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업능력개발센터 사업평가 및 활성화방안

        황아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8

        I. 연구의 목적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는 2004년 말, 기능훈련 중심의 직업전문학교에서 복합적인 직업능력개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능력개발센터로의 개편을 통해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센터 사업 전반에 걸친 평가를 통해 센터가 본래의 개편 취지에 부합하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센터의 기능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II. 연구문제 첫째, 센터는 이전 훈련중심의 직업전문학교에서 복합적인 직업능력 개발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로의 개편을 통해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성과개선을 가져왔는가? 둘째, 훈련·재활·네트워크 등 각 하위 사업영역의 성과는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는 영역별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되었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센터의 사업평가를 결과중심의 효과성 분석과 과정중심의 현황?성과분석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센터(2005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한 수료생의 취업가능성과 고용안정성, 직장만족도가 직업전문학교(2004년) 수료생에 비해 개선되었는지를 준실험적 방법의 계량경제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결과중심의 평가과정에서 포착되지 못하는 서비스와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평가로서 훈련·재활·네트워크 영역의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효과성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2004년 직업전문학교 수료생과 2005년 센터 수료생 8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자료이다. IV. 연구결과 센터로의 개편 이후 복합적인 직업능력개발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료생의 고용촉진 및 고용안정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수료생의 취업가능성은 개편 이전 직업전문학교 수료생의 취업가능성보다 36.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안정모형의 추정결과, 개편 이후 센터의 훈련을 이수한 후 취업한 수료생이 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은 개편 이전 취업자 보다 3.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만족도모형의 추정결과 추정치는 0.151로 긍정적이나 유의성을 얻지 못해 개편 이후 센터 수료생의 직장만족도가 개선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수료생들의 취업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훈련·재활·네트워크 등 각 하위 사업영역에 대한 과정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개편 이후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한 인원과 중증장애인의 참여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는 간장애·안면장애·호흡기장애 유형이 미약하나마 새롭게 훈련과정에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양성훈련 성과분석 결과, 양성과정(기능계열, 인문·사회계열, 특성화훈련)수료생의 취업률은 2004년 78.6%에서 2005년 79.2%로 증가하였고, 중증장애인의 취업률 또한 2004년 76.1%에서 2005년 79.7%로 높아졌다. 중증고용프로그램 수료생의 취업률은 2004년 83.5%에서 2005년 70.8%로 큰 폭으로 떨어져,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취업률 제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직업능력평가자와 재활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훈련과정 연계율을 분석한 결과, 2005년 한 해 동안 학사DB에 등록된 평가 인원 중 2006년 9월까지 센터의 훈련과정에 참여한 비중은 33.2%, 재활과정 8.5%, 훈련과 재활과정에 모두 참여한 비중은 4.0%로 연계율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습능력 향상과 신체능력향상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훈련 진입이 가능한 장애인을 위한 훈련 진입 프로그램 마련을 통해 훈련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보이며, 평가이후 재활계획 수립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연계방안을 구체화하여 연속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2005년 사회성프로그램, 신체능력향상과정, 전문화된 평가, 중증장애인직무체험과정 참여자 670명중 2006년 10월 말까지 훈련과정에 참여한 인원은 전체의 5.5%에 불과하여, 현재의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훈련 진입을 위한 중간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네트워크 구축 현황 분석 결과, 현재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연계는 기관 간 협조에 의지하고 있어 실질적인 서비스 연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네트워크 연계를 위한 다각화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함께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타훈련기관 지원 실적을 분석해본 결과, 공공직업훈련기관의 취업률이 2003년(63.5%) 이후 큰 폭으로 떨어져(2004년 32.6%, 2005년 33.7%) 취업률 하락에 대한 원인분석 및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센터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수료생 만족도를 과정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과 과정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해서는 모든 과정의 만족도가 2004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과 진행, 정보와 자료의 제공, 담당교사의 충분한 지도, 강사의 강의기술 및 전문지식에 대한 양성과정의 만족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효과분석 결과 중, 취업효과에 대한 결과는 센터 운영과 관련해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하나는 장애인의 직장생활참여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단계적인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과 센터 개편 이후 1년여의 운영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센터 활성화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재활프로그램은 훈련진입 및 취업을 원하는 장애인의 취업가능성과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지원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기능훈련과 재활서비스의 복합제공을 위한 훈련체계 재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능력개발을 원하는 장애인에게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제공을 위한 사례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업의 시행 후에는 적절한 평가를 통해 운영을 점검하고, 도출된 개선사항을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사업의 효과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사업의 본질에 적합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 기업의 직업능력개발사업 활용 및 효과에 대한 변화와 영향

