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現代日本語の動詞条件形の複合的な陳述副詞化 ― 副詞と「みれば」「みると」のくみあわせの場合 ―

        하재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日本硏究 Vol.- No.98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가 본동사성을 잃고 「~からみれば」 「~をみると」와 같은 후치사로 발달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한편 「みれば」 「みると」는 「言語学的にみれば」와 같이 부사와도 조합하여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화자의 평가 및 판단을 서술할 때, 화자가 어떠한 근거에 입각해서 서술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도 발달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렇게 부사와 동사 조건형이 조합해서 만들어진 표현의 존재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있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떠한 문법적・의미적 특징이 있는지 밝혀진 바가 없다. 본고에서는 부사와 「みれば」 「みると」가 조합하여 만들어진 표현을 어구성면의 복합성과 문장 구성에 있어 화자의 주체성을 나타내는 성질에 근거하여 "복합적인 진술부사"라고 부르고, 이 복합적인 진술부사의 문법적・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복합적인 진술부사는 문법적으로 보면 여타 진술부사와 마찬가지로 평서문을 중심으로 하여 쓰이기는 하지만 의문문에서도 쓰일 수도 있는 특징이 있고 연체수식어구에서도 쓰일 수 있다. 한편 의미적으로 보면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화자의 관점와 인식방법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개별적인 특징을 종합하거나 일반화하거나 하는 방식, 인식의 범위를 넓히거나 좁히거나 하는 방식, 미래에 전개될 양상을 추정하거나 과거의 일을 재평가하거나 하는 방식 등을 나타낸다.

      • KCI등재

        진술부사에 관한 일고찰(2) -진술부사 소속어 변별을 중심으로-

        한규안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7 No.-

        This paper identifies problems of the existing theories with the classification of modal adverbs based on formal concord phenomenon, and redefines them first as adverbs modifying "proposition+mood," which constitutes a sentence, and also identifies them as adverbs that fall into the category of "ji" defined by Tokieda. Building on these new methodologies,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adverbs previously assumed by many scholars as modal adverbs meet the new criteria of modal adverb and reclassifies them as follows: (1) While 「全然(zenzen)」「決して(kessite)」 are supposed to be classified as modal adverbs based on the correspondence with negative expressions, 「全然(zenzen)」 is redefined as a degree adverb because it modifies the stativity of 「predicate+ない(nai)」 and implies the meaning of degree by itself. In contrast, 「決して(kessite)」 modifies "proposition+mood" which forms a sentence by itself and also corresponds to "ji" by Tokieda in its linguistic nature. Thus, it is classified as a quasi-modal adverb since some of the examples are included in phrases modifying nouns, even though it has characteristics of a modal adverb. (2) The words 「もちろん(mochiron)」「むろん(muron)」「事実(jijitsu)」「実際(jissai)」 modify propositions and do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okieda's "ji." Also, they simply represent an narrator's annotation to what is being described. Therefore, they can be identified as annotative adverbs. (3) 「なぜ(naze)」 and 「どうして(dousite)」 modify propositions, and the focus of inquiry shifts when they are added to a sentence, which disqualify them as a modal adverb. Instead, they are classified as interrogative adverbs. (4)「おそらく(osoraku)」 and 「たぶん(tabun)」 modify "proposition+mood" that constitutes a setence corresponding with diverse modal expressions, and this qualifies them as "ji" as well as modal adverbs. Yet, as some of the examples are included in phrases modifying nouns, they should be defined as quasi-modal adverbs. (5)「どうぞ(douzo)」 and 「どうか(douka)」 modify request sentences and have the linguistic nature of Tokieda's "ji." Also, none of the examples is contained in phrases modifying nouns, which qualifies them as modal adverbs.

