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의 지참금 죽음에 대한 법사회학적 연구

        백좌흠 ( Jwa Heum Bae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3

        전통적으로 인도에서 지참금은 결혼 시에 신부, 신랑 및 신랑가족에게 자발적으로 주는 선물을 의미했다. 그러나 오늘날 지참금은 신랑가족이 신부가족에게 거액의 현금 및 귀중품을 강요하는 ‘괴물’로 변화되었다. 지참금 관습의 이러한 변화는 신부가족에게 결혼은 경제적 긴장의 근원이 되었고 딸들을 결혼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는 불충분한 지참금 또는 신랑가족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흔히 신부에게 모욕과 상처를 주고 극단적으로는 신부의 고문 및 죽음을 초래한다. ‘신부를 불태워 죽이는 행위’ 또는 기타 지참금과 관련된 학대 행위에 대한 기사는 신문에 매일 넘쳐난다. 인도 전국범죄기록국의 통계에 의하면 2012년에 인도 전체에 ‘지참금 죽음’으로 희생된 여성이 총 8,233명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는 하루에 평균 23명이 지참금으로 인해 죽었다는 것으로, 매일 거의 한 시간마다 인도의 어딘가에서 젊은 기혼 여성이 산채로 불타고 있거나 맞아죽고 있거나 자살하도록 내몰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부지참금 문제는 근대 이후 서구화된 인도에서 소비주의가 증가하고 사회적인 지위를 물질적인 대상과 동등시하는 경향이 커진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인도에서 아직도 일반적인 집합가족제도와 힌두상속법제 하에서 여전히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은 것이 근본적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고 그 위에 힌두의 혼인제도와 카스트 요인이 이를 강화하는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보인다. 지참금이라는 사회적 악습을 금지하고 이를 처벌함으로써 지참금 관행을 철폐하기 위해서 인도 의회는 1961년에 지참금 금지법을 제정하였으나, 법 위반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나아가 ‘지참금 죽음’이 급증하자 인도 의회는 1983년과 1986년에 인도형법전에 304B조(지참금 죽음)와 498A조(지참금과 관련한 학대 행위)를 새로 삽입하고 아울러 인도형사소송법 및 인도증거법의 관련조항들을 이에 맞추어 새로 규정하여 지참금 죽음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였다. 인도사회에 뿌리 깊은 사회적 악인 ‘지참금 죽음’의 문제가 힌두상속법, 인도 형법전, 지참금 금지법, 형사소송법 및 증거법 등을 개정하고 경찰의 적절한 수사와 법원의 효과적인 법집행 등 법적 조치들만을 통해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결국은 당사자인 모든 여성들이 이 악습의 퇴치에 전투적으로 나서서 어떠한 희생을 치루더라도 스스로 지참금을 거부해야 한다. Traditionally, dowry denoted the gifts voluntarily presented to the bride, groom and his family in marriage. Today dowry, however, turned into ‘a monstrosity’ by which the bridegroom’s family forces the bride’s family to give the huge amount of cash and valuables. Due to the change of the customary form of dowry, marriages have become a source of financial strain for the bride`s family and dowry makes it difficult for daughters to be married off. Inadequate dowry or the failure to meet the demands of the bridegroom’s family often causes humiliation, trauma and at the extreme end, the torture and death of brides. Reports of ‘bride-burning’ or other dowry related cruelties abound everyday in newspapers. According to data compiled by the National Crime Records of India, a total of 8,233 female victims of dowry deaths were reported in 2012. This means that an average 23 Indian women died everyday over dowry disputes and that everyday, almost every one hour, somewhere at some place in India, a young married woman is being burnt alive or beaten to death or being pushed to commit suicide In modern India after Westernization, growing consumerism and the increasing tendency to equate social status with material objects has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owry system. And it is submitted that relatively low status of women both in the joint family system and the Hindu succession laws is providing necessary social background to the prevalence of the dowry system and moreover, socio-cultural factors like the Hindu marriage system and caste system strengthen its rigidity, particularly in India. The Dowry Prohibition Act of 1961 was brought in with the objective of prohibiting the evil practice of dowry and making it punishable to eradicate it. Despite this Act, the increasing number of dowry deaths led to the Indian Parliament to make two important amendments in 1983 and 1986 respectively which have inserted new Articles of 304B(Dowry death) and 498A(Husband or relative of husband of a woman subjecting her cruelty) in the Indian Penal Code as well as to make certain necessary changes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and the Indian Evidence Act with a view to making punishment of the offences of dowry death more severe. It is quite clear that ‘dowry death’ problem being deep rooted social evil in Indian society can`t be solved only through legal measures of amending the Hindu Succession Act, the Indian Penal Code, the Dowry Prohibition Act,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he Indian Evidence Act etc., as well as of securing speedy police investigation and effective enforcement of justice of the judiciary. Ultimately, the very concerned all the women must come forward to combat against this evil and to deny the dowry at all cost.

