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과체중과 비만 진단기준 비교

        신윤아,신윤정,박진경,박형재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2

        연구배경: 다양한 비만진단 기준이 청소년들의 과체중과 비만진단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청소년의 비만진단 기준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만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여 청소년의 비만진단에 적합한 진단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0년 신체검진을 받은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청소년 6,571명(남: 2,755/여: 3,816명)을 대상으로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과 IOTF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WGOC (the Working Group for Obesity in China) 진단기준 및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의 백분위수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IOTF와 WGOC 진단기준, 체질량지수의백분위수를 이용한 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으며, 체지방률 백분위수를 이용한 방법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낮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남학생의 경우, 과체중 유병률은 IOTF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비만 유병률은 진단기준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WGOC 진단기준이 비만도에 따른 분류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DSM 진단기준과 대인 및 비대인 외상사건에 따른 성인의 PTSD 증상,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의 차이

        이동훈,김지윤,이덕희,강민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DSM-Ⅳ-TR의 진단기준과 대인 및 비대인외상사건 여부에 따른 심리적 증상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사건체크리스트, 사건충격척도, 간이증상척도, 정서조절곤란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분석이 가능한 651명의 자료를 구조방적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단기준사건과 비진단기준사건, 대인외상사건과 비대인외상사건 간에는 각각 심리적 증상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기준-대인외상사건, 진단기준-비대인외상사건, 비진단기준-대인외상사건, 비진단기준-비대인외상사건으로 나누어 심리적 증상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진단기준-비대인외상사건은 비진단기준-비대인외상사건보다 PTSD 증상의 하위요인과 정서조절곤란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단기준-대인외상사건보다 과각성에서 더 많은 증상을 나타냈다. 비진단기준-대인외상사건은 비진단기준-비대인외상사건보다 PTSD 증상의 하위요인,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모두에서 더 많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단기준-대인외상사건보다 심리적 디스트레에서 더 많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psychological symptoms according to both DSM criterion and the type of trauma experienced. From a sample of 1,000 adults residing in South Korea, 651 statistically relevant samples were extracted. Resul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ptoms between DSM criterion events and non-DSM criterion events. The DSM criterion non-interpersonal trauma group did however display more PTSD symptoms along with more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than the non-DSM criterion non-interpersonal trauma group. Hyperarousal, a subtype of PTSD, was shown to develop more among the DSM criterion non-interpersonal trauma group than the DSM criterion-interpersonal trauma group. Further, the DSM non-criterion interpersonal trauma group displayed more PTSD symptoms, psychological di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than the DSM non-criterion non-interpersonal trauma group. In light of these results, counsel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진단기준 차이가 폭주부족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유동식,조현국,문병연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affected the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CI). Methods: Eighty one subjects with mean age of 22.54 years (20 to 27 years) were evaluated. Binocularity tests after refraction were performed as the following tests: near point of convergence (NPC) with an accommodative target, phoria using von Graefe method, positive fusional vergence (PFV) with a phoropter. Subjects with CI were diagnosed when exophoria (exo) was greater at near than at distance (exo≥4 Δ, or >6 Δ), fusional vergence was PFV≤11 Δ for blur, PFV≤15 Δ for break, Sheard’s or Percival’s criterion, and NPC was NPC≥6 cm, ≥7.5 cm or >10 cm. Results: Frequency of CI with one diagnostic criterion was ranged from 6.2% to 77.8%, and was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according to criteria. It was reduced to the range of 6.2% to 43.2% with diagnostic criteria more than two, especially to the range of 24.7% to 28.4% with lower variability in diagnostic criteria including phoria and Sheard’s criterion. There were high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 of signs and phoria score (r = 0.772, p<0.001), and measured phoria and Sheard’s criterion (r = –0.654, p<0.001), but NPC had a high variability and a weak o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ther diagnostic criteria. Results suggested exo≥4 Δ, Sheard’s criterion and NPC≥7.5 cm for diagnostic criteria of signs and sequence for CI. Conclusions: Frequency of CI is likely to be over- and underestimated with diagnostic criteria. Cutoff values and procedures for phoria, Sheard’s criterion and NPC as clinical signs should be suggested definitely in diagnosis associated with CI. 목적: 다른 진단기준의 적용이 폭주부족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나이 22.54세(20~27세)의 81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굴절검사 후 조절성 시표에 의한 폭주근점(NPC)검사, 폰 그래페에 의한사위검사, 포롭터에 의한 양성융합이향운동(PFV)검사를 실시하였다. 근거리 외사위가 원거리 사위보다 큰 기준(exo≥4 Δ, >6 Δ), 융합이향운동 기준(PFV의 흐린점 ≤11 Δ, PFV의 분리점 ≤15 Δ, 쉐어드기준, 퍼시발 기준), 폭주근점 기준(NPC≥6 cm, ≥7.5 cm, >10 cm)을 이용하여 폭주부족을 진단하였다. 결과: 하나의 진단기준에 의한 폭주부족 빈도는 6.2%~77.8%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기준에 따라 과대평가되거나 과소평가되었다. 두 가지 이상의 진단기준에 의한 폭주부족 빈도는 6.2%~43.2%로 변동성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사위 기준과 쉐어드를 포함하는 진단기준일 때 폭주부족의 빈도는 24.7%~28.4%로 줄어들어 낮은 변동성을 보였다. 점수 척도의 전체 징후와 사위, 측정값의 사위와 쉐어드 기준의 상관관계가 각각 0.772와 –0.654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폭주근점 기준은 변동성이 컸으며, 다른 진단기준과의 상관관계는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징후에 따른 폭주부족의 진단기준과 적용순서로 exo≥4 Δ, 쉐어드 기준, 폭주근점≥7.5 cm로 제시한다. 결론: 폭주부족의 빈도는 진단기준에 따라 과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임상징후로서 사위, 쉐어드 기준과 폭주근점의 절단값과 절차는 폭주부족과 관련된 진단에서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DSM 진단기준의 충족 여부 및 사건의직, 간접 경험 여부에 따른 심리적 기능의 차이