        김수원,김예슬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2019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체에서 정부 직업능력 개발사업의 활용현황과 실질적인 활용정도 그리고 활용효과에 대한 변화와 영향을 분석하 고,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용 및 지원에 대한 함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용 및 지원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기업들의 직업능력개발사 업 활용도가 비교적 낮은 편으로 사업주 지원 훈련은 근로자 지원 훈련을 좀 더 활성화 시 킬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2017년에는 사업주 지원 환급액은 물론 근로자 지 원 환급액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 근로자들이 정규학위 취득에 관심이 높아 지고 지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인력 및 훈련 수요에 따라 대부분의 직업훈련사업이 진행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용 및 지원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훈련’,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 두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여기에는 기업 규 모가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대한 교육훈련 등 인적자 원개발 지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기업 및 개인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박민주,정혜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3

        산업 환경 변화 및 인구감소에 따라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것이 기업 생존의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우수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업이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지원하는 국가차원 정책의 하나로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를 연계하여,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정도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집단별 특성에 나타난 주요 변인들을 활용하여 기업수준 성과(인적자원개발 활동의 효과-직원의 직무능력, 노동 생산성, 회사의 이미지, 직원의 의욕, 직원의 이직방지)와 개인수준의 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에 따르면, 기업수준 성과 중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은 직원의 직무능력과 노동생산성, 직원의 이직방지였으며, 개인수준의 성과는 조직몰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훈련과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에 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the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s and population decreases, cultiva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survival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linked a company'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nd the employer'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dditionally, by utilizing the key variables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company-level performanc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employee job ability, labor productivity, company image, employee motivation, and employee turnover prevention) and individual-level performanc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s, respectively. The primary findings indicate that the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employee job skills, labor produ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employee turnover at the company level. Additionally, it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현장사례연구: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기영화,김남숙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the basic research on establishing a model of social capital theory for developing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generating from ultra aging society by exploring plans to increase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s. This purpose of this provide the meaningful alternatives for the aged's job creation project through its evaluation related the effectiveness.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the aged's the job creation project is based o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perspective.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subjective effectiveness are composed of the participation's satisfaction of project, the variation of actual income,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participation or human relationships. Under this viewpoint, with arrival of aging society, in case of Korea, it was appeared that implication obtained through policy and programs of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s of advanced foreign countries has provided a momentum for government, local communities and corporations to be able to successfully increase participation rate of older adults in vocational training by connecting social capitals with lifelong education and to create and continue new jobs by making vocation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programs. 본 연구는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구축의 기초연구로 실시되었다. 고령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초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일자리사업 평가를 위하여 일선 노인복지관의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의 현장사례연구결과 경제적, 신체적 건강증진, 자아 존중감 향상, 사회적 관계 향상 등이 참여자가 인식한 효과성으로 나타났다. 사업운영에 있어서 기관역량이나 규모의 차이에 의한 사업간 편차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지원 제도의 체계적인 모니터링활동도 요청되었다. 무엇보다 전담인력의 고용안정성 확보가 일자리 사업의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 운영 체제적 측면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DB화와 함께 사업추진체제간의 연계성 확보, 일자리사업 전문 인력 양성이 개선점으로 도출되었다. 노인참가자들은 직업에 대한 적극성 그리고 일터에서의 직업의식 함양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계층에 대한 사회적인 관점전환과 직업의식변화도 고령자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인 변화요소로 제언되었다.

