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종삼(牟宗三)의 철학체계(哲學體系)에 있어서‘지적 직각(智的 直覺)’의 문제(問題)

        박승현 ( Seung Hyun Park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2 No.-

        ‘지적 직각’은 모종삼 철학체계 내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 어떤 의미에서 모종삼 철학의 전제와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소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적 직각의 개념은 원래 칸트에서 온 것이 다 모종삼은 이 개념을 차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모종삼은 만약 인간이 지적 직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승인하지 않는다면 모든 중국철학은 불가능하고, 헛수고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면 칸트는 인간은 지적 직각을 가질 수 없고, 하나님만이 비로소 지적 직각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칸트는 실천이성을 논하였지만 지적 직각의 문제를 논할 때는 칸트는 인식론의 범주 내에서 ,이 문제를 생각하였다. 또한 모종삼은 ``지적직각``과 ``물자체``는 모두 가치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가치적 의미로 그것을 볼 때, 비로소 ``지적직각``의 진정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왜 인간이 지적 직각의 소유 여부의 문제가 그렇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인가? 그것은 바로 인간 의 이상성 실현의 원동력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은 실천되어 실현되어질 때 그 진실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인간에게 지적 직각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도덕 실천력과 인간의 이상성 실현의 원동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그래서 우리의 삶의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진실한 의미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智的直覺``這一槪念在牟宗三的哲學體系裏具有非常重要的作用, 一定意味上他構成了牟宗三哲學的前提和根基. 智的直覺本是康德提出的一個槪念, 但牟宗三借用了這個槪念, 幷賦與了他以新的意義. 在牟宗三看來, 如果不承認人可有智的直覺, 則全部中國哲學都是不可能的. 在康德哲學中, 人是不能有智的直覺的, 只有上帝才有智的直覺. 康德雖然也談實踐理性, 但是在討論智的直覺這個問題時, 康德是站在認識論的範疇內來思考問題的. 又我們應該注意, 牟宗三所說的``智的直覺``和``物自體``都是具有價値的意義的槪念, 只有用價値的視野來看待他時, ``智的直覺``才獲得了其獨立而眞實的意義. 人是否具有智的直覺的問題, 爲什마有那마重要的意義니? 因爲那就是和道德實踐力的問題有關係.

      • KCI등재

        賀麟의 直覺說 硏究

        연재흠(Yeon, Jaeheu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8 No.-

        현대 중국철학의 발전과정 속에서, ‘理智’(understanding)와 ‘直覺’(intuition)에 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양수명과 웅십력이 理智보다 直覺을 중시하며, 直覺을 통해 철학적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고 역설한 반면 풍우란은 직각은 신비한 경험일 뿐이라고 강조하였다. 賀麟은 이처럼 상반된 입장을 지양하며 理智와 直覺의 융합을 주장하였다. 賀麟은 인간의 주체인 마음(心)을 ‘心理的 意義의 마음’과 ‘論理的 意義의 마음’으로 구분하였다. 賀麟에게 있어 論理的 意義의 마음은 理想的이고 초경험적인 정신적 원칙으로 ‘心卽理’의 心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경험을 통섭하고 지식을 이루며(眞), 행위를 주재하고(善), 가치를 평가(美)할 수 있는 진정한 주체를 의미한다. 賀麟이 생각했던 直覺은 論理的 意義의 마음이 대상의 내면에 깊이 들어가 대상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감상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功能을 지니고 있다. 賀麟은 理智를 중심으로 직각을 ‘先理智的直覺’과 ‘後理智的 直覺’을 구분하였다. 이 두 직각 가운데 後理智的 直覺만이 ‘경험이며 방법’이란 진정한 直覺의 의미를 지닌다. 賀麟은 直覺의 기능과 작용을 ‘내부를 향한 성찰’을 중심으로 하는 ‘反省式 直覺’과 ‘외부를 향한 관찰과 인식’을 중심으로 하는 ‘透視式 直覺’으로 구분하였다. 賀麟은 本心의 회복을 강조하는 陸象山의 철학을 反省式 直覺으로, 讀書와 格物致知를 중시하는 朱熹의 철학을 透視式 直覺으로 說明하였다. 賀麟은 특히 朱熹의 透視式 直覺을 중시하였다. 賀麟은 일종의 體驗으로써의 朱熹의 독서법과 格物致知說은 虛心切己한 태도를 지닌 主體가 天理를 함축한 성현의 책을 통해 天理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감상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賀麟은 나아가 이를 통해 眞·善·美를 체험하고 나아가 主客대립을 초월하여 主客合一·心與理一·本心回復의 정신적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賀麟은 소크라테스·플라톤·스피노자·칸트·키에르케고르·베르그손·딜타이 등 서양 철학의 이론을 수용하여 자신의 直覺說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양과 서양·朱熹와 陸象山의 철학적 分岐를 융합하고 중국 철학의 현대화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賀麟의 直覺說은 비록 後學들의 커다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그가 지녔던 문제의식과 서양 철학에 대한 수용 태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논의의 필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하린의 송유 연구 - 주자학 해석을 중심으로 -

