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서점의 지속가능을 위한 제언

        김창환,전기흥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4 콘텐츠와 산업 Vol.6 No.3

        지역서점이 폐점되어 사라지고 있다. 지역서점은 단지 책만을 파는 서점의 역할만 수행한 것이 아니다. 지역서점은 지역문화의 거점이었다. 지역서점이 없어지면 지역문화의 거점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지역의 문화예술은 상당한 부분이 지역서점을 통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서점을 살리기 위해 각종 조례를 제정하며 지역서점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도 지역서점이 봉착한 환경이 매우 어려워 지역서점이 버티기에는 사실상 한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이미 밝힌 지역서점의 개선 방향인 복합문화공간, 교육·창작공간, 인적네트워크공간의 활동 영역에 대해서 재차 설명하였다. 또한 서점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역서점의 복합문화공간, 교육·창작공간, 인적네트워크공간의 활동 영역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응답 결과를 보면 지역서점이 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이용객의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현재 지역서점의 활동이 미약한 측면이 있다. 만약 현재 지역서점이 그와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면 이와 같은 결과의 이유에는 미흡한 홍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간단한 인식 조사만을 했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인과관계를 조사해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Local bookstores are closing and disappearing. Local bookstore is not just performed only the role of the bookstore that sells only books. Local bookstore was a important point of local culture. Without local bookstores, local cultural hubs would disappear. This is because a large portion of local culture and art was spread through local bookstores.Accordingly, various local governments are attempting to protect local bookstores by enacting various ordinances to save them. Nevertheless, the environment faced by local bookstores is very difficult, so it seems that there is actually a limit for local bookstores to survive. This study explained again the areas of activities of complex cultural spaces, education and creation spaces, and human network spaces, which a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local bookstores already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customers using bookstores were asked whether they knew about the areas of activities of complex cultural spaces, education and creation spaces, and human network spaces of local bookstores. According to the respon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ustomers' percep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local bookstores should go was very low. This is because the activities of local bookstores are currently weak. If local bookstores are currently doing such activities, it is presumed that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insufficient publicity. Although this study only conducted a simple perception survey, future studies nee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s and suggest more specific strategies.

      • KCI등재

        지역서점의 변화와 발전 방안 연구

        윤세민(Yun Se Min) 한국출판학회 2018 한국출판학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지역서점의 현황과 변화를 고찰할 뒤 지역서점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서점의 동향과 변화, 지역서점의 현황 및 분석, 독립서점 전문서점 복합서점의 현황,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 지역서점 육성을 위한 서점 분류 기준에 대한 논의, 지역서점인증제에 대한 논의 등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서점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부와 지자체와 서점업계의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출판계와의 공조 통해 출판유통구조의 획기적 개선이 필요하고 셋째, 지역서점인증제의 고도화로 ‘우수지역서점인증제’가 필요하고 넷째, ‘지역서점’에서 ‘지역네트워크서점’으로의 격상이 이루어져야하며 다섯째, ‘책을 중심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하며 여섯째, 큐레이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서활성화를 이끄는 역할을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local bookstores and to suggest suggestions for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local booksto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trends and changes of local bookstores, the status and analysis of local bookstores, the status of the independent bookstoreㆍspecialty bookstoreㆍcompound bookstores,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bookstores, discussions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ookstores for fostering local bookstores, and discussion on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As a result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local bookstores. 1) Continuous system improvement efforts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bookstore industry. 2) Significant improvement of publishing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cooperation with publishing. 3)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needs to be upgraded to ‘Excellent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4) Upgrading from ‘local bookstore’ to ‘local network bookstore’. 5)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multi-cultural space centered on books’. 6) Enhancement for curation function. 7) Leading role to lead the reading.

