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을 통해 지역사회를 섬기는 교회들에 대한 연구

        이상일(Sang Il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9 No.-

        한국교회가 사회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한다는 사실은 여러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교회가 지역사회와 단절돼 있고 지역사회를 제대로 섬기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라도 한국교회는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돕기 위해 더욱 힘써야 한다. 음악은 지역사회를 섬기는 사역에도 유용하고 효과적인 도구이다. 그리고 음악에는 특별한 힘과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음악을 통해 지역사회를 섬기는 일은 모든 교회가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역이다. 본 연구자는 음악을 통해 지역사회를 섬기는 사역이 잘 정착된 모범적인 교회들을 여러 지역에서 찾아낸 후, 그 교회들의 사역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1) 지역주민들이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유형, 2) 지역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를 조직해서 연주활동을 하는 유형, 3) 지역주민들을 초대하거나 찾아가서 음악회를 여는 유형, 그리고 4) 지역주민들이 해설과 함께 연주 영상을 보면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모임을 마련하는 유형. 음악을 통해 지역사회를 섬길 때 전도나 교회의 부흥을 위한 수단으로 삼지 말고 진정성 있게 해야 한다. 지역주민들의 필요를 채우고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는 순수한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 전도의 열매가 없더라도 그 사역을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친 후에 시작해야 한다. 교회의 형편과 지역사회의 상황 및 필요를 분석한 후에 적합한 사역 유형을 결정해야 한다. The fact that Korean churches do not receive trust from society can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survey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church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ty and is not serving the community properly. In order to overcome this reality, the Korean church needs to work harder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ty and help the community develop. Music is a useful and effective tool for serving the community. And because music has special strengths and many advantages, serving the community through music is a ministry worth trying in every church. The researcher found exemplary churches in various areas where the ministry of serving the community through music was well established, and classified the ministry of the churches into four types: 1) the type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o learn music, 2) the type that organizes an orchestra wher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and perform, 3) the type that invites or visits local residents and hold concerts, and 4) the type that holds a meeting where local residents can listen to music while watching performance videos with commentary. When serving the community through music, it should not be used as a means for evangelism or church revival, but should be genuine. They must work with a pure heart to mee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and to practice love for their neighbors. Even if there is no fruit of evangelism, the ministry must be continued.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tart after a thorough preparation process: after analyzing the circumstances of the church, the situation and needs of the community, the appropriate types of ministry should be determined.

      • KCI등재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제언

        박종주(Park, Jong Ju)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지역 교리서의 형태는 지역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교리서와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담은 지식 중심의 교리서로 나눌 수 있는데, 한국 교회의 교리서들은 대부분 후자에 가깝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대상자들의 문화, 연령, 영적 성숙도, 사회적, 교회적 상황 등의 다양성이 요구하는 방법적인 부분들은 지역 교리서의 몫이라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교회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로 지역 교리서를 대체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우리 교회의 현실로부터 출발하여 더 이상 교의 중심의 교리서가 아닌 개별 교회의 상황과 문화를 반영한 지역 교리서의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보편 교회가 강조하고 있는 지역 교리서의 토착화적인 특성을 1960, 1970년대 등장했던 인간학적인 교리교육 운동과 연결시켜 몇몇 세계 교리교육 주간들과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인간학적인 관심,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학적 교리교육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는 『화란 교리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간학적인 교리교육이 일상의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귀납적 방법의 교리교육 방법론을 표방하고 있지만, 이 역시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이원론, 또 계시의 독창성과 역사성의 소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역 교리서의 핵심적인 요소인 토착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뿐만 아니라, 토착화 교리교육은 언어의 문제, 특별히 새로운 언어의 이해와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한국 교리서의 형태인 교의 중심의 교리서가 아닌, 구원의 역사 중심의 교리서를 지역 교리서 편찬의 모형으로 삼아야 한다. 그래서 『화란 교리서』의 ‘구세사-전례-인간 경험’의 연결고리에 주목하고, 해석학적 순환 방법들을 고민해야 한다.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본고의 제안을 기초로 우리 교회도 한국의 종교적 상황과 문화, 사회, 정치적 조건들을 반영한 지역 교리서가 하루빨리 편찬되기를 희망한다. I believe the form of a local catechism could be divided into a knowledge-based doctrine that not only takes into account loc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but also teaches about the universal church. Most catechisms presently used in Korea deal mainly with the latter.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does not set out to provide for the adaptation of doctrinal presentations and catechetical methods regarding local differences of culture, age, spiritual maturity and social and ecclesial conditions. Nevertheless, such indispensable adaptations should be included in local catechisms. These local catechisms are necessary for those who teach and instruct the Catholic faithful. This article examines some elements for the compilation of a local catechism based on the reality of the local church. It reflects the situation and culture of individual churches. This is not a catechism which is first centered on doctrine. In particular, I link the inculturate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atechism emphasized by the universal church. I do this by looking at articles of the “International Study Week on Catechetics” in the 1960s and 1970s, researching the anthropological interes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examining “A new catechism. Catholic faith for adults”,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ulmination of anthropological catechesis. Although anthropological catechesis expresses an inductive method that reflects the situation and events of everyday life, there is the danger that this will bring a negation of poetry, the history of revelation, and a rise in dualism. Moreover, I will offer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compilation of a Korean local catechism. First, in addition to the proper recognition of inculturation a key element of a local catechism, an inculturated catechesis requires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new language. Second, a local catechism should be centered on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not centered on a form of Korean doctrine.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nk between ‘the history of salvation-the liturgy-human experience’ as mentioned in “A new catechism. Catholic faith for adults” and the hermeneutical circulation methods. In this article, I advocate for the compilation of a local catechism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hich reflects the religious situation, culture,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Korea.