        김지윤,이동훈,이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4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associated with a traumatic event were examin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wo criteria: 1) whether the traumatic event meets DSM criteria (i.e., criterion vs. non-criterion), and 2) types of exposure to a traumatic event (direct vs. indirect). 828 adults participated, and focus was given to four psychological functionings: hyperarousal, psychological distress,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indicate that direct traumatic experience shows greater relevance to higher level hyperarousal, psychological distress,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lower life satisfaction both in criterion and non-criterion groups. However, when associated with DSM diagnosis, the impact of direct exposure was not clear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For example,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between criterion direct exposure and non-criterion indirect exposure, while non-criterion direct exposure still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as compared to non-criterion indirect exposure.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이 경험한 외상사건의 유형을 DSM 진단기준의 충족 여부와 사건의 직, 간접 경험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심리적 기능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이 가능한 828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접경험사건이 간접경험사건보다 PTSD 증상의 하위요인인 과각성,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의 증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기준-직접경험사건은 비진단기준-간접경험사건보다 PTSD 증상의 하위요인인 과각성, 회피, 침습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진단기준-직접경험사건은 진단기준-간접경험사건보다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더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결과에서는 비진단기준-직접경험사건은 비진단기준-간접경험사건보다 PTSD 증상의 하위요인인 과각성, 회피와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을 더 많이 유발하고, 삶의 만족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진단기준-직접경험사건은 진단기준-간접경험사건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트라우마 사건 경험과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

        김보라,이덕희,이도영,이동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DSM and non-DSM events in relationships of trauma experience, psychological symptoms, PTSD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and stress coping abilities(i.e., problem-focused and dysfunctional coping). Data of 796 adul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traumatic events, stress coping abilities, psychological symptoms, PTSD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been employed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mediation of stress coping abilities was verified. Moreover, the difference in medi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DSM and non-DSM criteria events was compared. (1) Dysfunctional coping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DSM events, psychological symptoms, PTSD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non-DSM events, psychological symptoms, PTSD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2) Problem-focused coping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non-DSM events, psychological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3) Differences between DSM and non-DSM events with regards to mediation of dysfunctional coping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사건 경험과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관계에서 DSM 진단기준과 비진단기준 사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796명을 연구대상으로 트라우마 사건 경험, 스트레스 대처능력,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트라우마 사건 경험이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모형을 검증하고 DSM 진단기준 여부에 따른 매개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DSM 진단기준사건 및 DSM 비진단기준사건과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후성장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요인인 역기능대처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DSM 비진단기준사건과 심리적 증상,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요인인 문제중심 대처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DSM 진단기준과 비진단기준 사건 경험과 PTSD 증상, 심리적 증상,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역기능 대처의 매개효과는 DSM 진단기준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해상교통혼잡도 평가현황 분석을 통한 진단기술기준 개선연구