      • KCI등재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서점의 활성화 방안 연구

        노영희(Younghee Noh),이진욱(Jin-Wook Lee)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4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위험의 증가는 지역 문화자원의 쇠퇴와 직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구감소에 따라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역의 문화자원인 서점의 현황을 분석하고, 활성화 전략을 고민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지역 서점의 활성화를 위해 먼저 전국 서점 현황을 분석하여 지역별로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독립서점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자원으로서 서점의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지역서점을 단순히 출판물을 판매하는 장소가 아닌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소멸 위기 시대에 지역 서점은 이제 다양한 문화 체험을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둘째, 지역서점을 위한 전용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프랑스의 사례에서 보듯, 책을 쉽게 검색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는 당연한 것으로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한다. 셋째, 지역서점은 자신이 위치한 지역사회와 연계해야 한다. 서점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지역 사회와 제휴를 맺을 때 지역 사회와 서점 모두 함께 성장할 수 있다. 인구감소는 지역 사회의 많은 중요한 자원들의 소실을 야기할 것이며, 지역 문화 자원의 감소 역시 예외는 아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bookstores, a cultural resource at risk of disappearing in the face of population decline, and to consider revitalization strategies. Finally, we will synthesize our findings to propose three strategies for enhancing local booksto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are proposed. First, local bookstores should be developed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rather than merely places for trading publications. In an era of regional extinction crisis, local bookstores must now establish themselv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provid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Second, a dedicated online platform for local bookstores should be established. As seen in the case of France, the desire of people to easily search for and purchase books has become a given and should somewhat accommodate the changing lifestyle needs of people. purchase only the books available at the registered local bookstores.

      • KCI등재

        독서문화 생태계 조성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 연구

        오선경(Oh, Sun Ky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5

        매체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해가면서 종이책 독서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더불어 오픈 마켓이나 대형 서점, 온라인 서점 등의 공격적 마케팅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빨리, 보다 싸게 ’라는 책 소비 패턴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곧 규모나 자본 면에서 열세에 놓인 지역 서점의 위축을 초래했다. 2013년 말 현재, 국내서 점수는 2,331개이다. 2011년 대비 사라진 서점 중 전용면적 165m²미만의 소형 서점의 비율이 96.7%(246개->238개)에 달한다. 팬시 상품 판매 등을 겸업하거나 문화예술 행사를 주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신을 시도하는 등, 수익 창출을 위한 지역 서점의 다양한 자구책도 나타나고 있다. 보다 재미있고 이용이 편리한 방향으로 옮겨가는 고객의 문화소비욕구를 반영한 변화이다. 미래형 서점으로서, 지역 독서문화 생태계의 주축으로서, 지역 서점이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에서도 ‘독서진흥을 통한 국민행복 달성’이라는 문화융성 비전의 실천 전략으로, 지역서점 문화공간화 조성 등 다각도로 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역 독서문화 생태계 형성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서점이 갖는 가능성을 국내?국외의 성공 사례 중심으로 탐색한다. 이를 통해 미래형서점으로의 변화 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지역 서점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한다. As media environments have been switched to digital environments, paper book reading populations have been decreasing. In addition, the aggressive marketing of open markets, large bookstores, and online bookstores brought about changes in book consumption patterns into ‘more convenient, faster, and cheaper’ patterns. This led to the shrinkage of local bookstores that are inferior in terms of scales and capitals. As of the end of 2013, the number of bookstores in South Korea was 2,331. Of the bookstores that disappeared since 2011, the ratio of small bookstores of which the exclusive area was smaller than 165m² reaches 96.7%(246->238). Local bookstores have been also showing diverse measures for creation of profits to save themselves such as also selling fancy products or attempting chang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here cultural or artistic events are held. These are changes reflecting customers desires for cultural consumption that are moving toward more interesting and convenient targets. These changes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signals that as future type bookstores and as the pivots of local reading culture ecosystems, local bookstores will never disappear. As practice strategies for the vision of cultural prosperity ‘achievement of national happiness through reading promotion’, the government presents diverse support plans such as the formation of local bookstores into cultural spaces. In this respect, in the present paper, the potential of local bookstores as major strongholds for the formation of local reading culture ecosystems is explored centering on domestic/foreign success cases thereby seeking for ways for changes into future type bookstores in order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local bookstores.