      • KCI등재

        힌두 지참금 관습의 구조적 성격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힌두 지참금 관습은 가족과 친족, 마을생활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브라민 중심의 이데올로기 등뿐 아니라, 전반적인 인도 사회의 변화와 근대화 과정, 카스트 집단들 간의 신분상승 경쟁 등, 인도 사회와 문화의 밑바탕을 이루는 제도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원형적인 제도이다. 브라민의 혼인에서 깐야단 의식과 함께 지참금을 건네는 관습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깊지만, 오늘날 ‘지참금 살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전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소위 ‘악의 지참금’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화폐경제의 확산과 자본주의의 발달, 농업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경제적 발전, 그리고 조직화된 부문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의 증가 등을 토대로 하여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경제적 기회가 확대되는 1980년대 이후 더욱 심각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카스트 내혼제의 원칙에 따라 행해지는 혼인은 원칙적으로 동등혼 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여자를 주는 쪽 집단이 여자를 받는 쪽 집단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불평등 관계는 혼인이 지속되는 동안 각종 의례 때마다 신부 쪽에서 신랑 쪽으로 일방적으로 건네지는 선물들을 통해 물질적으로 표현된다. 지위가 같던 두 친족집단이혼인을 한 후 불평등한 관계로 바뀌고 이 관계가 지속되는 것은, 브라민의 이상적인 혼인 형태라고 규정된 깐야단 혼인과 밀접히 관련된다. 마누법전에는 생리를 시작했는데도 결혼시키지 않은 딸을 둔 브라민은 딸이 생리를 할 때마다 살인과 마찬가지 죄를 짓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본다면 딸을 받아주는 사위는 장인이 엄청난 죄를 짓지 않도록 구제해주는 은인이기 때문에 신과 마찬가지로 경배해야 할 대상이 된다. 즉 신랑 쪽 집단은 신부 쪽 집단에게 은혜를 베푸는 우월한 입장으로서, 경배를 받을 자격이 있을 뿐 아니라 깐야단과 함께 따라오는 온갖 종류의 선물을 받을 권리도 아울러 갖는 것이다. 힌두의 결혼식은 가족-친족집단의 지위와 관계망을 공개적으로 과시하고 확인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지참금은 자기 집단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위신 등을 계산하고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일 뿐 아니라, 동시에 기존의 위계서열을 새롭게 평가-판단하고 재해석할 기회를 제공하는 첨예한 경쟁과 협상의 장이기도 하다. 카스트 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같은 카스트의 여러 친족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지참금이 담당하는 이러한 구조적 기능에 주목한다면, 1980년대 이후 여성운동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지참금 반대운동에서 주장하는 남녀불평등과 여성 차별이라는 틀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참금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힌두이즘과 카스트 제도에서 지참금 관습이 갖는 의미와 더불어, 현대 인도 사회 전반에 걸친 거시적인 변화의 경향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can be regarded as an 'archetypal institution' which has deep-rooted relationships not only with caste, kinship, family, village life, Brahmanic ideology, etc., but also with the macro processes of change in Indian society at large. Although kanyadan marriage and dowry practice have a long history among the brahmins and upper castes, the so-called 'dowry evil' is a relatively modern phenomena which became all pervasive social problem only after the modernization of Indian society, with the penetration and expansion of monetary and market economy,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the rapid growth of organized sector in recent times. In theory,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expected to be an isogamy because of the principle of jati endogamy. But in practice, the wife-givers are regarded as definitely inferior to the wife-takers, and this inferiority is expressed materially as the continuous flow of numerous gifts from the bride's side to the groom's as long as the marriage relationship continues. The logic of this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givers and the wife-takers originating from marriage is provided by the kanyadan ideology in Hinduism. According to the Manusmrti, a brahmin who keeps an unmarried daughter after puberty amounts to monthly committing as grave a sin as the murder of a child! In this regard, the man who takes a daughter as his legitimate bride from her father should be regarded by the latter as a divine saviour like god, and deserves utmost respect and dan without any obligation to reciprocate. At the same time,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an all-important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socio-religious, politico-economic status and networks of one's family and kinship group are publicly displayed, contested, and confirmed by others. In this cultural setting, dowry is not only the most effective and conspicuous instrument in asserting the status, honour and prestige of the concerned marriage parties, but also an intensively competitive arena in which the present hierarchical structure is interpreted anew through complex processes of acute negotiation and competition. If we keep in mind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we can understan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main slogans of anti-dowry campaigns targeting gender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Indian society. I argue that in order to correctly tackle the 'dowry evil', we must go deeper and try to understand it in relation with Hinduism and caste system as well as the general changes in contemporary Indian society.

