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층면담 가이드 개발에 관한 방법적 탐구

        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1

        An in-depth interview is most widely used to collect data in qualitative research. It allows researchers to look into people as the essence of research itself, instead of numbers or statistical objects. It is natural that an in-depth interview has taken center stage of almost all the qualitative methodologies. For eff ective in-depth interview, it is essential to build a systematic interview guide. Th is study thus discussed methods that a researcher could use to develop an interview guide in qualitative research. Th e fi ndings were summarized in three major aspects: fi rst, the study shed light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n interview guide that researchers could consult; second, the study defi ned several criteria for a good interview guide, including the subareas to classify the overall situations and questions of an interview and three interview questions that underwent more than two improvements; and lastly, the study presented the forms and content of an in-depth interview that would vary based on the trad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terms of ethnography,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 and life history. Th e fi 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qualitative researchers develop a sophisticated interview guide and conduct a research eff ectively. 질적 연구의 자료 수집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법이 바로 심층면담이다. 심층면담을 통 해 인간을 숫자나 통계적 대상이 아닌 연구의 본질 그 자체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자연스럽게 심층면담은 거의 모든 질적 연구방법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심층면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체계적인 면담 가이드를 제작할 필요가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면담 가이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 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크게 세 가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면담 가이드의 고유한 특 징으로 연구 주제와 관련 있는 하위 영역, 열린 질문, 중립성과 유연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좋은 면담 가이드의 기준으로 면담의 전체적인 상황, 질문을 분류하는 하위 영역, 두 번 이상 개선된 면담 질문의 세 가지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질적 연구의 전통에 따라 달라지는 심층면담 가이 드의 형태와 내용을 문화기술지, 현상학적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생애사로 구분하여 제시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질적 연구자들이 정교한 면담 가이드를 제작하여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실천과 분석의 이해

        조재성(Jaeseong J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질적연구에서 심층면담이 지닌 방법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면담 기법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내러티브 면담은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생성한 실제/가상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의미를 찾는 연구방법으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면담의 개념, 실천 과정, 그리고 자료 분석의 방법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면담은 개방적, 경험적, 해석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체화된 코드와 질문지 대신 면담 내용 속에 숨겨진 의미들을 찾아내고 해석하려고 한다. 둘째, 내러티브 면담의 실제적인 활용 측면에서는 방사형 질문 과정, 비유적인 질문과 응답, 문학적, 예술적 형식의 창의적인 면담 기법 사용 등을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구 주제의 특성에 따라 내러티브 면담이 더욱 적절한 경우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내러티브 면담의 순서는 내러티브 윤곽 잡기, 완전한 내러티브 수집, 내러티브 규명의 3가지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 면담의 활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참여자의 생활 세계를 규명하고 질적연구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가 질적연구에 접근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qualitative research, various interview techniques are adopted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in-depth interviews. Among them, narrative interview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a research method to unveil meanings by analyzing actual or virtual stories creat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discusse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concept, practice process, and data analysis of narrative Interview as follows: First, narrative interview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interview techniques when it comes to the definition of terms, approaches of experience, and the purposes of interviews. It aims to discover and interpret hidden meanings in the interview, instead of materialized codes and questionnaires. Second, as for the actual utilization of narrative interview, it adopts radical interview process, metaphorical questions and answers, and creative interview techniques in literary and artistic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heme, narrative interview can be a more appropriate option in some cases. Third, the order of narrative interview consists of 3 steps; outlining the narrative, collecting complete narratives, and investigating the narratives, and each step should be connected organically. The utilization of narrative interview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educational research by understanding the life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increasing the effect of qualitative research.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ers who want to adopt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expand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심층면담 기법으로써 모래이야기면담(Sandplay Narrative Interview)에 대한 방법적 탐구