      • KCI등재

        지역서점 진흥정책 효과 분석 - 지역서점 진흥조례와 우선구매제도를 중심으로 -

        이용관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2 지역개발연구 Vol.54 No.1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local bookstore promotion policies introduced differently by region using Service Industry Survey(2016-2019) data from Statistics Korea. I compared the change in sales of local bookstores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local bookstore promotion ordinanc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riority purchase system using the triple difference estimation method. I found that the ordin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les of local bookstores, but the priority purchase system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sales of local bookstores that met the store sales and size condition. In local bookstores that have been open for 12 months a year, the effect of the priority purchase system was only found in store size condition. Also, I found that various book buying and selling channels had a positive effect on local bookstore performance.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targets and directions of local bookstore promotion policies. 본 연구는 통계청의 「서비스업조사(2016∼2019)」 자료를 활용하여 지자체별 도입 시기와 내용이 다르게 진행된 지역서점 진흥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서점 진흥조례 제정과 우선구매제도 도입의 지역・시기・요건별 차이를 고려한 삼중차감추정법(Triple Difference Estimation Method)을 이용해 지역서점의 매출 변화를 비교한 결과, 조례제정은 지역서점의 매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우선구매제도 도입은 매장매출과 매장면적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서점의 매출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례의 지역서점 영업기간 요건을 고려해 연 12개월 영업한 서점만을 분석한 결과, 매장면적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서점에만 우선구매제도가 매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 매입 및 판매 경로가 다양할수록 지역서점의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서점 정책 대상과 방향 설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지역서점 활성화와 지역출판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주리(Han, Julie),김동혁(Kim, Dong Hyuk) 한국출판학회 2016 한국출판학연구 Vol.42 No.4

        도서정가제 이후 서점은 단순히 도서를 구매하는 공간이 아닌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탈바꿈하면서 독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서점의 변화를 살펴보고, 지역출판과의 연계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서점 활성화에 대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할수 있다. 첫째, 해당 지역 커뮤니티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으로 거듭나야 한다.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 저자와의 대화, 북콘서트 진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유하면서 독자와 소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정부의 정책지원을 통해 지역서점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점이 독서와 관련한 서비스 등을 통해 독서활성화를 이끄는 역할을 주도해야 한다. 넷째, 지역서점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이벤트를 주기적, 체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서점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서점은 지역출판과의 지속적 협력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탐색적 분석을 통해 지역서점과 관련된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데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Fixed price book sales system”, the role of bookstores have changed from a space purchasing book to a space where readers share their lifestyle in order to communicate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independent bookstores and seek possibility on ties with local publishers to vitalize independent bookstores. As a result, four ways to vitalize the independent bookstore are suggested. Firstly, bookstores need to provide local customers various programs such as development of reading programs, talks with authors and book concerts. Through these efforts, independent bookstores can be the multi-cultural spaces communicating with readers. Secondly, bookstores need to utilize the combined information of local bookstor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ies. Thirdly, bookstores should lead the role of vitalizing readings by providing book related services. Lastly,bookstores need to organize the book events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n order to vitalize the independent bookstores, they have to cooperate with local publishers. This study contributes by providing the basic fundamental data on further related studies with the exploratory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의 독서생태계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주리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6

        본 연구는 독서문화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지역에서 제정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와 더불어 20인의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률 개정안에서 지역서점과 관련된 부분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생태계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내 지역서점이 어떻게 변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지 파악하고,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16년 서울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0곳이 넘는 지역자치단체에서 지역서점을 위한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서점을 위해서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법률 개정을 통해 독서생태계 조성의 거점으로서 지역서점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서점이 커뮤니티에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이를 지역민과 공유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개선 방안 연구

