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점국가 학습 방법에 의한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이해

        조성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looked at the hub nation-centered learning by regional classif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Latin American region,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Korea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understanding of the large scale region like a continent, the nation- centered as a hub country approach is more useful for deepening local recogni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an continental scale. Secondly, the usefulness of the hub nation-centered approach is can be understoo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depth. And the learning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nations learning is focus on specific points except for the basic and common points obtained through the primary hub nations learning, which can reduce the learning burden and overlap of contents. Thirdly, the Latin American region is consists of 33 countries from Mexico in the northern to Chile in the southern. The Latin American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Central America(8), South America(12) and the Caribbean(13). Fourthly, Brazil is absolute posit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area size in Latin America. And Mexico is a large position in Central America, Cuba is a large share of Caribbean countries. Therefore, the three countries(Brazil, Mexico and Cuba) have been selected as the primary hub nations for Latin America understanding. Fifthly, it proposed eight secondary nations, three in the Central America(Panama, Belize, Costa Rica), three in South America(Colombia, Peru, Argentina) and two in the Caribbean(Iti, Trinidad and Tobago). However, nation-centered approach has limitations in learning natural geographical elements, such as mountain ranges and stream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ental scale. 우리나라 학생들과 직접관련성이 적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이해를 위해서, 지역분류 방법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거점국가 중심의 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륙과 같이 큰 규모의 지역을 학습하는 데는 대륙 전체적인 접근 보다는, 거점국가 중심의 지역이해 방법이 지역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에 의한 학습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분류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학습방법은 1차 거점 국가의 학습을 통하여, 지역의 공통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지역인식의 거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및 3차 국가의 학습은 1차 거점국가 학습을 통해서 얻은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사항을 제외하고 특이성을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어서, 학습 부담과 내용 중복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라틴아메리카 지역 33국은 중미(8국), 남미(12국), 카리브 해(13국) 등 3개 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다. 넷째,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인구 규모나 면적에서 브라질의 위치가 절대적이다. 그리고 중미에서는 멕시코, 카리브 해 국가들 중에서는 쿠바의 비중이 크다. 따라서 이들 3개국(브라질, 멕시코, 쿠바)을 라틴아메리카 지역 이해의 1차 거점 국가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2차 거점국가로는 특이성을 중심으로 중미에서 3개국(파나마, 벨리즈, 코스타리카), 남미에서 3개국(콜롬비아, 페루, 아르헨티나), 카리브 해에서 2개국(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 8개국을 제시했다. 그러나 국가 중심 학습 방법은 대륙 단위의 특성을 지니는 산맥이나 하천 등의 자연지리적 요소를 학습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 KCI등재

        지역 소득지출의공간적 확산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김홍배,최준석,정일남 한국지역학회 2013 지역연구 Vol.29 No.2

