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병원-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용진(Yong-Jin Seo),고정아(Jung-A Ko),황태연(Tae-Yeon Hwang),오정하(Jeong-Ha Oh),염호양(Ho-Yang Youm),박혜진(Hye-Jin Park),이명수(Myung-Soo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1

        목 적: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시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개선하여 연계를 보다 활성화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병·의원 중 입원병상이 있는 44개 기관의 정신과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258명을 대상으로 연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연계의 장애요인 등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병원의 유형이나 직종과 관계없이 병원 종사자들은 대부분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 사이의 연계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하며 지역사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지역사회기관으로 연계를 시켜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61.6%였고, 평균 연계횟수는 8.17회(SD=10.266)이었다. 연계를 하면서 고려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주간재활과 사례관리가 가장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위해 정신보건센터에 가장 많은 대상자를 연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하는데 있어 장애의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 방법의 미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은 대부분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경로가 갖추어지지 않아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수요에 따른 공급의 확대를 통한 지역별 균형적이고 충분한 인프라구축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의 개발, 특성화된 개별 서비스 제공, 홍보를 위한 노력을, 정신의료기관에서는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고, 환자와 가족의 재활에 대한 동기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다양한 연계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해 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We investigated attitudes of professionals working in hospital toward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y for mentally ill people who are discharged from hospital, and also their experiences of referral to community facilities. So that we want to explore the obstacles against effective linkage, and consider how to manage those problems and make linkage system more active. Methods:Total 258 psychiatrists, nurses and social workers, working in mental hospital which had inpatient unit and are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fulfil our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s toward linkage, their experience, obstacles against linkage. Results:Mos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system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essential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mong the responders, 159(61.6%) staffs have referred clients to community facilities, and mean number of referral during last 1 year is 8.17 times(SD=10.266). They consider day care program, and case management service when they refer the patients to the community and for this purpose, they refer their patients t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most. They consider lack of information on community services, and poorly organized referral system as two most serious obstacles against linkage.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so important and essential for continuing mental health services, but they have less information and their is no formal pathway and system of referral, so they have lots of difficulties when they perform and the linkage is not done effectively now. For making linkage system more effectively, most of all, sufficient and balanced infra-structure have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needs. And also, community staffs have to make efforts to develope education program, individual service plan, and public awareness. Staffs in hospital have to make effort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related facilities, and find ways to how exaggerate the motivation of patients and care-givers fo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Lastly, various linkage system models have to be suggested and examined, and we have to improve and modify those models.

      • KCI등재

        지역정신보건기관의 문화역량 강화 방안 연구 :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강윤경,박정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 culture's characteristics of regional mental health, consider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f regional mental health institution,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prepare measures to form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mental health institution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of mental health institution, consider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vagueness of work scope. Second,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institution, horizontal system and vertical system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formed irrationally and organizational leaders have absolute authority. Third, while experts of several fields work by teamwork, the communication among the experts is not smooth and it's difficult to maintain relations among the organizational members because of the mutually insufficient understanding. Four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peration by programs for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is not smooth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mental health institution. 지역정신보건기관은 다학제간 팀접근에서 일정한 역할수행이 가능하도록 계획된 환경을 필요로 하는 특수한 조직문화를 가진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조성을 위하여 지역정신보건기관의 실무자들은 상호이해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정신보건사회복지 분야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들은 조직문화가 매우 중요하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문화역량은 관용, 개방성, 다문화 역량, 정보해석과 번역기술능력, 문화적 정체성, 문화적 삶에 참여능력이 포함되어있는 개념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역량으로 이들을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정신보건기관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해 지역정신보건기관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바라보는 지역정신보건 조직문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지역정신보건기관의 조직구성원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원활한 조직몰입 및 조직문화 형성에 필수적인 문화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 교육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 지역보건 의료기관 이용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현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3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지역보건 의료기관 이용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로써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의 의료시설이용자들은 의료비, 접근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또한 지역주민응대 서비스, 이용지원서비스, 사업품질 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역보건 의료서비스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지역주민 중심의 사업들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며,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사업운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지역의 보건의료기관은 노후 된 의료장비 등을 점차적으로 교체해야 할 것이며,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상응하는 각종 검사장비와 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현대적 장비 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전문성을 가진 의료 인력을 확보하고, 이와 함께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 기관의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지영(Lee, JiYoung),박순우(Park, SoonW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5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제공 기관 간 네트워크 활동 수준을 진단하고, 각 기관의 네트워크 활성화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역사회 내 네트워크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 충북, 대전 세 개 지역에서 정신보건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145개 기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네트워크 분석(Netminer) 및 통계분석(SPSS)을 통해 네트워크의 구조적 수준과 관계적 수준을 계량화 하였으며, 각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직, 개인, 환경 3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내 정신보건서비스 기관 간 네트워크 필요성이나 인식에 비해 네트워크 활동이 미비하고 활동 내용도 단순 정보교환 등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지속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구조적 수준은 조직요인(네트워크 활동 지원 정도)과 환경요인(지역규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수준은 개인요인(자격유무, 모임참여 유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기관 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정신 보건서비스 네트워크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네트워크의 양적인 측면인 구조적 수준과, 질적인 측면인 관계적 수준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네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활동의 질적 수준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고차원적인 연계활동 사례 발굴하고,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네트워크 모형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networking level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and to suggest the ways of increasing their networking in local communities. For that, it analysed the data collecting from 145 mental health agencies which provide direct services in three areas; Chungnam, Chungbuk, and Daejeon. it quantified the structural and relational level by the methods of network analysis(Netminer) and statistical analysis(SPSS) and analyzed such three factors as organizational,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which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each network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lthough all the mental health agenc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networking, its level was in the state of incompleteness, simply confined to simple information exchange with low stability. Analys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networking,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level was affected by both the organizational factor(support for network activ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ize of area) while the relational level was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qualification, attendance at gathering).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to make an exact diagnosis of the network level among local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as to activate their networking. Second, there should be set strategies which could help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structural level and the relational level of networking. Last, there must be efforts to explore good-case finding which shows the high quality and effects of networking, and also to develop networking models which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한국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수급전망에 관한 연구

