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 실태 및 제도 개선방안

        최윤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2

        Recently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need for "return to work" among persons with industrial injuries is raised. Yet, work polic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jured workers is not consistent with this realization.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fficient bases for the injured workers who had received funding support and returned to work. Injured workers of return to work to support funding for a job back in business for extraction of 200 randomly selected by the employer, and use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methods work by using the SPSS 14.0. The study outcom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encourage injured workers to return to work influence them to have more pos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through stable quality of life. Second, the accident insurance policy in terms of rehabilitation services at less cost effective return to 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can be achieved. This paper provided the significant fou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bout improving policies of worker's in "return to work"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최근에 산재근로자의 직업재활의 중요성과 더불어 원직장복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그러나 원직장 복귀 활성화를 위한 산재근로자 직업재활정책 및 서비스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지원금을 지원 받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재해근로자의 직장 복귀 실태 및 직장복귀지원금 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여 향후 산재근로자의 원활한 원직장복귀와 직장복귀지원금사업의 효율적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에 있다.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직장복귀지원금 사업에 대해 200명의 사업주를 무작위추출 방식에 의해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4.0을 이용하여 직장복귀지원금 제도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산재근로자의 채용에 있어서는 생산성에 영향이 없는 선에서 채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 금액은 산재근로자의 복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장애인고용에 대한 사업주의 의견은 회사 근무여건이 장애인근로자에게 적합해야 채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를 도모하는 것은 개인측면에서 심리적 안정 및 직업생활의 안정을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정책측면에 서도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직장복귀(return to work)와 사회참여(social Integration)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민섭,송치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장애와 고용 Vol.17 No.2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적자본이론과 차별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데이터를 이용해 근로 중 장애가 발생한 중도장애인을 선별하고 이전직장복귀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본이론은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을 설명하는 유효한 이론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적자본이론의 주요 변수인 교육정도의 경우, 교육기간이 1년 증가하면 이전직장복귀 확률은 평균적으로 0.7% 증가하고, 근속년수가 1년 증가하면 평균적으로 2.3%의 이전 직장복귀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이전직장에 복귀할 확률이 평균적으로 6.5% 낮은 것으로 나타나, 중도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에도 여성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장애유형 측면에서는 눈에 쉽게 보이는 신체외부장애인이 장애사실이 부각되지 않는 신체내부장애인보다 이전직장에 복귀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애 발생이후 복귀 여부 결정에 있어 장애에 대한 선입견과 낙인이 작용한다는 의미로서, 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여부를 설명하는 데 차별이론도 일정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This study analyzes factors determining job retention of the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focusing on human capital theory and discrimination theory. Using ‘2005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we attemp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specification i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job retention probability into three categories; demographic, human capital, disability factor. Based on the pertinent results i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ers, implications in theory and policy would be induc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capital theory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for explaining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of the disabled workers. The educational factor, one of the factors based on that theory, has been influenced the job retention. Holding other things the same, as the educational year goes up by one unit,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goes up by zero point seven percent on the average. Likewise, as the length of service increases by one unit, the probability increases by two point seven percent on the average, holding the other things constant. Second, holding the level of other things fixed, on average, women’s job retention probability is less than men’s by six point five percent. This result has been implied that the dual discrimination on the women disabled workers still exists in the job retention process of the disabled labor market. Third, one of the disability factors, the disabled type has effected on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Remaining other things the same, the externally corporeal handicapped workers’ job retention probability is lower than the internally corporeal handicapped’s, on the average. This result has suggested that the determinant of the job retention would be affected by the prejudice or stigmatization on the disabled. Consequently, the discrimination theory seems to be effective for elucidating the job retention probability of the disabled workers.