        In 2011, Korea government presented the promotion policy of strategic growth pole based on 5+2 mega economic regions in order to mitigate the imbalance economic growth. The policy emphasized the spread-effect that the economic effect of growth central region spreads to surrounding region through intensive investmen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spatial spread-effect by regional income-expenditure of economy activity sectors.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in growth central regions of capital area (Seoul, Incheon), spatial spread-effect of production, household and investment sectors are higher in surrounding regions than in far regions. However, in growth central regions of non-capital area (Daejeon, Gwangju, Daegu, Busan, Ulsan), spatial spread-effect of production, household and investment sectors are mostly higher in Seoul and Gyeonggi of capital area than in surrounding regions. Finally, policy direction is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spread-effect from growth central region to surrounding region in non-capital area. 2011년 정부는 수도권 집중 현상에 따른 국토 불균형 성장을 완화하기 위해 5+2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지역특성을 반영한 전략적 성장거점 육성정책을 제시하였다. 전략적 성장거점 육성정책의 핵심은 확산효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성장거점으로 지정된 지역중심에 집중적인 투자와 그에 따른 지역경제 성장효과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확산효과를 통해 국토의 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경제 구조를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지역 사회회계행렬(MRSAM)구축을 통해서 광역경제권 내 각 거점지역인 7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역 소득­지출의 공간적 확산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수도권 거점지역인 서울과 인천의 생산부문과 가계부문 그리고 자본(투자)부문의 확산효과는 인접한 권역 내 주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수도권 5개 거점지역의 생산부문과 가계부문 그리고 자본(투자)부문의 확산효과는 대체적으로 인접한 권역 내 주변지역보다 서울과 경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광역경제권 내 확산효과 제고를 위해 거점지역의 선도 산업 및 전략산업이 거점주변지역으로 집적화 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안현미(Ahn Hyun-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지방자치화시대의 다양하고 지역특수적 보육 욕구에 따른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모델’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한국의 보육 환경, 즉 지배적인 민간보육시설, 낮은 보육공공성, 지역간, 시설간 보육시설의 서비스격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지역거점 보육서비스 시범사업 내용을 SWOT 분석 방법을 토대로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국공립보육시설이 이미 지역사회 중요한 자원으로서 지역거점화 보다는 지역 네트웤의 한 체계로서 복지제공자 역할만이 확대되었다. 그래서 지역거점으로서 국공립보육시설이 구조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재구축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첫째, 지역거점 보육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담당자(인적자원), 즉 사회복지사 또는 보육교사가 필요하다. 둘째, 중추적인 국공립보육시설은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등의 통합적 환경구축이 선행되어야한다. 지역사회 내 자원연계를 위해서는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의 인적자원, 예를 들면 보건교사, 특수교사 등과 물적자원, 예를 들면 상담실, 강당, 놀이공간 등이 필요하다. 셋째, 자원연계구축을 위한 네트웤 구성과 협력체 형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복지관, 학교, 도서관, 병의원, 보건소, 동사무소, 복지관련 센터, 보육관련센터 등의 기관과의 자원연계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suggests a 'regional public educare facility model', an alternative for providing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s considering various and special care needs of community. This model intends to resolve the current child care problems, characterized by a dominant private child care, a lower public care, and a service gap between public and private care. This study assessed 'local-based care service demonstration project' done at Seoul and Kyungki using SWOT analysis. Results reveals that local-base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re important community resources and have a play role of a service provider as the part of a regional network. In order to rebuild local-based public child care facility, following policies should be accomplished. First, we need a social worker or a child care teacher, who are able to be in charge of a local-based care-system. Second, main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need to build the infrastructure us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network resources within community. Human resources include a nurse, and a special teacher. Material resources include a counseling room, a auditorium, and playground. Third, we also need to build network and cooperate with other organizations, such as welfare center, school, library,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welfare related center, child care related center.

      • 지역혁신거점의 구축과 지방자치단체간 협력방안

        이성근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3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새로운 지역발전의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혁신거점 구축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의 필요성과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거점 구축의 의의 및 지자체간의 협력의 필요성과 국내외 지자체간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자체간 지역혁신거점 구축의 추진원리와 접근방법, 발전모형과 추진방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지역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지자체간 협력모형의 추진원리로는 민주성, 효율성, 대응성, 파급성, 그리고 형평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접근방법은 공리주의적 접근, 기능적 접근, 공동체적 접근을 취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자체간 협력적인 지역혁신거점이 지향하는 목표는 지역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기존 산업의 구조고도화, 지역특화산업의 기술개발, 성장유망산업의 신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에 있다. 그러므로 지자체간 협력적 지역혁신거점은 첫째, 다양한 기술혁신 단위들이 결합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클러스터모형, 둘째, 지자체별 기술혁신주체와 환경요소들간에 긴밀한 상호작용관계가 있는 기술혁신창출형의 상호 적응모형, 셋째, 국가혁신거점, 지역혁신거점, 분야별 산업혁신거점체제가 연계된 네트워크 모형, 그리고 거점지역과 하위지역간에 기능분담이 체계화되어 있는 계층적 무형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북 서부지역 2∼6세기 거점세력의 성장과 지역성