      • KCI등재

        韓·日 단정성 진술부사에 대한 연구 : 「かならず·きっと」와 '반드시·꼭'을 중심으로

        장진아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3 日本語敎育 Vol.24 No.-

        本稿はモダリテイ-の觀点から日本語の斷定性陳述副詞「かならず·きつと」とこれに對應する韓國語‘반드시·꼭’の作用法における共起關係を分析するものである。 本稿の考察對象である韓·日斷定性陳述副詞「かならず·きつと」と‘반드시·꼭’は主に蓋然性を表現する推量の文末表現と共起し、話し手の强い確信を表す副詞類に分類され、今までの硏究も大抵‘確信’に焦点を合わせて扱われてきただけで、それ以外の意味用法に對する分析や推量の文末表現以外の共起關係については十分に論議されていない。從って本稿ではこのような問題点を認識し、辭書に提示されている意味と例文を土台に韓·日斷定性陳述副詞の意味を分類した後、斷定性陳述副詞と共起するモダリテイ-を大きく無標的な關係と有標的な關係との2つに分類し、韓·日斷定性陳述副詞が文末にどのような制限を受けるのかという類似点と相違点を通じ、副詞の文末制限の樣相を調べてみた。その分析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1. 韓·日斷定性陳述副詞「かならず·きつと」と‘반드시·꼭’はまだ實現されていない事態について話し手や聞き手に行爲を要求、期待したり、事態について話し手の判斷が確實であることを表しているため大部分の動作性述語と自然に共起し、述語の意味をより斷定的に暗示している。從って動作性述語との共起關係では韓·日兩言語の差異は表れない。 2. 斷定性陳述副詞は大部分の動作性述語と共起するのが一般的である。しかし韓·日斷定性陳述副詞すべて狀態性述語と共起する場合は意味面において部分的に制限される。 まず「かならず·きつと」が狀態性述語と共起する場合は大部分習慣性の意味で表れており、この時「きつと」場合は話し手が判斷する事態が確實なにも表れている。そして韓國語の斷定性陳述副詞‘반드시·꼭’が狀態性述語と共起する場合は習慣性ばかりでなく話し手の確信の意味でも1表れている。 一方「かならず」と‘반드시’の場合は必然という意味資質をもっているが、この場合は實現される事態が一つの命題であるというところからこの場合においても態性述語と共起が可能である。 3. 韓·日の斷定性陳述副詞は意味面から大きく5つに分類されているが、意味特性によるモダリテイ-の共起關係を分析した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第一、必然性の意味用法では日本語の場合は「かならず」と韓國語の場合は‘반드시’が斷定形の文末と共起し、話し手の意圖とは關係なく事態が常に實現されることを表しているが、この時「きつと」と‘꼭’は表れない。 第二に話し手の決心の用法では韓·日の斷定性陳述副詞すべて文末に意志を表す斷定形の文末とは共起する。しかし希望形との共起關係においては日本語の場合「かならず」ハ共起しても「きつと」は共起しないのに對し、韓國語の場合は‘반드시·꼭’はすべて希望形の文末とも自然に共起する。 第三に話し手の確信の用法では韓·日の斷定性陳述副詞すべて斷定形または推量形の文末と自然に共起する。しかし推量形の文末共起關係では日本語の斷定性副詞「かならず」と「きつと」は推量のモダリテイ-表現に差異が大きいのに比べ、韓國語 斷定性副詞‘반드시’と‘꼭’の場合はその差異が大きくはない。 第四、話し手の期待の用法では日本語の「かならず」は命令、依賴形の文末と共起し「きっと」は依?形とは共起するが、命令形の文末とは多少制限がある。そして韓國語の‘반드시·꼭’は依賴、命令、勸誘形の文末と自然に共起する。 第五、事態の習慣性の用法では韓·日の斷定性副詞すべて前件の條件句により事態が實現されるので文末には大部分確信度が高い斷定性の文末と共起するが、日本語の場合は大部分「かならず」の例が多いのに比べ、韓國語の場合‘반드시’と ‘꼭’は似ている結果が出た。 從って日本語の斷定性副詞「かならず·きっと」の方が韓國語の斷定性副詞‘반드시·꼭’より確信度の度合いが高いと言える。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진술부사 사용의 비교

        조남성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101

        본고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진술부사 사용을 분석해서, 학습자의 습득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진술부사의 습득률(사용률)은 학습 수준과 정비례한다. 그리고 [韓N1]은 [日大]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잘 습득하고 있으며, [韓N2]와 [韓N3]는 차이가 작다. (2) 진술부사 각각의 사용률이 [日大][韓N1][韓N2][韓N3] 순서로 높지 않지만, [日大] [韓N1]이 [韓N2-3]보다 높다.