      • KCI등재

        지참금 관습을 통해서 본 힌두 여성의 경제적 지위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09 印度硏究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지참금을 비롯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권리를 둘러싼 문제가, 가부장제와 남녀 불평등이라는 힌두 사회의 큰 틀 내에서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와 여성의 권리 요구가 부딪혀 조정되면서 갈등과 타협을 되풀이하는 장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에서 법적으로 보장되는 여성의 권리와 가부장제 가족집단 내에서 실제로 실현되는 여성의 권리 사이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본론에서는 가부장제 힌두 결합가족 내에서 여성이 담당하는 역할을 딸, 아내, 과부 등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재산권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참금과 친정재산 상속권, 스뜨리단(stridhan), 유산 상속권과 생계권 등에 관련된 법적 권리와 실제로 실현되는 권리를 비교해서 분석했다. 본론의 분석을 통해 식민지 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법적 권리가 향상되고 경제적 기회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집단 내에서 여성의 경제적 지위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종속적이라는 점을 밝혔다. 딸의 경우 지참금에 관련된 문화적 이념을 내면화해서 상속권을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현상이 널리 나타나는데, 이처럼 문화적 금기에 순응해서 법으로 보장된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것은 아내와 과부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결론에서는 지참금 반대운동이나 여성의 상속권 확보운동 등 여성의 평등한 권리를 지향하는 운동들은 운동 자체의 성과와 대중의식화에서 뚜렷한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참금 관습과 여성의 재산권 문제를 인도 사회의 거시적인 구조와 변화라는 틀 내에서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는 점을 지적했다. The problems regarding the dowry custom, economic status and property rights of Hindu women can be understood in the broad frame of patriarchal principle and gender inequality of Hindu society and culture. In this setting, there are constant conflicts and compromises between the male-dominant and male-oriented ideology of patrilineal-patriarchal Hindu joint family on the one hand, and demands for equal rights of women, not only legal and abstract but also actual and concrete, on the other. As a result of contemporary unequal relations of power between male and female, the economic rights which can be demanded and obtained by women in family lives are very different from legally and i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s of them. In chapters II, III and IV, economic status of woman in the patriarchal Hindu joint family is analysed by dividing woman's roles into daughter, wife, widow, and matching them with dowry and rights of inheritance (parent's property), stridhan, rights of inheritance (deceased husband's property) and maintenance rights,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ositive changes regarding women's property rights in terms of legal institution and economic opportunity since the British Colonialism, the economic status of Hindu women in family still remains unequal and dependent in general; In case of daughter, it seems that she internalizes the cultural ideology of male-oriented legitimization of dowry custom and, as a result of this, voluntarily renounces her own legally guaranteed rights of inheritance in her natal family. In cases of wife and widow, there basically are no big differences from the case of daughter. They also do not actively or consciously pursue their legal rights in their affinal homes, and generally appear as accepting the patriarchal control of their in-laws without much resistance. As a concluding remark, it is suggested that women's problem can be understood better if we expand our view to include the overall context of Indian society and culture from at least the British Colonialism to the present.gender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Indian society.