      • KCI등재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과 과제

        박흥순(Heung Soo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이주아동(청소년), 다문화가정을 포함한 이주민이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한국교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편입되고 있다. 전체인구의 2.9%에 해당되는 이주민이 더불어 살아가며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다문화선교는 낯선 주제처럼 보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을 위한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 글은 첫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현황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와 행정안전부의 통계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주민에 대한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이주노동자 중심의 다문화선교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확장하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살펴본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위탁을 받은 기관과 센터를 교회가 운영하는 곳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역교회의 다문화선교 현황을 파악한다. 셋째로 호남지역에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의 교회와 기관에 대한 파악을 통해서 유기적 관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예장 통합 국내선교부가 파악한 교회와 기관과 호남지역 다문화선교협의회에 속한 교회와 기관의 상이점을 지적함으로써 총회와 지역노회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를 인식하게 한다. 넷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한 교회와 기관을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소개한다. 교회 중심의 예배공동체 사역 유형, 교회부설 센터 중심의 사역 유형, 이주민센터 혹은 비영리 민간단체의 독립적 사역 유형,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위탁운영 사역 유형, 자조모임 사역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다섯째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미래지향적 방향을 네 가지로 간단하게 제안한다. 호남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선교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쉽지 않다. 교단이나 이주민협의체에서 파악할 수 없는 교회와 기관이 많기도 하지만 다양한 관심과 목적을 갖고 진행하는 다문화선교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도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다문화선교를 실시하는 대표적인 교회와 기관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남지역에서 전개하고 있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는 시도는 다문화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을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호남지역의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하면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을 파악함으로써 광주광역시를 포함해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포괄하는 다문화선교협의체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이 한국사회에 올바로 적응할 수 있도록 인권과 복지의 측면에서 지원하고 관심을 갖는 동시에 목회와 선교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한국사회의 구성원과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다수자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다문화선교가 지닌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호남지역에 위치한 교회와 이주민 지원기관이 교단이나 교파를 초월해서 협력함으로써 효율적인 다문화선교를 진행하도록 연대할 필요가 있다. The immigrants including migrant workers, inter-marriage men and women, multicultural families are becoming import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Korean churches. The number of people who reside having the immigrant background is about 1.5 million which accounts for 2.9%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Korean society is now going to enter into multicultural society which should coexist with people who come from different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mmigrants have faced with identity crisis when they are struggling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s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in order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should look a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ulticultural mission which have been expanded from migrant workers to inter-marriage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irdly, investigating local churches and centr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which have served multicultural mission, I will suggest the organic solidarity of thes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The National Mission Ministry of the PCK have checked up the state of multicultural mission in 2011. The Association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also have investigated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2009. However, it did not match the list of churches and centres of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two institution. In this point, we should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close solidarity among the PCK and the local churches. Fourthly, we will classify multicultural mission into five types as follows: the type of church-centred worshipping community, the type of church-operating centre, the type of migrant centre or Non Profit Organisation, the type of charging from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type of self-support group. Finally, I briefly propos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의 수준과 관련요인 평가연구-대전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임구원 ( Lim Koo-wo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6 地域社會開發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수준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평가를 연구하므로써 지역별로 교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대전지역교회 중심으로 실증분석한 사례논문이다. 특히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지역별, 교단별로 인적·물적자원의 차이 등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파악한 논문이다. 대전지역 5개구에 위치한 교회로 각 교단별로 200여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중대형교회를 운영하는 지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4월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과 인적·물적자원 활동도 차이가 지역별, 교단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교회발전과 지역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나 대부분 대전지역 교회중 장로교단과 유성구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view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hurch service for community welfare programs and the relevant fact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and orders, focusing on churches in Daejeo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and determine if community welfare programs positively affected communities. About 200 churches were selected for each order in five districts of Daeje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leaders of medium- and large-sized churches in Daejeon from February to April, 2016. Data were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the community welfare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urches and communities; and the order of presbyterianism and Yuseong-gu in Daejeon had significant effects.

