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공정경쟁 질서를 철저하게 확립해야 한다. 시장지배력이 있는 대기업이 창업벤처기업의 아이디어나 기술력을 뺏어 가거나 부당하게 모방하여 창업기업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불공정행위를 못하도록 해야 한다. 대기업그룹의 경우 강력한 자본력을 기반으로 구조조정지연 및 회피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상시적인 구조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룹 내부당지원을 금지하고 무능한 소유경영에 따라 기업가치가 시장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기업에 대해서 경영권이 변경될 수 있도록 M&A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장질서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피상적이고 백화점식의 나열적 지원사업들을 대폭 정리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의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지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가능성이 높은 창업자들에 대해서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전환해야 한다. 지원기관의 존속에만 기여하는 지원프로그램의 과감한 정리와 함께 가능성과 성과를 보이는 될 만한 창업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되도록 창업지원정책을 재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arches for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n government to enhance the entrepreneurship and to effectively promote the start-ups. Based on comprehensive review on previous studies on the entrepreneurship in Korea the study confirms that the entrepreneurship has been deteriorating during last decade. Also, this study finds that a lot of start-up promotion measures in Korea might be ineffective due to the lack of focusing on fundamental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ree policy recommendation to enhance the entrepreneurship and to effectively promote the start-ups in Korea. First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form the education system. The Korean education system, even though it has brought some performance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s however, should focu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capability, physical strength, leadership, and global mind. Second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fair and transparent competition order in the marke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trictly prevent large companies with market power from doing unfair behaviors, such as canceling the sourcing contract with SMEs or start-up companies after absorbing the idea or technological know-hows into their in-house system, which might lead to bankruptcy of start-ups. Als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create a free and favorable market conditions for mergers and acquisition. These efforts could lead to the smooth restructuring of large firms, which are in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managerial incompetence of owner manager. A virtuous circle of the seamless entry of new firms and the exit of distressed firms could create a favor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new start-ups. Thirdly,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structure a lot of similar promotion measures for start-ups from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based on the evaluation of policy effectiveness, and then to merge those measures with the small amounts of budget into a couple of focused promotion groups. Those efforts could minimize the administrative cost for promotion measures and enhance their efficiency.

      • 사회혁신 기업가의 창업행동특성 이해

        김민표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22 적정기술 Vol.14 No.2

        사회혁신 기업의 창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혁신 기업가의 행동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업역량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 환경에서 신규 혁신 주도형 창업의지는 약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사회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려는 혁신 주도형 창업 생태계 촉진을 위해 기업가정신과 창업행동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업가정신에서 중요한 것은 창업가적 리더십이다. 위함과 의사결정, 도전과제 등 다양한 사업화 추진 과정에서 창업가적 리더십은 창업가 고유의 특성을 드러낸다. 창업가적 리더십은 기회의 탐색과 지향점에 대한 가치 부여를 통해 사회혁신 기업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창업행동 특성으로 연결된다. 사회혁신 기업가는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기회를 탐색하고 활용하는 행동적 리더십의 특성을 지닌다. 또한 창업가적 리더십은 기회지향적 목표와 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업가적 자기효능감과 열정을 통해 성장 동력을 유인한다. 이러한 사회혁신 기업가의 창업가적 리더십은 창업의지를 발굴하고 지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창업의지는 사회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혁신성과 기회를 포착하고 다루려는 노력으로 이어지며, 가업가의 행동을 촉진하는 중요한 행동 통제력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하봉찬,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가 정신 모니터(GEM)의 2002~2022년 설문자료를 이용해 인지적 요인으로서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효과를 기업가의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분산성을 고려한 패널 고정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OECD 회원국에서는 창업 의도를 가진 성인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남성 기업가와 비교해 여성 기업가가 창업에 참여하는 비중이 감소하였다. 이는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창업 의도가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는 비중이 남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편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표본에서는 실패의 두려움으로 창업을 꺼리는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창업가의 비중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여성 기업가가 창업 실패의 두려움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준다. OECD 회원국에서 인지적 요인의 효과와 비교해 우리나라에서는 창업 기회 혹은 창업 역량을 인지하거나 창업 실패의 두려움을 인지한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기업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창업 의도를 가진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기업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대응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창업 기회를 인지하거나 창업에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 등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여성 창업이 더 활성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창업을 계획하거나 준비하는 여성 기업가가 창업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면 창업을 통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 증가할 것이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이후 남성과 여성 기업가 모두에서 창업 의도가 창업 활동으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s a cognitive factor on starting a business using 2002~20222 survey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 Our panel fixed effects results show that, being compared to the effect of cognitive factors in OECD member countri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recogniz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or capabilities needed to start a business or fear of failure is relatively higher, the proportion of female entrepreneurs is relatively higher. On the other hand, higher proportion of adults with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results in lower proportion of female entreprene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respons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trends, female entrepreneurship can be more active if an environment is created to help recognize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r strengthen the capabiliti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necessary for starting a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