        천병돈(千炳敦)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8

        현대중국에서 賀麟(1902-1992)은 독일철학 전문학자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현대신유학의 ‘송명유학’에 주목하여 賀麟의 宋明儒學중 주자학과 관련된 賀麟의 주장이 타당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賀麟철학에서 朱子學과 象山學은 자신의 철학 체계를 구성하는데 내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賀麟에 의하면, 朱子의 ‘태극’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천지만물의 理를 가리킨다. 둘째, 太極은 心과 理의 合一전체 혹은 靈明한 경지를 가리킨다. 宋儒의 직각설에 대해 賀麟은 ‘직각’을 이지적 공감(intellectual sympathy[同情])을 이용하여 사물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과 이지적 사랑(intellectual love)으로 사물을 완미하는 것 둘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자를 다시 ‘외부관찰’과 ‘내부 성찰’ 둘로 나누어, 전자를 ‘투시식 직각’이라 하고 후자를 ‘반성식 직각’이라고 했다. 朱子의 직각은 ‘투시식 직각’이다. 필자는 투시식 직각의 방법론을 차용하여 ‘격물궁리적 직각’이라고 했다. 이상 두 가지 논의를 통해 賀麟이 주장하고 한 것은 ‘心理合一’이었다. 그러나 주자철학의 핵심인 心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賀麟이 주장한 주자의 ‘心理合一’과 ‘태극의 심리합일 경지’는 주자학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宋儒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확립하고자 했던 자신의 목적도 이루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He-Lin, Taiji in Zhu-xi has two meanings. First, it refers to the Li of heaven and earth. Second, Taiji refers to the whole of the combination of Mind and Li, or the state of sophistication. Regarding the Intuition Theory, He-lin divided ‘Intuition’ into two parts: observing things carefully using intellectual sympathy and completing things with intellectual love. ‘External observation’ is called ‘perspective intuition’, and ‘internal reflection’ is called ‘reflective intuition’. Zhu-xi’s is ‘perspective intuition’. I borrowed the methodology of perspective intuition and called it ‘gewu qiongli-style(the investigation of phenomena and the full comprehension of their underlying principles) intuition’. Through the two discussions above, what Xi argued and did was ‘Mind and Li are one’.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Mind, which is the core of Zhu-xi’s philosophy, Zhu-xi’s ‘Mind and Li are one’ and Taiji’s ‘Mind and Li are one’, which He-lin argued, are also in the Zhu-xi philosoph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did not achieve his purpose of establishing his own philosophy through Song Dynasty Confucianism.

      • KCI등재

        직각삼각형 교구를 활용한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 구성 및 정당화

        김남균,오민영,이미림,김수지,송동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학교와 수업 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직소 교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 이해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 4학년생 15명을 대상으로 직각삼각형 교구로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을 구성한 결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삼각형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정당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직각삼각형 교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예각, 둔각삼각형을 구성하였으며, 둔각삼각형보다 예각삼각형을 더 쉽게 많이 만드는 등 삼각형의 종류에 따라 구성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교구로 구성한 예각, 둔각삼각형을 정당화하는데 나타난 특징은 교구 조작이나 직관을 사용한 경험적 정당화와 수학적 성질을 사용한 분석적 정당화를 한다는 점이다. 학생의 삼각형 이해도에 따라 정당화의 유형과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볼 때 직각삼각형 교구가 초등학생의 예각, 둔각삼각형의 구성과 정당화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학생의 도형 구성과 정당화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ute and obtuse triangles using the jigsaw manipulative materials in the form of right triangles. To do that, the results of 15 fourth graders’ constructions of acute and obtuse triangles with the right triangle manipulative material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types of justifications for the definition and properties of the triangl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constructed a variety of acute and obtuse triangles using the right triangle manipulative material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truc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 of triangle, with some students constructing more acute triangles more easily than obtuse triangles. Students’ justifications for constructing the acute and obtuse triangles were either empirical justifications based on manipulation and intuition, or analytical justifications based on mathematical propertie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justifications differed based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riangles. Based o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right triangle manipulative materials are useful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and justification of acute and obtuse triangles, yet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that w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geometrical construction and justification.