        이윤실,박대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based on public data on the supply and demand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demand by 2035 by applying appropriate ratio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In this study, we selecte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manpower an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the Public Data and Research Policy Reports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tatistics korea,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rom 2006 to 2016. If a physical therapist is deployed per institution by installing public health center in all administrative areas nationwide, the ratio of the number of persons in charge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is fixed and estimated at 3,844. Assuming that the ratio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is 1: 1, it is estimated that 1,284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will be needed by fix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It has been shown that 1,696 people are needed, assuming that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over the last decade will increase their workforce supply at the same rate of change by 2035hen estimating additional manpower for each type of workforce required for health center visit health projects, a survey of 10.3 % found 2,288 persons, total of 1,466 persons of 6.6 % in the United States and a total of 1,000 persons of 4.5 % in the Japan. As demand fo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continues to increase, the minimum manpower criteria should be expanded and deploy additional manpower so that more human resources can be supplied than current 671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본 연구는 한국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 수급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적정 비율을 적용하여 2035년까지의 수요추계를실시해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의 적정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공데이터 및연구정책보고서에 보고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운영현황과 인력현황, 방문보건사업실태와 관련된 자료를 선정하였다. 전국의 모든 행정구역에 지역보건의료기관을 설치하여 기관 당 1명의 물리치료사가 배치될 경우,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 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3,84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보건소 내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비율이 1: 1을 충족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때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 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1,28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평균 증감률이 2035년까지 같은 증감률로 인력공급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1,696명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인력 종별 구성비에 따른 추가인력 추계 시, 전문가 의견조사에 따른 10.3%의 경우 2,288명, 미국의 기준 6.6%의 경우 1,466명, 일본의 기준 4.5%의경우 1,000명의 물리치료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수요가 계속해서증가하게 됨에 따른 현재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인 671명보다 훨씬 많은 수의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최소인력배치기준을 확대하여 추가인력을 배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보건기관 치과위생사 직무교육훈련 요구도 조사

        조은별 ( Eun Pyol Cho ),김영남 ( Young Nam Kim ),황윤숙 ( Yoon Sook Hwang ),박덕영 ( Deok Young Park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09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3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dental hygienists in local health institutions for on-the-job training in an attempt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on-the-job training programs geared toward local dental health care workers. Method: The subject population of this study were 1,244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in local health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across the nation during a two-month period of time from October to December 2006. And the answer sheets from 811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vast majority of the investigated dental hygienists never underwent on-the-job training for oral health projects over the past two years. Those who underwent the training viewed it favorably as they found it to be conducive to their job performance. In general, they hoped to get the training every two years, and they preferre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local colleges as a place for that training. As for preference for learning contents,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student oral health projects the most.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each type of oral health project specified by the current law. Specifically, they considered it more necessary to learn about oral health education projects, fissure sealing, planning and evaluation of oral health projects, school oral health projects, senior oral health projects, preschool oral health projects and oral health publicity activities. Conclusion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ed the definite needs of dental hygienists in local health institutions for on-the-job training. Development of needs-related and continuous on-the-job training course with proper interval is required.

