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동기와 전략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멕시코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김순성,김주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0 국제경영리뷰 Vol.24 No.2

        본 연구는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진출동기와 현지 사업의 전략유형 및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진출 동기 중 ‘동반진출여부’와 ‘저렴한 인건비’가 멕시코 진출 시 투자액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최근 5년의 투자액에 대하여는 ‘동반진출여부’와 ‘저렴한 인건비’ 외에 ‘신기술’이 양(+)의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지에서의 R&D 관련 활동 등 기술역 량의 특성이 관찰되고 있다. 그러므로 진출동기의 투자액에 대한 관계와 진출 기업의 전략적 역량(기술역량, 경영관리역량, 시장연결 역량) 특성을 고려할 때, 진출 초기에는 자원추구와 시장추구 동기 하에 전략유형이 비용절감, 고객네트워크에 강조를 둔 ‘분석형 (analyzer)’으로 나타나고, 진출 후에는 전략적 자산추구 동기가 반영되어 비용절감, 고객네트워크 외에 기술에 대한 탐색과 관련 역 량 특성도 나타나고 있어 ‘선도형’과 ‘방어형’의 특성을 모두 추구하는 ‘분석형’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는 이전 연구에서 해 외진출과 관련되어 논의되어 온 신흥국 다국적기업(MNE)의 전략 추구와 실행의 양면성(the ambidexterity)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firms’ entry motives and strategic type when operating in Mexican market. The results show that ‘following customer’ and ‘low labor cost’ ar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investment in the initial period of entry. On the other hand, ‘new technology’ is a significant factor with a positive sign in addition to ‘following customer’ and ‘low labor cost’ affecting the investment level during the recent 5 year period. As a part of technology capabilities, R&D related activities by the sample firms in the local market are observed. Considering the motives of entry into Mexican market and its relationship to the investment level along with strategic capabilities such as ‘technology capabilities,’ ‘management capability,’ and ‘market-linking capabilities,’ the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an analyser as a strategic type are observed among the firms.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er focusing on the cost reduction and the customer networks are found among the sample firms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investment. Those can be also regarded as the traits of defender with a motive of resource seeking and market seeking in entering Mexico.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er are reinforced in a way of sharing with both traits of ‘prospector’ and ‘defender’ with a motive of strategic asset seeking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to the investment level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Drawn on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er pursuing both as prospector and defender, the ambidexterity of MNEs from emerging economies in the international expansion which has been argued in previous literatures can be suggested as one of potential interpretation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한ㆍ일 대형할인마트 해외진출 전략

        김영(Kim Young),요시모토 코지(Yoshimoto Koji),김장현(Kim Janghyun),유성용(Ryu Sungyong) 한국유통학회 2010 流通硏究 Vol.15 No.5

        최근까지 국내 유통산업 성장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온 대형할인마트 시장이 점차 업체들 간의 치열한 출점경쟁에 따른 내수시장의 포화상태 및 수명주기단축 등 성장의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이러한 국내시장의 한계에 따라 대형할인마트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해외 신규매장 진출, 혹은 해외 유통체인 인수, 그리고 단순 글로별 출점뿐만 아니라 글로별 소싱전략 등을 통한 다양한 해외시장 진출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는 유통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후진국인 아시아지역 국가들에 선도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진출을 해왔지만 1980년대 후반 이후 아시아 경제가 급성장하게 되면서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유통기업들의 아시아시장 진출이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을 필두로 해서 경제 발전 속도에 비해 유통서비스산업 등이 상대적으로 선진화되지 못한 아시아시장은 서구선진국 글로벌 유통기업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탈출구로써 활발하게 진출이 행해지고 있는 시장이다. 이미 많은 유통기업들이 중국 등 아시아시장 진출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인해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였다. 유통산업, 특히 대형할인마트의 아시아시장 진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후발국가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진출의 원인과 과정이 우리와 유사한 일본 대형할인마트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대형할인마트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Large-scale discount stores, that were in charge of leading role up to recently, reach the limit of growth because of increasing competition, saturation of domestic market, and shortened product life-cycle. As per the limit of domestic market, large-scale discount stores are trying to various global market entry strategy and global marketing strategy like new store entry, takeover of foreign distribution chain, and global sourcing strategy. In the past, global companies of advanced country have been entering to Asian market with leading position. But, as per the rapid growth of Asian economy in the late 1900's, East Asian distribution companies like japanese company were trying to enter the Asian market. In Asian market, starting with China, that was relatively not advanced in comparison with economic development, not only western advanced countries but also East Asian countries like japan and Korea are entering actively for overcome their limitations of domestic market. Many of distribution companies experienced success and failure for various reason already. Korean large-scale discount stores are relatively late starters in Asian market. So, this paper purposed to review global market entry strategy of japanese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find out strategic implications for successful global market entry strategy of Korean large-scale discount stores.