      • KCI등재

        국내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윤성 ( Yun-seong Jo ),홍아정 ( Ah-jeong Ho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운영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정부지원 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현재 활용 정도와 개선 필요성 인식 간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이 시급한 사업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도출 결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활성화에 대한 종합적인 발전방안을 추론하고,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설문조사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대상 자료는 기업 단위 조사 패널 자료인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이다. 먼저 현재 중소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인적자원개발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인적자원개발 형태, 제도, 인프라 구축 수준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준거기반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기업 규모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운영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업종 구분 없이 대부분 항목에서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인적자원개발 운영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대표적인 정부지원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제도인 직업능력개발 사업에 관한 현재 활용수준과 개선 필요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Borich 요구도 평가모형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 기법을 대입하여 최우선으로 개선이 필요한 직업능력개발 사업 항목을 도출한 결과 ‘시설/장비 자금지원 및 대부사업’, ‘중소기업훈련 컨소시엄 지원사업’이 가장 개선이 시급한 최우선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 맥락 중심의 인적자원개발 운영방안 및 직업능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Since human resourc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valuable asset for SMEs to survive in this global competitive market, various effort has been invested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not much of systematic analysis on how these effort has turn out for the SMEs. By analyzing current HRD condition of Korean SM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rovement pla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Degree of current utilization and awareness of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job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from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The study examined fo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s, status of building infrastructures to identify the statu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enterpri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operation leve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ME is lower than the level in large enterprises regardless of types of industr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Borich`s Needs Analysis Evaluation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derive the top priorities of the elements of job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which should be improved. As a result, ``facilities/equipment financial support and business lo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onsortium support project’ were identified as the highest priorities.

      • KCI등재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의 실질적 활용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원희 ( Jo Wonhee ),전미선 ( Jeon Miseon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2

        기존 숙련의 형성과 혁신에 관한 연구는 국가 단위로 제도적 상호보완성과 혁신양상의 유형화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한편, 근로자의 숙련은 기업혁신을 도출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논의되면서도, 기업의 교육훈련을 지원하는 고용보험의 기능적 측면은 많이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사업의 실질적 활용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3차∼7차 연도 통합데이터를 활용하였고, 통계방법은 응답자 간 모형과 고정효과 패널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납부액 대비 교육훈련 시행에 따른 환급액 비중을 통해 실질적인 고용보험 지원사업의 활용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고정효과 모형 분석 결과, 모든 산업에서 기업이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지원의 실질적으로 활용할수록 기업 혁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revious research on skill formation and firm innovation had investigated a national level with an emphasis on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and type of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while the skillful workers were discussed as a key factor in deriving firm innovation, the functional aspect of employment insurance that supports vocational training in firm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in Employment Insurance on firm innovation.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s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HCCP) 3rd~7th year integrated data, and two types of panel regression model(between-effect and fixed-effec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insurance support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all industries, the more firms utilizing the employment insurance program which supporting workers skill formation, the higher the firm innovation achie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z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employment insurance support program to activate more innovation of firms.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과 국제개발협력 : 현황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모색