      • KCI등재

        프랑스 의료시스템의 역사적 고찰 : 민간병원의 발전과정과 관리정책을 중심으로

        김대중,박실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1 EU연구 Vol.- No.29

        France has a system of universal health care largely financed by government national health insurance. To finance the health care system, all French employees and employers must pay compulsory health insurance. Furthermore, the government has the responsibility for the financial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health insurance. For example, every year the parliament sets the national ceiling for health insurance expenditure (ONDAM) to meet. Henc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France in financing and provider payment system of healthcare. In terms of delivery system, however, France has a public and private mixed system. Even though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provide different types of services,private hospitals have an option to provide public services. And patients have freedom of choice of where to receive health care services. There are pros and cons about the introduction of private-for-profit hospital in Korea. This paper overviews the development history of French private hospitals and it tries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way how French government managed the private hospitals resources and how they developped institutions to effeciently use the healthcare resources. This paper propose to reinforce the tool of the planning and distributing hospital resources through, for exampl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healthcare agency (ARS in French) and to fully support the private hospital when it is nominated as a public service providing hospital. 프랑스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험 기반 의료체계를 갖추고 있으며,매년 의회에서 전국건강보험지출 상한선을 결정하는 등 보건의료서비스 지불체계에 대해 강력한 통제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어 재원조달 및 지불체계가 우리나라와 유사한 의료시스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의료전달체계 측면에서프랑스는 공공병원, 민간비영리병원, 민간영리병원이 공존하여 조화를 이루며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환자들은 자율적으로 의사와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있다. 민간영리병원도입 필요성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본 논문은 프랑스에서 민간병원이 발전해온 과정을 살펴보고 국가가 민간병원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체 의료비 지출 및 자원 이용을 효율화하기 위하여 어떤 정책을 추진해왔는가를 조사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고찰결과, 민간병원에 대한 합리적 역할 부여 및 의료비 증가의 통제를 위해서 지역보건의료계획수립활동의 강화와 민간병원의 공공보건의료수행기관 참여유도를통해 공공의료 부문을 보강하는 정책을 검토해보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실천관계에 대한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인식 연구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천현장에서 이들의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어떠한 이해와 노력이 필요한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에서 사례관리경험이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 세 집단 20명과, 연구참여 당시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두 집단 11명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통범주는 ‘좋은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 ‘실천관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례관리자ㆍ정신장애인’, ‘실천관계에 영향을 주는 기관환경’으로 도출되었으며, 연구참여자 군에 따라 정신장애인 영역에서는 ‘사례관리자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사례관리자 영역에서는 ‘이상적인 실천관계’ 범주가 각각 다르게 도출되었다. 주제 분석의 결과를 통해 실천관계에 있어서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정서적 유대 등 관계를 촉진하는 실제관계(real relationship)의 중요성과 ‘가족처럼’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관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한 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사례관리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환경,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실천적 제언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s and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explores what understanding and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best working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Data were collected using FGI which was analyzed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3 group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at have had case managing experience in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2 group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were using case managing service duri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articipants’ testimonies, the common categories that were extracted were ‘perception of a good working relationship,’ ‘case manager/mentally disabled pers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working relationship,’ ‘facility environment that influences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different categories were discov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y the case manager’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ideal working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bject analysis, the importance of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ase manag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relationship represented by ‘family-like,’ and working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for the good working relationship were found, and practical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ovided.

      • 지역보건의료기관의 모듈러 도입과 개선 방향 - 옹진군 북도, 자월도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

        김미나(Kim, Mina),박세진(Park, Se-Jin),안용한(Ahn, Yong-Ha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2

        The Buk-do and Jawol-do Public Health Centers in Ongjin-gun, Incheon, are the first Public Health Facilities in Korea to be completed using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ntroduced as a pilot project for the “Method of Enhanced Performance” of the Rural Health Service Improvement Project was fed back, and major problems arose from the public standpoint were reviewed. Two Modular Public Health Centers of Buk-do and Jawol-do, Incheon took 2.5 months to build and install the module on site. But it was delayed due to problems that other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internal communications, design and construction breakdown, three construction bidding notices due to failure in bidding, and suspension of construction in winter. Although most of the recently introduced Smart Turn-Keys are expected to be the frenzy of the introduction of modular projects in the public, there is still a lot of resistance to new construction methods and new contract systems inside the public. It seems that more introduction is needed.

      • KCI등재

        파라과이 농촌지역의 보건소 건립 후 접근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지언,정민아,남은우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23 의료·복지 건축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health faciliti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case of establishing a health care delivery system using a public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of Paraguay. Methods: Firstly, to map the capacity of the 20 public health centers that were studied, we used the WHO Capacity Mapping tool to select and analyze relevant items. Secondly,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we conducted a direct visit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M-survey tool. Results: The floor plan of each public health center, the structure of the health center, the size of the population served by each health center, the number of monthly visitors, medical human resources, and the budget were classified by health center for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M-survey tool, w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ir perceptions of the purpose and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s, their satisfaction with using public health centers, and the level of demand for public health centers to play a role in promoting community health.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cess to public health facilities for residents in the research area was improved. By classifying public health centers into two types, these centers can perform the functions and roles of primary health facilities. A patient request and evac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area. Finally, a network, such as a social prescribing program, is needed so that public health centers can function as a "setting" for community members to liv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