        엄한찬,장운재,조경민,조익순,Um, Han-Chan,Jang, Woon-Jae,Cho, Kyung-Min,Cho, Ik-S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5

        To prevent serious maritime accident and eliminate the cause of the potential maritime accidents, Maritime Safety Audit Scheme was formally institutionalized through amendment of Maritime Traffic Safety Act(May 27, '09). At the initial step of the enforcement of the law, it has risen the necessity of amending the present institution concerning with the range of applicable business, method of practice, detailed technical standards in the assessment articles, etc. Among them, the assessment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has been practiced as a mandatory assessment article, but it is analyzed that the assessment doesn't reflect current variation of ships' size and its spe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assessments on marine traffic congestion so far and collecting experts' opinion, this paper suggests draft amendments to improve technical standards on the assessment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잠재적인 해양사고의 위해요소 제거를 통한 중대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2009년 도입 시행되었다. 법 도입 이후 초기 시행과정에서 현행 안전진단제도의 대상사업의 범위, 수행방법 등 법 제도적인 측면뿐 아니라, 진단항목별 세부적 기술기준의 개선 보완 필요성이 대두하였는데, 그 중 해상교통혼잡도 평가는 해상교통현황 측정항목으로 모든 안전진단의 필수진단항목으로 설정되어 수행되었으나, 평가과정에서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 추세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해상교통안전진단을 통해 수행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현황 분석 및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현행 진단기술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혼잡도 평가명칭의 변경, 실용교통용량 표준화 및 선택적 진단항목으로의 평가 변경 등 제도개선을 위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기술기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우울증 진단기준의 특성

        장성만,손지훈,이준영,최지환,조성진,전홍진,함봉진,이동현,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5

        목적 국내의 여러 역학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서구에 비하여 우울증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낮은 유병률에 대하여 서구에서 정의하는 우울증의 진단 기준이 한국인의 문화에 맞지 않다는 진단 기준의 오류를 제시하거나, 실제로 유병률이 낮다는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DSM-IV에서 제시하는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대하여 한국인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1년 KECA 연구에 응답한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6,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CIDI (K-CIDI)를 통해 정신장애의 이환을 진단하였으며, K-CIDI 내의 우울장애 진단 기준만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였다. 결과 한국인에서 DSM-IV의 주요우울장애 진단 기준의 오류는 없었으나, 진단 기준의 역치는 높았다. 한국인이 호소하는 우울증상으로서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 "수면 변화"는 진단되는 우울증의 초기부터 잘 나타나는 증상 들이며, "정선운동변화", "죽음/자살사고", "무가치함/죄책감"은 보다 심한 우울증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들이었다. 결론 DSM-IV가 제시하는 주요우울장애 진단 기준은 한국인의 우울증을 평가하는 데 있어 타당하기는 하나, 진단 기준의 역치가 높다. 우울증의 중증도에 따라 호소하는 증상들이 달랐다. Baekgrounds : Many Korean epidemiologic studies reported lower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than those of Western countries. For the low prevalence, it is explained that there's something wrong in the direct application of diagnostic criteria of depression to Korean culture, i.e. categorical fallacy, or it may be truly low-prevalent. We will analyze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tined by Western. Methods : Six thousand and two hundred seventy-five cummunity dwelling subjects, aged 18-64 years were interviewed by using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were analyzed using the item response theory. Rcsults : We could not find any fallacies of diagnostic critcria tb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when assessing depre-ssion among Koreans. Fatigue, concentration difficultics, and sleep disturbance appeared more fequently in mild depression, while psychomotor change, death/suicide, and worthlessness/guilt did not appear until severe depression. Cunclusion : The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arc appropriate for the Koreans. There are different responding levels, i.e. threshold, of depressive criteria according to severities of depression. Koreans with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complain of appetite change, but less of worthless or guilty feelings than Western people.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기준 변경 전ㆍ후 실태