        조희순(Hee soon Cho),조재성(Jae seong Jo)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본 연구는 모래놀이를 통한 심리 상담이 어떻게 심층면담의 새로운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래이야기면담이 실천되고 있는 현장에서 다양한 질적자료 수집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층면담으로써 모래이야기면담이 갖는 질적 특징을 드러낼 수 있었다. 모래이야기면담에는 일반적인 심층면담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특징이 있었 다. 그것은 연구 참여자의 무의식을 탐구하기, 비구조화된 면담 지향하기, 글쓰기와 생애사 탐구하기,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공동으로 의미 찾기, 연구 참여자의 발달 강조하기였다. 한편, 모래이야기면담을 활용한 결과 그 시사점으로 연구 참여자 진술의 진실성을 검증, 면담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 감소,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심리적 성숙의 기회를 제공이라는 요소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처럼 모래이야기면담을 통한 질적연구에서 분명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유아 및 아동을 위한 상담, 생애전환기 성인을 위한 상담, 노인의 생애사 정리를 위한 상담 등의 주제와 관련하여 모래이야기면담은 유용한 기법들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the substantial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on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one of the techniques of in-depth interview to identify entire processes of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and discover the detained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 answers related to the subject of inquiry undergoing the 5 stages of chaos and differentiation, conflict and struggle, realization, reconciliation and application, and exploration of life historie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differentiated from general in-depth interview were discovered. First, the subconscious desire, belief, etc. of the participants were explored together with the conscious expressions. Sandplay could be an apparatus to conduct flexible and wellbalanced interview as it is capable of reliving the tension appropriately about the topic that the subject wants or does not want to speak about. Second,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enabled collection of more abundant and unique narratives, adopting thoroughly unstructured interview. Third, in sandplay, it is capable of collecting various narrative through diverse methods such as writing and life history. Fourth, the participants engaged as much as the research di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drawing the meanings. Fifth,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was intended to apply the results immediately to the life of participants. The researcher provided active helps so that the participants could perceive things differently in life and achieve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coworkers and friends, instead of simply understanding the ups and downs in life. In the meantime,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is a method to look into true inner-self of participants, by helping the participants reveal the subconsciousness, utilizing the sand box, figure, etc. Furthermore, it required the researcher to present the story explaining the sand box directly,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indepth interview, which relied solely on the narrative coming out from people’ s consciousness. With the method,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stand if their answers on the specific research topics and questions really reflected the mind of participants and what made them think that way. Also,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contributed to reducing psychological burden that the participants might generally have for the research and the interview by adopting the specific ways of sandplay. They told the story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s naturally, helping them freely talk what they wanted to the sand box instead of having the feeling of pressure or repulsion. Although all the individual sessions of the interview were planned for 1 hour or longer, no case was reported that research process was interrupted or the participant complained about being board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nother positive factor was that the resear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oth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to become psychologically more matured. All the participants identified their subconsciousness that had been the root of external problem and made them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ese factors appeared as obvious advantage in the aspect of research ethics.As such,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showed positive factor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would present useful techniques for topics like counseling particularly for the infants and children, organizing elders’ life history and others. As a research, I look forward to seeing many research cases utilizing the sandplay narrative interview in the future.

      • KCI등재

        효율적인 장기구득 면담의 조건과 요인에 대한 코디네이터의 인식-질적 연구

        정연옥,김찬웅,김정선,이정우,박용익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6 No.-

        생명을 살리고 건강을 회복시킬 수 있는 최후의 의료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는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장기기증이 필수적이다. 장기기증의 필수 조건은 뇌사자 가족의 동의인데 이는 장기구득 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장기기증 동의율 제고를 위해서 필요한 조건 가운데 하나는 장기구득 코디네이터의 면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효율적인 장기구득 면담의 조건과 요인에 대한 지식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장기기증에 필수적인 뇌사자 가족의 장기기증 동의율 제고를 위해서 필요한 조건과 요인을 질적 연구를 토대로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효율적인 면담의 조건과 요인의 탐구를 위한 자료는 다년간의 장기구득 면담 경험이 있는 코디네이터 10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인터뷰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구득 코디네이터가 생각하는 효율적인 뇌사자 가족과의 면담을 위한 조건과 요인은 모두 22개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의료진, 코디네이터, 가족 그리고 사회라는 대범주로 재분류되었다. 의료진 관련 조건과 요인으로는 가족에게 뇌사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고, 코디네이터 관련 조건과 요인으로는 자질과 성향(경험과 자신감, 심리적 안정, 타자성, 장기기증의 의미에 대한 확신, 열정과 헌신, 여유와 유연함), 역량과 수행 능력(충분한 지식, 의사소통 능력, 경청과 공감 능력, 이해 능력, 관계형성 능력), 충분한 사전 준비(최대한의 정보 수집, 면담 계획 수립과 예행 연습, 공감과 지지를 위한 물품 준비) 및 환경 조성(독립적 면담 장소 확보, 면담 공간 분위기 조성, 충분한 면담 시간 확보) 등이 있다. 뇌사자 가족 관련 조건과 요인으로는 뇌사에 대한 이해와 수용,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심리적 안정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다. 사회 관련 조건과 요인으로는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기구득 코디네이터의 면담 수행 능력 계발을 위한 교육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심층면담을 활용한 박물관 교육 연구에 관한 사례 고찰