      • KCI등재

        梁漱溟의 이상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이경남(Lee Kyung-Nam) 한국양명학회 2002 陽明學 Vol.- No.8

        이 논문은 梁漱溟의 大人意識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 이 무엇인가를 고찰한 것이다. 양수명의 사상은 陽明哲學을 중심으로 두고 있으면서 서양철학을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인간관은 바로 이론과 실천이 합치된 지행합일의 인간상이 바탕이 되며, 이는 狂者의 모습으로 묘사할 수 있다. 양수명은 이러한 바람직한 인간상을 염두에 두면서 그들이 함께 실현할 수 있는 공동사회에 대한 일정한 대안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新社會’ 라고 규정되며, 새로운 사회의 구현을 위한 실천방안은 향촌건설운동으로 나타난다. 그가 현실을 직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태도에서 우리는 바로 광자 곧 열의를 가진 실천인 그리고 참된 즐거움 곧 眞樂을 즐기는 大人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그렇다면 대인의식의 내면적인 주체는 무엇인가? 양수명의 표현을 빌면 그것은 바로 直覺인데, 직각은 양지 또는 양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통사람들은 近道의 경지에 머물러 있지만 참된 인간 곧 대인은 완전한 직각을 지닌 경지에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知行合一과 致良知가 투영된 양수명의 이상적인 인간관은 정보의 시대를 살아가는 삶 속에서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한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model man now and here under reviewing the Great Man(大人) spirit of Liang Shu-Ming(梁漱溟 1893~1988). Liang constructed his unique idea by filtering contemporary western ideas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Yang-Ming philosophy(陽明哲學). Basically, Yang-Ming philosophy emphasized on the conformity between knowing and doing(지행합일). Thus, Liang's model man idea came out of it. He coined his idea with the name of the Enthusiasm Man(狂者). He thought his New Society must be full of such model men. Actually, he, also one of his model men, tried to participate in the real world and establish new society by Home Town Reconstruction Movement(鄕村建設運動). Liang's Enthusiasm Man represents a man of doing with passion and a great man enjoying his life with Great Pleasure(眞樂). Such spirit is basically rooted in the insightful eye on the reality and active attitude toward the life itself. By the way, what is the substance of the Great Man spirit? Liang pointed out the Great Man spirit consisted of Intuition(直覺), which came from Yang-Ming's idea, primordial knowledge(良知) or conscience. Liang recognized ordinary people stayed at the stage of ordinary knowledge, while Great Man followed the imperatives of primordial knowledge by insightful intuition. In conclusion, Liang's model man spirit tells us the importance of recovering the natural human spirit at this Information Age. So, the pursuit of primordial knowledge by intuition will be recommended as a way of recovering the human nature and reinforcing desirable competencies our communities require at this moment.