      • KCI등재

        교회가 참여하는 도시 지역공동체 세우기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이 글에서는 현대 산업 사회에서 삶의 환경이 되는 도시의 특징을 살펴보고 도시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지역공동체 운동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기독교의 관점에서 갖는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로 도시에서 지역공동체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교회들 16개 사례를 발굴하고 그 교회 지도자들을 심층 면접 조사한 결과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사례 교회들의 교단은 예장 합동을 비롯한 보수 교단부터 진보 교단인 기독교장로회까지 다양하였고, 교회 역사 또한 다양하였다. 교회 규모는 100명 미만의 비교적 작은 교회 10개였는데, 비교적 작은 교회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큰 교회들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작은 교회들이 주민 밀착형 활동을 하는 것이 보다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생교회 5곳은 모두 교회 설립 당시부터 지역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활동 대상 역시 최근에는 특정 연령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기보다 주민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교회들의 참여 동기는 교회 설립 때, 또는 현재 지역공동체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목회자가 부임할 당시부터 교회는 지역과 함께 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이 운동을 시작한 경우와 처음에는 그러한 인식이 분명하지 않았으나 특정한 계기를 통해 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참여하기 시작한 경우로 분류된다. 교인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은 주로 목회자가 먼저 지역공동체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한 이후에 설교나 교육을 통해서 교인들에게 동기 부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교인들은 전통적인 방식의 신앙생활을 하는 경우에 주로 교회생활과 개인 신앙에 치중하기 때문에 이러한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목회자의 입장에서는 기존 신자들을 설득하고 동기 부여하는 것이 큰 과제이다. 운동의 성과는 먼저 지역사회와 관련해서 지역 주민들과 격의 없이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는 것이다. 교회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사람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고, 특히 작은 교회 목회자들은 교회를 알리기도 쉽지 않은데 이런 운동을 통해서 주민들과 쉽게 만나고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운동의 큰 장점이다. 특히 교회를 개척하면서 이 운동에 참여한 목회자들은 이것이 좋은 교회 개척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다음으로 교회와 관련된 성과는 교인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공동체에 대한 생각의 폭이 훨씬 더 넓어졌다는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운동의 지속가능성이다. 지역공동체 운동을 전도의 수단으로 삼아서 단시일에 성과를 기대하기보다는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 여기고 이 운동에 참여하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고 지속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행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도 경험하게 되고 참여자들 사이에 다양한 갈등도 일어나게 된다. 이해관계가 엇갈리기도 하고 때로는 주도권을 놓고 경쟁을 하기 때문에 교회나 목회자가 당파적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공동체 운동의 주체들은 대부분 중산층 이상의 고학력을 가진 전문직 종사자들이 많은데, 당장의 생계 문제로 여유 시간이 없는 중하류층의 사람들을 어떻게 이러한 운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느냐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that constitute environment for living in a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are examined, and as an attempt to overcome problems of cities, local community movement is discussed. This study organize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f church leaders from 16 case studies of churches that actually participate in local community movement, and explores implication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Churches involved in the case studies come from diverse historical backgrounds and denominations, from the conservative Hapdong to the progressive Christian Presbyterians. The size of the churches was relatively small at 100 or less. The reason for selecting smaller churches was because of the greater meaning attributed to the smaller churches that has less resource than larger churches but participated in resident type activities. Especially, 5 new churches had interest in local community movement from the time the church was founded. It is also shown recently regarding activities that the majority of activities involve residents in general as oppose to a certain age group or class. The motivation for involvemen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ose that began this movement with a belief that the church needs to be together with community, either from the founding of the church or from the time the pastor who currently leads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is installed, or those that didn’t have a clear recognition in the beginning but through a certain incident realized the need and began participating. The usual process of forming a consensus generally began with pastors recognizing the need for community involvement, after which, through sermons and education, members are motivated. As members who practice typical Christian living tend to focus on personal walk of faith and church life and thus, lack the recognition for the need for this kind of movement.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stors, persuading current members and motivating them are the major tasks. The success of the movement is that initially, in regards to the local community, an opportunity to meet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is provided without any strings attached. As trust towards church deteriorated it became more difficult to meet people. Especially, pastors of smaller churches have a greater hurdle to advertise their churches, but the advantage of these movements is that the pastors can readily meet and communicate with residents through these movements. For those pastors who began these movements from the beginning of the founding of the church voice that it is a good church planting model. The subsequent success in regards to the church is that the members have become mindful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ir perspective on community have widened. The task going forward is sustainability. Rather than expecting success in a short time by making local community movement as a means of evangelism, it is desirable to place its value in the movement itself as a way of loving the neighbors and continually unfolding it. Also, there will be many trials and errors in the process as well as various conflicts among participants. Different interests collide and compete for initiatives, so it is important for pastors or churches not to become biased but centered. Lastly, since the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movement in our nation are highly-educated professionals from upper-middle class, the important task is how to involve the lower- middle class who lack marginal time due to current livelihood problems..

