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조현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6 미래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된 무기력,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된 무기 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생 2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된 무기력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 중 수동성, 통제성, 지속결여, 과시결여가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낮았다. 둘째, 학습된 무기력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중 수동성, 과시결여, 책임결여가 높을 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았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사고, 문제해결, 친밀행동, 자율행동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았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 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과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 로써 향후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ego resilience, career adaptability. the survey data from 296 university students was collected.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Among learned helplessness‘ sub-variables, passivity, control, endure deficit, display deficit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Second, learned helplessness influenced ego resilience. Among learned helplessness’s sub-variables, passivity, display deficit, responsibility deficit significantly influenced ego resilience. Third ego resilience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Among ego resilience‘s sub-variables, posi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intimacy behavior, autonomy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Forth ego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tudy result reveal the importance of ego resilience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adaptability.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s.

      • KCI등재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As the recent unstable and complex adult career phenomena resulted from the global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thereby commonplace layouts and unwanted positions change,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has been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which has been newly proposed to explain the recent unstable and complex phenomenon in adult careers. Specifically, the relations of the concept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perspective, attitude perspective were reviewed and discussed. The conceptu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areer adaptability with career resilience were reviewed as well. In addition,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of career resilience were discussed comprehensively for adult career counseling.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전세계적인 산업 구조조정과 그로 인해 일상화된 실직 및 원치 않은 보직 변경 등과 같이 최근의 불안정하고 복잡한 성인 진로 현상과 관련하여 진로탄력성(career resilience) 개념이 진로상담 분야에 새로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선행이론 검토를 통해 진로탄력성의 측정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진로탄력성과 심리적 탄력성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진로탄력성에 관한 성격특질 관점, 학습된 결과로서의 능력 관점, 태도 관점을 비교하였으며 진로탄력성과 인접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진로적응성(career adaptability)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진로탄력성 개념의 선행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새로운 진로탄력성 개념 정의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진로탄력성 개념의 성인 진로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진로탄력성에 관한 후속 연구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김현순(Hyunso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군집유형을 살펴보고, 군집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대학생 3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 결과 5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군집1은 다른 군집에 비해 진로스트레스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가 가장 낮은 반면, 진로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는 가장 높아 ‘진로탄력성 강세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2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높으면서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낮아, 진로스트레스 점수가 진로탄력성 점수보다 더 높으므로 ‘진로스트레스 우위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3은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가 높고, 진로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는 가장 낮아 ‘진로스트레스 강세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4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가 높으면서 동시에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도 높아 ‘진로스트레스, 진로탄력성 둘 다 높은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5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낮으면서,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높아, 진로스트레스 점수보다는 진로탄력성 점수가 더 높으므로 ‘진로탄력성 우위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군집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군집1인 ‘진로탄력성 강세 집단’의 평균이 나머지 집단의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uster type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career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is cluster types. The data of 35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 types. Cluster 1, named ‘Career resilience strong group’ can be described as the low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stress, but as the high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2, named ‘Career stress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slightly high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stress, but as slightly low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3, named ‘Career stress strong group’ can be described as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but as the low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4, named Career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both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and as the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5, named ‘Career resilience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low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but as high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were foun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average of Cluster 1 named Career resilience stro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st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care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 외국어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석현,김석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6

        본 연구는 특수 외국어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진 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회복탄력성을 매개효과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1개 대 학의 재학중인 1-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Jamovi 1.19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첫째, 해당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진로장벽은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회복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해당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회복탄력성을 매개효과로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 외국어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학교상담, 진 로상담, 비교과프로그램에 있어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상담 및 컨설팅, 진로지도를 실시하여 진로준비에 부정적 인 요인인 진로장벽을 감소 및 제거할 수 있고,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foreign languages and verify the resilience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320 data were collected from first to fourth graders enrolled in one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using the Jamovi 1.19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field. Career barriers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ilience between the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 in the major as a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educe and eliminate career barriers and increase practical and specif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conducting counseling, consulting, and career guidance centered on resilience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foreign languages.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라기훈,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70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1 items), parent support (22 items), career decision level (22 items), and resilience (27 i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689 piec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of non - respondents and untru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by grades. Also,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specially, as the grade increase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on that can form positive parent support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motional and linguistic aspect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척도 개발 연구

        조아미 ( Cho¸ A-mi ),진영선 ( Jin¸ Young-sun ),임정아 ( Lim¸ Jeong-ah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탄력성 개념과 구성요인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대학생용 진로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17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진로탄력성을 ‘진로를 새롭고 유연하고 도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은 창의성, 미래지향성, 도전정신, 유연성의 4개를 제시하였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근거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창의성(6문항), 유연성(5문항), 도전정신(5문항), 미래지향성(4문항)의 4가지 구성요인에 대한 총 20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제한 점으로는 진로탄력성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의 타당도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으로 사회성을 포함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은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진로탄력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정의하고 이것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20문항의 진로탄력성 측정도구는 수용할만한 수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진로탄력성 척도의 경우,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 추후 진로탄력성 연구가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and component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and to develop the college students’ career resilience sca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7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was conceptualized as that ability to perceive things to be new, flexible, and challenging. Career resilience was composed as creativity, future orientation, challenging spirit, and flexibility. Second, the career resilience scale was developed by performing the result of the expla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career resilience and component factors. It included 20 items for 4 factors which were creativity(6 items), flexibility(5 items), challenging spirit(5 items), future orientation(4 items). In addition,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at the validity of career resilience scale was not presented. The confirmed factor analysis, conte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should be performed. Also, it was not sufficiently discussed whether sociality should be included or not as a factor of career resilience. These limitations of the study was hoped to be complemented through the follow-up studies.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defines career resilience from new perspective, and provide the scale to measure it. The developed 20 items career resilience scale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Therefore, this instrument will help to activate the studies of career resilience area.

