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직무재창조 조사도구 개발

        양인준,정진철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of job crafting for corporate employees. In this study,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job crafting and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hich were done by field employees and exper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512 corporate employees by using questionnaires derived through those process. After that, sub-sectors and main instrument of job crafting for employee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analysis by using the respons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job crafting was consisted of 4 sub-sectors: improving job performance, making social relationships, expanding the meaning of job and responding job demand. Second, there are 16 items consisting of job crating instrument; 5 items of improving job performance, 4 items of making social relationships, 4 items of expanding the meaning of job and 3 items of responding job demand.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categorize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ployees by job crafting sub-sectors based on the job crafting instru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crafting development program. Secon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job crafting in the context of the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by using this instru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xternal validity of job crafting instru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es.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환경 및 근로자 특징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체 근로자의 직무재창조를 구인화하고, 구인화한 내용을 토대로 예비문항을 도출한 뒤, 현업 근로자 및 분아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문항을 활용하여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512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응답데이터를 바탕으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업체 근로자 직무재창조 조사도구의 하위구인 및 세부 문항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재창조는 직무 수행 개선, 사회 관계 형성, 직무 의미 확대, 직무 요구 대처 총 4개의 하위구인으로 구성된다. 둘째, 직무재창조 하위구인별 세부 문항 구성과 관련하여 직무 수행 개선 5문항, 사회 관계 형성 4문항, 직무 의미 확대 4문항, 직무 요구 대처 3문항 총 16문항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재창조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직무재창조 하위구인별 인식수준 차이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이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기업환경 맥락을 반영한 직무재창조 영향요인을 구명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직업군 및 산업군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조사도구의 외적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교사용 직무재창조 프로그램 개발

        장경원,고수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Job crafting refers to a series of activities in which an individual newly forms, transforms, and redefines his or her job by physically and cognitively changing the boundaries of work in his / her work. The job crafting program aim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members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work through recreating their jobs.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a job crafting program specialized for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a teacher job crafting program, literature and cases related to job crafting, and success stories of job crafting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job crafting program for teachers was developed and operated and, we conducted a formative evaluation of teacher job crafting program.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valuated the program as meaningful because they ha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ir job again. This job crafting program for teacher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직무재창조(job crafting)는 개인이 자신의 일에서 과업의 경계를 물리적・인지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직무를새롭게 형성, 변형 및 재정의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직무재창조 프로그램은 구성원들이 직무재창조를 통해자신들의 근무환경과 근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에게 특화된 직무재창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사용 직무재창조 프로그램 개발을위해 먼저 직무재창조 관련 문헌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재창조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결과 상위 20%에 해당하는 직무재창조 우수 교사들의 직무재창조 우수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와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교사용 직무재창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후 이에 대한 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직무에 대해 다시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의미 있다고 평가하였다. 교사용 직무재창조 프로그램은 학문적・실용적 측면에서 교사 및 예비교사 대상 교사교육을 위해 기여할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과 방법

        장경원(Kyung won Chang),고수일(Soo il Ko)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1

        학생들의 진로선택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진로교육을 총괄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보다 주도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창조하며 수행하기 위한 직무재창조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직무재창조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 수준은 개인차원과 집단 차원이 거의 비슷하였고, 개인 차원에서는 인지가 가장 높고, 과업, 관계의 순이었다.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 수준을 주요 집단 특성별로 비교한 결과 성별 비교에서는 개인차원에서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이 의미있게 높았고, 경력 비교에서는 경력이 높을수록 대체로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은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유사하였다. 교사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을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사용한 방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수준에서는 개인 영역과 관계 영역으로 구분되는 방법이 있었고, 과업 수준에서는 학습, 실행, 소통 영역에서의 방법이 있었다. 관계 수준에서는 업무, 상호작용, 네트워크 영역의 방법이 제시되었다.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이 인지, 과업, 관계 수준에서 활용한 방법들은 많은 부분에서 서로 겹치고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인지, 과업, 관계 수준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할 수 있는 연수 및 지원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role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who oversee care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 the choice of students’ paths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at school. Given this background, it is important for career counseling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more proactively. This research aims to foster job crafting by examining the level and status of job crafting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reviewing their job crafting for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gnitive craft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ask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job crafting by career counseling teachers by key group attributes, the job crafting level of fe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job crafting strategies in detail, the strategy used in the group with high job crafting score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ognitive level, strategies in the individual domain and the relationship domain were derived, and in the task level, there were strategies in the learning, execution, and communication domains. At the relationship level, strategies in business, interaction, and network areas were derived. Strategies used by career counseling teachers at the cognitive, task, and relationship levels overlap and are interrelated in many areas,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m integrally rather than categorizing them into cognitive, task, and relationship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motion of job crafting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was proposed.

