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

        진미석(Misug 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의 정책과 실천상의 변화를 분석학고 한국 중등단계 직업교육 개혁정책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 고등학교 직업교육은 취약계층을 주요 대상으로 한 고등학교 졸업이후 특정 직업영역의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으로서의 직업교육으로부터 전(全) 학생대상, 취업준비와 아울러 진학준비 교육, 직업과 관련한 다면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 등으로 직업교육정책의 목적이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변화는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영역 전공의, 심화된 수준보다는 입문적인 수준의 직업교과목을 선택하는 고등학생들의 직업교육과정 선택 유형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직업교육과저 ㅇ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보편화된 직업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은 중등단계에서의 직업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란을 가져오고 있는 가운데 향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대안적인 학습방업으로서의 그 기능에 관심이 점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사례는 보편화 다양화를 지향하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직업교육개혁방안의 방향성을 지지하며, 직업교육과정의 다양화의 필요성, 학습방법으로서의 직업교육의 중요성, 직업교육의 평가 체계화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in terms of federal government policies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drew some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Unlike Korea with separate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has been existed in separate courses in comprehensive schools. Vocational educational policies has expanded the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by emphasizing academic achievement of vocational students, providing the broad level of knowledge skills instead of specific job skills, vocation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the preparation for higher education. This change could be found in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taking vocational courses has not been decreased, that of occupational concentrators or advanced occupational concentrators has been sharply decreased during 1982-1998. The relative proportion of vocational courses credits has been also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academic credits. In addition, the vocational courses taken by students has been expanded to emerging vocational area such as LCT, food and hospitality, and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non traditional vocational students such as high academic achiever has been increased. Th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basic function and identity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 work based learning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 change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supports the policy direction of the Korean recent reform polici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provides some implic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revision of vocational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and data collection on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박희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policy change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during the last 25 years (1991-2015). The study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published by government and related agencies such as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Five Year Planning for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al policy changes were presented based o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Special Education Law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 times of Five Year Plannings of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and four tim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years of 1998, 2008, 2011, and 2015. Primary chang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poli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rawn in six area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urpose, system, contents, methods, personnel,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career and vocational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을 1991년부터 2015년까지 약 25년 동안 특수교육 관련법,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특수교육 관련법은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기본 토대를 제공하고,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은 진로․직업교육의 중․단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진로․직업교육의 현장적용 방향을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이 연구의 내용에 포함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 연구의 내용에 포함된 세 가지 정책 관련 정부 및 관련 기관 발행 1차 자료와 진로교육, 직업교육, 전환교육, 장애인 등을 주요어로 하여 검색된 학술논문들이다. 연구의 결과로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내용을 특수교육진흥법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4차례의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1998년, 2008년, 2011년, 201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특수교육 관련법, 5개년 계획,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정책의 변천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 변천에서 제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여 진로․직업교육의 목적, 체제, 내용, 방법, 담당인력, 시설․설비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 결정과 시행 과정에서 정보 및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실행방안에 관한 교사인식

        박영근,윤형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직업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된 정부정책, 직업 관련 인사들의 협력, 진로 및 직업지도 내실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3 혹은 전공과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및 직업교육을 5년 이상 실행해오고 있으며,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하여 실제 수행의 질이 높은 것으로 추천받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외에도 실제로 직업교육 현장을 관찰하였다. 면담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및 직업 지도를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진로ㆍ직업 내실화를 위한 정부 정책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로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ㆍ직업교육 질 향상과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자립과 취업률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있는데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일자리의 양적인 확대가 아니라 질적인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직업 담당 교사들은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부모, 교장, 사업장 동료, 정부관련 기관 등의 관련 인사들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뿐만 아니라, 장애 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지도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교 업무의 경감과 직업교육 전담 인력확보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 정책에 관한 직업계고 교원 및 학생의 인식 분석