      • KCI등재

        지역교회 선교공동체론에 관한 소고

        안교성(Kyo Seong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5 선교와 신학 Vol.37 No.-

        최근 들어 선교공동체로서의 교회, 특히 지역교회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지역교회가 선교공동체로서의 본질을 회복하고 사역을 감당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지역교회 선교공동체론의 이론과 실천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먼저 20세기부터 21세기 초에 이르는 선교의 새로운 맥락을 살펴보았는데, 그것은 교회론과 선교론의 변화 및 선교상황의 변화이다. 교회론의 변화는 평신도의 중요성에 대한 재발견, 교회와 세계에 대한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 교회의 선교적 본질에 대한 회복을 들 수 있고, 선교론의 변화는 선교사 중심에서 현지인 중심으로, 협의의 선교에서 광의의 선교로, 서구기독교 중심에서 세계기독교 중심으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선교상황의 변화는 한국교회의 성장 위기와 한국교회의 선교적 부담 증가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인식에 근거하여 지역교회 선교공동체의 새로운 모델과 관련하여 과제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역교회 선교의 과제는 지역교회 중심적 선교보다는 지역사회 중심적 선교, 광의의 선교관에 입각한 선교, 선교교육과 선교실천이 병행되는 선교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지역교회 선교의 방법은 입구전략에서 출구전략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고려한 선교, 평신도 선교사역자 파송, 외주선교, 협력선교, 참여선교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역교회가 선교공동체로 성장하려면 네 가지에 유의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첫째, 지역교회는 선교의 새로운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교회는 선교공동체로서의 정체성과 선교를 위하여 선교교육과 선교실천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교회는 광의의 선교관을 지니고 구체적인 선교사역을 감당하기 위하여 선택과 집중 및 선교협력의 정책을 모두 붙잡아야 한다. 넷째, 지역교회의 선교는 지역교회와 지역사회가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역공동체 세우기를 통한 교회의 시민사회 참여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2