        박찬수 한국출판학회 2023 한국출판학연구 Vol.49 No.2

        The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the region, the growth of online bookstores, the crisis of books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digitization, and the risk of extinction of local bookstores are accelerating. In order to respond to this, it is urgent to make a physical foundation for local bookstores to function as cultural spaces beyond book sale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related to bookstore suppor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l bookstore support policy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Publishers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and the local bookstore support policy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o find out what should be discussed a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bookstores in the future.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bookstores, the result was derived that the book experience space should be advanced and cultural functions should be expanded,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organiz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by the Korea Publication and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Second,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bookstores based on the 「Publication Culture Industry Promotion Act」. Third, solving the problem of ghost bookstores. Fourth,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elf-reliance of local bookstores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Fifth, activation of online purchase and ordering of publications. 지역의 인구감소, 온라인 서점 성장, 디지털화 등의 사회환경변화에 의한 책의 위기, 지역서점 소멸위험 등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서점은 문화공간으로 기능하기 위한 물적 기반을 갖추어야 하며, 서점 지원정책과 연관된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 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역서점 지원정책과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에서 지원하고 있는 지역서점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향후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개선책으로 논의해야 할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서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책 경험 공간을 고도화하고 문화적 기능을 확충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한국출판 문화산업진흥원의 조직 개편 필요 둘째, 「출판문화산업진흥법」에 근거한 지역서점 실태 전수조사의 시행 셋째, 유령서점에 대한 문제점 개선 넷째,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지역서점 자립 기반 구축 다섯째, 출판물 온라인 수‧발주 활성화이다.

      • KCI등재

        한 ‧ 일 출판유통 시스템이 지역서점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박찬수(Chan-su Park)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출판계는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출판유통 시스템의 구조적 개선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그로 인해 수년간 반복적인 출판유통 도매 업체의 부도와 기존 지역서점의 축소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에 시대적 트렌드와 연계된 독립서점 또는 특색 서점들이 전국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이들이 안정적인 지역서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은 원활한 도서공급이다. 도서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서점은 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뿐 아니라 독자들은 서점을 찾지 않게 된다. 이에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 한ㆍ일 양국의 출판 유통 시스템에 대한 핵심적인 요소를 짚어보고, 아울러 양국의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살펴보았다.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서는 출판유통 시스템이 개혁되어야 하고 더불어 독서생태계가 살아나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새로운 출판유통 시스템 개선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publishing industry has not been able to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despite the need for structural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to activate local bookstores. This has resulted in repeated bankruptcies of publishing wholesalers over the last few years and the number of local bookstores has also continued to shrink. On the other hand, however, independent bookstores or unique bookstores linked to the trends of the times are starting up all over the country. The most urgent thing for these bookstores to be stable in the local market is the smooth supply of books. If books are not supplied to the local bookstore smoothly, the bookstore will not function properly and the readers will gradually lose their way. This paper examines the key elements of the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in both Korea and Japan, as well as the efforts to revitalize local bookstores in the two countries. Unless the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is reformed, the reading ecosystem can not survive and this is also very important for revitalizing local bookstores. In this paper, for the first time, an improvement model of the publication distribution system is presented.

      • 한국 지역서점의 활성화 및 홍보 방안 연구

        이건웅(Lee. Gun Woo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4 No.1

        한국 서점의 위기다. 인구는 감소하고, 독서율은 떨어지고 있으며, 전자책, 오디오북같은 새로운 형태의 출판물이 지역서점을 위협하고 있으며, 스마트 미디어는 더욱 강력한 경쟁 상품이 등장하고 있다. 서점은 양극화되어 지역서점과 프렌차이즈서점의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인터넷서점의 위상은 더욱 커졌다. 이를 위해 한국 지역서점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전개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서점 활성화에 관한 조례 지정과 시행이 확산하고 있고, 지역서점인증제의 활성화 방안, 지역의 책축제와 서점의 연계, 지역서점 데이터베이스 구축, 표준공급률 도입 등은 지역서점을 활성화하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This is a crisis for Korean bookstores. Population is declining, reading rates are falling, new types of publications such as e-books and audio books are threatening local bookstores, and smart media is seeing stronger competition. The polarization of bookstores has widened the gap between local and franchise bookstores, especially after the Corona 19 incident. To that end, various measures are being developed to revitalize local bookstores in Korea. The designation and enforcement of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on revitalizing local bookstores are spreading, and measures to revitalize the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linkage of local book festivals with bookstores, establishment of a database of local bookstores, and introduction of standard supply rates will be good alternatives to invigorating local bookst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