      • KCI등재

        한국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 사례연구: 하나은행의 BIDV 지분인수 투자를 중심으로

        강희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5

        한국 금융회사들은 1960년대부터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해외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된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은 진출 국가와 진출 방식이 점차 다양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라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은 전세계적인 현상이 되고 있으며, 이는 다국적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문은 최근 한국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 사례로서 하나은행의 베트남 투자개발은행(BIDV) 지분인수 투자 사례를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 이후, 지분인수 투자의 내용과 의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국내 은행이 단행한 역대 최대 규모의 해외 전략적 지분인수 투자로 평가되는 이번 투자는 한국 금융회사들이 그동안 해외진출에 주로 사용해오던 진출 방식과 구별되는 진출 방식과 비즈니스 모델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한국과의 경제적 교류가 밀접해지고 있는 베트남의 현지 대형 은행에 대한 투자를 통해 협업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에 사례연구를 통해 금융회사의 신흥국 진출시 고려사항과 해외진출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고, 한국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관련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Korean financial companies have consistently pursued global expansion as a key component of their growth strategies since the 1960s. These efforts, which gained momentum in the 2000s, hav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terms of target countries and entry modes. As the world economy has become globalized, the expans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into global markets has emerged as a widespread phenomenon, attracting scholarly attention and being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ories applicable to multinational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s a recent case of a global expansion strategy by a Korean financial company, specifically Hana Bank's equity acquisition investment in the Joint Stock Commercial Bank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Vietnam (BIDV). This investment, recognized as the largest strategic global equity acquisition by a Korean bank, represents an entry mode and business model that diverge notably from those primarily employed by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for fostering cooperation with a major local bank in Vietnam, aligning with the growing econo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Vietnam. The study begins with a discuss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global expans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followed by a detailed analysis of the investment case, its strategic significance, and broader implications. Through this case study, practical insights are provided regarding the considerations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account for when entering emerging market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mpetencies for global market entry. The study concludes with propo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장규수(Jang, Gyu-Soo)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