      • KCI등재

        지참금 관습을 통해서 본 힌두 여성의 경제적 지위 - 재산권을 중심으로

        한국인도학회 2009 印度硏究 Vol.14 No.-

        <P>이 연구에서는 지참금을 비롯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권리를 둘러싼 문제가, 가부장제와 남녀 불평등이라는 힌두 사회의 큰 틀 내에서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와 여성의 권리 요구가 부딪혀 조정되면서 갈등과 타협을 되풀이하는 장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에서 법적으로 보장되는 여성의 권리와 가부장제 가족집단 내에서 실제로 실현되는 여성의 권리 사이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P><P> 본론에서는 가부장제 힌두 결합가족 내에서 여성이 담당하는 역할을 딸, 아내, 과부 등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재산권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참금과 친정재산 상속권, 스뜨리단(stridhan), 유산 상속권과 생계권 등에 관련된 법적 권리와 실제로 실현되는 권리를 비교해서 분석했다. 본론의 분석을 통해 식민지 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법적 권리가 향상되고 경제적 기회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집단 내에서 여성의 경제적 지위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종속적이라는 점을 밝혔다. 딸의 경우 지참금에 관련된 문화적 이념을 내면화해서 상속권을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현상이 널리 나타나는데, 이처럼 문화적 금기에 순응해서 법으로 보장된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것은 아내와 과부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P><P> 결론에서는 지참금 반대운동이나 여성의 상속권 확보운동 등 여성의 평등한 권리를 지향하는 운동들은 운동 자체의 성과와 대중의식화에서 뚜렷한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참금 관습과 여성의 재산권 문제를 인도 사회의 거시적인 구조와 변화라는 틀 내에서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는 점을 지적했다.</P>

      • KCI등재

        현대 중국 농촌의 시장개혁과 혼인관습의 변화: Jack Goody의 신부대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현정 ( Lee Hyeon J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1

        중국 농촌의 혼인에서 신부대는 신랑의 친족과 신부의 친족 간에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경제적 거래이자 의례적 절차로서, 특히 아들을 둔 부모에게는 일생의 과제로 인식될 만큼 핵심적인 문제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중국에서 시장개혁이 진행되면서 신부대 가격이 급상승해왔다는 것을 보고해왔다. 또한 신부대가 첫 수령인인 신부의 부모에 의해서 사용되기보다는 시집가는 신부에게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신혼살림에 사용된다고 하였다.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신부대가 신부의 부모에 의해 신부에게 전달되는 양상은 인류학자 잭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의 개념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해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 허베이성 펑롱현에서의 수집한 민족지적 자료를 토대로, 과연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 개념이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나타나는 신부대 관습의 성격을 제대로 드러내고 있는지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이 중국 펑롱현의 신부대 관습을 설명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개념이며, 나아가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딸과 친정부모 간의 관계가 변화해가는 것의 함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도록 이끈다고 주장한다. Brideprice is the most important economic transaction as well as ritual procedure between the kin of the groom and the kin of the bride in the marriage of rural China. It is also a serious burden for the parents who have a son, even regarded as a life-long task. Scholars have commonly reported that brideprice in rural China has risen sharply since market reforms. It is also said that although the bride`s parents are the first recipient of brideprice, today the parents give it to the bride so that she can use it as part of a conjugal fund. This change reminds me of the concept of “indirect dowry” proposed by Jack Goody. Thus, I analyze whether “indirect dowry” can explain the custom of brideprice in today`s rural China through ethnographic data collected in Feng Long County in Hebei Province.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concept of indirect dowry is inadequate for explaining Chinese brideprice practices; it rather tends to keep us from understanding the actual implications of the changing custom in rural China today.