        이지영 호남고고학회 2024 湖南考古學報 Vol.77 No.-

        본고는 전북 서부지역을 대상으로 2∼6세기 대 거점유적을 상정하여 권역을 구분하고 지역 거점세력의 성장과정과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거점유적은 주거지와 분묘의 군집도, 토기가마 확인 사례를 바탕으로 58개 유적을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권역은 수계를 중심으로 금강하류권, 만경강권, 동진강권, 주진천권으로 구분한 후 세부 수계와 유적분포를 바탕으로 소권역을 세분하였다. 시기는 Ⅰ기 2세기 후반∼4세기 중엽, Ⅱ기 4세기 후반∼6세기 중엽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초대형급 취락의 경우 익산 사덕유적, 고창 도산리·봉산리유적과 같이 Ⅰ기∼Ⅱ기까지 오랜기간 존속하거나, 익산 장신리 유적, 전주 동산동·여의동유적과 같이 Ⅰ기에만 군집이 집중되어 Ⅱ기에는 거점지역의 이동을 가정하게한다. 분묘에서도 군집도가 높은 완주 상운리유적의 경우 Ⅰ기에서 Ⅱ기까지 연속되는 양상으로 거점세력의 오랜존속기간이 짐작된다. 특히 만경강권의 완주와 전주지역은 장경평저호 또는 광구장경호를 공유하는 지역성이 강한곳으로 주목된다. 성장과정은 Ⅰ기에 주거지와 분묘 수가 급증하면서 거점세력의 성장모습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며, Ⅱ기에는 백제와 가야 문화요소의 유입으로 지역에 따라 토착문화에 선택적 적용되고, 거점세력 간의 결집양상도 관찰된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금강하류권은 백제양식이 가장 이르게 등장하는 특징을 보이며, 만경강권은 철기생산 거점세력 등여러 거점세력들이 각각의 역할을 달리하며 함께 성장하는 모습이다. 이 외에도 동진강권은 농경 중심의 거점세력, 주진천권은 서해안과 인접한 교역거점으로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전북 서부지역은 다수의지역 거점세력이 각각의 전통성과 독자성을 유지하며 발전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regions by assuming the remains of bases in the 2nd to 6th centuries in the western part of Jeonbuk-do, and to examine their growth proces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requency of clusters of dwellings, ancient tombs, and ceramic kilns, 58 base sites were selected, and the areas were divided into Geum, Mangyeong, Dongjin, and Jujincheon rivers, and sub-areas were subdivided based on detailed water systems and distribution of artifacts. The period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late 2nd and mid 4th centuries and the late 4th and mid 6th centuries. In the case of super-large settlements, it lasts for a long time from Period I to Period II, such as the Iksan Sadeok ruins, Gochang Dosan-ri, and Bongsan-ri ruins, or is concentrated in Period I, such as the Iksan Jangshin-ri ruins, Jeonju Dongsan-dong and Yeoui-dong ruins, so it is assumed that the base area is moved in Period II. In the case of the ruins of Sangun-ri, Wanju, which have a high frequency of clusters in ancient tombs, they appear continuously from Period I to Period II. In particular, the Wanju and Jeonju areas of the Mangyeong River are attracting attention as regions with high regionality that share Janggyeongpyeongjeoho and Gwanggu Janggyeongho. In the western part of Jeonbuk-do, the growth of strongholds is revealed in earnest as the number of dwellings and tombs increased rapidly in the I period, and in the II period, due to the influx of cultural elements from Baekje and Gaya, it is selectively applied to indigenous culture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gathering pattern between strongholds is also observed. By region, the Geum river's downstream area is characterized by the earliest appearance of Baekje style, while the Mangyeong river area shows that various strongholds, including the strongholds of iron production, play different roles and grow together. In addition, the Dongjin River region seems to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an agricultural center, and the Jujincheon River region as a trade center adjacent to the west coast. As such, in the western part of Jeonbukdo, it is observed that a number of regional strongholds maintain and develop their traditions and identity.

      • KCI등재후보

        일본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의 고찰 및 우리나라 지역육아지원정책에의 시사점: 아동관의 지역육아지원을 중심으로

        이성한 한국일본교육학회 2013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아동관사업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에 대해 고찰한 것이 다 연구에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정부부처에서 발행된 보고서, 관계부처 자료, 그리고 웰 페이지 및 키워드컴색자료들을 활용했다‘ 연구내용은 일본의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의 유 형인 광장형, 센터형, 아동관형에 대해 탐구하고 지역육아지원유형의 내용 및 지역에서의 역할 및 사례, 그리고 일본의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이 우리나라 지역육아에 주는 시사점 을 도출했다 결론적으로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엽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마련해나가는 것은 부모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아동을 양육할 수 있는 적극적 육아지원방안이 될 것이다 제언으로서 앞으로 일본의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의 각각의 유형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과 평가 및 우리나라의 현황 등에 대해 더 연구해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과학문화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과학문화 지표틀의 적용

        이승현,최진숙,이승현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2

        본 연구는 지역과학문화 사업의 재설계를 위한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2020년 시작된 창의재단 내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 사업의 현황을 진단하여 정책적, 실무적 함의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현장조사, FGI 등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제시한 과학문화 지표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를 운영하는 전담조직 부재, 지역거점센터 운영기관의 과학문화사업 경험 부족, 과학문화 관련 인프라 부족, 지역 내 고른 과학문화 활동의 한계, 타 사업간프로그램의 유사성 및 중복성, 지역특화 사업 발굴 미진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문화 관련 역량이 검증된 운영기관 선정, 다각적인 재원확보, 유사 사업과의 연계‧협력, 콘텐츠 다양성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의 그간의 운영현황을 진단하고, 사업 개선방안을 탐색적으로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가 지속 가능한 지역과학문화 정책사업으로 안착하도록 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redesign of regional science culture projects by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cience culture regional hub center project that started in 2020.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cience culture indicator framework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absence of dedicated organizations operating the regional hub centers, a lack of operational experience in the implementing organizations, insufficient related infrastructure, and limitations in equitable science culture activities within the region.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selecting competent operating organizations, securing diverse funding sources, establishing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similar projects, and ensuring content diversity are necessar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research that diagnoses the operational status of regional hub center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help them establish themselves as sustainable regional science culture projects.

