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직무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지역경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준택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6 No.1

        Though 112 police officers and patrol officers both handle 112 reports received by resident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onducted regarding 112 police officers compared with patrol officers. To fill the gap of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112 police officer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patrol officers. The results showed that 112 police officers showed higher occupational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an patrol officers. Also 112 police officers had more health symptom including indigestion and insomnia than patrol officer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between 112 police officers and patrol offic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stressors related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lack of social support, and emergency calls respons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the patrol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due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had a great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112 police officers. Regarding factors affecting health, stressors related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lack of social support affected health symptom of police officers. On the contrary to the patrol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had a effect on health in 112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results,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make administrative effort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in police trauma center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112 police officers. 112경찰과 지역경찰은 주민이 접수하는 112신고를 함께 처리하는데 그간 지역경찰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가 수행된 반면, 112경찰의 경우에는 연구가 매우 적어 연구의 공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112경찰의 직무만족과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를 지역경찰과 비교하여 112경찰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건강수준이 지역경찰에 비해 어떠한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12경찰은 지역경찰에 비해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직무만족이 낮고 건강 이상증상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2경찰과 지역경찰 집단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 부족한 사회적지지, 신고대응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감소하였는데 지역경찰에 비해 112경찰에서는 열악한 조직관리와 근무환경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더 큰 영향을 준 차이가 있었다. 건강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과 부족한 사회적 지지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이상 증상이 증가하였는데 지역경찰에 비해 112경찰관의 경우 역할모호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이상 증상이 증가하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112경찰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 사회적지지, 신고대응 측면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관리적 노력이 필요하며, 112경찰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역할모호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적극적인 검토와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주민의 사회적 지지가 지역사회경찰활동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허용훈(Huh Yong Hoon),문유석(Moon Yu 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관들의 수용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고, 주민들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이 지역사회경찰활동 수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자아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찰관들의 지역사회경찰활동 수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요한 분석결과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관들의 수용도의 수준이다. 응답자들의 지역사회경찰활동 수용도 평균은 3.83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이는 경찰관들이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프로그램이나 제도에 대해 지지하거나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 수준과 지역사회경찰활동 수용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수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크기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 수준은 평균이 3.13으로 보통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셋째, 자아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와 지역경찰활동의 수용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의 지역경찰활동 수용도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관들의 수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경찰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를 강화시키는 활동뿐만 아니라 경찰관들의 자아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가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By measuring police officers’ acceptance level of community policing(CP) and analyzing how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n citizens’ social support to themselves affect on their acceptance level of CP b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is study probes ways to raise police officers’ acceptance level of CP.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acceptance level of CP was 3.83 on the Likert-type 5 point scale, which shows that police officers in general support CP or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P. Second, social support had a considerabl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level of CP. But, the mean of social support was 3.13, which just passed the average.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accept level of CP, while self-efficacy reinforc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job stress reduc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acceptance level of CP. These results implies that both reinforcement of activities to raise social support and management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re needed to improve police officers’ acceptance level of CP.

      • KCI등재

        한국 지역경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실태 조사

        김욱환,강갑원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job stress scale for local police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of local pol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the local police job stress instrument composed of 5 factors, which consist of 17 items in all, and it was judged to be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Five factors were named as organizational culture, education and training, on - the - spot measures, working environment, and complaint handl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job stress survey of the local police, the overall job stress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five factors, the level of job stress for civil complaint handling fact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n-the-spot measures factor. Third, job stress of male police was higher than female police. Fourth, job stress was higher in police with older age than young police. Fourth, job stress was higher in police with older age than young police. Fifth, the police with the guardian class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police of the other class. Sixth, police working for patrol or general affairs had higher job stress than police performing administrative work. 본 연구는 한국 지역경찰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 데에 1차 목적이 있고, 지역경찰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는 데에 2차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요인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역 경찰 직무스트레스를 개발하였으며 비교적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요인은 조직문화, 교육 및 훈련, 현장조치, 근무환경, 민원처리로 명명하였다. 둘째, 지역경찰의 직무스트레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다소 높은 편이었다. 5개 요인 중에서 민원처리 요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현장 출동 요인이었다. 셋째, 여성경찰보다 남성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넷째, 젊은 경찰보다 연령이 많은 경찰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다섯째, 경위 계급을 가진 경찰이 다른 계급의 경찰에 비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여섯째, 순찰 업무나 총괄 업무를 하는 경찰이 관리 업무를 하는 경찰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 KCI등재