      • KCI우수등재

        신바빌론 상속법 연구 -재산별 유산상속의 특징-

        김아리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5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tradition of inheritance based on Neo-Babylonian texts. Generally, in the Neo-Babylonian period, the first-born son received two portions of their father’s property and the other sons received one portion each. Some of the inherited real estate properties were not divided but held in common among the heirs. Even if these properties were controlled in common, profits from the properties were distributed and portioned to the owners separately, and each individual owner exercised their rights. Women also receive real estate as dowry. These practices were exercised mostly among the high social status family. The prebend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ame rule that was applied to the real estate. The prebend was seldomly given to women. The meuble properties were given individually to the heirs and could be held in common. The women received mostly meuble property such as silver, household goods, and furniture as a dowry. Gold was also given as a dowry, but it was not common. The first-born son had priority rights when compared to the other heirs. Except for the first son, the other sons shared the rest of the inherited properties evenly. However, there was some discriminations between first marriage children and second marriage children. The children born by slavery women were not entitled to their fathers’ properties without certification of the father. 본 고에서는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에 관련된 문헌들을 상속 재산의 종류별로 분류 분석하여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관행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 비율은 일반적으로 장남은 일반 아들보다 2배로 받았고 나머지 아들들은 다 일정하게 1의 비율로 배분받았다. 부동산의 경우 일부는 상속이 되어도 공동의 재산으로 여겨져서 분할되지 않고 관리되는 재산들이 존재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땅에서 나오는 이득은 상속분의 비율대로 가지고 갔던 것이 확인되었고 개개인들은 공동으로 관리된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지분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성들 역시 부동산을 지참금의 명목으로 상속받았다. 여성에 대한 부동산의 증여는 주로 상류 계층에서 이루어졌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사제직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성직록 역시도 상속의 대상이었다. 성직록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남은 2 나머지 아들들은 1의 비율로 배분받았다. 하지만 성직록의 특성상 동일하게 배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부족 부분에 대해서 다른 금전적 보상을 하는 형식으로 상속이 이루어졌다. 특징적인 것은 성직록은 여성에게 아주 드물게 상속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성직록이 기본적으로 성직을 행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재산이었기 때문에 그러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산의 소유형태는 일반적으로 개별소유였지만 노예와 같이 개별 혹은 공동소유가 되는 소유형태가 다양한 경우도 존재했다. 가장 많이 여성에게 재산으로 주어진 것은 동산이고 그 중에서도 은이나 가재도구 혹은 가구가 가장 많이 언급이 된다. 금은 드물게 여성에게 주어졌는데 이는 당시 금이 드물게 유통된 것도 있고 희귀했기 때문일 것이다. 장자를 제외한 모든 아들들은 상속권에 관해서는 평등하게대우되었고 문헌들은 이들 사이에 불평등한 분배가 생기는 경우 다른 방식으로그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단, 두 번째결혼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첫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아이들보다 적게 상속받았고, 노예에게서 난 아이들은 아버지의 승인이 없는 상황에서는 상속을 받지 못했던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유럽연합의 기본권으로서 인간의 존엄의 보장에 대한 검토

        박진완(Park Zin-Wan, 朴眞完) 한국공법학회 2007 公法硏究 Vol.35 No.3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 제1조/유럽헌법조약 제61조에서의 인간의 존엄의 보장은 개별 기본권 그 자체로서 인간의 존엄권 보장 뿐만 아니라 기본권 헌장상의 다른 모든 기본권의 독자적 기초를 형성한다. 인간의 존엄은 포괄적 기본권으로서 규정된 것이 아니라 최고의 순위를 가진 주기본권으로서 규정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의 존엄은 기본권 제정회의에 의하여 권한적인 문제 때문에 명백히 기본권 헌장에 규정되지 않은 독일 기본법 제2조 제1항의 일반적 행동의 자유의 대체물이 아니다. 수많은 개별적 사례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을 원용하는 것이 그 사례의 해결에 매우 적합하고, 매우 심정적 동요를 불러 일으킨다 할 지라도, 인간의 존엄에 대한 매우 광범위한 이해를 통한 이의 약방감초식 적용은 통제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약방감초식 적용을 전제로 한 인간의 존엄은 제한불가능성, 즉 다른 기본권이나 헌법적 가치와의 이익형량이 불가능성은 다른 기본권적 가치에 대한 인간의 존엄의 무조건적 폭력행사의 정당화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인간의 존엄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일치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존엄의 형량불가능성, 즉 무제한성에 대한 기본권 제정회의의 입장은 확고하다. 결국 이러한 인간의 존엄의 무제한성이 현실적으로 지켜지기 위해서는 인간의 존엄의 약방감초식 적용은 통제되어야만 한다. 기본권으로서 인간의 존엄의 보장과 관련하여 법실무적인 측면에서 발전을 성취할려고 하는 자는, 우선적으로 가능한 최대한도로 인간의 존엄 개념의 실용화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또한 인간의 존엄개념의 탈이데올로기화도 역시 전제조건으로 인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간의 존엄의 보호영역 새로운 신선한 확정근거로서 대화이론이 적용될 수 있다. 대화이론을 통해서 인간의 존엄개념에 대한 모든 선이해를 넘어서는 새로운 동료인간들 상호간의 상호인정을 통한 인간의 존엄개념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론은 바로 기본권 공동체를 지향하는 유럽통합의 목적에도 타당하게 적용된다.