        전영국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6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5,16

        박물관을 방문하는 관람객과 박물관 프로그램을 기획, 전시 및 운영하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크게 설문 조사와 관찰 및 면담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박물관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자료 수집 방법을 소개하고 사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심층면담의 적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통상 박물관 관련 질적 연구 논문들은 질적 사례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1-2시간에 걸친 면담을 1-2회 가량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물관 및 미술관 체험을 다룬 연구에서 면담 또는 심층면담을 적용한 사례(현 상학적 접근, 질적 사례 연구 및 생애사)들은 전시물 및 예술품 감상에 관한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사회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풍부하게 묘사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박물관 교육에 관한 연구대상자들과의 친 밀한 관계형성을 토대로 심층면담을 적용하여 탐구해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초등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강남구청 파견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례,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특수교육 보조원 배치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2002년부터 정책적으로 실현되는 단계에 있다. 그러나 통합지원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실태파악 및 역할규명에 대한 현장 적용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특별시 강남구청 초등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에서 지원을 받아 통합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육 보조원 10명을 대상으로, 질적면담 방법과 이에 대한 질적 자료 분석이라는 연구 방법을 도입해 좀 더 현장 중심적인 목소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접 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제는 다음의 7가지로 요약된다. 1) 보조원의 개인적 요인,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4) 담임 교사와의 관계, 5) 특수학급과의 관계, 6) 부모와의 관계, 7)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개선안.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이 추후 실행 과제로 제안되었다. 1)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진행,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화 시행,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정립과 담임교사와의 역할 경계 지침 마련, 4) 담임교사의 통합에 대한 인식변화와 자질 향상을 위한 지원, 5) 특수교육과의 상호보완적 위치의 확립, 6) 장애아동 부모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7) 통합을 위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의 실시. The inclusion became the basic educational righ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2002, the paraprofessional system was actualized, who supported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general class. But studies on the picture and the role of paraprofessionals were rare, especially in Korea.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the conditions of paraprofessionals and to develop the directions for this system.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with concerned, to convey the vivid voice of conditions of paraprofessional system. The interviews were focused on 10 paraprofessionals as followed contents : 1) personal informastion, 2) the reason to working as paraprofessionals, 3) practical role, 4) difficulties in paraprofessionals, 5) meaning worthwhile, 6) difficulties in inclusions, 7) in-service training program to receive. And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summarized as seven major themes, 1) personal variables of paraprofessionals, 2) system related issues of paraprfessionals, 3) roles, 4) relationship of parents, 7) direction for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who concerned, the role clarification of paraprofessionals and other suggestions were discussed as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STEAM기반 경제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권미영,차국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STEAM기반 경제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점과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관련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과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면담과 포커스그룹면담의 내용을 분석 후 도출한 대주제는 심층면담은 ‘접근방법이 달라야하는 교육’과 ‘STEAM기반으로 하는 경제교육’이고, 포커스그룹면담은 ‘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STEAM기반 경제교육’과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한 STEAM기반 경제교육’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의 참여자는 특성이 다른 장애학생에게는 접근방법이 달라야하기 때문에 STEAM교육과 STEAM기반으로 하는 경제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포커스그룹면담의 참여자들은 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STEAM기반 경제교육을 계획하고 프로그램의 모델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STEAM기반 경제교육을 실행할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부모 면담에 참여한 유아 교사 경험의 의미

        김혜정,이대균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parent interview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parent interviews in various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 pre-interview, two in-depth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 for about 6 months from April 23 to November 8, 2018. The positive experiences were 'I can understand children better through the interviews‘; ‘I can build trust with the parents‘; and ‘I can be a professional to the parents‘. The negative experiences wer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interview time‘; ‘I do not know what to say‘; ‘It is difficult because of parents with selfish attitudes or parents ignoring teachers‘; and ‘It's not only physical but also mental‘. 본 연구는 부모 면담에 참여한 유아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부모 면담에서 교사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고,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 면담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018년 4월 23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6개월간 예비 면담, 1ㆍ2차에 걸친 개별 면담, 연구자의 저널 등을 가지고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를 통해 연구한 결과,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면담을 통해 아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 부모님과 신뢰를 쌓을 수 있어요 / 부모님께 전문가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요’의 내용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경험으로 ‘면담 시간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요 /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 교사를 무시하거나 이기적인 태도의 부모님 때문에 어려워요 / 육체적인 것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힘들어요’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 활용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미국 교사들을 중심으로 -