        이찬,송낙현,최현정 한국기술교육학회 202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o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vocational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curriculum change, but they complained about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credit system and responded that that there were practical practical difficulties. Second, in terms of strengthening employment competencies, students had strong needs for acquiring certificates and improving practical skills in their majors, but teachers emphasized good character and social skills,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fferent. Third, teachers at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emphasiz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in curriculum management, while teachers at consigned vocational schools emphasize student career path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vocational school credit system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meister high schools than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when it came to areas of curriculum enhancemen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major subjects to develop practical skils,’ while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artistic skills’ and ‘classes to reinforce basic education,’ meister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 classes in foreign languages,’ and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artistic skills’ and ‘various after-school classes to develop aptitudes and tal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establish an industry-academia-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regular curriculum programs for each school,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for 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정책에 대한 직업계고 교원과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분석과 직업계고 교원 및 학생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육과정으로써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하여 직업계고 교원들은 교육과정 변화를 인식하고 있으나 학점제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현실적인 애로사항들이 있다고 반응하였다. 둘째, 취업역량 강화에 대해서 학생들은 자격증 취득, 전공실무능력 향상 등에 대한 요구가 강했으나, 교원들은 바른 인성 및 사회성 역량을 강조하여 교원과 학생의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교원은 교육과정 운영에서 산학 연계에, 각종학교 교원은 학생 진로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 수준은 특성화고보다 마이스터고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의 강화 영역에 대해 직업계고 학생들은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전공과목 수업’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예체능 수업’과 ‘기초학력 보강 수업’에, 마이스터고는 ‘외국어 수업’에, 각종학교 학생들은 ‘예체능 수업’과 ‘적성과 소질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과 후 수업’에 대한 요구가 높아 그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더하여 제언하면, 직업계고는 산·학·관 협력체계 구축하고 학교별 차별화된 정규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되 직업계고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취업 및 진로교육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터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 분석 연구

        박윤희(Yoonhee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터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 및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터키가 직면해 있는 직업교육훈련 과제와 이슈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 발전을 위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터키의 교육체계는 크게 ‘형식 교육(formal education)’과 ‘비형식 교육(non-formal education)’으로 구분되며, 이들 교육활동은 교육부(Ministry of National Education)가 담당하고 있다. 형식교육은 학령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의 4개 수준으로 이루어지며, 비형식 교육은 공공교육, 도제훈련, 그리고 원격교육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터키의 직업교육훈련은 정규교육 영역에서는 중등교육 단계와 중등교육 이후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정규교육 이외의 영역에서는 비형식 교육 형태로 주로 도제훈련을 통해 실시된다. 또한 최근 터키는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인력의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노동시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양질의 인력을 양성하고, 유럽연합 (EU) 기준에 상응하도록 직업교육훈련 체제를 개혁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터키는 성별 및 지역간 교육격차 문제점 해결, 여학생들의 중등교육참여율 제고 및 중도 탈락률 억제, 직업교육의 활성화, 교육과 노동시장간의 연계성 부족, 직업교육훈련의 질 제고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함으로써 직업교육훈련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Turkey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one of emerging economies due to their growing importance in the worl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Korean VET. The study describes major features of Turkish VET system, including Turkish education system, the governance system of VET(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VET), the delivery system of VET(VET institutions), curriculum development, and career guidance. In addition, it discusses major issues Turkey faces with respect to building a national VET system and other human resource issues which are crucial to sustainable growth of this country. Turkey has paid attention to modernize the VET system. However, many issues needed to be solved remain: the gaps among gender and regions, the low enrollment rate and high drop-out rate of girls,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stud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lack of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and a low quality of VET. Turkish government tri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by improving VET system and practices.