      • KCI등재

        직무복잡성과 직무재창조 간 관계: 핵심자기평가와 대인관계피드백의 조절된 조절역할

        신인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Due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job context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the necessity for the behaviors that job incumbents proactively shape their job boundaries is increasing, however, previous research tends to neglect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job crafting in complex job contexts. This study thus focuses on how job complexity relates to job crafting. In addition, it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the level of core self-evaluation of job incumbent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and job crafting. Further, it presents a moderated moderation model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feedback from coworkers moder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and job craf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were obtained by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170 employees, indicate that job complex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crafting, core self-evaluation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 feedback moderates the strengthen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lex job contexts act as opportunities for job crafting, and that the level of core self-evaluation and the degree of interpersonal feedback play roles in leveraging the opportunities. This study also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terms of acquiring, utilizing, developing human resources.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해 직무환경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직무수행자가 자신의 직무경계를 주도적으로 형성하는 행동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선행연구에서는 복잡한 직무환경에서의 직무재창조 가능성에 대해 파악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해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복잡성이 직무재창조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직무수행자의 핵심자기평가 수준이 직무복잡성과 직무재창조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동료들로부터 얻는 피드백의 정도가 직무복잡성과 직무재창조 간 관계에 대한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조절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조절된 조절모형을 제시한다. 170명의 직무수행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복잡성은 직무재창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심자기평가는 직무복잡성과 직무재창조 간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대인관계피드백은 핵심자기평가의 강화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복잡한 직무환경은 직무재창조를 위한 기회로 작용한다는 점과 직무수행자의 핵심자기평가 수준 및 대인관계피드백 정도가 그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지렛대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인적자원의 확보, 활용, 개발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조직을 관리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직무자율성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연구

        노미오,곽묘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5

        [Purpose]Job crafting is a concept in which when a worker performs a task, it gives meaning to his/her work and changes his/her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who interacts with the worker, not limited to the task given in the job description. Grit is a non-cognitive personal trait that strives to achieve long-term goals with passion and persistence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lf-determinism, job autonomy is a motivating factor and a precedence factor of grit and job crafting. Hence, this study examines how gri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Methodology]For this purpose, we described prior literature review and three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mall companies, and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We employed SPSS 24.0 to verify these hypotheses. [Findings]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d job crafting. Second,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Third, grit had partially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Implications]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grit which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also in the field of busi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passion and persistence of workers, give workers job autonomy in order to improve job crafting. [연구목적]직무재창조는 직무수행자가 일을 처리할 때 직무 기술서상에 주어진 업무에 한정하지 않고 자신의 일에 의미를 부여하며 업무상 상호작용하는 사람과의 관계에 변화를 주는 개념이다. 그릿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장기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는 비인지적인 개인특성이다.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직무자율성은 구성원들의 행동에 동기부여로 작용되고, 그릿과 직무재창조를 하는데 있어서는 내재적 동기가 선행 요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재창조를 하기 위한 선행 요인으로 직무자율성과 매개변인으로 그릿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과 논의를 충분히 검토하였고 최종적으로 3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9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 타당성과 상관관계를 검토하였고, SPSS24.0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은 직무재창조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그릿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릿은 직무자율성과 직무재창조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원들의 직무재창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직원들에게 직무자율성을 주고, 직원들의 열정과 끈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릿이 교육학분야뿐만 아니라 경영학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작용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산업체 근로자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무형식학습, 직무재창조를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장미영(Mi Young Jang),리상섭(Sang Sueb Lee)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성리더십, 직무자율성, 무형식학습, 직무재창조,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국내 산업체 근로자 8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자원자 패널을 활용한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를 직무자율성과 무형식학습이 완전매개하였다. 즉, 진성리더십은 직무재창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직무자율성과 무형식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직무재창조에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재창조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성요인인 일과 삶 균형,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각각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율성, 무형식학습, 직무재창조는 진성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성요인인 일과 삶 균형,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의 관계를 순차적 매개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재창조가 산업체 근로자들의 주관적 경력 성공을 향상시킴으로서 구성원들에게 의미 있는 행동임을 확인하였고, 직무재창조 향상을 위한 진성리더십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이 직무수행의 자율성을 보장받고, 다양한 방법으로 무형식학습을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리더의 진성 리더십 함양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job autonomy, informal learning, job craft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industrial workers.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argeting 887 industrial workers and an interne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collect information from volunteer panels. SPSS 25.0 and AMOS 25.0 were selected as analytics tools.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outcomes. First, the relation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crafting is fully mediated by job autonomy and informal learning. In other words, authentic leadership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job crafting, whereas it directly affects job autonomy and informal learning, driving an indirect impact on job crafting. Second, job crafting has a direct effect on the compone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such as work-life balance, employ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the relation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compone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such as work-life balance, employ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is consecutively mediated by job autonomy, informal learning and job crafting. The outcomes above indicate that job crafting is meaningful behavior, improv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industrial workers, and authentic leadership plays its role in job crafting. Therefore,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ensure that leaders secure their authentic leadership to make sure that their team members have their job autonomy, and to nurture an environment for informal learning in various manners.