        변찬석 ( Byun Chan-suk ),권미영 ( Kwon Mi-young ),문경아 ( Moon Kyung-ah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2010년과 2014년 학습장애 진단기준의 변경 전후에 초등학년 학습장애의 실태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초등학교에 있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학습장애학생의 수와 비율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둘째로 D와 P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침과 함께 학습장애 진단기준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셋째로 2017년 학습장애 판별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특수교육대상 학생 수와 관련된 교육부의 통계자료와 2010년 및 2014년 학습장애 진단기준 관련 공문서, D와 P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기준 지침서, 그리고 학습장애 판별을 다룬 관련 문헌이었다. 또한 현재 학습장애 진단기준에 의한 학습장애 판별 실태를 파악하고자 3명의 참여자들을 심층면담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초등학생 수는 RTI 모델이 실행된 2010-2014년동안 상당히 감소되었다. 둘째, 새로운 교육부 지침은 2010년 지침의 어려움을 다소 경감시켰으나,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침은 교육부 지침을 다소 수정하였고 두 개의 특수교육지원센터 간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현재의 학습장애 진단기준에 의한 판별실태는 특수교사가 진단전문성이나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학습장애 진단기준 지침이 교사에게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안점으로는 먼저 학습장애 학생들이 감소하는 이유를 찾기 위한 교육적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학습장애 진단기준에 대한 지침이 지역교육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에 상세하고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에게 집중적인 연수도 제공되어야 하고,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 또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before and after the diagnostic criteria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changed in the year of 2010 and 2014. First was to compare the number and the percentag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to that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criteria of LD, with the guidelin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ffiliated to D and P local educational agency. And third wa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LD identification in the year of 2017.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atistic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official documents related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LD in the year of 2010 and 201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uidelines of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 and P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related articles addressing the identification of LD. And also 3 participants attended to interview in depth concerning the actual condition of identification of LD by the current diagnostic criteria of 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D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year of 2010-2014 which the RTI model was enforced. Second, the new instruction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to some extent reduced the difficulties of those of 2010, but the guidelin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ffiliated to local educational agency was somewhat modified instruction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rd, the actual condition of LD identification by the current diagnostic criteria of LD was that special teachers seem to lack diagnostic expertise and understanding of LD, and that the guidelines of LD diagnostic criteria were still difficult to teacher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cause of LD students decline, that detailed and clear instructions of LD diagnostic criteria should be given to local educational agencie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hat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required to teachers and also the curricula of University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he competent teacher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진단ㆍ평가의 과제

        조광순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장애아동 진단ㆍ평가와 관련된 국내의 현 실태를 토대로 그 동안 국내외에서 제시된 연구결과와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중심으로 먼저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질적 기준과 이에 따른 현 국내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질적 기준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장애유아 진단ㆍ평가는 활용성과, 수용성, 사실성, 협력성, 수렴성, 일치성 등에서 극히 저한적 수준에서 발달장애유아의 진단ㆍ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당면과제로, 진단ㆍ평가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기준제시, 적절한 진단ㆍ평가 절차와 방법의 제도화, 진단ㆍ평가도구의 개발, 특수교육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직전교육 및 연수 강화, 관련 부처 및 기관 간 협력체제 구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의 변화가 국내 학습장애 학생 선정에 주는 시사점

        나경은,서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diagnostic criteria for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DSM-5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chool-based diagnostic criteria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vised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DSM-5 recently published by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ere reviewed, and then the change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DSM-5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DSM-IV. Also, the diagnostic criteria of specific learning disorders defined in DSM-5 and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criteria of learning disabilities used in schools in South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mplications o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uggestions for supports and cooperations for establishing the future diagnostic criteria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출판된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기준이 어떻게 개정되었는지 살펴보고,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교기반 학습장애 진단기준과 적용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발행한 DSM-5의 개정 원리와 절차를 검토한 후,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기준이 DSM-IV의 학습장애 진단기준과 비교하여 어떻게 새롭게 개정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DSM-5에서 정의한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과 국내의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단기준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DSM-5의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에 주는 시사점, 향후 학습장애 진단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