        본 연구는 시민 공동체로서 지역사회 구성원인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및 주민과 함께 교회가 참여하여 지역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통적인 촌락공동체는 붕괴되었고, 현대 산업 사회에서 조직 구조의 거대화와 관료주의화는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친숙성이 어렵게 하며 비인격의 인간관계를 초래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성과 인격의 상호성 또한 약해지고, 인간은 결국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사람들 사이에는 예전의 공동체를 그리워하고 공동체 안에 안주하려는 욕구가 심화된다. 이것이 바로 ‘새로운’ 지역 공동체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이 ‘새로운’ 지역 공동체는 교회와 시민사회가 만나는 지점을 제공한다.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감당해야 하는 사회적 요구는 증대하는 대신에 정부의 예산부담은 줄여야 하는 추세가 뚜렷하므로 결국 기대어야 할 곳은 시민사회의 자발적 부문뿐이라는 기대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 교회 역시 시민 사회에 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인적, 물적, 제도적 자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회가 한 축을 감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교회는 종래 시민사회를 하나로 묶어주던 사회 제도들이 제대로 제구실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생긴 사회적 공백을 메우고 지역공동체를 재조직하는 일에 앞장서야 할 당위성을 지니게 되었을 뿐더러 현실적으로 그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현대 시민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에 대해 단순히 이론 차원에서만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 차원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먼저 교회와 시민 사회는 어떤 관계에 있고 교회의 시민 사회 참여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서 흔히 공동체라고 표현되는 교회가 오늘날의 시민공동체와 어떻게 맞닿아 있으며, 교회 구성원인 ‘교인’이 어떻게 ‘시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 교회가 실제로 시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하나로 교회와 시민 단체 및 지역 자치 단체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through a combined effort by the church as a part of the civil community, together with local community members such as the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s, citizens organizations, and the citizens. Traditional, tribal communities have collapsed. The enlargement and the bureaucrac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have made intimacy between members of a society difficult and caused inhum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is situation, trust and mutual personality betwee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e weakened, and human beings inevitably feel a sense of alienation. As a result, a longing for the past community and the desire to settle deepens. This is the reason why a ‘new’ local community is needed. This ‘new’ local community provides the place where the church and the members of the society can meet. While the social needs that a nation must shoulder in a modern society increase, because it is evident that the financial burden of the government must decrease, the resulting reliance which ends up being the voluntary contribution of the society is gradually growing. In light of this, since church is also a part of the society and has much human, materia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it is a logical conclusion that the church takes on a responsibility over a certain realm. Church fills the social gap created when social organizations that once bound society together into one could not fulfill its function, and has not only earned the legitimacy but also is able to realistically reorganize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thus does not discuss simply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role of the church in modern society, but aims at seeking specific methods to apply on the practical level. For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ociety will be discussed, as will be the meaning of church involvement in society. Through this, how a church that is typically called a community comes into contact with today’s social community and how a member of the church can be a member of the society will be discussed. And as one of the specific methods of the Korean church to practically participate in society, a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where the church, society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e together will be proposed.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지역교회의 역할