        한국의 대중음악 또는 가수의 해외진출은 음악 산업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운명적인 결과였다. 디지털시대로 접어들며 국내 음악시장의 한계와 음반 산업의 침체가 심화되어 해외진출은 필연적인 선택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러한 해외진출 붐은 한류가 시작되며 한국 TV드라마의 인기가 한국 스타, 한국 음악에 대한 인기로 번졌고, 1998년 H.O.T의 중국 음반이 발매되며 한국 대중음악의 중화권 진출로 이어졌다. 이후 2001년 SM엔터테인먼트의 보아가 일본에서 데뷔하여 성공을 거두면서 너도 나도 해외진출을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한국 음악과 가수의 해외진출 붐은 거품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2000년대 들어서며 많은 연예기획사의 코스닥 상장 붐이 일었고, 이후 해외진출 계획을 발표하며 기대치를 만들었지만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 별다른 성과를 못 내고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 데뷔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볼 때 한류를 통한 한국 음악의 해외진출의 경우 내적·외적 환경을 고려해야 한 것인데, 현지 문화의 이해와 진출 전략이 선행되고, 각 나라별 수준에 맞춘 음악, 외모, 언어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일방적 문화전달의 한계를 깨닫고 정책적, 산엽적 문화교류의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의 대중문화 특히 음악 산업은 한류와 코스닥 상장 붐을 겪으며 디지털 시대로 지나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정체되어 있는 현실이다. 이에 법체계와 문화 그리고 수용자 층이 다른 나라로 진출하고자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것은 아닌지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The expected, but sudden and rapid, evolution into a new era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ignited both K-pop (Korean popular music) and related entertainment businesses to follow a natural progression towards overseas markets. This new, digital era s sudden attack has heavily affected the entir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to consider advances into the international market due to the serious recession of the domestic market, most norably in album sales. This booming, or massive expansion of the foreign markets influence on domestic entertainment, has acted as the engine of change for the industry with regards to Korean singers, soap operas, and the K-pop gen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O.T. and the don into China s markets in 1998 as well as BoA, with SM entertainment, who has had hits in Japan s pop charts, this spreading of Korean pop culture abroad has led to a movement known as Han-Ryu or Han Wave . Since then, many Korean entertainment firms have announced plans and strategies pertaining to expansion into foreign markets. One such example is that many firms added their corporate names to the KOSDAQ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in 2000. However, none of them have shown impressive results and some of them could not even make a successful debut record within the domestic pop charts until recently.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ountry s culture, specific knowledge of its sryle of music, preferred pop star image, and dominant language are essential to setting up a well-ordered strategy aimed at entering foreign markets. I think it is time for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to do a self-examination regarding whether they are willing to consider and stud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nfluences or not. Additionally, it is time to try to find a new concept driven approach and other appropriate ways to further develop the entertainment business: i.e., we should also try to incorporate into our expanding culrural exchanges political and industrial based concepts. Currently, Korean pop culture is facing stagnation as it goes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from navigating growth in a stock-listed based market into the digital era. We should seriously ask ourselves about the necessity of adapting to a booming expansion that requires the difficult task of overcoming completely different law systems, cultural backgrounds, and consumer demands.

      • KCI등재

        삼성전자 해외시장 진출전략

        류주한(Joo Han Ryoo) 한국경영학회 2011 Korea Business Review Vol.15 No.3

        본 연구는 LCD 업계 세계1위인 삼성전자 LCD 사업부의 유럽시장 진출 전략을 중심으로 그 진출과정을 분석하 였다. 구체적으로 동유럽 3개국 45개 지역 중 최적지역을 선정하기까지의 검토과정을 진출동기, 진출방법 및 진출규 모 그리고 진출국가 및 입지선정을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진출 동기로서 외부 환경적 요인, 전략 적 요인을 고려하였고 진출방식은 과거 경험을, 진출범위는 경쟁사 사례와 후퇴전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 다. 진출국가 및 입지선정은 진출국의 정치, 경제상황 및 정부지원규모, 인력수급 및 노동환경, 물류비용, 주요 거래 업체의 향후 진출 동향을 중심으로 고려하였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한국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시 진출국 및 입지를 선정함에 있어 판단 근거를 제시하는 한편 본 교육용 사례를 통해 실무자 및 학습자들에게 해외시장진출 업 무를 간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amsung Electronics` LCD Business Unit and its European market entry strategy which was undertaken from 2006 to 2008.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how and why the LCD business Unit had chosen Slovak Republic as its LCD module production site. Given this ques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tivation, mode of entry, scale of entry and site selection process based on in-dept cas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LCD Business Unit considered external factor and strategic factor to justify their European market entry decision. The company relied on past experience to decide the mode of entry, while the company decided the scale of entry based on competitor`s case and convenience of exit strategy. To select the best site from 45 potential ones located in Poland, Slovak and Hungary, the company examined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 size of government assistance, labor market environment, costs of inbound and outbound logistics and strategic movement of client companies. Implication and further investigational issues are provided after the analysis.

