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진학결정수준과 준비행동에 따른 진로결정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홍성표,정진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assific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classification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he data was gathered by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for first and seco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tal of 648 out of 7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627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he Mplus 6.0 and R 3.3.1 were used to analyz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latent groups of career decision making. The names of the groups were ‘low preference of employment-non behavior’ group, ‘high preference of employment-high employment behavior’ group, ‘middle preference employment-exploratory behavior’ group, ‘career indecision-non behavior’ group, ‘high pursuing higher education-high pursuing higher education behavior’ group. Second, the valid factors of multinominal probit analysis which took a reference group was ‘high preference of employment-high employment behavior’ were Awareness of discrimin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school’s education, educational aspiration, motivation of entrance, economic level of family, school achievement.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us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be enforced to facilitate employment. and provide precise, various information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s which facilitat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needs to be more active. third, the career counseling and experience programs should be extended and upgraded to their qu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유형을 도출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확인하며 이들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특성화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으로 층화군집비율 표집을 사용했다.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648부가 회수(92.6%)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자 및 이상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27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위해 Mplus 6.0을 사용했으며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R 3.3.1을 사용하여 다항 프로빗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유형은 5가지가 도출되었으며 그 특성을 반영하여 ‘약한취업선호-미행동’집단, ‘강한취업선호-강한취업행동’집단, ‘보통취업선호-탐색행동’집단, ‘진로미결정-미행동’집단, ‘강한진학선호-강한진학행동’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차별인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 교육만족도, 개인의 교육 포부, 학업 성취(일반, 전문교과), 가정 경제 수준, 부모의 교육 기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직업교육 체제와 관련하여 선취업후진학 체계를 강화하고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내에서 졸업 후 비전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등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반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상담 및 체험 횟수가 매우 적은 만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준비경험 및 지원요구

        정소영 ( Jeong So-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준비경험과 지원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진학 결정 요인, 대학진학 준비, 제공받은 대학진학 지원, 대학진학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를 알아 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고등학생 20명, 대학생 40명으로 총 60명이었고, 장애유형별로 구분하여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발달장애학생을 고르게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면담지를 개발하였고, 참여자의 지역을 고려하여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학과를 결정하였고, 부모와 선생님이 대학 선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대학진학 준비는 졸업학년에 임박해서 준비하였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장애학생은 장애 특성에 적합한 수험서를 제공받지 못하는 어려움과 학교차원의 대학진학 지원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지 않아 진학정보가 부족하다는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장애학생에 대한 대학진학 지원 정책은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지원정보 통합사이트를 구축해서 대학정보, 수험자료 등을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대학 진학률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paring to advance into college. It investigates determining factors when selecting a college, preparing to advance into a college, any support received for college advancement, and the needs toward policies that address college advancement. A total of 60 students, including 20 high school students and 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participants chose their majors with considerations to aptitu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ability, and parents as well as teachers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choices regarding college advancement. Students prepared college advancement near the final year of high school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cluding the lack of customized preparatory materials develop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isabilities, and they complained the lack of information on college advancement due to the small number of programs that support college advancement at the school level. Compared to non-disabled students, policies to support college advance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not implemented in an orderly manner, and students demanded the government to provide college information, resources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etc. by creating an integrated college information website.

      •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대학원 진학 결정요인 분석

        이영민,임정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impacted on university graduates’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of KEIS. We analyzed 2,015 graduates who moved to three types of graduate schools, which means general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y demographic and family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degree and educational years of parents in highly income family were more likely to enter graduate schools. Second, by university characteristics, students who gradu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majored in science and technology, received the scholarships were more likely to enter graduate schools. Third, depending on the types of graduate school, gender, income, age, and major series have impacted the entrance of students and what types of graduate school they entered.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졸업생의 대학원 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자료에서 파악된 2,015명의 대학원 진학자들이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 가구소득, 부모의 교육연수 등 개인 및 가족변인에 따라 대학원 진학여부에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의 교육연수가 많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대학원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기타 지역에 비하여 대학소재지가 서울일수록 대학원 진학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전공생일수록, 전공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에 만족할수록 대학원 진학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대학원 유형별(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진학자들의 개인 및 가족, 출신대학 특성 등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일반대학원진학자의 경우 특수대학원이나 전문대학원에 비해 공학, 자연계열 전공자들이 비슷한 전공을 따라 동일대학으로 진학할 가능성이 높았고, 특수대학원의 경우 타 대학원 비해 다소 연령이 높고, 직장에 재직 중인 시간제 학생일 가능성이 높았으며, 전문대학원의 경우 가구소득과 부모의 높은 교육연수 등 가족관계 변인에 영향을 받는 가능성이 높았다.