        이영민,최영섭,김잎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Korea became a donor to be classified by UNDP at the field of technical cooperation in 1992 and became the 24th member of the OECD DAC in 2010 , the first of recipient country. However,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in ODA, compared to other advanced aid countries, have delivered too much basic education and material ai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suggested solutions for them. Four identified problems were structural problems, insufficient sharing of information, lack of experts, and shortages of planning a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olic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for vocational cducation and training. Secondly, activating the networks of related organizations is needed to share systematic roles and information. Third, cultivating experts needs teducation, internships, certification, and related training programs. In addition, The participating agencies involve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try to strengthen their own expertise. 우리나라는 1992년 기술협력 분야에서 유엔개발계획(UNDP)이 분류하는 원조 공여국이 되었고, 2010년 OECD DAC에 24번째로 가입하는 수원국 중 최초의 원조국이 되었다. 그러나 직업능력개발 분야 개발협력사업은 다른 선진 원조국들에 비해 지나치게 기초교육 위주이고, 물질적 원조에 치중하고 있으며, 사업의 추진형태도 아직까지 불안정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은 총 세 가지로 구조적인 측면의 문제, 전문가 부족, 사업의 자료 공유 및 정보화 부족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사업의 정책기조 전환과 유관기관의 네트워크를 활성화를 통한 체계적인 역할분담 및 정보공유가 필요하며, 끝으로 개발협력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규 교육과정 편성 및 자격증, 인턴십, 관련 교육프로그램 등의 개설과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참여 유관기관 자체 내 전문가 역량강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훈련 전문기업 ㈜지아이티아카데미의 환경대응 전략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이희수(Hee-Soo Lee),고영희(Young-Hee Ko)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펜데믹 이후 시대에 적합한 국가경쟁력 확보와 개인 발전을 위한 핵심 인력양성 국가 정책이다. 고용노동부가 주관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사업은 연간 1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하고 있고, 약 6,800개의 직업훈련을 직업훈련기관이 위탁운영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COVID19로 인하여 사회가 급변하고 있고, 국가와 사회는 다양한 사업의 혁신과 발전에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급변하는 환경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분야의 산업과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연구들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 중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훈련기관을 운영 중이며, 훈련참여자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직영점 전체가 고용노동부 선정 우수훈련기관이며, 연매출액 300억 원 이상인 ㈜지아이티아카데미를 대상으로 기업의 성장과 발전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외부환경의 변화와 정책적 변화에 따른 ㈜지아이티아카데미의 성장과 발전과정을 시기별 4단계로 구분하고, 성공과 발전전략을 메커니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주체의 강력한 비전과 함께 뉴노멀 시대의 새로운 환경을 창출하는 창조적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지아이티아카데미는 다시 발전과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메커니즘 기반 관점에서 환경창조(S-E-R)-환경혁신(R-S-E)-자원혁신(E-R-S)-환경창조(S-E-R)메커니즘 유형으로의 성공적인 변화 과정을 이어가고 있다. ㈜지아이티아카데미의 메커니즘 순열을 기반으로 나타난 기업의 성장과 발전과정은 경영자들에게 메커니즘 순열의 구축과 체계적인 전략 실행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에 대해 성장과 발전전략을 메커니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로서 직업훈련기관의 성장과 발전과정을 경영전략과 노하우 축적 과정의 특성, 정책적 기회를 활용하는 경영전략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직업훈련기관의 육성을 위한 성공 전략과 직업훈련 정책에 새로운 정책적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Human resource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is a national policy for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pandemic era and fostering key human resources for individual development.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vests more than 1 trillion won a year, and about 6,800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re commissioned and operated. In particula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nd the national and society are very interested in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jects. However, studies on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field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industry an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o develop talented people who are suitable for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This study will present a success strategy for developing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a new policy perspective on vocational training policy through case studies on corporate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ies about GIT Academy Co., Ltd. operating the largest training institution in Korea among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ranked first in training participants market share, having more than 30 billion won in annual sales and more than 200 full-time workers, with the entire direct management store being an excellent training institution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study shows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GIT Academ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cy changes in four stages by period and analyzes the success and development strategies using a mechanism perspective. Based on the creative mechanism that creates a new environment in the New Normal era with the strong vision, GIT Academy is again developing and making positive changes. As a mechanism perspective, the process of successful change is continuing to environmental creation(S-E-R)-environmental innovation(R-S-E)-resource innovation(E-R-S)-environmental creation(S-E-R) mechanism type.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a company based on the mechanism permutation of GIT Academy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CEO what kind of mechanism permutation should be construct an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This study examines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using a mechanism perspective, It focuses on analyz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how accumulation process, 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utilize policy opportunities and it will provide a practical perspective from a strategic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