      • KCI등재

        아드와이따 베단따의 "보기" 망각에 관하여

        박효엽 ( Hyo Yeop Park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BSBh 1.1.2에서 샹까라가 직각(anubhava)을 계시서와는 다른 별도의 지식수단이라고 언급한 것은 베단따의 수행론을 논의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베단따의 수행론은 계시서가 직접적 지식을 낳을 수 있다는 입장과 낳을 수 없다는 입장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듣기 중심적 수행론이고 후자는 명상하기 중심적 수행론이다. 직각에 대한 샹까라의 언급은 후자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곤 한다. 그런데 샹까라의 언급은, BrU의 "아뜨만을 보아야만 하고 들어야만 하고 숙고해야만 하고 깊이 명상해야만 한다오." 라는 문장에서 듣기 등과 별도로 보기를 지식수단으로 간주할 경웅에, 새로운 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 문장은 ``듣기가 없어도 볼 수 있는 자``와 ``듣기가 있어야만 볼 수 있는 자``에 대한 구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샹까라는 BSBh 1.1.2에서 직각이 지식수단(수단)이라고 말하는 동시에 지식의 종착점(결과)이라고 말한다. 이 경우에 우빠니샤드 이후에 사라져버린 보기를 가져온다면, 지식의 종착점이 직각(직접적 지식)의 형태라는 것에 입각하여 그 직각(보기) 자체가 지식수단일 수 있다는 것이 샹까라의 의도인 셈이다. 사실 샹까라는 듣기와 별도로 보기를 독립적인 지식수단으로 의식하고 있었지만, 베다 근본주의나 계시서 절대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듣기 우선적 수행론을 견지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우발적으로 직각에 대한 언급을 남겼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샹까라는 보기의 흔적을 남긴 동시에 듣기의 권력화를 환성한 학자이다. 후대 베단따에서는 우빠니샤드의 보기가 철저하게 망각되는데, 이는 역설적이게도 우빠니샤드의 권위가 강화된 것에 그 원인이 있다. Sankara`s mention in BSBh 1.1.2 that anubhava is a means of knowledge apart from sruti is very significant factor to discuss the theory of practice in (Advaita) Vedanta. In the circle of Vedanta it is an issue whether sruti can produce a direct knowledge of anubhava can do it; the former is a position of ``hearing-centric`` practice, the lat-ter is that of ``meditation-centric`` practice. Generally Sankara`s mention on anubhava is interpreted to support the latter. However, his mention may have a clue to the new solution in case that ``seeing``is to be regarded as a means of knowledge aside from ``hearing``etc, in the sentence of BrU i.e. "Atman must be seen must be heard, must be thought, must be deeply meditated." Because this sentence has a possibility to imply the division of ``one who can see without hearing`` and ``one who can see only through hearing.`` Sankara mentions in BSBh 1.1.2 that anubhava is a terminal point of knowledge as well as a means of knowledge. In this case, if forgotten ``seeing`` of Upanisad is brought to mind, for Sankara anubhava (seeing) itself is able to be a means of knowledge, conforming to the fact that a terminal point of knowledge is a form of anubhava (direct knowledge). In this way a new issue i.e. whether the theory of practice in Vedanta is ``hearing-oriented or seeing-oriented?`` should be added to an old issue i.e. whether it is ``hearing-centric or meditating-centric?`` In fact Sankara is aware or ``seeing`` as an independent means of knowledge apart from ``hearing``, and ye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he leaves adventitiously the mention on anubhava as for as he has firmly to maintain for his task ``hearing-oriented`` practice based on the Veda-fundamentalism and Revelation-absolutism. After all Sankara discloses the trace of ``seeing`` and completes the authority of ``hearing`` at the same time The cause of being thoroughly forgotten Upanisadic ``seeing`` in the later Vedanta lies ironically in buildup of Upanisadic authority. After Upanisadic age, as Its authority takes firm hold as a sacrosanct, it can be said that a tacit agreement to impossibility of ``seeing`` is natu- rally predominant in the circle of Vedanta.

      • KCI등재
      • KCI등재

        賀麟의 陸王心學 해석 연구

        천병돈(千炳敦)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본 논문은 賀麟의 사상이 헤겔의 유심론 철학을 통한 육왕학의 재해석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賀麟의 육왕학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자 한다. 賀麟이 해석한 陸王心學다음과 같다. 心卽理: 賀麟은 ‘심즉리’의 심을 논리적 의미의 心으로 제한함으로써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칸트 인식론의 인식주관과 육왕심학의 도덕적 판단 및 실천의 주체를 하나의 심 개념으로 통합했다. 直覺: 賀麟은 상산의 직각을 소극적 측면의 ‘不讀書’와 적극적 측면의 ‘본심 회복’ 두 가지로 구분했다. 그러나 象山의 ‘독서’에는 그 어떤 방법도 ‘본심 회복’의 보조 수단이다. 그러므로 상산의 직각 방법을 소극적 측면과 적극적 측면으로 나누어서는 안 된다. 단 적극적 측면에서의 직각 방법을 ‘본심 회복’으로 규정한 것은 타당하다. 知行合一: 賀麟은 양명의 지행합일을 ‘자연적 지행합일’로 파악했다. 양명이 말하는 양지는 도덕자각이며, 도덕자각은 도덕실천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도덕 자각이 도덕 실천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가 있다. 바로 이 측면에서 ‘致良知’를 말했다. ‘致’ 공부는 반성과 자각으로부터 시작한다. ‘반성과 자각’은 생리적 작용이 아니다. 유가철학에서 말하는 도덕본심은 ‘절대적으로 선한 도덕적 자유의지’이다. 이것이 중국철학과 서양철학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이런 점에서 賀麟의 송명유학의 서양철학적 해석을 ‘格義儒學’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He-Lin’s understanding of Lu-Wang Mind Theory. The Lu-Wang Mind Theory interpreted by He-Lin is as follows. He-Lin defined the “Mind” as logical meaning of “Mind is Principle”. This is the integration of theore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 the subject of perception of Kant"s epistemology; moral judgment; and practice of Lu-Wang Mind Theory into "Mind". Intuition: He-Lin divided Xiangshan’s intuition into two types: passive intuition (don’t Reading) and active intuition(The Mind Recovery). However, Xiangshan’s ‘Reading’ is an auxiliary means of ‘The Mind Recovery’. Therefore, Xiangshan’s Intuition should not be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side. However, it is reasonable to define Intuition from the positive side as ‘The Mind Recovery’.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He-Lin identified Wang-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Natural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ang-Yangming"s Intuitive Knowledge is moral realization, which appears as moral practice. In this aspect, he said ‘The extention of knowledge’. The practice of ‘Extention’ begins with reflection and realization, but it is not a physiological action. The Moral Mind of the Confucian Philosophy is ‘absolutely good moral free will’.