      • KCI등재

        The Study of Parents'Satisfaction towards School Educa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Decision-Making on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for Their Child with Disability

        이지경(Lee Ji Ky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arents' satisfaction towards their children's school education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decision-making on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of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which contained the responses of 162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who enrolled in regular high schools, was used for the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As a result, provision of college entrance related information/consultation,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level, collaboration/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and overall schoo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decision-making on their children's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Also, mothers' educational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decision-making on their children's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관계되는 부모의 자녀학교교육 만족도와 배경변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일반 고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고등학교 3학년 장애학생들의 부모 162명의 반응이 담긴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자료(부모 설문지)가 이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퍼센티지, 표준편차를 산출해주는 기술통계,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산출하는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해 주는 카이검증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학교 교육만족도를 조사한 세부문항 중 '대학진학과 관련한 정보제공 및 상담','장애학생의 학습능력향상','장애학생들의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관계', 마지막으로'학생들을 위한 전반적인 학교교육'이 부모들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배경변인들 중'어머니의 학력'이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차이(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도움을 줄 구체적인 지원방법들이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에서 제시되었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교육기부자, 진로진학상담교사, 학생의 직업체험 성과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

        김옥선(Ok-Sun Kim),권정언(Jung-eon K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현장 중심의 직업체험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보다 실효성 있는 직업체험의 성과요인을 밝히고자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서 청소년 직업체험에 참여했던 우수 교육기부자 10명, 진로진학상담교사 10명, 직업체험 참여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30명이다. 연구방법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이며, 연구절차는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예비설문을 통해 직업체험 성과요인을 위계화한 후 쌍대비교 항목을 통해 측정하여 집단별로 비교 ·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제1계층인 직업체험 성과요인에 대한 5개 영역에서 ‘진로역량 강화 및 교육’이 세 집단 모두 중요도가 높았다. 반면 중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영역은 교육기부자의 경우 ‘직업체험 제공방식의 정교화’, 진로진학상담교사는 ‘국가수준 및 시도 차원의 지원’, 학생은 ‘직업체험 운영 및 행정의 효율성’으로 나타나 집단별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2계층에서는 진로역량 강화 및 교육 영역의 경우 ‘직업체험 담당자 교육’, 국가수준 및 시도 차원의 지원 영역에서는 ‘국가수준의 직업체험 활동 지원체제 구축’이 세 집단 모두 중요도가 높았다. 직업체험 제공방식의 정교화 영역은 ‘직업인과의 개인 면담’이 교육기부자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중요도가 높았지만, ‘일터를 제공한 전문가와 멘토/멘티 관계 제공’은 학생에게 중요도가 높았다. 직업체험 운영 및 행정의 효율성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시행에 대한 예산과 시간 배정’이 세 집단 모두 중요도가 높았다. 체험처 운영관리 영역은 ‘학생이 직접 체험처 발굴, 참여하는 방안 마련’이 세 집단 모두 중요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주체 간 직업체험 성과요인에 대한 공통된 인식과 인식 차를 분석,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직업체험 운영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to find out performance factors for more efficient work experiences as the importance of the on-site work experiences is getting bigger with the free-learning semester to be implemented in 2016. The study targets are 10 excellent education donators in A, Gyeonggido, 10 career teachers, and 30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work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r pairwise comparison, areas with sub-factor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factors for work experiences were ranked in hierarchy and suggested as pairwise comparisons based on reviews of relevant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and preliminary surveys. As a result, in the 5 scopes about the work experience result factor which was the 1<SUP>st</SUP> hierarchy of AHP, the course ability strengthening and education was the 1<SUP>st</SUP> priority that meant it was the most important. The scope of which importance was the lowest with the 5<SUP>th</SUP> ranking was the, Education donators elaborated the work experience contents, career teachers supported the national level of the municipal resources, and students showed a difference among groups by the work experience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on. In the 2<SUP>nd</SUP> hierarchy, the course ability strengthening and the education scope was the work experience manager education, the national level and municipal dimension support scope was the nation-level work experience activity support system. All of three groups had a high importance. In the elaboration scope of the providing work experience scheme, the individual interview with work person was highly important in the education donators and the career teachers but the mentor/mentee relation provision and the workplace-providing experts were important to students. The work experience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scope was important in three groups in the budget and time arrangement. The experience operation management scope was important in three groups when students directly excavated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