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진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민정,한주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In a view of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 success and competing power of organizations depend on committed, highly motivated and satisfied human resources. Empowerment is mainly concerned with establishing and building trust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and motivating their participation. Also, behavioral integrity emphasiz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leaders has shown as direct action that strengthens positive consequences in organizations. However, research regarding behavioral integrity is very limited.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behavioral integrity is also analyz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298 employe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uggest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their work engagement. Second,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is stronger in the group with high behavioral integrity. Contrary to the prediction, the result doesn't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empowering leadership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함에 있어서 행동적 진실성이 수반될 때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욱 강해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과 행동적 진실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40대 이하 직장인 28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행동적 진실성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다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켰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직무열의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행동적 진실성이 높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행동적 진실성이 낮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은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과 책임, 자율성을 기반으로 업무수행 과정에서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의 향상을 경험한다. 따라서 기업은 관리자 계층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강화하여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을 높이는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행동적 진실성은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실무자들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구성원 개인이 내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실한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 대한 고찰

        안화용(Hwa-Yong Ahn),한인수(In-soo Ha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3 경영경제연구 Vol.35 No.2

        최근 리더십 이론에서 진실한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990년대 이후를 장식한 변화창출의 리더십들이 조직성과에 진실로 기여하는 바에 대한 실망과 회의로 인해 조용하면서도 윤리적이며 내실있는 리더십에 대한 기대가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긍정심리학에서 도출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조직구성원이 희망, 신뢰, 긍정적 감정 및 낙관주의적 사고를 하고 있다면 그 조직의 성과가 제고될 것은 분명하다. 진실한 리더십은 이러한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또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등 종업원의 행위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진실한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행위적 성과 관계(직무만족, 혁신행동)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축적은 아직까지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중요한 조직변수들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통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실한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과정에는 조직풍토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도 상정하여 모형에 편입하였다. The past decade has seen a dramatic increase in scholarly interest in the topic of authentic leadership. Much interest has been given to authentic leadership in response to the ethical challenges and loss of meaning within business world. At the individual leader level,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an authentic approach to leading is desirable and effective for advancing the human enterprise and achieving positive and enduring outcomes in organizations. Some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at authentic leadership promot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other important construct that is considered to enhance organizational outcomes. This paper is aim at reviewing this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th the goal of clarifying the state of knowledge in the field and proposing a integrative model for empirical research. In the model it is hypothesiz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s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KCI등재

        군자적 리더십의 타당도에 관한 연구

        류수영,이경묵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1

        This article aims to validate the concept of Kunja’s leadership. In study 1, we investigated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of Kunja's leadership by comparing it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on the basis of 494 full-time workers' data. The result supported our argument that Kunja's leadership would be different fro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In study 2, we tested the subscale's effectiveness of Kunja's leadership with 90 team level data gained from 18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pported research hypotheses: Each subscale of Kunja's leadership would positively affect subordinates' trust in their leaders after holding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respective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ould b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군자적 리더십의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1은 군자적 리더십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494명의 직장인들에게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자적 리더십과 변혁적 및 진실의 리더십의 구성개념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두 리더십 변인들과 군자적 리더십의 구성개념들간의 높은 상관관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신(信)이 변혁 및 진실의 리더십과 공통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비록 인(仁)과 지(智)의 요소가 변혁 및 진실의 리더십을 설명하는 요소로 포함되기는 하나 설명되는 부분이 약하며, 의(義)와 예(禮)는 변혁 및 진실의 리더십에 포함되지 않고 있는 군자적 리더십의 독특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세 리더십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군자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및 진실의 리더십과 판별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는 군자적 리더십의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18개 기업의 90개 팀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군자적 리더십의 구성개념들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군자적 리더십의 구성개념들인 인의예지신이 각각 리더에 대한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오상의 요인들을 회귀식에 모두 포함하여 상대적 기여도를 확인한 결과 인(仁)과 신(信)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하위구성개념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에 관해서 결론부분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 KCI등재

        리더의 진실성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김창호(Kim, Chang Ho),심원술(Shim, Won Su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최근 리더십이론에서 새로 등장한 진실 리더십과 초월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 및 직무와 관련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더가 보여주는 진실한 행동과 초월적 행동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초월적 행동이 부하의 조직에 대한 동일시와 직무에 대한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 두 요인이 조직 동일시와 직무소명의식을 통하여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국내 산업체 종사자 850명에게 설문서를 배부, 회수된 자료 670부중 640명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가설들과 연구모형이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먼저 리더의 진실한 행동은 리더의 초월적 행동의 긍정적 예측요인이 되며, 초월적 행동은 부하의 조직 동일시와 직무소명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동일시는 직무소명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 동일시와 직무소명의식은 각각 장인적 직무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리더의 진실한 행동과 초월적 행동은 부하들로 하여금 직무소명의식과 조직 동일시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일을 조직목적에 맞게 장인적 방식으로 수행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진실리더십과 초월적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 및 일과 관련된 긍정적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이 분야의 리더십 개발이 활용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transcendental leadership,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n leadership theories, on organization members’ behaviors related to their organization and job.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s of leaders’ authentic behaviors and transcendental behavior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It also investigates how transcendental behaviors affect member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as calling, and how these two factors exert influence on members’ job crafting. For the empirical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50 industrial employees in Korea from March to April of 2011. Of these, 67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640 were used for the study.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leaders’ authentic behaviors become a positive predictive factor for leaders’ transcendental behaviors; such transcendental behavio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member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as call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as call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as calling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craf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leaders’ authentic and transcendental behaviors enhance organization members’ sense of job as calling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ventually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s to do their jobs for the purpose of their organization in the manner of job crafting. As it turns out that authentic leadership and transcendental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 memb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organization and job, leadership development in this area will have high use value. This study concludes with its implications and challenges as well as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한반도 통일을 위한 진실한 리더십의 재고찰