        일선 지역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상호,김동현 한국경찰연구학회 2017 한국경찰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일선 지역경찰관들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과 그에 따른 경찰관들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선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은 경찰관 일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전반적으로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 경찰관의 회복탄력성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장 이상의 계급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순경의 회복탄력성이 타계급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지는 반면, 회복탄력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우울은 서로 부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일선 지역경찰관들은 직무스트레스를 받아도 우울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the level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local police offic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428 local police officers using BDI, Job Stress Scale and KRQ-53. Analyses were done on SPSS 22.0 for Windows,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an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were that police officers were likely to experience high job stress and depression as they grew older and police officers in their 20s had higher resilience than other police officers in their 30s, 40s, 50s.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ith high rank(above corporal) had higher job stress and depression. Police officers with constable rank had higher resilience than police officers with other rank.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in the police force turned out that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lso, the lower factors of job str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esilience and depression have shown to have negative related to each other.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not only between police offic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lower resilience,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likely it is to be depressed, whereas police officers with resilience a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work-related stress.

      • KCI등재

        지역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번아웃 증후군)에 대한 연구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5

        직무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지속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최근에 언론과 많은 연구에서 강조되고 있는 직무소진은 신체나 정신적인 피로감으로 인해 무기력증, 자기혐오, 직무거부 등의 부정적 증상이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하는 직무소진에 대하여 일선 지구대와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지역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 중 조직체계변수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이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변수들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 직무불안(β=.312), 직무요구(β=.248), 보상부적절(β=.173), 직장문화(β=.169), 관계갈등(β=.107), 마지막으로 직무자율성 결여(β=.105)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지역경찰공무원의 다양한 역할의 증대로 인한 직무불안과 직무요구가 증가되고 이로 인한 보상이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경찰공무원들이 직무소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job stress on police officers`s burnout. The study sorted out the data for 489 police officers working in seoul police box, and analyzed the data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influences of job stress on burnout. but no positiv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systems on burnout. The relativ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is Job insecurity(β=. 312), job demands (β =. 248), inappropriate rewards (β =. 173), workplace culture (β =. 169), relationship conflict (β =. 107), lack of job autonomy (The β =. 105). The role of police officers has become various. so the job demands of police officers is increased. But he/she feel not appropriate compensation. These police officers`s burnout is high.

      • KCI등재

        지역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번아웃 증후군)에 대한 연구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2