      • KCI등재

        지역 과학문화 정책의 정책문제, 정책목표,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를 중심으로

        이승현,조민혁,이유현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지역 과학문화 활성화를 목적으로 2020년 추진된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를 연구범위로 하여 지역거점센터 운영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통해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다. 이에 더해 향후 지역 중심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전략수립시에활용하는 STP 전략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정책목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지역 주도의 정책 수립, 2) 지역거점센터의 중간자 역할 확립, 3) 다양한 과학문화주체 발굴, 4) 과학문화 활동 여건 개선, 5)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과학문화 콘텐츠 발굴, 6) 지역혁신 주체들의 네트워크 확산, 7) 과학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지역 주도의 과학문화 정책의 설계, 과학문화 관련 법・제도 구축을 통한 지역 과학문화 활동 추진 근거 마련, 지역 내・외 혁신 주체들의 연계협력 구축, 지역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지역 과학문화 프로그램 개발, 지역 과학문화 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문제의 식별, 정책목표 도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 제시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문화를 지역단위로 진단하고, 지역 주도의 과학문화 활성화 방안을 탐색적으로 조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ocal scientific culture policy i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 overall crisis of local extinction, including local industry, local economy, and local edu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local population. Although there are partial studies on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specific research and proposals on regional science culture led by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deriving an improvement plan for revitalizing local scientific culture by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ocal center. To this end, the following seven policy goals were presented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the STP strategy. Specifically, 1) establishment of locally driven policies, 2) establishment of the mediator role of centers, 3) discovery of actors of scientific culture, 4) improvement of conditions, 5) discovery of contents, 6) expansion of networks, and 7)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haring were selected. In order to achieve these policy goa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promoting scientific cultur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aws and systems,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ulture by those in charge of local governments.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such as the need to share tasks and local infrastructure, were presented. The novelty of this explaratory study can be found in several point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policy problems, the presentation of policy goals, and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to achieve those goals.

      • KCI등재

        백제 한성기 거점취락 형성에 따른 영서지역 취락의 변화양상

        강세호(Kang, Se-ho)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2

        이 논문은 영서지역의 3~5세기대 취락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영서지역은 4세기부터 백제 한성기의 거점취락이 조성되는데 그에 따른 지역의 취락들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그 특징은 무언가를 파악하는게 주 논지이다. 이를 위해 먼저 4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각 지역별 취락의 주거와 유물군의 변동양상을 확인하고, 중심취락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중심취락들의 변화에는 다섯 가지의 유형이 확인되면서 백제 한성기의 마지막까지 공존하거나 소멸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성기의 주거와 유물군은 특징적으로 백제의 거점취락에서만 나타나며, 취락 내 주거배치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지역 중심취락들과의 차별성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로 백제가 지역의 거점을 조성할 때에는 철저한 계획과 통제 하에 지역 취락들을 재편해 나갔던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백제의 거점취락 조성에 따른 지역 정치체들의 변화가 단선적이거나 일방적으로 전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백제의 세력 확장으로 인해 지역 중심취락들과의 관계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그 시점은 4세기 중엽부터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ettlements of the Yeongseo region from the 3rd to 5th centuries. As Hanseong Baekje settlements appear in the Yeongseo region from the 4th century,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ttlements of the area. To this end, firstly, the nature of the dwellings of the regional settlements has been identified, as well as the fluctuations in the artifact assemblage from around the 4th century, an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settlements have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five types for the central settlements whi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existing or disappearing until the end of the Hanseong Baekje period. The distinctive dwellings and artifact assemblage of the Hanseong period appear only in Baekje central-node settlements, and in terms of changes in the layout of dwellings at the settlements, a distinction between these Baekje central node settlements and the regional center settlements can made. This indicates that Baekje reorganized regional settlements through deliberate planning and control when establishing its regional hubs. It also shows that changes in the regional poli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Baekje regional hubs did not take place in a linear or unilateral way. Final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in settlements was the change in relations with the regional center settlements following the expansion of Baekje s power; it is believed that this took place around the late 4th century.