      • KCI등재

        산재노동자의 직장복귀 형태 및 원직장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동희,조은주,차윤준,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산재보험패널조사 1~4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재요양종결 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노동 자를 대상으로 원직장복귀와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 요인을 분석하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산업재해요양 종결 노동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재보험패널조사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원직장복귀자 695명과 재취업자 6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요인, 산업재해 요인, 재활서비스 요인, 사업체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직장복귀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원직장복 귀를 유지를 하고 있는 418명과 고용유지를 실패한 152명을 대상으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 요양 기간 중 회사와의 관계가 유지될수록, 상용직일수록, 사업주가 제공한 편의 내용이 있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사업장 노동자 수가 많을수록, 통증이 적을수록, 재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수록 산 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는 남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원직장복귀에는 사업장 관련 요인이, 원직장 고용유지에는 성별과 교육수준, 근무기간 이 영향이 있었다. 산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 및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사업체 요인을 고려한 제도적 뒷받 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job retention and reemployment in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and then analyze factors to maintain their job in job retention group. Methods: We used 4 years consecutive data from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0 injured workers in termination of medical service from January to December 2012.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job retention group(n=695) and reemployment group(n=642) on primary data and confirm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ype of return-to-work.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in the job retention group, which divided into the successful group(n=418) and the failure group (n=152). Results: Job retention was shown more in subjects who maintained good relations with a company and worked for a long period, were a regular worker, were given any convenience from a company, worked in large company, and had less pain. Moreover, the factors affecting job maintenance were ranked employment period,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job retention can lead job maintenance more efficiently than reemployment.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job retention is workstation factor, and that affects job maintenance is the employment period. We also suggest that institutional strategy related to workstation factor should be needed to make injured workers maintain their job.

      • KCI등재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신혜리,김명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1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had experienced to use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turn-to-work. The sample is 1,907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finished medical car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urn-to-work (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n the other hand,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It is assumed that the goal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usually for social adjustment in this resp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에 실질적 효과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혹은 원직장 복귀를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산재 요양종결 근로자 1,907명을 대상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제도 및정책,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Propensity Score Matching(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서비스 중 직업재활과 의료재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심리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심리재활서비스가 (원)직장복귀에 목적을 갖고 제공하는 서비스라기보다는, 산재를 경험한 근로자의사회적응을 위한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를 위한 재활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이은혜,이현실,양지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7 장애와 고용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PSWCI) 1차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일상생활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차이를 직장복귀형태별로 살펴보고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직장복귀 형태에 따른 제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자에 비해 원직장복귀자의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가높았으며, 영향요인별로는 인구학적 요인에서 남성의 경우 원직장복귀를 하게 되면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을 했을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았고, 최종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원직장복귀자의 직무만족도는 높았지만, 재취업자의 직무만족도는 낮았다. 혼인상태 역시배우자가 있을 경우 원직장복귀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자의 경우 배우자가 없을 때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재해당시 종사상 지위 및 근로시간형태에 따라서도 상용직이거나 전일제 근무자였던 경우 원직장복귀에 성공하면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일 경우 재해당시 임시직 또는 시간제 근로자였던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요인들에 차이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산재근로자의 특성에 적합한 제도적 보완책이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재근로자가 조속히 직장복귀(특히 원직장복귀)에 성공할 수 있도록 요양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의료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제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he types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influence their life and job satisfactions. To examine this, the current study is based on the first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injured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life and job rather than those who have new jobs. In particular, demographic factors (e.g., gender, education and marriage) also show the difference in life and job satisfactions. Injured male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but not those who have new jobs. Both injured college-graduated workers and injured married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but not those who have new jobs. Injured single workers further are satisfied in returning to work in same work places. Second, the condition of employment (e.g., working time and job positions) influence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job retention. For example, injured workers - employed as regular or full time workers -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stratification than those who do not. When injured workers employed as part-time or temporary workers have new jobs, they have more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types of return to work by injured workers could influence their life and job satisfactions. Thus,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needs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types of return to work by injured workers and further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 (e.g., medical service) for injured workers’ job retention.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과정에 관한 연구: 원직장 복귀를 중심으로