      • KCI등재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현희(Hyeonhee, Ka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관련하여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 진로탄력성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폴리텍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회귀분석과 Baron & Kenny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결과 첫째,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연구들에서 나타난 것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감 부족, 자기진로이해부족, 직업정보부족, 취업현실여건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진로탄력성이 진로장벽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대체하지는 못하며 부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정도의 효과만 있음을 의미한다. 객관적 환경이나 실질적 장벽을 그대로 둔채 심리적인 측면에만 치중할 경우 진로준비행동이 순조롭지 못할 수 있다. 셋째,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부족과 자신감부족에 있어서는 진로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직업정보부족이나 자신감부족 상황에도 진로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은 이를 극복하고 진로준비행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장벽의 종류에 따라 진로탄력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학생들이 겪는 진로장벽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탄력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진로지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with regard to career preparation of Polytechnics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resilience. With the target of 245 students at Korea Polytechnics, survey was carried out.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wit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barriers lower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the result correspond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Concretely, the influence of the insufficient self confidence was found to be the biggest,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one’s career,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jobs, and reality conditions of employment were followed. Second, the career resili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the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career resilience cannot completely remove or substitute the influence of the career barriers, and it has the effect of only alleviating some negative influence. In the case of focusing on psychological aspects without regard to objective environments or actual barrier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ight not be carried out well. Third, in the case of the insufficient job information or insufficient self confidence among the elements of the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showed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means the students with higher career resilience have higher possibilities of overcoming them and carry ou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dequately. Such results imply that, since the influences of the career resilience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areer barriers, college and the career guidances need to find the career barriers of individual students in detail, and help them foster their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실직자의 진로장벽,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명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실직으로 고용센터를 찾은 414명을 대상으로 실직자가 지각하는 진로장벽,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 및 진로준비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델의 검증 결과, 모델 부 합도의 수용 가능 기준을 충족시켜 연구모델의 적합도가 검증되었고 각 잠재변인 간 인과관계가 유의 미하게 나타나 연구모델의 타당도 역시 검증되었다. 구조회귀 모델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실직자의 진로장벽이 자아탄력성과 구직효 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는데 이는 실직자가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 과 구직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진로준비행동에 진로장벽은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에 진로장벽 하위 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 을 의미한다. 실직자의 자아 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준비행동 에 구직효능감은 정적으로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탄력성보다 구직효능감이 높을 때 진로준비행동이 더 많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아 탄력성이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즉, 진로장벽 ⟹ 자아탄력성 ⟹ 구직효능감 ⟹ 진로준비행동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 간에는 자아탄력성과 구직효능감과 같은 개인 내적 요인의 매 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직자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구직효능감을 높이는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unemployed person's career barriers, ego-resilience, job search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achieve this goal, sample(N414) were drawn from three Employment Service Centers in Seoul, Gyongido and Gangwon-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1.0 for window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affected directly by unemployed person's career barriers but ego-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were affected directly with negative effect. Career barriers that effect ego-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indirectly affect job-preparation behavior. In short, in the case of career barriers, the higher ego-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were, the great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identified that job search 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focus on carer barriers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help passive unemployed person looking for jobs with positive attitude in harsh employment environment, program and system are needed. If we develop and use a program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in the field of counseling or practi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improve positively.

      • KCI등재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미(Choi, Mi Mi),민현주(Min, Hyun Joo),차희정(Cha, Hee J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고용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일자리 이동과 진로변경을 선택해야만 하는 이들 종사자들의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선 진로정체성, 진로탄력성, 무경계 진로태도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은 변화수용성, 위험감수성, 네트워킹활용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진로정체성, 진로탄력성은 무경계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함께 투입될 경우 진로정체성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탄력성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진로탄력성 하위요인별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화수용성과 위험감수성은 무경계 진로태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네트워킹활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 이에 기반 한 교육지원 등 다양한 대안 마련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일자리 이동과 진로전환 결정은 고용서비스 종사자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근로자들도 경험하는 상황인 만큼 성인 직업인을 대상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태도 및 일자리 이동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of employment service workers.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theories and prior studies on career identity, career resilience,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measurement tools were determine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additional distribution of online and offline 80 copiea questionnaires for 5 weeks from August 20, 2018 to September 22, 2018 for employment service workers. Finally, a total of 308 copies were applied to the statistics. As a research tool, SPSS WIN 22.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of employment service workers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it was verified that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However, when both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were simultaneously added, career identity decreased and only career resil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resilience, change acceptability and risk suscepti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ut it was found that network utiliz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career elasticity 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change acceptability and risk sensi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ut networking utilization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through this will clarify career resilience more clearly and serve as a cornerstone of effective intervention and alternatives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전문대학 비서학전공 대학생의 그릿(Grit)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주원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resilience and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is purpose, data of 264 college students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were analyzed using Grit, Resilience, and Career Adaptability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ularly, 'consistency of effort', which is asub-factor of Gr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interest, career control,career curiosity, and career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all career adaptability.. Second,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ub - factorsof resilience, sociality, positive and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with all sub -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i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adaptability,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grit andresili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of this study, we proposed a discussion and follow - up study.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 회복탄력성,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릿이 진로적응성에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그릿,회복탄력성, 진로적응성의 척도를 사용하여 수도권 전문대학의 비서학전공 대학생 264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그릿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릿의 하위요인인 노력의 꾸준함이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인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에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의 하위요인 중 관심의 일관성은 진로관심,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자기조절능력이 모든 진로적응성 하위요인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도 높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그릿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릿이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를 통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비서학전공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개인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진로교육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