      • 폴란드 혼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 고찰

        김종석(Kim, Jong-Suc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폴란드 전통 사회에서의 결혼은 그들이 속해 있는 사회의 윤리와 도덕을 지탱하고 정신세계의 가치들을 유지, 재생산하는 공간임과 동시에 탄탄한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는 기회였다. 전통 폴란드 사회에서 혼인 의례는 출생 의례나 상장 의례보다 중요한 의례로 여겨졌으며 사회 계층,지역,경제적 사정에 따라 다양한 혼인 의례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기본적인 틀은 기독교적 요소와 민간 신앙적 요소가 적절하게 혼합되어 전승 되어왔다. 폴란드의 전통 결혼식은 예외 없이 교회에서 이루어졌다 폴란드 건국과 동시에 수용된 기독교로 인해 교회 결혼식 자체가 전통 혼례이며 교회에서의 예식만이 결혼에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절차가 되었다, 해만 교회 결혼식이 전통혼례에 정당성을 부여해도 결혼식 전체의 의례와 의식에는 민간 신앙적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다. 일반 농민들은 한 벤의 형식적인 교회 결혼식에 만족하지 않고 선보기,처녀총각의 밤,약혼,피로연,이별식,두건 씌우기 등 다양한 혼인 의식을 가짐으로써 집단적, 가족적 전통 양식을 지킴으로서 주위 공동체와 함께하는 의식을 고수하고 있었다. 특이한 것은 약혼식이 폴란드에서는 결혼과 동일한 선에서 취급되었다 는 점이다. 약혼식은 결혼식보다 손님이나 피로연 의례 규모가 작았지만, 양 집안이 대외적으로 혼인과 계약을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폴란드에서의 혼례는 약혼식과 함께 이미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는 물론 지금까지도 결혼 지참금 문제 즉, 경제적 요소가 전통 폴란드 혼례에도 가장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신랑과 신부 당사자들의 호감이나 사랑보다는 경제적인 문제가 결혼 결정에 가장 큰 역할을 하였고 양부모간의 상견례가 혼수, 지참금, 문제 결정을 위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혼인 의례 중 예복,택일,부케,신랑 신부의 행동에 따른 여러 가지 민간 신앙적 요소가 신혼부부의 장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는 사실 등 혼인 의례에 민간 신앙적 요소가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In a traditional Polish society, marriage was a venue through which one sustains the ethics and morals of society, maintains and reproduces the spiritual values, and at the same time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solid financial foundation. In a traditional Polish society, wedding rit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birth rites or funeral rites. While there were various forms of wedding ceremonies according to social and financial backgrounds or local needs,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folk beliefs in wedding ceremonies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the ages. Traditional Polish weddings were held in churches with no exception. As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to Poland at the time of nation building, church weddings became traditional marriage ceremonies and only church weddings had legal effects. Nevertheless wedding rituals and ceremonies still have elements of folk beliefs. Common farmers were not satisfied with a formal church wedding. They performed various marriage ceremonies such as arranged meeting, Bachelor and Bachelorette Parties, engagement ceremony, wedding reception, goodbye ceremony and hood wearing. By protecting such collective and familial traditions, they have adhered to wedding ceremonies that the community shares. What is unique about traditional Polish wedding is that an engagement ceremony has been treated the same as the wedding ceremony. Despite the smaller number of guests or the scale of reception, the engagement ceremony annoW1ces the marriage agreement between the two families to the outside worl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arriage started by an engagement in Poland. In the meantime, an economic factor, namely dowry,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traditional Polish wedding. Money than affection or love between the bride and bridegroom-to-be has played the largest part in the choice of a spouse and parents meeting was to settle the details connected with the dowry and trousseau. And folk beliefs related to wedding costumes, the good days, bouquet, and wedding rituals are thought to bring fortune or misfortW1e to the newly-weds, which means folk beliefs have continued to survive in the Polish wedding until present day.

