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음악치료가 주간보호센터 정신분열병환자의 대인관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정미,류정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대인관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와 효 과의 지속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주간보호센터의 주간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분열병환자 3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을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은 주 1회 50분으로 총 15회기의 집단음악치료 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대인관계와 삶 의 질을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음악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개월 후 추후검사를 통해 음악치료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험집단에서는 대인관계에서 사전과 사후 및 추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그러나 대인관계의 하위영역인 이해성 영역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전체적으로 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대인관계에는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특정한 이해성 영역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통제집단의 대인관계는 사전-사후-추후검사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삶의 질 척도에서 삶의 질이 사전에 비하여 사후와 추후에 의미 있는 향 상을 보였다. 다만 삶의 질 하위영역인 정서적인 영역에서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부정적 사고에서 긍정적인 사고의 전환으로 환자들의 실제 생활 속에서의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된 것으로 본다. 통제집단의 삶의 질은 사전-사후-추후검사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중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경제적 영역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분열병으로 인해 대다수 미취업 상태에 있어 경제적인 활동을 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정신분열병환자들이 느끼는 주간적인 평가들이 삶의 질의 저하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집단음악치료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삶의 질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 치료 효과의 지속성이 2개월 후에도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learn not only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schizophrenia patients’ relationship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but also the durability of its effects. For this research, chronic 30 schizophrenic pati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ytime care center located at I city, most of whom are participating in the daytime rehabilitation program. Both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consist of 1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tal 15 sessions of treatments were proceeded for 50 minutes once a week, while nothing done in the control group. The relation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two groups are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to observ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program. And two months later, the durability of its effect was also measured through the afterward-treatment. The result is as followed. First of all, there is no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experiment, even afterward-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relationship. However In the understandable sub-region of relationship,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experiment. Although this result could be analyzed as if music therapy program didn’t have meaningful effects on schizophrenia patients, to some extent, the possible effects are expected in the particular understanding fields. There was no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on their relationship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index of life quality of experimental group, the meaningful improvement was shown more than before. It seems to be helpful the improvement of those patients’ life quality in the actual life by converting their negative thoughts into positive on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control group didn’t make an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before-, after-, and afterward-treatments. most of them remained in the condition of unemployment and even couldn’t attend any economic activities as schizophrenic patients. In this reason, schizophrenic patients’ subjective assessment seems to bring the decline of their life quality. In conclusion, although Group Music Therapy didn’t have any meaningful effects on the schizophrenic patients’ relation, there must be a meaningfu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lso, the effect of music therapy seems to continue, to some degree, after 2 months.

      • KCI등재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정재원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G복지재단에 거주하는 경도치매노 인 20명이며,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 치료의 진행은 2012년 9월 24일부터 2012년 11월 15일까지 8주간 주 2회, 40분씩 총 16회 기를 실시하였다. 집단 모두 사전·사후에 한국형 노인우울검사(SGDS-K)와 삶의 만족도 검사(LSI-Z)를 실시한 후 SPSS WIN 17.0 통계프로그램으로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집단 음악치료 실시 결과,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경도치매노인의 삶의 질에도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이를 바탕 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 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 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감소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reside in G Welfare Foundation in D city. Ten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en people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6 sessions for 4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8 weeks from September 24, 2012 to November 15, 2012.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SGDS-K(Korean version of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LSI-Z(Life Satisfaction Index-Z)were carried out for the two groups. And then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WIN 17.0.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p<.05) i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p<.05)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d dementi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group music therapy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lso i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KCI등재후보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심리 및 사회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장인숙,오미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17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권자 와 차상위 계층에 속하는 저소득층 아동 중 연구에 동의한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45분씩 총 20회의 집단음 악치료를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 감,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와 측정시기 간의 차이 및 집단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음악치료는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 부모 관련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 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 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from low-income groups. The subjects are 37 children selected from among 139 fifth and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Jeonju. The selected students either belong to the near-poverty group or a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mong them, 10 students were selected again with the consent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But the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as reduced to nine because one student was excluded due to low attendance rate. A group music therapy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20 times,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inventories that were designed to check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ily stress, stress-coping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aily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and some of their stress-coping factors. The therapy served to improv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may be used as a valuable intervention method to facilitate the psycho social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 from the low-income groups.

      • 음악 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Happy Life’ 프로그램이 불안 수준에 미치는 효과

