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최대운동이 적혈구생성호르몬과 지방세포분비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여남회 ( Nam Heow Yeo ),김영준 ( Young Jun Kim ),강성훈 ( Sung Hwun Kang ),이재규 ( Jae Gue Lee ),이윤서 ( Yun Seo Lee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최대운동이 적혈구생성호르몬과 지방세포분비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인슐린저항성을 보이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로서 스스로 연구에 참어를 동의한 사람들로서 무작위추출에 의해 실험A군(정상체중그룹, n=7), 실험B군(과체중그룹, n=8)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측정내용은 체성분 분석기(Venus 5.5)를 통한 신체조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대운동부하 검사는 Quark b2를 통해서 실시하였으며, 혈장과 혈청을 통해 HbA1c, EPO, IL-6, RBP4, Adiponectin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HbA1c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EPO는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BP4는 최대운동전보다 운동후에 두그룹 모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Adiponectin은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하지만 IL-6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인슐린저항성을 나타내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 중 특히 과체중환자들은 최대운동과 같은 탈진적운동이 당수송을 촉진하여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ximal exercise on EPO and adipokine in type 2 diabetes patient.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of subjects was experiment A(n=7, normal weight group) and other group was experiment B(n=8, over weight group). Maximal exercise test used to Quark b2 that HbA1c, EPO, RBP4, IL-6, Adiponectin was measured from blood plasma and serum. The results showed that HbA1c was decreased significant and EPO was not significant. Serum RBP4 was decreased and adiponectin was increased significant after maximal exercise. But IL-6 was not changed. Therefore, in subjects type 2 diabetes insulin sensitivity in overweight group maximal exercise was positive on adipokine through glucose transport pal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