      • KCI등재

        중국의 평생교육정책의 변천과정과 방향

        박복선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1

        China has a long history of adult education with a unique feature of 'Universities for Adults Only.' But recently, it prefers the term of lifelong education to adult education in the context that lifelong education is more widely used, in particular, among the OECD countries. In line with it, the Chinese government has made many efforts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it has enacted the Lifelong Education Law; it has designated some cities as the Learning Cities; and it has formulated many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lso, China has set the clear direction in which lifelong education moves forward: it tries to use lifelong education to train adults to become the more competitive labor force needed to achieve socialist modernization. Accordingly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s highly emphasized as a form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not only in the urban areas but also in rural areas. China started lifelong education a little later than Korea but with tremendou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lifelong education has achieved a rapid growth and began to produce some meaningful outcomes. For that reason, it is worthwhile to study lifelong education in China in depth to figure out what lessons Korea can learn from its experiences. In specific, first,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how the policies of adult education in China have been developed historically and why the term of lifelong education is preferred to adult education.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lifelong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currently implemented in China and what effects they have made. Third, the author tries to find out what lessons Chinese policies of lifelong education can give to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평생교육정책의 변천과정과 평생교육정책의 방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 먼저 중국 평생교육정책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고, 둘째, 최근 추진하고 있는 중국 평생교육의 정책 방향을 살펴본 다음 셋째, 중국 평생교육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탐색해 보는데 있다. 중국 평생교육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중국의 평생교육은 성인교육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중국의 성인교육은 문화대혁명이후 덩샤오핑(鄧小平)의 ‘경제건설’과 ‘개혁개방’정책의 추진과 함께 교육은 경제발전과 중국의 현대화에 실현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성인교육과 평생교육이 급속하게 발전되었다. 중국은 21세기에 진입하면서 ‘인구대국’에서 ‘인력자원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2020년까지 평생학습체제 기반을 조성하여,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필요한 인력자원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직업교육과 성인교육의 연계, 농촌직업교육의 강화, 성인계속교육의 발전, 학습도시조성사업, ‘평생교육법’ 제정 등 다양한 평생교육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평생교육정책 방향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형인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성인계속교육의 비정규교육 중심으로 전환하고, 지식기반사회에서 학습사회의 건설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한국과 유사하다. 향후 한중간의 자유무역협정(FTA)체결과 교육시장 개방을 준비하는 이 시점에서 중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두 다리로 걷는 교육정책'과 '성인교육의 이원화체제', 새로운 모델로서의 '성인대학' ,'해협양안평생교육대학', '전공증서제도' 등의 정책은 우리에게 적지 않은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독일의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 정책 연구

        유진영,김기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Germany's policies that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th as the country, has long been implementing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such as resolving refugee issues and amending immigration laws. As a multiethnic immigrant country, Germany has focused on soci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since the 1960s, but with the recent influx of migrants and refugees, the country has been focusing on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youth. Therefore, Germany has strengthened policies to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so that multicultural youth can adapt to enter German society, and has provided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education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policies and trends in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teenagers.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viewed Germany‘s policies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vocational education and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to examine recent trend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presented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for Korea's policy on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th. 독일은 1960년대 이후 이주노동자의 사회 적응과 통합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 이주 1,2세대와 난민의 유입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통합정책에 힘쓰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독일사회에 적응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교육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직업교육 지원 정책과 동향을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며 연구 방법은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난민 문제해결과 이민법 개정 등으로 이주국가로서 다양한 다문화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독일에서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의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 KCI우수등재

        노동시장정책이 청년의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고용보호, 직업교육,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장효진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rotection for regular jobs, vocational education,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by using panel data of 22 OECD countri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loosening employment protection for regular workers has limited effects on youth employment, while firms’ involvement in vocational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youth employment. Among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job training programs and re-entry facilitation policie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th employment, whereas direct job creation policies show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ies to strengthen vocational education by facilitating firms’ involvement and to expand government investment in job training and re-entry facilitation. 본 연구는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고용보호제도와 직업교육 및 적극적 노동 시장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정규직 고용보호수준의 완화가 청년의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직업교육에서 기업의 참여, 그리고 직업훈련, 재진입정책과 같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청년 노동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고용창출정책은 청년실업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고용률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규직 고용보호 수준의 완화로는 청년 실업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직업교육에서 기업의 참여 수준을 높여 실습 위주의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직업훈련과 재진입정책과 같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투자 수준을 높여 나가야 한다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KCI우수등재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개발효능감의 분석 : 2006년과 2016년 비교를 중심으로