        직무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지속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최근에 언론과 많은 연구에서 강조되고 있는 직무소진은 신체나 정신적인 피로감으로 인해 무기력증, 자기혐오, 직무거부 등의 부정적 증상이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하는 직무소진에 대하여 일선 지구대와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지역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 중 조직체계변수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이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변수들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 직무불안(β=.312), 직무요구(β=.248), 보상부적절(β=.173), 직장문화(β=.169), 관계갈등(β=.107), 마지막으로 직무자율성 결여(β=.105)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지역경찰공무원의 다양한 역할의 증대로 인한 직무불안과 직무요구가 증가되고 이로 인한 보상이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경찰공무원들이 직무소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job stress on police officers`s burnout. The study sorted out the data for 489 police officers working in seoul police box, and analyzed the data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influences of job stress on burnout. but no positiv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systems on burnout. The relativ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is Job insecurity(β=. 312), job demands (β =. 248), inappropriate rewards (β =. 173), workplace culture (β =. 169), relationship conflict (β =. 107), lack of job autonomy (The β =. 105). The role of police officers has become various. so the job demands of police officers is increased. But he/she feel not appropriate compensation. These police officers`s burnout is high.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관 대상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장다원,현명호 대한스트레스학회 2023 스트레스硏究 Vol.31 No.2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mong community-oriented police offic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7 community-oriented police officers working in local police stations and substations in the Seoul-Gyeonggi area.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lice Job Stress Scale, Anger Rumination Scale (K-ARS),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2, and the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Analysis showed that anger rumin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mong community-oriented police officers.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or treatments that address both job stress and anger rumination for community-oriented police officers with alcohol-related problems. Such interventions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and managing problem drinking that threatens the well-being of individual police officers and the police organization. 이 연구는 지역사회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를 분노반추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경기 지역의 순찰지구대와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지역사회경찰관 107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척도, 문제음주 척도, 분노반추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PROCESS Macro 모델 4를 이용해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사회경찰관의 분노반추가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분노반추 경향성이 높은 개인의 경우,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음주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의 의의 및 한계,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역경찰의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재우,김승현 한국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경찰연구 Vol.21 No.4

        대한민국 경찰은 자치경찰로의 전환, 수사구조 개혁, 국가수사본부 신설 등을 통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변화의 주체인 경찰구성원들에 대한 고려는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의 변화에 대한 조직원의 수용성을 탐구하고자 조직냉소주의를 준거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직냉소주의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를 설정하였다. 특히, 조직요인인 조직공정성과 환경요인인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냉소주의에 대한 영향요인의 조건부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였으나, 두 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의 조직냉소주의를 줄일 수 있는 실무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의 조직 운영에 있어 승진과 징계 등 인사관리체계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냉소주의를 낮추기 위한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조직차원의 개입을 통해 경찰의 냉소주의를 해소하고 효율적인 조직운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연수(Yeon-Su Shin),이재란(Jae-Ran Lee),조계표(Kye-Pyo Ch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3 土地公法硏究 Vol.102 No.-

        지구대 경찰은 최일선에서 국가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범죄의 예방과 진압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구대 경찰은 직무 특성상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대 경찰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자체와 직무환경에 의해서 유발되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만성화될 때 직무소진으로 발전된다. 직무소진은 직무에 대한 무관심, 불만족, 무기력증, 감정고갈, 냉소, 비인간화, 자기비하, 성과저하 등의 부정적 행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적 결과를 극복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대한 효율적, 효과적인 관리와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강구 하는데 있다. 독립변수는 직무스트레스이며, 하위구성변수는 근무환경, 직무요구, 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조직체제, 보상 부적절, 조직문화이다. 종속변수는 직무소진이며, 하위구성 변수는 감정고갈, 냉소, 직업 효능화 감소이다. 통제변수는 성, 연령, 근무년수, 계급, 주 업무, 근무형태이다. 회귀분석에 의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독립변수로 선정된 변수 중에서 조직체제를 제외한 근무환경, 직무요구, 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조직문화 등 모든 변수가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계급과 근무년수가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istrict police maintain national order at the forefront,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nd perform the duties preventing and suppressing crimes. The job stress of the district police is caused by the job stress itself and the job environment, and when this stress continues to become chromic, it leads to job burnout. Job burnout results in negative behaviors such as job dissatisfaction, indifference, apathy,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dehumanization, self-deprecation. There, the need for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and research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is being emphasized to overcome negatives result.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much job stress affects job burnout in order to intend to devise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prevent and improve them. The independent variable is job stress, and the sub-variables of job stress are work environment, job demand, lack of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inadequate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dependent variable is job burnout, and the sub variables are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and job efficacy reduction. The control variables are gender, age, years of service, rank, principal duty, and shift pattern of du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how much job stress affects job burnout by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except for organization system, all variables selected as independents, which are working environment, job demand, lack of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inadequate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burnout.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rank and years of servi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