      •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인도 진출전략

        최순규(Soonkyoo Choe),이재은(JaeEun Lee)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8 연세경영연구 Vol.45 No.1

        본 사례는 한국의 대표적 다국적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인도 진출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증대되는 신흥시장인 인도의 독특한 시장특성을 먼저 살펴보고,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전략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두 기업의 전략이 인도시장에서 갖는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본다. 삼성전자의 경우 글로벌 표준화전략을 바탕으로 고소득층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리미염 전략에 주력한 반면, LG전자는 생산, 유통, 조직, 마케팅등 경영 전반에 걸친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인도시장에 접근하였다. 두 기업 모두 인도의 가전시장에서 관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많은 한국의 다국적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일각에서는 현재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삼성전자의 글로벌 표준화 전략보다는 LG전자의 현지화전략이 인도의 상황에 더 적절한 전략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 두 가지의 전략을 비교해 볼 때 어떤 전략이 더 좋은 전략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신흥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다국적기업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a comparison of the entry strategies to Indian market between the most well know Korean MNCs,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Looking into emerging Indian marke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se two companies’ different entry strategies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ir entry strategies in Indian market. Samsung Electronics presented ‘Premium’ strategy that targeted the high-income bracket consumers. LG Electronics on the other hand, entered Indian market with customization strategy on production, distribution, organization, and marketing. They both achieved impressive performance, but LG’s performance in general was better than Samsung’s in the Indian market. Based on the observ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guideline to those Korean MNCs that are deliberating to enter emerging market in near future.

      • KCI등재

        (주)블랙야크의 글로벌 진출전략

        강태선(Tae-Sun Kang),고영희(Young-Hee Ko)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1

        한국의 중소중견기업들은 국내 시장 환경에서의 성장과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해외진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각기 다른 시장에서의 산업 환경에 대응하고 현지기업들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각 시장의 특성에 적합한 진출 전략과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블랙야크는 최근 중국시장을 시작으로 유럽과 미국시장에 대한 동시 진출을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넒은 지역을 동시 공략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투자인 만큼 글로벌 역량 축적과 함께 빠른 기간 내에 성과를 제고해야 하는 전략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성숙기에 접어들어 수익성이 감소하고 있는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상황을 감안할 때 블랙야크 입장에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블랙야크는 비교적 빠른 시기에 진출을 시도했던 중국 시장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의 경쟁은 치열하지만 국내 기반의 제품으로 시장에서의 문화적 현지화 등을 강조하며 진입에 성공하였다. 반면 유럽 시장에서는 성숙기에 접어든 아웃도어의 종주국에 진입하기 위해서 블랙야크의 차별화된 디자인과 이미지는 강점이 되었지만 디자인과 기술력의 결합과 국내 시장과는 상이한 유통 구조에 대한 접근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경쟁우위 축적을 위한 적극적인 협력전략이 시장 진출에 가장 중요한 전략이 되었다. 미국 시장 또한 전 세계 단일 시장 1위의 아웃도어 시장규모를 보유하고 있지만 미국 브랜드들의 강세로 글로벌 브랜드들의 진입이 쉽지 않은 시장이다. 따라서 블랙야크는 미국의 현지 브랜드인 나우를 인수함으로써 블랙야크의 도시형 아웃도어 브랜드 라인을 구축함과 동시에 미국 시장에 블랙야크를 진입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적극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에게 축적된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합한 진출과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 Korea are seeking for the strategies to advance into the overseas market for sustainable growth based on their growth and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domestic market environment. However, in order to respond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of different markets and compete with local companies, they need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market expansion and localization to mee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One of the domestic outdoor clothing brands, BlackYak, has been advancing into the European and the U.S. markets at the same time, starting from the Chinese market. As enormous resources and efforts need to be put in to target such wide areas simultaneously, the companies are faced with the strategic tasks to accumulate global capacity and improve the achievements as soon as possible. In addition, given the circumstances of the domestic outdoor clothing market with reducing profitability as it reached its maturity, BlackYak needs to focus on improving its effec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and make tangible achievements. This case study will suggest the proper strategic implications for advancement into the global market and localiz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competitive edges of the domestic small and medium companies, which are proactively seeking for the strategies to enter the overseas markets.