        김수현,이정은,이자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return to work process of workers with work-related injury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services and program based on the workers' experiences. Metho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after being treated by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interview data was coded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 Data analysis revealed that return to work process included 4 stages: entry to worker’s compensation, decision to return to work, returning to work, and re-adjustment to job. 8 domains and 21 sub-domains emerged. Workers returned to work with concern and burden and tried to adapt to work with lower physical function and limited support of workplace and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help workers with work-related injury to return and re-adjust to their work.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를 산업재해가 발생한 시점부터 치료과정(요양)을 거쳐 직장에 돌아가 적응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고,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재보험의 제도 및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원직장에 복귀한산재근로자 10명을 의도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하였으며 일대일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산재요양시작(근로자의 보장받지 못하는 권리/산재보험 서비스 접근성 취약)’, ‘직업복귀결정(자의반 타의반 직업복귀를 결정/ 직업복귀에 대한 우려와부담)’,‘직업복귀(회복이 덜 된 몸과 마음으로 돌아간 직장/ 배려받거나, 내쳐지거나)’, ‘직업재적응(따라주지 않는 몸, 관리할 자원은 부족한 현실/ 사업장의 업무성과 요구, 위태위태한 직장생활)’의 4단계와 8개의 상위범주, 2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는 산재승인 신청부터 복귀 후 적응까지 연속적 과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근로자 개인, 사업장, 공단 등 다양한이해관계자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주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교육과 홍보, 건강관리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의 확대와 사업장의 지원,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원직장 복귀지침 마련 및 적응에 대한 지원, 산재근로자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 후 지속적인 고용유지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주요 요인 및 패턴 도출 연구

        최근호,유동희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산재보험패널 데이터에 다차원 분석이 용이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원직장 복귀 후 고용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직장 복귀 이후의 안정적인 고용유지는 산재근로자의 성공적인 직장복귀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직장 복귀에 비해 현재 고용유지를 위한 노력과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며, 직장 복귀 측면에서 산재로 인한 요양 종결 이후 산재이전에 근무했던 원직장으로 복귀하는 것은 타직장으로 복귀하는 것에 비해 산재근로자에게 양질의 근로조건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분석결과, 최종 11개 변수들이 원직장 복귀 후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12개의 고용유지 관련 패턴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원직장 복귀 후고용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요인들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고용유지에 영향을 줄 것으로여겨지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였다는 점과 고용유지에 도움을 주는 패턴들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도출된 패턴들은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근로자의 고용을 지속적으로유지하기 위한 방안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table sustenance of employment after returning to the previous job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data mining technique using the third injured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data. Although a stable sustenance of employment after returning to a pre-injury job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return to a job,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is factor. Moreover, returning to a pre-injury job after completing medical treatment can create better work conditions for industrial disaster workers than starting a new job. Eleven input variables were selected as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able sustenance of employment, and 12 patterns related to the sustenance of employment were deriv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hat it considered various important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sustenance of employment and identified their relationships as pattern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our study will help establish a policy for the sustenance of employment after returning to a previous job.