      • KCI등재

        現代日本語における複合的な陳述副詞の一考察 - 「客観的にみれば」「客観的にみると」を対象にして -

        하재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日本硏究 Vol.0 No.100

        본고에서는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 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 가 客 観的に 와 조합해서 단일화된 형식으로 화자의 서술방식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진술부사로 쓰이는 경우를 고찰하였다. 客観的に 가 부사로서 기능하는 경우, 주로 지각․인식활동, 지적․사고활동, 표현활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수식하고, 이 동사들이 나타내는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주체가자신의 주체적인 태도를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 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 가 종속문의 서술어로서기능할 때에도 客観的に 는 위와 동일한 주체의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그런데みれば みると 와 客観的に 가 조합해서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와같은 단일화된 형식이 되면 화자의 서술방식에 관련된 태도를 나타내는 복합적인 진술부사가 된다.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가 진술부사로 쓰일 때의 특징은 어떠한 사물․ 사건에 대한 평가․판단에 있어 그 주체와 근거의 범위에 있다. 今からみれば 今思え ば 와 같은 진술부사의 경우 사물․사건에 대한 평가․판단의 근거가 오롯이 화자의경험이나 기억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비해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의경우 화자(필자도 포함해서)는 청자(독자도 포함해서)나 화자 이외의 주체도 평가․판단의 주체라 상정한다. 그리고 화자는 평가․판단의 근거로서 개별적이며 구체적인 사건을비롯해 화자 이외의 주체도 접근 가능한, 사회적으로 알려진 일, 사회 일반적으로 상식으로 받아들여지는 일을 삼는다. This paper discusses cases in which the conditional form of the verb みる (to see) , which expresses visual activity, みれば and みると are combined with 客観的に (objectively) and used as compound sentence adverbs that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of speaking. When 客観的に functions as an adverb, it mainly modifies verbs of perceptual/ recognitive activity, intellectual/thinking activity, and expressive activity, and expresses a psychological attitude in which the agent refrains from his/her own subjective attitude in the process of these activities. And when みれば and みると function as predicates in subordinate sentences, 客観的に also expresses the sam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agent. However, when みれば , みると and 客観的に are combined to form 客観的 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 they become a compound sentence adverb that express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way (s)he speaks. The feature of the use of 客観的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as a sentence adverb lies in the status of the agent and the basis for the evaluation and judgment of the object. In the case of adverbs such as 今からみれば or 今思えば , the basis for the evaluation and judgment is based solely on the speaker's experience and memo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客観的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 the speaker (including the writer) assumes that the hearer (including the reader) and someone are also the agents of evaluation and judgment. Then, the basis for evaluation and judgment is assumed to be what is socially known and generally recognized as common sense in society in general, including individual concrete events, which are accessible to the hearer and someone

      • KCI등재

        진술부사에 관한 일고찰(1) -「もし」「万一」「きっと」를 중심으로 -

        한규안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6 No.-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roblem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odal adverb and their causes,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heory of setting up words classified as a modal adverb on the basis of a formal concord phenomenon. Also,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location of the modality and the function of the modal adverb. It then attempts to establish appropriate locations of words that fail to meet the new definition of the modal adverb, i.e. "moshi, manichi" and "kitto," which many scholars traditionally assign as modal adverbs based on the phenomenon of concord. This paper defines modal adverb as a word modifying a single independent sentence(i.e. proposition+mood) and an equivalent to what Tokieda defines as "ji." Based on this, "moshi, manichi" fall short of this new definition, but they are instead conditional adverbs, while "kitto" is defined as a quasi-modal adverb, referring to words that have charateristics of a modal adverb but are not fully established as such because examples included in noun modifiers have collected.