      • KCI등재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

        안창현(Ahn Chang-Hyu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본 논문은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글이다. 한류의 성공은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는 동시에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그런데 최근 들어 중국문화콘텐츠 시장의 규모 확대와 함께 중국 업체들의 자체 제품 생산능력이 향상되고, 중국 정부의 자국 문화콘텐츠산업 육성과 보호를 위한 일련의 다양한 진흥과 규제정책으로 인해 새로운 중국문화시장 진출 전략이 요구되었다.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은 크게 중국 사회?문화와 정부정책 교육을 통한 기획능력 강화 전략과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제작과 판매 전략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사회ㆍ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감성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제품의 문화할인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총체적인 전략을 설정하는 기획단계에서 필수적인 고려요소이다. 이 때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할 문화적 정서는 중화사상이다. 사회문화로는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문화가 있다. 중국 문화산업은 국가 경제 발전계획의 틀 안에서 정책이 수립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을 파악하면 시장의 변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중국정부의 강력한 규제 중심의 보호정책과 규제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때 기회가 발생한다.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제작과 판매 전략에서는 첫째, 공동의 이익추구인 네트워크 전략이 있다. 이 전략에는 우선 중국 특유의 꽌시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공동제작과 같은 합작전략 혹은 합자회사 설립을 통해 제작과 판매활동이 있다. 네트워크 전략은 중국인들의 고유한 문화정서와도 잘 맞아떨어지며, 우리기업들에게도 제작ㆍ유통 경비의 절감과 위험 분담이라는 장점이 있다. 우리가 단기간의 이익 추구보다 장기적인 공동의 이익 추구를 위해 중국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최상의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이다. 둘째, 유통망 참여와 Testing-Bed 확보전략이다. 예를 들면 중국의 영화 유통망건설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한국형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같은 유통망을 건설한다면, 한국 영화가 상영될 수 있는 근거지 확보와 한국 영화의 중국 Testing-Bed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셋째, 중국문화 시장 주 타깃은 도시지역 거주자와과 청년계층이다. 넷째, 전자출판 인터넷TV, 핸드폰TV, 인터넷 문화콘텐츠 시장, 캐주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 새로운 중국 문화시장 개척 전략이다. 결론적으로 방대한 중국 시장에서 단독으로 마케팅을 전개하는 것은 한계가 뚜렷하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으며 실력을 갖춘 중국 현지 파트너를 찾아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이것은 기술,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등 우리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일정 부분 중국에 내놓아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익을 공유하는 전략이다. 한국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인적자원과 중국이 가지고 있는 시장과 마케팅 능력을 결합하여 상호 시너지 효과를 얻을 때 장기적인 신뢰관계가 구축되고 서로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한국과 중국은 서로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협력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물류기업의 필리핀 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대신택배 국제운송사업부의 투자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정,정진섭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4 국제경영리뷰 Vol.18 No.2