        류은정(Eun Jeong Ryu)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한국교회는 자타가 공인하는 눈부신 열매, 부흥성장에 집중하는 동안 자신이 자리하는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고 분리되는 서글픈 현실에 갇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심화되어 가는 인구절벽으로 인한 주일학교의 감소가 단지 교회안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 밖 지역사회의 외면으로 인하여 더욱더 가속화 되어가는 시점에 놓여있게 되었다. 이런 모습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회의 본질적인 모습을 성찰하고, 지역사회 속의 교회를 선교론적인 입장에서 정리하며 지역사회를 마을 공동체로 세우고 나아가 교육공동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 지역교회의 역할을 정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과거의 전통과 현재의 기회와 미래의 가능성을 연결하여 지역교회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들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그리고 마을사람들과 삶을 나누는 마당, 플랫폼으로써의 교회의 모습을 세운다. 18세기 산업혁명당시 지역교회는 마을공동체에서 교육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상실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주일학교운동(Sunday School Movement)’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장면을 성찰하며, 오늘날 교회 안으로 밀려오고 있는 거대한 물결,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마을교육공동체로서 교회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를 성찰하며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마을 교육공동체로 가꾸기 위하여 이루어야 할 교육목회와 교육사역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While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have reached amazing heights of quantitative growth and therefore enjoyed recognition around the world for their developments, the irony is that most of the Korean churches have become isolated and irrelevant in their local communities. The decline of Sunday school program in Korea is further escalated by the local community’s neglect toward its local churches.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reflect church’s missiological role - nurturing a local community and empowering the community’s formation as an educational community -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schism between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Connecting the past traditions, present opportunities, and future possibilities together, this article will theoretically formulate purpose and method for the educational role of a local church in Korea. Ecclesiastically, a vision of the church as Madang - a shared space and platform in which people may come together - will be explored. In the 18th century, Sunday school movement was conceived as an alternative answer to the church’s role in providing education to the local community. The aforementioned historical scene would be further scrutinized to bring an insight to the present in whi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looding into the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the Christian church. To fulfill the ecclesiastical role of the church as a locus of educational community,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local ministries a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nd attempt to provide a timely manual for educational ministry and program.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의 사례 2] 송악교회와 송악지역의 마을 만들기

        이종명(Jong Myung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30 No.-

        송악교회는 일찍이 농촌교회로서의 선교적 정체성을 정립했다. 이는 송악지역이 가지고 있는 농업중심의 산업생산성, 교회 성도들과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조건(직업)으로 말미암아 송악교회가 지역사회와 함께 꿈꾸는 선교적 비전도 농촌교회와 농촌선교라는 정체성과 사명감을 갖게 한 것이다. 1980년대 초부터 농촌선교에 정체성과 사명감을 가진 목회자가 목회하면서(김영주 목사, 이영우 목사, 이종명 목사) 지역신협운동, 기독교농민운동, 지역사회 복지사업 등 농촌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선교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다. 지역사회 선교사업을 위해 1997년 송악면 역촌리 65-1에 200평의 대지에 90평의 나무건물을 지었다. 사회복지관에서는 유아보육, 방과후 아동공부방, 예능교육과 지역사회 문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998년 교회 안에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하는 선교프로그램을 논의하던 중, 우리지역의 특성을 살려 ‘친환경생명농업운동’을 시작하기로 하고 교회 안에 뜻을 함께하는 성도들이 모여 ‘농민선교위원회’를 조직했다. 농민선교위원회에서는 무엇보다도 복음 안에 있는 생명운동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래서 수차례의 강좌와 현장답사, 교육과정을 거쳤고 자체훈련과정을 통해 교회와 지역의 미래를 설계했다. 그 과정을 통해서 송악교회는 자연스럽게 농촌 지역교회라는 정체성을 다시 한 번 확고히 하게 되었고, 생명을 보듬는 교회로서의 실천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송악교회 농민선교위원회는 2000년 2월 지역내 뜻을 함께 하는 농민들과 함께 ‘송악동네친환경농사연구회’를 창립했다. 창립 당시 참여한 회원은 약 30여 농가였는데 곧바로 그 해부터 쌀, 표고버섯, 호박, 오이 등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업을 시작했다. 판로를 고민하던 중 인근의 한살림 생산자조직과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면서 ‘한살림 송악면지회’를 창립했다. 그후 참가자들이 매년 꾸준히 늘어나 2012년 현재 약 200농가가 참여하고 있는데, 논농사 약 20만평, 밭농사(잡곡, 야채, 시설채소 등) 약 20만평으로 재배작물도 쌀, 콩, 잡곡, 여러 가지 야채와 버섯, 벌꿀농사 등으로 친환경 농사를 확대해가고 있다. 지역내 한살림 생산자조직은 송악교회 농민선교위원들이 회장과 총무 일을 맡아 지역농민들을 섬기고 봉사하며 이끌고 있다. 송악교회 농민선교위원회는 지역의 친환경 농업운동이 가지고 있는 과제를 함께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은 도시소비자와 지역 농민생산자와의 교류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입장에서만 만나면 농산물을 사고파는 거래적 관계가 될 수밖에 없기에 이 일을 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지속적으로 해나가기 위해서 다양한 동기를 만들어 진정한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고 한다. 도시지역의 시민단체와 소비자단체 그리고 학교나 교회 등과 함께 하는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송악면 친환경농업지역에서는 가을철만 되면 메뚜기가 지천이다. 농약사용으로 사라졌던 메뚜기가 다시 돌아온 것이다. 그래서 가을 추수철이 되면, 도시 소비자들을 초청해서 ‘메뚜기 잡기와 추수 체험’ 행사를 연다. 또한 한국특산종 물고기 ‘퉁가리’를 비롯하여 냇가에 별로 보이지 않던 피라미, 버들치, 갈겨니들이 이제는 떼를 지어 다니고, 여름밤에는 도시 가족들을 초청하여 반딧불이 축제를 열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지금도 우리는 꿈꾸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송악동네가 태초에 하나님께서 만드시고 ‘보기 좋았다’ 하신 그 아름다운 세상으로 회복되기를...