      • KCI등재

        Н. 디야코노프의 스탈린상 수상 희극 『결혼지참금』 연구 : 제2차 세계대전 후 소련 희극의 문제

        백용식 한국러시아문학회 201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0 No.-

        This paper is devoted to study N. Dyakovs’s play 『Wedding with a Dowry』; the comedy is analyzed in terms of conflict and competition, satire and criticism, entertainment and education, what should explain compromise and tension between the contemporary theater policy and the Soviet comedy. In the 『Wedding with a Dowry』, Olga and Maxim's strife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flict of the drama; while they have a common goal of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achieving production goals, the enthusiastic heros of comedy, who have strong competition spirit, own different views on how to achieve the goal: The conflict of comedy is replaced by socialist competition between two young activist leaders of collective farms. As a result, 『Wedding with a Dowry』 became a comedy of conflict-free. Since 1945, satire has become virtually impossible in Soviet theater, and the criticism overwhelms satire instead. Criticism and self-criticism were the means for evaluating social practice and overcoming individual errors and deficiencies. In the ‘Zdanovshchina’s period of Soviet literature, criticism and self-criticism had to become the principle of dramaturgy, what resulted in anomal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not only in the content of the Soviet comedy but also in the form: The process of < error-criticism-self criticism-rebirth > became a structural feature of the comedy plot and the laughter of comedy has weakened. When Diyakonov was writing the comedy 『Wedding with a Dowry』, he should consider the drama policy demands to deal with the modern theme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edy genre, which should provide laughter and entertainment. In his comedy, education is centered around the modern theme of agri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comic situation is minimized. Kurotskin, who plays a central role in singing, dancing, and music, is also the object of character comic of the comedy; the proposal scene for Maksim produces the comic effect.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ch are integrated in the ending wedding scenes, should create the effect of emotion among the audience. But the truth of the impression of the ending is doubtful. Because emotion contributes to beautifying and varnishing of reality of the Soviet Union.

      • KCI등재

        한국 고대 혼인에 보이는 財貨의 성격

        이강래(Lee Kang-lae) 한국사연구회 2009 한국사연구 Vol.147 No.-

        This essay examines the character of marriage payments in ancient Korea with the focus on properties of Son-in-law Chamber(S?ok). This examination deals with the followings: the narrative system and its way of ‘Account of the Eastern Barbarians(Dongyizhuan)’ in Sanguozhi which carries the information on ancient Korea before the 3rd century; the prescriptive rules of marriage in socio-economical context of ancient Korea; and the functioning of the marriage payments involved in marriage practice while examining the cases of Goguryeo. This examination tells us that there existed the practices of bride-wealth as well as patrilineal descent in the Yemaek communities such as Buyeo, Goguryeo, Okjeo, and Ye. While doing this research, this essay draws its attention to the connectedness of the customs as follows: levirate, patriarchal family ethics, the principle of woman's and child's patrilineal affiliation, and the relation of war and a living, sex distribution, and the rule of marital residence. In doing this, the implication of bride-wealth is confirmed both in mythological narrative and historical account. While there existed many historical cases concerned with Goguryeo's marriage practices, we don't have such materials related to the practices of Baekje and Silla. Nevertheless, we can expect, from living conditions or original customs of Three Kingdom, that there existed some sharing in marriage practices. Historical ideas and practices express all their contemporary social system or its part. For full account of ancient Korean social history, accordingly, we need take into account varied academism such as cultural anthropology and social one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