      • KCI등재

        방문판매 영업의 지역거점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임현우(Hyun Woo Lim),이한석(Han Suk Lee),임종원(Jong Won Lim)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4

        고객을 직접 만나 상담하는 방문판매 영업에서는 잠재적인 매출이 일어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지역별 경제/인구구조가 안정적이고 대체수요와 추가수요가 높은 성숙기의 방문판매영업의 경우, 과거 판매발생의 위치정보가 미래의 지역별 영업활동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한 사례기업을 대상으로 과거 판매 발생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한 잠재적 매출의 공간 분포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공간통계 기법의 하나인 G 통계량을 이용해 시장을 매출이 높은 지역들이 집적해 있는 핫스팟과 매출이 낮은 지역들이 집적해 있는 콜드 스팟으로 구분하였다. 서울의 경우 구도심(종로, 을지로, 동대문)은 콜드 스팟, 그리고 강남, 송파지역은 핫 스팟으로 나타났다. 실증조사 결과 콜드 스팟 지역의 영업거점은 매출 성장률도 상대적으로 낮고 자기판매지역 판매비율이 3% 이하인 경우도 있었다. 핫 스팟에는 서로 다른 지역 거점 소속의 방문판매 사원들이 서로 경쟁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기 판매 지역의 매출비중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례기업의 경우 이러한 매출의 분포와 방문판매 영업 거점의 입지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잠재 수요의 공간분포에 따라 지역 영업조직의 크기, 수 그리고 영업사원의 배치가 어떻게 변화하여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수요밀도가 높을수록 대형점포의 집중배치의 지역영업구조가 바람직하며 수요가 지역적으로 분산되는 정도가 클수록, 소형 점포들의 분산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요분포, 영업거점, 그리고 방문판매사원의 거주지의 공간적 불일치에 대한 유형별 실증분석을 통하여 불일치 지수를 파악하고 그 지수의 변화와 영업성과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는 미래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Often making face-to-face contacts with clients, door-to-door sales personnels are expected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where their potential sales activities can be made. However, such information has often been neglected in locating and managing branches supporting door-to-door sales activities in practice. Location analysis for door-to-door sales business has also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existing retail and marketing literatures.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framework for improving the location of door-to-door sales service branches by identifying local clusters of potential sales based on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According to our case study on the door-to-door sales company in South Korea, most of the service branch managers believed that their sales growth mainly depend on the number of sales personnels. Therefore, practitioners have often located their service branches where they can easily recruit door-to-door sales personnels. With little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ir potential clients, sales personnels would have difficulties planning efficient sales routes to increase their chance of making more sales contacts. Such low productivity often caused more sales persons staying idle at home eventually resulting in low job retention rate. When products reach their mature stage and regional socioeconomic structure is relative stable, it is more likely that new orders are often generated from the existing customers. Moreover, additional demand can be expected nearby the areas of present sales due to neighborhood effect. Door-to-door sales business in South Korea is such cas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sales records will serve as a good indication of potential demand. This study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e number of sales contracts occurred in January to August, 2008 are collected and aggregated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Dong in Seoul, Korea. Due to privacy and proprietary issues, actual numbers of sales contracts cannot be disclosed in this paper. Second, spatial clusters of potential sales are detected using G statistics of existing door-to-door sales data. Finally, hot-spots and cold spots of potential sales are identified, and their sales structures are compared in terms of market segmentation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Spatial autocorrelation impli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ttribute values in one location and the values in the neighboring locations. As a global measures of spatial autocorrelation, General G statistic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significance level in this study. This indicates that hot-spots (high-high clusters) of potential sales are dominant across the entire study region. Then Local G statistic of existing sales is calculated for each Dong to detect local clusters of potential sales. Assuming 5%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reas are identified as hot-spots if the z-score of local G statistic is greater than 1.96; and as cold-spots if the z-scores of local G statistic is less than -1.96. Hot spots refer to areas where high values of sales are clustered, whereas cold-spots refer to areas where low values of sales are clustered. The inner city areas such as Jongro, Uljiro, and Dongdaemun turned out to be cold-spots, while Gangnam and Songpa turned out to be hot-spots of door-to-door sales. The identified hot-spots and cold-spots of potential demand showed clear distinction in terms of sales branch activities. Sales branches in cold-spot areas were suffering from relatively low sales growth rate, and only less than 3% of the sales were made within its assigned sales districts on average. In the hot-spot areas, sales persons from different branches were competing against one another, and about 10% of the sales were being made within its own sales districts. The major problem identified from this case study is that the current service branches are not located according to the customer 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