      • KCI등재

        配慮表現에 관한 一考察

        安志英 일본어문학회 2013 일본어문학 Vol.63 No.-

        本稿は同情の意を表す表現である労り表現の中から、副詞である「せっかく」「わざわざ」「あいにく」を取り上げ、通時的観点から分析してそ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考察から得た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せっかく」の最古の用例は、「狂言」において「せっかくの」の形で現れている。当時は命令文と呼応して使われていたが、近世期になると、それが一般化され、多用されるようになる。また、現代日本語で使われているせっかく…のに「せっかく…が」の用法は、近世期にすでに定着しており、会話文で主に使用されている。一方、「わざわざ」は、現代日本語にはない「わざと」の意味合の用法が17世紀に現れている。当時、現代日本語で使われている「ついでにするのではなく、ただその事のためにだけ行う」の意味と「わざと」の二つの意味が併用して使われていたことが分かる。また、近世まで「わざわざ…のに」「わざわざ…のだから」と呼応する例はないが、当時まだこのような文型が使用されていなかったことを示唆している。最後に、「あいにく」はその成立時期が「せっかく」「わざわざ」に比べて少々遅く、用例も多くない。これは「あいにく」の語源といえる「あやにく」とも関係があると思われる。近世以前は、「あやにく」は「あいにく」の代わりに多用されており、呼応関係もすでに用いられていた。しかし、近世になると「あいにくも」使われはじめ、次第に「あやにく」が消滅し、現在の用法としての「あいにく」が定着するようになる。

      • KCI등재
      • KCI등재

        脱動詞化の用法とその移行について - 「~をいうと」「~をいえば」の場合を中心に -

        河在必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0 No.-

        발화동사 「いう」는 구체적인 발화내용을 나타내기 위해 「∼を」형 (보통 ‘대상격’을 나타낸다)의 명사를 동반한다. 이 명사는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서 크게 두 타입으로 나뉜다. 하나는 언어활동을 통해 표현되는 현실세계의 사건을 나타낸다. 또 하나는 언어활동의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 그 특징을 나타낸다. 발화동사 「いう」가 조건형 「いうと」 「いえば」로 활용하여도 「∼を」형의 명사가 갖는 의미적 특징들은 유지된다. 그러나 「いうと」 「いえば」가 후치사나 진술부사 등으로 탈동사화 하는 경우 「∼を」형의 명사가 나타내는 의미는 언어활동의 내용에 대해서 특징을 나타내는 타입에 한정된다. 「∼をいうと」 「∼をいえば」가 탈동사화 한 경우 그 용법은 후치사, 진술부사, 접속사로 나뉘는데, 어느 용법으로 이행하는지는 「∼を」형의 명사의 의미적 성질에 따른다. 또한 같은 명사가 쓰이고 있다고 할 지라도 타 문장과의 의미관계, 해당 문장의 구문적 특징에 따라 용법이 결정된다. Locutionary verb iu accompanies wo-form noun (usually indicates object) to express specific utterance. There are two main types in this form of noun, depending on the meaning it conveys. One shows an event in reality, which is revealed through linguistic activity. The other shows the features of actual contents in the linguistic activity. Even if conditional form iuto or ieba is used with locutionary verb iu, semantic features that wo-form noun possesses are maintained. However, in case where iuto or ieba deverbalizes to postposition or sentence adverb, meaning that wo form noun holds is limited to the type that shows the features of actual contents in the linguistic activity. When -wo iuto or -wo ieba deverbalizes, the usage is categorized into postposition, sentence adverb and connective. To which usage they transition into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wo-form noun. Moreover, even when the same noun is being used, the usage is decided by the semantic relations with other sentences and the syntactic features of the given sen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