      • KCI등재

        관계적에너지와 회복탄력성이 직무재창조를 통하여 개인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남은우,선은정,서영욱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With the global pandemic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business environment of companies was engulfed by rapid volatility and uncertainty. In particular,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have high competitiveness due to the spread of the flexible work system, relationship management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self-directed job crafting are recognized as important key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relational energy and resilience within a corporate organization affect job crafting and to verify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For empirical research, 400 valid responses to employees of general companies were analyzed by SPSS 26.0 and Smart PLS 3.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al energy did no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ask craf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energy had a positive (+) effect on relational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task crafting, relationship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that constitute job crafting.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intend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vide practical help to follow-up researchers and stakeholders. 4차산업혁명시대에 글로벌팬데믹을 맞이함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은 급격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특히, 유연근무제의 확산으로 조직이 높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의 관계관리와 자기주도적 직무재창조가 중요한 핵심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조직내 관계적 에너지와 회복탄력성이 직무재창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직무재창조가 개인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해 일반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400개의 유효한 응답에 대하여 SPSS 26.0과 Smart PLS 3.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계적 에너지가 과업재창조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계적에너지는 관계재창조와 인지재창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직무재창조를 구성하는 과업재창조와 관계재창조, 인지재창조 모두에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재창조는 개인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자들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이주석(Lee, Ju Seok),송성숙(Song,Seong Su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 30일부터 5월 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5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AMOS 23.0으로 모형적합도, 변인 간 영향관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모형은 실증 데이터를 타당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무형식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재창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직무재창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열의는 무형식학습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 및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형식학습,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열의가 제고될 수 있도록 조직차원의 관리방안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성과 경영환경에 따라 각 자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영향관계가 직무재창조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후속연구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30 to May 7, 2021, and 451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sed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which uses AMOS 23.0 to analyze model fit, inter-variable influenc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important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dequately explained the empirical data. Secon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Thir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job enthusias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fth, job enthusia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job crafting and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mote job re-creation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 to enhance informal learn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thusiasm.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tha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at kind of change the relationships resulted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mpany make on job crafting.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민라영(Min, Layoung),안동근(An, Dongg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직무재창조를 설명하는 상사, 조직, 개인에 대한 인식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조직동일시, 자기효능감 및 직무재창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조직동일시, 자기효능감, 직무재창조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동일시가 자기효능감과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했고, 자기효능감은 직무재창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조직동일시와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직무재창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직무재창조에 기여하는 상사, 조직, 개인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다측면적 관점에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재창조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실행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o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s about supervisor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at explai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job crafting of teachers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25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measured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thei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of teacher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were significant,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s’ job craf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s’ job crafting and was successive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finding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explaining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about supervisor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ontribute to job craft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From a practical viewpoint, it ha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oposing effective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job craft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민철(Mincheol Shin),오상진(Sangjin Oh)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조직구성원들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와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노력은 현재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와 개발 차원에서 최우선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이다. 조직구성원들은 자신에게 부여된 업무를 스스로 변화시켜 일을 더욱 의미 있고 가치 있게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지와 노력도 중요하지만, 리더의 적합한 지원은 이러한 활동을 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의지와 노력을 일으킬 수 있도록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리더의 코칭리더십에 많은 관심을 집중하게 되었다. 그러나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직무재창조, 조직지원인식,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검증하고,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코칭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 있어서 각각의 매개와 다중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을 통한 질의응답 방식으로 688부를 배부하여 335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부트스트랩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Macro 3.0을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 재창조, 조직지원인식,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재창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재창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와 다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높이고, 이들을 매개로 하여 직무재창조를 향상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직무재창조 간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코칭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기여했다는 연구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재창조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의 코칭리더십 향상에 관심을 두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관심과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effort by members to enhance their own values and competitiveness is now a top priority in terms of corporate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development. Whil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re important to their will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asks that they are assigned to them to make things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the proper support of the leader plays a critical role in strengthening these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to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leader who is flexible enough to create a voluntary commitment and effort.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leaders coach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craf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chanisms by which coaching leadership positively affec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crafting, and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re mediated and multiple-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688 copies online via question and answer method, and 33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hypothesis testing used Macro 3.0, which is analyzed using bootstrap method. First, the study that verified the hypothesis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b craft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crafting. Third,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crafting.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play a role of mediating and multi-mediating. Through this study,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leader was a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raising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improving job crafting through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existing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mechanism between coaching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job craft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irst, in order to increase job craft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coaching leadership of leaders and to make various efforts and investments. Second, companies need to strengthen interest and practical support to rais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