        나해숙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2011 통합예술치료연구 Vol.1 No.1

        이 논문은 음악 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프로그램 ‘Happy Life’ 가 본 집단에 참여한 정신과 폐쇄 병동 환자들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데 의의를 두었다. 음악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프로그램 ‘Happy Life’ 는 음악매체 중심의 색, 그리기, 시, 동작 등을 통합한 예술치료적 기법으로 Gestalt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피험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D 의료원 정신과 폐쇄병동의 입원환자 가운데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 총 26명의 집단원이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진행은 1회기에 약 90분씩 주 2회로, 총 13회기 후 종결 하였다. 첫 만남에서 사전검사와 집단 회기가 끝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종속변인 측정도구로는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 8.03 프로그램으로 각 척도의 사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공변량 분석(ANCOVA)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불안 수준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문소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the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Eighty youth soccer players were assigned to either a song-based music therapy group or a control group.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the Exercise Stress scale and the Athle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aired 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osttest score on the exercise stress measure than the control group (p<.01).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test to posttest on the exercise stress measure (p<.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t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 (p<.01).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pretest to posttes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p<.05). The results suggest that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at lowers exercise stress and rai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소속 유소년축구선수 80명(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1명)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실험집단은 소규모(8-11명)로 나누어 주 4회, 45분씩,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운동스트레스척도와 운동선수 긍정심리자원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동질성검정과 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p<.01). 운동스트레스 사전․사후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둘째, 긍정심리자원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01). 긍정심리자원 사전․사후점수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자원 지지와 긍정정서 유도를 통한 운동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긍정심리자원 형성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래 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차미림,강경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노래 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들은 서울시에 위치한 H 회사에 근무하는 콜센터 상담원으로 총 20명이다. 이 중 10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50분씩 주 2회, 총 10회기에 걸쳐 노래 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감정노동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시기X집단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크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집단의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감정노동 평균점수가 하락한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집단음악치료가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감소를 위한 중재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am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emotional labor of call center tele-communicators. The subjects were 20 call center tele-communicators of H company. Among them, 10 were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were in a control group. This program took place twice a week, for 50 minutes by each session for 10 times in total.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emotional labor after the music therapy programs, a repeated measur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time X group interaction effects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 differ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ed the emotional labor.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trend of changes of each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emotional labor average score decreased,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the emotional labor of call center tele- communicators.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am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emotional labor of call center tele-communicators. The subjects were 20 call center tele-communicators of H company. Among them, 10 were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were in a control group. This program took place twice a week, for 50 minutes by each session for 10 times in total.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emotional labor after the music therapy programs, a repeated measur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time X group interaction effects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 differ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ed the emotional labor.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trend of changes of each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emotional labor average score decreased,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the emotional labor of call center tele- communicators.

      • KCI등재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이청소년의 문제행동,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상철,김영숙,이현림 한국인간발달학회 2007 人間發達硏究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문제행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의 틀을 갖춘 다음, 청소년의 심리적, 인지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실업계 S고등학교의 2학년 남학생 48명 중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에 16명, 비교집단 2에 16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 1은 아름다운 삶을 위한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2에는 음악치료에 대한 강의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각각 13회기 동안, 매회 90분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문제행동, 공격성을 감소하기 위한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신뢰감 형성 및 인식, 자기개방 및 타인이해, 실행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이영숙(1994)이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 항목 중 한국 실정에 맞게 68문항으로 제작한 문제행동 검사지와 노안녕(1983)이 제작한 공격성 검사 중 본 연구의 의도와 부합된다고 판단되는 16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째,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둘째,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 KCI등재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유진,문소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ong-focus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aregivers. The subjects include 21 care workers at the support center for care workers for the elderly in Seoul.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1 and 10, respectively. A song-focus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with an 80-minute session per week in total 18 sessions. Both the groups were tested with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ventori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test the effects of song-focused group music therapy. The study also analyzed the subjects' verbal responses based on song data.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of emotional labor from the control group, mak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two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attention to emotional expressions and emotional disharmony.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burnout scores from the control group, making significant score changes in all the subareas(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personal sense of achievement) of burnout. These findings imply that song-focused group music therapy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itigation of caregiver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group music therapy program for Caregivers.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어르신돌봄종사자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요양보호사 21명이며 집단구성은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실험집단에게 주 1회, 80분씩, 총 18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감정노동과 소진 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Mann-Whitney U test를 통해 집단 간 사후 점수를 비교하고, Wilcoxon signed-rank test를 통해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노래자료에 기반한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도 분석되었다. 검정결과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감정노동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냈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감정표현의 주의 정도, 감정적 부조화 요인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소진의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진의 모든 하위영역(감정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에서 유의한 점수 변화가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요양보호사를 위한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KCI등재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소년의 문제행동 및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상철,김영숙,이현림 한국인간발달학회 2007 人間發達硏究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문제행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의 틀을 갖춘 다음, 청소년의 심리적, 인지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실업계 S고등학교의 2학년 남학생 48명 중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에 16명, 비교집단 2에 16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 1은 아름다운 삶을 위한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2에는 음악치료에 대한 강의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각각 13회기 동안, 매회 90분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문제행동, 공격성을 감소하기 위한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신뢰감 형성 및 인식, 자기개방 및 타인이해, 실행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이영숙(1994)이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 항목 중 한국 실정에 맞게 68문항으로 제작한 문제행동 검사지와 노안녕(1983)이 제작한 공격성 검사 중 본 연구의 의도와 부합된다고 판단되는 16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사전&#8901;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째,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둘째,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오세덕(Se Duk Oh),김수정(Soo Jung Kim)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3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광주광역시 N 대학교 2학년 학생 15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류는 무작위로 배정하였고 총 15명의 실험대상자 실험집단은 7명, 통제집단은 8명으로 선정하였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측정 하기 위해 전겸구 · 김교헌(1991)이 개발한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전겸구 · 김교헌 · 이준석 (2000)이 수정한것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2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Abell의 스트레스척도(2005)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osenberg(l965)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SES)를 최정아(1996) 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은 휘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2011년 3월 16일부터 5월 25일까지 10주동안 총 10회기에 걸쳐 회기마다 70분씩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 개인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듬북놀이 집반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 수행시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고 사전-사후 및 추후 지속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모듬북 놀이를 통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화 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학교양교과목으로 개설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을 대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부모와 장애 영 · 유아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