        신경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Student-Led Conference(SLC) has gained attention as a successful example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 teachers who practice SLC in their classroom. My research uses a phenomenological method. Five American teachers participated in my research. I found that American teachers set educational goals individually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s. They also connected the SLC preparation with their regular curriculum. The several different evaluation data of SLC were mailed to the parent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ere assumed to be leading academic performers and parents established a strong bondage with teachers and their own kid in the learning community. 최근 미국 교육에서는 기존의 학부모 교사 면담을 수정한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을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활용한 미국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5명의 미국 중학교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 준비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심에 흥미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정규 수업과 연계하여 진행하였으며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을 진행하면서 단순히 학업성취 외에도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자료는 학습자 중심 학습면담 이후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주도적인 학업 수행자로 가정되었으며 학부모들은 자연스럽게 학업 공동체에 포함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장기구득 면담대화의 대화이동 연속체 원형

        박용익 한국독어학회 2022 독어학 Vol.46 No.-

        Eine der wichtigsten Bedingungen für die effiziente Ausführung des Interviews ist der Überblick des Koordinators darüber, wie die Familie auf seine Anfrage nach der Organspende reagiert hat und wie er auf ihre Reaktionen wieder reagieren kann. Dieser Überblick ermöglicht dem Koordinator, den Verlauf des Interviews vorauszusehen, die Reaktionsmöglichkeiten je nach der Reaktion der Familie zu planen und sich darauf vorzubereiten, in dem Interview angemessen kommunikativ zu handeln.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ausgehend der Theorie der Dialoggrammatik und der Methoden der Qualitativen Forschung das Zugsequenzmuster der Frage nach einer Organspende zu rekonstruieren. Nach dieser Untersuchung wurden insgesamt sieben Typen von Reaktionen der Familie des hirntoten Menschen auf die Frage des Koordinators nach einer Organspende festgestellt: Ablehnung des Interviews, Zustimmung zur Spende, Ablehnung der Spende, Verschiebung der Entscheidung, Misstrauensäußerung, Zornesausbruch, Unverständnis. Weiterhin wurden die Reaktionsmöglichkeiten des Koordinators auf die Typen der Reaktion der Familien herausgestellt. Ein Sinn dieser Untersuchung besteht darin, dass das Zugsequenzmuster der Organspendeanfrage für die Ausbildung von unerfahrenen Organbeschaffungskoordinatoren gebraucht werden kann. Das Sequenzmuster ist auch für den erfahrenen Koordinator hilfreich, um die Struktur des Gesprächsverlaufs zu überblicken, das Interview zu planen, sich darauf vorzubereiten und das Interview effizient auszuführen. Ein weiterer Sinn dieser Untersuchung besteht darin, dass die germanistische Dialogforschung eine Methode zur Lösung von Kommunikationsproblemen der koreanischen Sprachgemeinschaft hisichtlich der Organspende vorweisen kann und damit eine praktische Anwendungsmöglichkeit der germanistischen Dialoganalyse bewiesen hat. 장기구득 코디네이터가 효적적으로 면담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 가운데 하나는 자신이 뇌사자 가족에게장기기증을 요청했을 때 가족이 어떻게 반응하고 그 반응에 대해서 코디네이터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대해서, 즉 대화의 진행과정 전체에 대한 조망 능력이다. 이 연구는 대화문법론의 이론을 토대로 하고 질적 연구를 활용하여 장기구득 코디네이터의 장기기증요청으로 촉발된 대화이동 연속체 원형의 재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장기구득 코디네이터가장기기증 요청을 한 데 대해서 뇌사자 가족은 대화거부, 기증동의, 기증거절, 결정유보, 의혹제기, 분노표출, 이해불능 등 모두 7개의 유형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는 그러한 7개의 반응에대해서 코디네이터가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법이 체계화되어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장기구득 코디네이터가 장기구득 면담의 진행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데에서이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장기구득 면담의 진행과정에 대해서 잘 알지못하는 신입 코디네이터의 면담 수행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 연구의 또 다른 의미는이 연구가 독어학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의 언어공동체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도구와 방향을 제시하였고, 응용 대화분석 연구의 실용적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