        김정기,박상만,김강훈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1

        한반도 통일문제의 원활한 해결을 위해서는 국민들 사이에 만연되어 있는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심리적 불안감 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진정한 정치적 리더십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과 긍정조직행동학(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ology)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진실한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과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을 중심으로 한반도 통일에 필요한 정치리더십을 재고찰하였다. 특히, 진실한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국민들의 대북․통일문제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북․통일정책모델과 이론적 접근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긍정심리자본, 긍정적인 도덕성, 리더의 자기인식, 리더의 자기조절, 그리고 리더십 과정과 행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리더는 국민으로부터 신뢰감을 얻는다.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통일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 정서, 그리고 낙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는 국민들의 태도와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서 진실한 리더는 통일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다. In order to smoothly solve reunification policy of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cutely been required authentically political leadership that can be overcome ordinary peoples’ negative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apprehension toward reunifi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nsider a political leadership, focusing on an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iscussed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Especially, we looked at a process linking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ordinary people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reunification policy of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a model showing new structure of processes of reunification policy and theoretical approaches. Authentic leader possessing and consider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moral perspective, leader self-awareness, leader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processes/behaviors may build trust by people. Based on establishment of trust between authentic leader and people, it may create hope, positive emotions, and optimistic environment to reunifica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 the authentic leader may present a new vision fo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부하정서에 따른 진실리더십과 심리적자본이 창의성 및 직무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선규(Lee SunKyu),이다정(Lee DaJ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상사의 진실리더십과 심리적자본이 부하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둘째, 부하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창의성, 직무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표본은 구미지역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243부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실리더십은 부하의 긍정 정서에 정(+)의 영향,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리더십과 긍정적 역할 모델이 부하의 정서에 긍정적 경험으로 축적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구체적인 결과이다. 둘째, 심리적자본은 부하의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부하의 긍정정서는 창의성, 직무성과를 제외하고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는 창의성 조직성과 직무몰입에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실성이 긍정정서를 야기하여 조직 전체로 확산, 전염되는 과정을 거쳐 조직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이며 심리적자본이 부하에게도 적용되어 조직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와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follower’s emotions in organization. And this also investigates how follower’s affect creativity,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d and job involvement. The theoretical 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hypotheses on the relation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capital, follower’s emotions, the relations among follower’s emotions and creativity,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d and job involvement. For the empirical study, 24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manufacturers, Gumi city through frequencie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for Windows. As the result of the analyses, hypotheses made in this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itself are generally vali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uthentic leadership become a positive predictive factor for follower’s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it become a negative predictive for follower’s negative emotions. Second, psychological capital become a positive predictive factor for follower’s positive emotions in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it become a negative predictive for follower’s negative emotions. Third, follower’s positive emotions is a signigicant turnover intend and job involvement except creativity, job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der’s authentic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hange follower’s emotions and attitude from leader’s deep selfawareness and high self-discipline, and self-efficacy, hope, optimism, resilience. And also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eracity bring positivity and contagious.

      • KCI등재
      • KCI등재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과 장인적 직무수행 및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류제승,전인석,조성문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restaurant service industry work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kitchen cooking middle manag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crafting of the member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job crafting of memb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kitchen cooking middle manager has been verified as affecting the work performance of the members and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ntire organization, suggesting that the middle manager should act truthfully and morally to the members. 본 연구는 서울지역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실리더십이 장인적 직무수행과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은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이 조직 유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은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 전체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중간관리자는 구성원들에게 진실되고 도덕적인 행동을 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 지도자의 진성리더십 척도개발 및 타당화

        홍영인,이용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uthentic leadership component of the coaches and to develop a scale based on the result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of 126 coache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the coach’s authentic leadership.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aches and six players to collect in-depth data, and preliminary scale were produc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The preliminary scale was surveyed by 325 coaches to verify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and the validity of the scales. Statistical analysis utilized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1,076 raw data were derived from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inductiv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component of the coach was four factors: self-growth, true attitude, balanced leadership behavior and human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ion,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60 questions were produce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170 coaches’ responses. As a result, the four factors, 15 questions, were extracted: four questions of self-growth, three questions of true attitude, four questions of balanced leadership behavior and four questions of human communication. The developed scale obtained the conceptual validity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lso, external validity was obta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other scales. Conclusion: The developed scale will be used as a tool to check coaches’ level of authenticity and verify their influence with other psychological factors.

      • KCI등재

        만델라, '다수' 가 아닌 '모두'를 위한 리더십

        이한규(LEE Han-Kyu) 역사비평사 2012 역사비평 Vol.- No.101

        18 years have been passed by since Republic of South Africa established a multi-racial country, relieved from apartheid. Nevertheless, in leadership issue always appearing in interim periods of government, the first president Mandela of the South Africa’s multi-racial country has always been named. Especially as the society becomes diversified in 21C, diverse demands beyond nation’s control ask leaders able to exert multi-coordinations and Mandela seems to stand in this situation. Hence, the purpose of the writing is to see in what aspects the national tasks were fulfilled in the interim period of government through Mandela, how the interests of social forces were controlled and adjusted, and what the core of successful reigns is. Mandela had pulled down political and social walls formed for 300 years in his short reign of 4 years and built unification of the black and white without leaning toward one side. Since the modern society is standing in the center of an age of infinite competition without tolerance as diverse, complicated variables appear irregularly all the time, leadership is required to exert along with suitability and responsiveness on the situational conditions, which is re??recognized through Mandela’s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