      • KCI등재

        도심리교회 실천 사례와 적용

        홍동완(Dong Wan H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성경에서 교회이름은 지역 명으로 되어있다. 지역에 있는 주님의 교회라는 뜻이다. 사도행전에 나와 있는 교회들을 보면 온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에 있는 교회(행 9:31),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the church at Jerusalem: 행 9:31), 안디옥에 있는 교회(the church at Antioch: 행 13:1)이다. 구약에서 회중, 총회를 70인역에서는 교회인 에클레시아로 번역하고 있다. 출애굽한 이스라엘백성을 광야에 있는 교회로 표현하고 있다.(행 7:38) 이것은 교회가 지역과 함께 하는 공동체임이 분명하다. 도심리교회의 개척과정에서 나타난 두 가지 큰 틀이 있었다. 하나는 하나님 주도적인 선교의 모습이다. 하나님을 절대타자로 보고 하나님에 의한 선교가 이루어졌다. 즉 하나님은 그의 나라를 이루기 위해 모두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것이다. 선교지 선택, 선교전략, 선교과정, 모두 하나님에 의해서 진행되었다. 다른 하나는 지역 주민에 의한 선교이다. 이것도 다른 형태의 타자를 의미한다. 선교방법, 선교사업, 선교이론은 모두 지역에 있는 주민들에 의해서 생기게 되었다. 안데스 산맥에서 전래된 감자를 보냄을 받았다는 수동적 의미의 선교사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에 의해 매우 능동적인 영향력을 발휘한 모습을 보면서 수동적이지만 역동적이고 능동적인 선교의 모습이라 말할 수 있다. 선교는 분명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기에 오랜 지속성을 필요로 한다. 잣이 2년을 주기로 해서 열매를 얻을 수 있는 것처럼 선교는 우리가 기대하는 것보다 오랜 시간을 요구한다. 16년 동안 무교회지역에 도심리교회 개척과정을 지속성이라는 관점에서 네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는 서로 알아가는 과정이다. 이때가 매우 중요한 것은 상대에게 어떤 선입견을 갖게 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서로에 대해서 반응하는 과정이다. 셋째는 신뢰하는 과정이다. 삶이 함께 나눠지는 단계이기도 하다. 넷째는 함께 꿈꾸는 과정이다. 이때 비로소 지역공동체를 위해 어떤 사업이든 할 수 있다. 지금 도심리교회는 바로 네 번째 과정에 와 있다. 여기에서 지속성을 가지고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 만들기 혹은 마을 목회가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이것이 하나의 선교유행처럼 되지 말아야 한다. 이런 용어가 나오기 전에 이미 마을 만들기를 실시하고 있는 지역교회들이 있다. 마을 만들기는 목회자 주도한다거나 지역교회가 주도하에 이루려는 생각보다는 지역 주민들 주도하에 이루어야 한다. 마을을 만들려고 하기 보다는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교회공동체와 지역 공동체를 두 개의 공동체가 아닌 하나의 공동체로 보아야 한다.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 3:28) 이것이 초대교회 공동체의 모습이다. 성육신하신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 공동체와 지역공동체가 하나가 돼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