      • KCI등재

        북한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 신규 발견과 직각좌표원점 연결에 관한 연구

        김 일(Kim, IL)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북한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을 통해 신규로 발견된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소개 및 고찰하고, 토지조사사업 당시 직각좌표원점지역의 삼각점 성과를 이용하여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직각좌표원점과 연결함으로써 세부측량원도의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계 등 각종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 알려진 한반도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은 19개 지역이었으나, 북한의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 과정에서 19개 지역 이외에 북한의 개성군 송도면이 토지조사사업 당시 특별소삼각원점에 의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개성군 송도면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토지조사사업 당시 삼각점 성과를 기준으로 직각좌표원점 계열로 변환하였으며, 그 결과 수평위치오차는 약 4.532~10.689m로 나타났다. 이때 위치변환의 정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통점의 동일 삼각점을 대상으로 회전 등 위치변환을 수행한 결과, 수평위치오차가 약 0.267~0.823m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의 발견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의 지적자료와 단절된 상태에서 문헌을 통해서만 알고 있었던 북한의 지적현황을 직접 확인하고 새로운 사실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지적사적 큰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project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over North Korea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triangulation, and to improve the location accuracy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by linking the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with the origin of cartesian coordinates using the triangulation result of origin of the cartesian coordinate from land survey. There were 19 special small-scale triangulation areas on Korean Peninsular known through the various reference but it was verified that the detailed survey was done by the origin of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in Songdo-myeon, Gaesung-gun in addition to 19 areas through the information project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over North Korea. In addition,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of Songdo-myeon, Gaesung-gun was converted into the origin of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triangulation result and the horizontal accutacy error was about 4.532∼10.689m. In order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location conversion, the horizontal accuracy error was reduced to about 0.267∼0.823m as a result of location conversion with rotating the same triangles of common points. The discovery of the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will have significant cadastral meaning in identifying North Korea`s cadastral status and investigating new facts, which have been known only through reference since the divis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KCI등재

        북한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 신규 발견과직각좌표원점 연결에 관한 연구

        김일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project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over North Korea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triangulation, and to improve the location accuracy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by linking the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with the origin of cartesian coordinates using the triangulation result of origin of the cartesian coordinate from land survey. There were 19 special small-scale triangulation areas on Korean Peninsular known through the various reference but it was verified that the detailed survey was done by the origin of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in Songdo-myeon, Gaesung-gun in addition to 19 areas through the information project of cadastral surveying detailed map over North Korea. In addition,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of Songdo-myeon, Gaesung-gun was converted into the origin of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triangulation result and the horizontal accutacy error was about 4.532∼10.689m. In order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location conversion, the horizontal accuracy error was reduced to about 0.267∼0.823m as a result of location conversion with rotating the same triangles of common points. The discovery of the special small triangulation surveying area will have significant cadastral meaning in identifying North Korea`s cadastral status and investigating new facts, which have been known only through reference since the divis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북한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을 통해 신규로 발견된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소개 및 고찰하고, 토지조사사업 당시 직각좌표원점지역의 삼각점 성과를 이용하여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직각좌표원점과 연결함으로써 세부측량원도의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계 등 각종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 알려진 한반도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은 19개 지역이었으나, 북한의 세부측량원도 정보화사업 과정에서 19개 지역 이외에 북한의 개성군 송도면이 토지조사사업 당시 특별소삼각원점에 의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개성군 송도면의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을 토지조사사업 당시 삼각점 성과를 기준으로 직각좌표원점 계열로 변환하였으며, 그 결과 수평위치오차는 약 4.532~10.689m로 나타났다. 이때 위치변환의 정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통점의 동일 삼각점을 대상으로 회전 등 위치변환을 수행한 결과, 수평위치오차가 약 0.267~0.823m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의 발견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의 지적자료와 단절된 상태에서 문헌을 통해서만 알고 있었던 북한의 지적현황을 직접 확인하고 새로운 사실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지적사적 큰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