        본 연구는 물류기업인 대신택배에서 필리핀(Philippines) 시장을 대상으로 시행한 실제 투자 조사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물류기업에게 실효성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투자조사는 국내에서의 사전 문헌연구와 필리핀 현지 방문조사로 이루어졌다. 현지조사는 필 리핀의 주도인 루손(Luzon)섬 북부의 바기오(Baguio)시, 산 페르난드(San Fernando)시, 경제 자유지역(PPFZ)이 중심이 되었으며, 조사 분야는 산 페르난드 공항과 항만, 바기오시의 물류 운송시장, 금광개발사업 및 관광상품개발과 연계한 물류사업 가능성, 경제자유지역의 부지 임대 및 물류시설 투자 타당성 등 6개 분야가 현지조사의 초점이 되었다. 연구결과, 추진 가능 한 진출전략으로는 우선 국제특송(Global Express) 분야의 진출이며, 진출방법은 초기 진출시 투자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수탁 계약방식에 의한 영업소의 신설방법 또는 현지 운송업 체와 국제특송 부문을 전략적 제휴하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향후, 먼저 진출한 국제특송 사업분야를 기반으로 필리핀 경험을 축적하고 우호적인 사업환경을 조성하여, 기회요인 도래시 잠재 사업분야에 선제적 투자 및 진입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해외진출사업 영역으로서, 한국의 물류산업에서 그 경쟁력이 미약하고 학술적으로도 활성화되지 않은 국제특송 분야에서의 전략적 해외 진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기타 해외진출전략 분야의 이론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고, 관련된 전략적 사사점도 도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tual case of investment investigation subjecting on Philippines Market by Daesin International Transport Co., Ltd. and to suggest an useful strategic implication to Korean logistics firms. Investigation of investment was made by prior literature review in Korea and by visiting to Philippines. Investigation at Philippines focused on Baguio city, San Fernando city, and Free Economic Zone of northern parts of Luzon island which is a main island of Philippine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six areas such as airports & ports in San Fernando, logistics & transport market in Baguio city, the possibility of logistics connected to gold mines development & touring items development, site rental in Free Economic Zone, and validity of investment in logistics facilities. As a result of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area of entry strategy to promote is first global express and as an entry mode, it is appropriate to newly establish global express office by consignment contract to minimize investment costs at the beginning of the entry or to strategically go into partnership in global express. Then, it is known that in future, accumulating experiences and creating friendly business environment at Philippines market based on global express field which is entered first. Also, it is known that when finding a chance factor, preemptive investment and entry to potential businesses should be made. This study suggests entry strategies at global express which has a weak competitive power in Korean logistics industry and has not vitalized academically as an overseas entry businesses of logistics firms. In addition, it has a meaningful implication which can practically prove and verify academic theory of overseas entry strategy in global management through actual cases of logistics firms.

      • KCI등재

        인도의 경제현황 및 한국 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박영민,이종건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세계지역연구논총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the Indian market under the global environment, to present strategies for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Indian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meaning of India’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as a whol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Indian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desirable for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high-tech industry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and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the proper parallel rather than selecting only one of the standardization strategies when entering the Indian market. Seco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astes of locals to enter the market stably and to pursu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parallel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a global brand after gaining a certain competitive edge. Third,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the restaurant industry such as fast food in India are likely to have a localization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astes and business environment of Indian locals. Finally,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manufacturing sectors such as Hyundai Motor Co. in India will be desira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strateg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rporate presence through thorough market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model of products to be launched in the Indian market.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환경 하에서 인도시장의 국내외 정세를 살펴보고, 한국 기업의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실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국내외 기업들의인도시장 진출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첨단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시장 진출시 현지화 전략이 표준화 전략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여 추구하기보다 현지화 전략과 표준화 전략을 적절하게 병행하여추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기업들은 현지인들의 특성과 기호를 반영한 현지화전략을 추구하여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하고, 일정한 경쟁력이 갖추어진 이후에는 글로벌브랜드로서의 입지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표준화 전략을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인도에서 패스트푸드와 같은 외식산업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현지인들의 취향과 경영환경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인도에서 현대자동차와 같은 제조업 분야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해 기업 진출의적절성을 결정하고, 인도시장에 출시할 제품의 모델을 결정하는 전략의 수립 및 추진 필요성을제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