        전현정,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decision and career development efficacy of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mo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considering various school and student variables of students. To do thi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adapted to KEEPⅠ2006 data and KEEP Ⅱ2016 data that examined the same grade at 10 years gap.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Comparing the patterns of change over the decade, the total number of schools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2006 and 2016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However, after 2016,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xceeded the entrance rate.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individuals, families, and schools was found to increased after implementa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As a result of analyzing career education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career decision and career development 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2016 were higher than th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2006. In addition, the career capacity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2016.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등 직업교육 정책 추진 전과 후 시점을 중심으로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개발효능감을 학생 개인 학교 가정 변인들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0년간의 격차를 두고 동일 학년을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Ⅰ의 3차년도(2006년) 자료와 한국교육 고용패널Ⅱ의 1차년도(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10년간의 격차를 두고 있는 중등 직업교육 정책 시행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두 집단 간 존재하는 선택 편의의 문제를 해결하며 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해주는 경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0년간의 변화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2006년과 2016년의 일반계고와 직업계고의 총 학교 수와 학생 수는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지만 2016년 직업계고 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률이 진학률을 넘 어서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중등 직업교육 정책 시행 이전보다 이후의 개인 가정 학교에 대한 만족 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집단 간 차이를 통제한 뒤 두 시점별 진로교육 성과를 분 석한 결과, 진로결정과 진로개발효능감 모두 2006년 전문계고 학생들 보다는 2016년 특성화고 학생이 높았으며, 2016년 특성화고 학생들보다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중등직업교육 정책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EU주요회원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독일과 스웨덴의 정책사례 중심으로

        황기식,김선희,백경숙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1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major EU countries with advanced experience in youth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policies, and aims to find characteristic implications. As a research framework An Introduction to the Current State of Youth Policy in Korea and Introduce the direction of German and Swedish policies in the EU communit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youth as part of social integration. The universal outcome of analyzing case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and Sweden is that it aims to nurture youth as an independent expert who can successfully participate in society as a key element of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ituation of the youth is specifically considered and suppor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Germany and Sweden, it aims to foster young people as independent, successful professionals who can participate in society, and supports them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suit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these major countries suggest that policy is setting policy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ity of supporting all students and vulnerable youths, rather than separating them into specific group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th. Based on the analysis from the above major EU member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Korea's youth support policy and to provide support for stable social adjustment of these youths in Korea and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necessary for self-reliance. 본 연구는 청소년 직업훈련 교육정책에서 앞선 경험을 가진 EU 주요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특징적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틀로서 한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먼저 살펴보고 사회통합의 일환으로서 시행하고 있는 EU 공동체 내의 독일과 스웨덴의 교육정책의 방향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원 정부 정책을 소개한다. 이를 토대로 두 국가의 청소년 취업 지원 방향과 정책사례들이 한국의 청소년을 위한 취업 지원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독일, 스웨덴의 직업교육 정책사례 분석에 따른 보편적 결과로는 사회통합의 핵심적 요소로서 청소년을 성공적인 사회참여가 가능한 자립적 직업인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 나라 사정에 맞는 특수성을 가지고 청소년의 상황을 고려하여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주요국의 정책사례 분석결과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로는, 정책이 청소년을 특정 집단으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 학생이나 취약계층 청소년 전부를 포괄하여 지원하는 보편성과 함께 청소년만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위의 주요 EU 회원국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의 청소년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뒷받침과 더불어, 자립을 위해 필요한 맞춤형의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