      • KCI등재

        원직장 복귀 산재근로자의원직장 이탈 결정요인 분석 연구

        이상진 한국직업재활학회 2018 職業再活硏究 Vol.2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choices of injured workers after returning to original work. Using the four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 sample of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in 2013 was obtained and discrete time hazard models were estim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While injured workers with higher labor income, homeownership, disabities are less likely to leave their original jobs, those injured workers who have higher nonlabor income or experience a higher increase in nonlabor income, have mild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shorter work periods, longer return-to-work periods, and m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or licenses are more likely to leave their jobs and to work at other work places or choose not to work. Those injured workers in large-sized firms have a lower hazard rate that means lower job-leave rate. Several RTW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to retain injured workers in their jobs.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 some of the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policy and strategy for stable job retention at original workplace. 본 연구에서는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근로자가 원직장에서 이탈하는데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근로복지공단의 제4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 원직장에 복귀한 근로자 중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586명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4년 이후 경제활동상태를 추적하여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산적 위험률 모형(discrete time hazard model)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산재근로자가원직장에서 획득하는 근로소득이 많고, 자기 집을 소유하고 있으며, 장해판정을 받았고, 지체장애를 입었을 때, 대규모 사업장에 근무할 때, 원직장복귀 지원프로그램 등을 받았을 때 원직장 이탈 위험률을 낮춘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근로소득과 비근로소득 증가분이 많고, 장해판정을 받지 않았으며, 경증장애이고, 산재를 입은 직장에서의 근무기간이 짧으며, 원직장으로의 복귀 기간이 길었고, 보유 자격증 개수가많은 근로자들의 원직장 이탈 위험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중위험모형 추정 결과 비근로소득과 비근로소득 증가분이 많은 산재근로자는 원직장에서 이탈하여 재취업이나 실업 또는 비경제활동을선택할 위험률이 높았으며, 장해를 입은 산재근로자 중 원직장에서 이탈한 산재근로자는 재취업을 선택할 위험률이 높았다. 또한 산재를 입은 직장에서의 근무기간이 짧거나, 원직장으로의 복귀기간이 길거나, 보유 자격증 개수가 많은 원직장에서 이탈한 산재근로자 또한 재취업을 선택할 위험률이 높은 것으로추정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이탈을 줄이고 원직장 복귀 후 유지를 통해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지원하는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영향요인 분석

        임정연(Lim Jung yon),이영민(Lee Young m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 1~2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산재근로자의 개인심리적 지원, 조직사회적 지원, 업무환경적 지원변수가 직장적 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심리적 지원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사회적 지원변수 중 동료들과의 관계와 동료들의 배려는 산재근 로자의 직장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복귀한 업무의 수준과 내용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거나 많은 지식과 기술이 요구될 경우, 원직복귀자의 직장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의 수준과 산재근로자가 지닌 기술수준이 적합하면 원직복귀자의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과 직무몰입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지원정책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job adjustment. We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e results are follow. first, self-esteem influence the job adjustment of injured workers. Second, the organization support variables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job adjustment of the injured workers. Third, If the job is more complex, injured workers have difficulty adjustment to the work. Finally, If the level of employee skills and levels of the job are suitable, the workers are absorbed in his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o a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이웅(Lee, Woong),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는 산업재해 이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을 원직장복귀자와 타 직장재취업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 험패널 1차자료(2014)를 활용하여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주에게 고용된 산재근로자 1,333명(원직장복 귀 693명, 타직장재취업 6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직장재취업자는 원직장복귀자에 비해 일자리만족도 및 근로지속가능성, 종사상지위, 월 평균소득 등의 제반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직장복귀자의 일자리만족도 에는 성별, 학력수준, 기술적합도, 월평균 소득, 복리후생 혜택, 가족수입・여가생활・주거환경・사회 적 친분관계 만족도,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타직장 복귀자의 경우, 성별, 종사상 지위, 기술적합도, 지속근무여부, 월평균급여, 복리후생혜택, 가족수입/ 여가생활/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요양 중 담당업무 주체,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일자리 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제고 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There are two types of injured workers’ returning to work returning to pre-injury job and getting a new job. After separating the two types of workers we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Workers’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2014). The sample consisted of 1,333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were finished with medical treatment(693 workers returned to previous work place, and 640 workers found new work place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jured workers who got new jobs were vulnerable to sustainability to job, work status, average monthly wage as well as job satisfaction compared with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pre-injury job. Second, gender, educational level, skill fitness, average monthly wage, welfare benefits, family income/leisure life/residential environment/social relation satisfac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 with business owner during medical care wer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pre-injury job. Third, gender, work status, skill fitness, continuous work possibility, average monthly wage, family income/leisure life/social relation satisfaction, substitute worker for assigned task during medical care and maintenance of relation with business owner during medical care affected on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who got new job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